[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8731Y1 -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731Y1
KR200168731Y1 KR2019990017215U KR19990017215U KR200168731Y1 KR 200168731 Y1 KR200168731 Y1 KR 200168731Y1 KR 2019990017215 U KR2019990017215 U KR 2019990017215U KR 19990017215 U KR19990017215 U KR 19990017215U KR 200168731 Y1 KR200168731 Y1 KR 200168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ing
horizontal
plate
sleep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김기훈
이중화
신순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철도기술공사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철도기술공사, 이상진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철도기술공사
Priority to KR2019990017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3/00Arrangements preventing shifting of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6/00Tracks or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0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도상횡저항력을 증가시켜 궤도의 좌굴(궤도선형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좌굴방지장치가 개시된다. 좌굴방지장치는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부에 체결용 홀이 형성된 상판, 양측부에 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자갈도상에 삽입고정되는 수직부를 갖는 좌굴방지판, 및 상판의 체결용 홀과 상기 밑판의 홀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침목의 도상 횡저항력을 증강시킨다. 또한, 상판은 수평상면과 수평상면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수직측면, 그리고 수직측면의 끝단에서 외부방향으로 수평되게 절곡되어 체결용 홀이 형성된 수평하면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좌굴방지장치는 철도의 직곡선 상에서 장대 레일의 온도신축에 의한 축압력과 곡선상의 열차주행에 의한 횡압력에 의하여 궤도가 좌굴하려고 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고 좌굴방지를 위한 궤도시설물을 절감할 수 있으며, 궤도의 유지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Antibuckling Apparatus On The Rail}
본 고안은 철도레일의 좌굴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곡선주행시 원심력에 의해 철도레일이 좌굴되어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도레일의 좌굴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선로에 사용되는 침목은 철도차량의 하중과 진동을 견딜수 있어야 하고 특히 곡선선로에서는 철도차량의 곡선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항하는 도상 횡저항력이 충분하여야만 좌굴되는 현상이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선로가 자갈도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선로(1)는 열차주행시 하중으로 인한 침하량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모난 자갈으로 이루어진 자갈도상(5)위에 침목(2)을 일정간격으로 부설하고 침목(2)의 상면 양측에 레일(3)을 설치하고 레일(3) 좌우측을 체결구(4)로 고정지지한다.
침목(2)은 종래에는 목침목을 사용하여 열차가 레일상을 주행시 발생하는 하중, 요동, 및 진동에 대해 탄성력을 갖게하였으나, 침목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주기적으로 교체 및 보수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요즘들어 수명이 반영구적인 콘크리트침목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철도차량이 철도선로상에서 곡선주행시 선로밖으로 나가려는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힘이 레일을 통해 침목에 전달되어 침목이 도상 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침목이 이 힘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하면 좌굴현상이 발생되어 철도차량의 탈선이라는 대형사고를 초래한다. 그리하여, 수시로 레일이 좌굴되었는지 검사하고 좌굴되었으면 보수 및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도선로에 설치가 용이하며 레일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좌굴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궤도가 자갈도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좌굴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좌굴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4 는 본 고안에 따른 침목용 좌굴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5 는 본 고안에 따른 좌굴방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좌굴방지장치 11: 침목
12: 상판 12a: 수평상면
12b: 수직측면 12c: 수평하면
12d: 체결용 홀 13: 좌굴방지판
13a: 수평부 13b: 수직부
13c: 홀 14: 고정수단
14a: 볼트 14b: 너트
14c: 스프링 와셔 15: 자갈도상
본 고안의 목적은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부에 체결용 홀이 형성된 상판, 양측부에 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수평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자갈도상에 삽입고정되는 수직부를 갖는 좌굴방지판, 및 상판의 체결용 홀과 상기 밑판의 홀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침목의 도상 횡저항력을 증강시키는 좌굴방지장치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판은 수평상면과 수평상면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수직측면, 그리고 수직측면의 끝단에서 외부방향으로 수평되게 절곡되어 체결용 홀이 형성된 수평하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측면은 침목의 형상에 맞추어 수평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
또한, 고정수단은 볼트을 사용하며 좌굴방지판의 수평부 밑면에서 볼트를 장착하고 상판의 체결용 홀에 볼트의 상부을 삽입한 후 홀의 상,하부에 너트를 체결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좌굴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좌굴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굴방지장치(10)는 침목(11)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12), 침목(11)밑면에 설치되어 자갈도상(15)에 삽입고정되는 좌굴방지판(13), 및 상판(12)과 좌굴방지판(13)을 연결하는 고정수단(14)으로 구성된다.
상판(12)은 침목(11)상면폭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긴 수평상면(12a)과 수평상면(12a)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절곡되어 침목(11)의 측면 상부를 지지하는 수직측면(12b), 및 수직측면(12b)의 끝단에서 외부방향으로 수평되게 절곡되어 그 면에 체결용 홀(12d)이 형성된 수평하면(12c)으로 구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측면(12b)은 침목(16)의 형상에 따라 수평상면(12a)과 소정의 각도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좌굴방지판(13)은 'ㄱ'자 형상으로 수평부(13a)와 수직부(13b)를 갖는다. 수평부(13a)는 상판(12)의 체결용 홀(12d)에 대응되게 양측부에 홀(13c)이 천공되고, 수평부(13a)의 일단에서 하향으로 수직부(13b)가 연장된다. 수직부(13b)는 자갈도상(15)에 삽입되어 침목(11)의 좌굴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수단(14)은 볼트(14a)를 사용하며, 좌굴방지판(13)의 홀(13c) 밑면에 장착되고 홀(13c) 상면에는 너트(14b)로 고정한다. 그리고, 볼트(14a)의 상부가 상판(12)의 체결용 홀(12d)에 삽입되도록 하고 체결용 홀(14d) 밑면에는 너트 (14b)를 체결하며 상면은 스프링 와셔(14c)를 삽입후 너트(14b)로 고정하여 볼트(14a)가 진동으로 풀어짐을 방지한다.
도5 는 본 고안에 따른 좌굴방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굴방지장치(10)는 철도선로에 부설된 침목(11)상에서 양레일(16)의 사이에 좌우로 설치된다. 철도의 직곡선 상에서 장대 레일의 온도신축에 의한 축압력과 곡선상의 열차주행에 의한 횡압력으로 인해 레일(16)이 힘을 받고 그 힘이 침목(11)에 전달되어 도상 횡방향으로 좌굴되게 하나 좌굴방지판 (13)이 자갈도상(15)에 삽입고정됨으로 이 좌굴시키는 힘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좌굴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의 철도레일의 좌굴방지장치는
첫째, 철도의 직곡선 상에서 장대 레일의 온도신축에 의한 축압력과 곡선상의 열차주행에 위한 횡압력에 대항하는 도상 횡저항력을 증강시켜 레일의 좌굴을 방지하고,
둘째, 좌굴방지를 위한 침목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간단한 구조로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일수 있고,
넷째, 나무침목이나 콘크리트 침목에 따라 형상이 구별되어 있어 침목에 맞게 편리하게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4)

  1.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부에 체결용 홀이 형성된 상판;
    양측부에 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자갈도상에 삽입고정되는 수직부를 갖는 좌굴방지판; 및
    상기 상판의 체결용 홀과 상기 밑판의 홀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침목의 도상 횡저항력을 증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방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수평상면과 상기 수평상면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수직측면, 그리고 수직측면의 끝단에서 외부방향으로 수평되게 절곡되어 체결용 홀이 형성된 수평하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방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측면은 침목의 형상에 맞추어 수평상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방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를 사용하며, 상기 좌굴방지판의 수평부 밑면에서 상기 볼트를 장착하고, 상기 상판의 체결용 홀에 상기 볼트의 상부를 삽입한후 상기 체결용 홀의 상,하부에 너트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방지장치.
KR2019990017215U 1999-08-19 1999-08-19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KR200168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15U KR200168731Y1 (ko) 1999-08-19 1999-08-19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15U KR200168731Y1 (ko) 1999-08-19 1999-08-19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731Y1 true KR200168731Y1 (ko) 2000-02-15

Family

ID=1958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215U KR200168731Y1 (ko) 1999-08-19 1999-08-19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7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74B1 (ko) 2008-02-11 2009-06-10 한국철도공사 침목용 숄더의 인발력 측정 장치
KR20220048495A (ko) 2020-10-12 2022-04-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침목 고정 및 지지장치를 이용한 생력화 자갈궤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74B1 (ko) 2008-02-11 2009-06-10 한국철도공사 침목용 숄더의 인발력 측정 장치
KR20220048495A (ko) 2020-10-12 2022-04-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침목 고정 및 지지장치를 이용한 생력화 자갈궤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6272A (ko) 철도 건널목의 보판
KR100948279B1 (ko)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200168731Y1 (ko) 철도선로에서 궤도의 좌굴방지장치
KR100942793B1 (ko) 위치고정장치가 설치된 철도궤도단침목
US6439470B1 (en) Prefabricated embedded railway track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CN110616599A (zh) 钢轨临时固定结构及纵向挡槽块安装施工方法
KR100319577B1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JP2887720B2 (ja) 踏切舗装板
KR100844965B1 (ko) 레일 지지 구조
KR200236034Y1 (ko) 철도선로의 침목 횡 저항력 증강 장치
KR101338375B1 (ko) 궤도 일체형 교량
JP3349912B2 (ja) レールの座屈防止装置
JPH0218085Y2 (ko)
CN219824743U (zh) 复合轨枕无砟轨道结构
KR200149963Y1 (ko) 콘크리트 곡선철로 주행, 안전레일의 좌굴방지장치
KR100453985B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CN219470567U (zh) 一种防脱护轨装置
KR100797053B1 (ko) 철도용 침목
KR200281054Y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KR101203904B1 (ko) 철도 교량용 침목
KR102433171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침목 고정장치
KR950025198A (ko) 자기부상열차의 트랙 설치방법 및 그에 의한 트랙
JPS6241042Y2 (ko)
CN213804658U (zh) 磁浮轨道支撑装置及磁浮轨道系统
KR200197755Y1 (ko)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8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8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3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