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7551Y1 -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 Google Patents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551Y1
KR200167551Y1 KR2019950037604U KR19950037604U KR200167551Y1 KR 200167551 Y1 KR200167551 Y1 KR 200167551Y1 KR 2019950037604 U KR2019950037604 U KR 2019950037604U KR 19950037604 U KR19950037604 U KR 19950037604U KR 200167551 Y1 KR200167551 Y1 KR 200167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tundish
splash
outer cylinder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091U (ko
Inventor
전기홍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37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551Y1/ko
Publication of KR970021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5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주조 작업에서 주조 초기에 래들에서 부터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때 발생되는 용강의 비산 및 스플래쉬를 방지하고 주조중 용강면위에 부상하도록 하여 턴디쉬내의 용강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에 관한 것으로, 직경이 큰 외통체(51)와 직경이 작은 내통체(53)를 상호 결합시켜, 부상캡(50)을 형성시키되, 상기 외통체(51)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용강출구(51)을 형성시킨 것과, 상기 내통체(53)에는 상부에 경사부(54)을 형성시키고, 이 경사부(54)를 중심으로 상부는 외통체(51)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시켜 가이드부(55)를 형성하고, 하단부는 외통체(51)의 하단부보다 짧게 형성시킨 것과, 상기 외통체(51)와 내통체(53)의 사이에는 공간부(56)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제1도는 종래의 스플래쉬 방지용 용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a)도는 사시도, 제2(b)도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3(a)도는 용강 주입초기의 상태도, 제3(b)도는 용강이 일정량 주입된 상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부상캡 51 : 외통체
52 : 용강출구 53 : 내통체
54 : 경사부 55 : 가이드부
56 : 공간부
본 고안은 연속주조 작업에서 주조 초기에 래들로부터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할 때 발생되는 용강의 비산 및 스플래쉬를 방지하고, 주조중에는 용강면 위에 부상하도록 하여 턴디쉬내의 용강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 작업은 래들(10) 내의 용강을 턴디쉬(20)에 공급하고, 턴디쉬(20)의 침적 노즐(21)을 통하여 몰드(30)에 주입하여 주조작업을 한다.
그러나, 래들(10)로부터 턴디쉬(20)에 용강(40)을 주입할 때 주입 초기에는 주입류의 낙하로 인하여 용강(40)의 스플래쉬가 매우 심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이 비상된 용강(40)이 턴디쉬(20) 벽면에 붙게 되면 지금 부착의 원인이 되고, 용강(40)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금속 개재물(41)과 함께 몰드(30) 주입 응고시에는 주편의 개재물과 결함과 지금에 의한 결함이 발생되어 주편 품질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그래서 종래에는 용강의 주입 초기의 스플래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디쉬(20) 내에 스플래쉬 방지용 용기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나, 상기 턴디쉬(20)에 설치된 용기는 용강(40)을 주입시 주입 초기의 스플래쉬를 방지할 수는 있으나, 스플래쉬가 발생되지 않는 용강 높이의 풀 형성시에는 용기의 국부적인 용융과 함게 용강(40) 내에 잔류하면서 턴디쉬(20) 내에서의 용강(40)의 유동 흐름을 방해하고, 용강(40)의 탕면을 불안정하게 하여 탕면 위에 떠있는 슬래그(42)가 용강(40) 내부로 침입하여 비금속 개재물(41)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주입 초기 용강의 스플래쉬 및 비산을 방지하고 용강풀 형성시 부상캡이 용강면 위로 부상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에서는 부상캡의 재질은 스틸 또는 내화재로 하고, 이 부상캡의 설치는 턴디쉬 내의 래들 롱노즐 직하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부상캡의 형상으로는 부상캡의 상부에는 부상캡이 부상하여 래들의 롱노즐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방사형으로 용강이 흘러갈 수 있도록 출구를 설치하여 턴디쉬에서의 용강풀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끝은 상부가 막힌 이중 벽면의 구조로써, 용강의 낙하로 인하여 발생되는 용강의 스플래쉬 및 수직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턴디쉬 내의 용강풀 형성시 부상캡의 일정 높이에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인하여 부상캡이 용강면 위에 부상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직경이 큰 외통체(51)와 직경이 작은 내통체(53)를 상호 결합시켜 부상캡(50)을 형성시키되, 상기 외통체(51)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용강출구(52)를 형성시키고, 상기 내통체(53)는 상부에 경사부(54)를 형성시키고, 이 경사부(54)를 중심으로 상부는 외통체(51)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시켜 가이드부(55)를 형성하고, 하단부는 외통체(51)의 하단부보다 짧게 형성시키고, 상기 외통체(51)와 내통체(53)의 사이에는 공간부(56)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턴디쉬(20) 내의 용강(40) 높이가 부상캡(50)의 일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부상캡(50)에 미치는 수직 상부 방향의 힘은 F(수직 상승력)=F(부력)-F(자중력)이다.
F(수직 상승력)은 부상캡(50)이 용강(40) 중에 수직 상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승력이며, F(부력)은 용강(40) 중에 부상캡(50)이 떠있는 힘 즉, 용강(40) 중에 잠겨 있는 부분의 부상캡(50)의 체적에 해당하는 용강의 힘(무게)이고, F(자중력)은 부상캡(50)의 자중력이다.
따라서, 용강(40)의 높이가 부상캡(50)의 일정 위치에 도달하여 이중벽면으로 이루어진 부상캡(50)에 공간부(56)가 형성되면, 수직 상승력이 발생하여 부상캡(50)은 부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부상된 부상캡(50)은 가이드부(55)에 따라 래들(10)의 롱노즐(11)에 끼워지고, 용강(40)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부상캡(50)도 래들(10)의 롱노즐(11)을 따라 같이 부상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50)은 턴디쉬(20) 내의 용강풀 형성시 용강(40) 면위로 부상하여 용강(4)의 유동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고, 용강 탕면을 안정화시켜 비금속 개재물(41)의 발생요인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상캡(50)을 턴디쉬(20)에 설치하여 주입초기의 스플래쉬 및 용강(40)의 수직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용강의 풀 높이가 부상캡(50)의 일정위치에 도달하여, 이중벽면으로 이루어진 부상캡(50)에 압축공간, 즉 공간부(56)가 생성되어 수직 상승력이 발생 부상캡(50)이 용강면(40)위로 부상하여 부상캡(5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부(55)에 의해 래들(10)의 롱노즐(11)을 따라 부상해서 턴디쉬(20))에 용강(40)을 주입시 용강(40) 유동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탕면의 안정화로 인하여 용강(40) 위에 떠있는 슬래그(42)에 의한 비금속 개재물(41)의 발생과, 용강의 스플래쉬로 발생되는 지금을 방지하여 비금속 개재물(41)과 용강의 지금이 몰드(30) 속으로 유입되는 종래 스플래쉬 방지용 용기의 단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래들로부터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할 때 용강의 낙하로 인한 용강의 비산 및 스플래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지금의 생성을 방지하고, 턴디쉬내 용강풀 형성시 용강의 유동흐름 원활화와 용강탕면의 안정화로 인하여 비금속 개재물의 발생원인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직경이 큰 외통체(51)와 직경이 작은 내통체(53)를 상호 결합시켜 부상캡(50)을 형성시키되, 상기 외통체(51)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용강출구(52)를 형성시키고, 상기 내통체(53)는 상부에 경사부(54)를 형성시키고, 이 경사부(54)를 중심으로 상부는 외통체(51)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시켜 가이드부(55)를 형성하고, 하단부는 외통체(51)의 하단부보다 짧게 형성시키고, 상기 외통체(51)와 내통체(53)의 사이에는 공간부(56)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KR2019950037604U 1995-11-30 1995-11-30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Expired - Lifetime KR200167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604U KR200167551Y1 (ko) 1995-11-30 1995-11-30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604U KR200167551Y1 (ko) 1995-11-30 1995-11-30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91U KR970021091U (ko) 1997-06-18
KR200167551Y1 true KR200167551Y1 (ko) 2000-03-02

Family

ID=1943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604U Expired - Lifetime KR200167551Y1 (ko) 1995-11-30 1995-11-30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5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91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1513A (en) Refractory article for preventing vortexing in a metallurgical vessel
KR19980064013A (ko) 용융금속, 특히 용강을 보유하기 위한 공급조
KR100992206B1 (ko) 턴디쉬
KR200167551Y1 (ko) 턴디쉬 내 스플래쉬 방지용 부상캡
GB2147837A (en) Gas distributing tundish barrier
US3502134A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with inert gas puffs to prevent skulling
KR20100035821A (ko) 턴디쉬
KR100598574B1 (ko) 임팩트 패드를 구비한 t형 턴디쉬
KR100332920B1 (ko) 턴디쉬의 용강 실수율 향상장치
KR100530101B1 (ko) 턴디쉬 내부 용강의 와류발생 억제 댐
KR101253978B1 (ko) 노즐개폐장치
JP5618565B2 (ja) 環状堰
KR910000992Y1 (ko) 용강의 비산 방지틀
KR100779687B1 (ko) 연속주조설비에 사용되는 완충 패드가 부착된 턴디쉬
KR200167562Y1 (ko)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JP5025312B2 (ja) 湯道に旋回流を発生させて鋼塊表面肌を改善する下注造塊用鋳型への注湯方法
KR910008749Y1 (ko) 연속주조용 스타팅 튜브
SU7572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фонной разливки 1
KR101481602B1 (ko) 연속주조용 턴디쉬 및 연속주조장치
KR20130047136A (ko) 턴디쉬
KR101149183B1 (ko) 불순물 혼입 방지장치
KR920001708B1 (ko) 강의 연속주조에서 턴디쉬로부터 주형으로 용강을 주입하는 장치
KR100669512B1 (ko) 슬래그 혼입방지장치와 이를 장착한 연속주조장치
KR200159531Y1 (ko)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KR200178753Y1 (ko) 롱노즐을 이용한 턴디쉬내 용강 와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13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3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6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1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