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7266Y1 -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 Google Patents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266Y1
KR200167266Y1 KR2019990016232U KR19990016232U KR200167266Y1 KR 200167266 Y1 KR200167266 Y1 KR 200167266Y1 KR 2019990016232 U KR2019990016232 U KR 2019990016232U KR 19990016232 U KR19990016232 U KR 19990016232U KR 200167266 Y1 KR200167266 Y1 KR 200167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assage
vacuum
sizing
vacuum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택
Original Assignee
김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택 filed Critical 김용택
Priority to KR2019990016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26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2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tubes
    • B29C55/2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tubes rad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고안은 열수축튜브 성형기에 장착되어서 열수축튜브 성형시에 기성튜브를 적정한 크기로서 확경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구성부품수와 부피를 최소화한 구조로서 기성튜브 확경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내부가 트여지는 원통형의 파이프로서 성형되어 길이방향의 상부에 기수흡출구(11)를 그 중간부와 하부에는 냉각수회수구(12) 및 냉각수주입구(13)를 각각 연통되게 설치하여서 된 진공통로관부(10)와,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그 진공통로관부 내에 조성된 진공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흡기공(21a)들이 형성되는 사이징통로(21)를 가져서 가열된 상태로 통과하는 기성튜브(2)의 직경을 크게 확경시켜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는 사이징관부(20)와, 상기 진공통로관부(10) 하단부 내측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사이징관부(20)를 통하여 성형된 열수축튜브(3)를 통과 배출시켜 주는 배출통로(31)를 가지는 배출안내관부(30)로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A Apparatus for Making Thermal Contract Tubes}
본고안은 열수축튜브 성형기에 장착되어서 열수축튜브 성형시에 기성튜브를 적정한 크기로서 확경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구성부품수와 부피를 최소화한 구조로서 기성튜브 확경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수축튜브는 가열후에 경화시키면 축심방향으로 균등하게 수축되어 그 직경이 작아지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피복전선이 서로 연결된 접속부위를 밀실하게 감싸주어서 누전을 방지하여 주는 데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열수축튜브를 성형하여 주기 위한 열수축튜브 성형기(1)는 도1a 및 도1b의 도시와 같이, 최선단에 배치되어서 권회된 기성튜브(2)를 공급하여 주는 공급드럼(1a)과, 상기 공급드럼(1a)으로부터 공급된 기성튜브(2)가 통과하는 경로상의 고정틀(1b) 상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각각 수개의 가열홈(1c')을 형성하여서 된 한쌍의 가열드럼(1c)들과, 상기 가열드럼(1c)들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틀(1b)에 설치되며 가열드럼을 경유하여 가열된 상태로 인입되는 기성튜브(2)의 직경을 크게 확경시켜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는 확경장치(100)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열수축튜브 성형기(1)에 있어, 기성튜브(2)를 확경시켜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확경장치(100)는 도1b의 도시와 같이,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 상부 및 하부공간(111)(112)이 구획 형성되며 그 전면에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개폐문(113)을 가지는 진공박스(110)와, 상기 진공박스(110)의 상부 및 하부공간(111)(112)에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어서 그 상부 및 하부공간내의 공기를 흡출시켜서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공기흡출관(120)과, 상기 진공박스(110)의 하부공간(112)에 연결 배관되어서 그 하부공간내에 냉각수를 순환공급하여 주도록 배관되는 냉각수공급관(130) 및 냉각수배출관(140)과, 상기 진공박스(110)의 상부 및 하부공간(111)(112)에 각각 설치되어서 외측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성튜브(2)를 통과시키면서 진공흡입력으로서 확경시켜 주는 상부 및 하부 사이징관(150)(160)들과, 상기 진공박스(1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서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열수축튜브 배출관(170)으로 구성되어, 가열드럼(1c)들을 경유하여 가열되어서 유입되는 기성튜브(2)의 직경을 크게 확경시켜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100)는 기성튜브(2)를 확경시킬 때에 진공흡입력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품으로서 내면적이 큰 상부 및 하부 구획공간(111)(112)이 구획 형성된 진공박스(110)를 가지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가 커져서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진공박스(110) 내에 구획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구획공간(111)(112)에 나누어서 주변부품과 함께 상부 및 하부 사이징관부(150)(160)를 설치하게 되어 구성부품수가 불필요하게 증가됨에 따라 제작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한 단위의 기성튜브(2)를 확경시키는 작업을 수행한 후에 새로운 기성튜브(2)를 셋팅시킬 때에, 진공박스(110)의 개폐문(113)을 열고 상부 및 하부 사이징관(150)(160)들과 열수축튜브 배출관(170)을 통과하도록 끼우는 작업을 수행한 후에 진공박스(110)를 다시 진공상태로 조성하기까지 작업시간이 지체되어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첫째 진공흡입력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부품과 부피를 최소화한 컴팩트한 구조로서 제작비용을 절감시켜서 경제성이 있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둘째 기성튜브를 셋팅시킬 때에도 진공흡입력이 계속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열수축튜브를 성형하는 데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서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주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종래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가 장착된 성형기를 나타낸 것임
도1b는 종래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2는 본고안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고안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의 단면도
도4는 본고안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가 장착된 성형기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통로관부 A: 통기공 B: 통수공
11: 기수흡출구 12: 냉각수회수구 13: 냉각수주입구
14: 수직고정판 20: 사이징관부 21: 사이징통로
21a: 흡기공 22: 끼움결합턱부 23: 막이턱부
30: 배출안내관부 31: 배출통로 32: 안내입구
33: 끼움결합턱부 34: 돌편 35: 통수로
본고안의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100)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가 트여지는 원통형의 파이프로서 성형되어 길이방향의 상부에 기수흡출구(11)를 그 중간부와 하부에는 냉각수회수구(12) 및 냉각수주입구(13)를 각각 연통되게 설치하여서 된 진공통로관부(10)와,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그 진공통로관부 내에 조성된 진공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흡기공(21a)들이 형성되는 사이징통로(21)를 가져서 가열된 상태로 통과하는 기성튜브(2)의 직경을 크게 확경시켜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는 사이징관부(20)와, 상기 진공통로관부(10) 하단부 내측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사이징관부(20)를 통하여 성형된 열수축튜브(3)를 통과 배출시켜 주는 배출통로(31)를 가지는 배출안내관부(30)로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100)는 도2 내지 도4의 도시와 같이, 열수축튜브 성형기(1)의 가열드럼(1c)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장착하여서, 가열드럼(1c)에 의하여 가열되어 인입되는 기성튜브(2)를 진공통로관부(10)내에 조성된 진공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형성된 사이징관부(20) 내면에 흡착 통과시켜서 직경이 크게 확경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고, 성형된 열수축튜브(3)는 진공통로관부(10) 내에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경화된 후에 배출안내관부(30)를 통과하여 외부로 하향 배출되도록 하여서 소원의 열수축튜브(3)를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고안은 원통형으로 만들어져서 진공상태로 유지시켜야 할 대상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진공통로관부(10)를 기본구성품으로 하여, 그 진공통로관부(10) 상하단 내측에 사이징관부(20)와 배출안내관부(30)를 각각 삽입 설치한 컴팩트한 구조로서 구성됨으로써, 첫째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자체의 구성부품수와 부피를 대폭적으로 감축시켜서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켜 주며, 둘째 진공통로관부 내의 진공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로 기성튜브를 셋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불필요하게 지체되는 작업시간을 줄여서 열수축튜브를 생산하는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통로관부(10)는 내부공간에 진공흡입력을 조성하여서 기성튜브(2)가 상기 사이징관부(20) 내면에 흡착 통과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진공통로관부(10)는 내부가 트여지는 원통형의 파이프로서 만들어지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진공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대상 면적을 감축시켜 주는 동시에 외형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는 길이방향의 상부에 진공펌프(미도시)로부터 연장된 공기 및 냉각수흡출관(11a)이 후단부에 연결 배관되도록 설치되는 기수흡출구(11)로서 진공되도록 하고, 그 진공통로관부 길이방향의 중간부와 하부에는 냉각수펌프(미도시)를 경유하여 배관되는 냉각수회수관(12a)과 냉각수공급관(13a)이 각각 연결 배관되도록 설치되는 냉각수회수구(12) 및 냉각수주입구(13)를 통하여 냉각수가 순환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수흡출구(11)는 그 선단부에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외경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요입 형성되는 결합홈(11b)을 가져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상부에 뚫어지는 통기공(A)와 연통되도록 밀착시키고 결착구(11c)로 결착하여서 연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회수구(12) 및 냉각수주입구(13)는 그 중간부와 하부에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외경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요입 형성되는 결합홈(12b,13b)을 가져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중간부와 하부에 뚫어지는 통수공(B)에 각각 연통되도록 밀착시키고 결착구(12c,13c)로 결착시켜서 연통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 상기 진공통로관부(10)는 기수흡출구(11)와 냉각수회수구(12) 및 냉각수주입구(13)들의 후단부를 일연체로 연결 고정하여 주는 수직고정판(14)를 가져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를 열수축튜브 성형기(1)의 고정틀(1b)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사이징관부(20)는 상기 진공통로관부(10) 내부에 조성된 진공흡입력으로서 가열된 상태로 통과하는 기성튜브(2)의 직경을 크게 확경시켜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징관부(20)는 원통체의 형상으로서 외주면 둘레에 흡기공(21a)들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이징통로(21)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징통로(21)의 흡기공(21a)들은 그 사이징통로의 하부로부터 중간부까지 등간격마다 서로 마주하도록 한쌍씩 뚫어져서 상하로 엇갈리게 배열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사이징통로(21) 내에 조성된 진공흡입력이 흡기공(21a)들을 통하여 고르게 작용되도록 하여서, 통과중인 기성튜브(2)가 상기 사이징통로(21)내면에 확실하게 흡착되어서 성형되게 하여 균일하게 확경된 열수축튜브(3)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크기로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사이징통로(21)와 연통되는 요입홈(22b)을 가지는 끼움결합턱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징통로(21)의 하부 끝단에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크기로서 돌출되는 막이턱부(23)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끼움결합턱부(22)는 사이징통로(20)를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상기 막이턱부(23)는 상기 진공통로관부(10) 내에 유입되어서 기수흡출구(11)를 향하여 상승하려는 냉각수를 차단하여 주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끼움결합턱부(23)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패킹홈(24)내에 환형의 기밀패킹(25)을 내설하여, 상기 사이징관부(20)가 진공통로관부(10) 상단부 내측에 밀실하게 설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 내에 조성된 진공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배출안내관부(30)는 상기 사이징관부(20)를 통하여 성형된 열수축튜브(3)를 외부로 하향 배출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안내관부(30)는 원통체의 형상으로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하단부 내측에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형성된 배출통로(31)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안내관부(30)는 그 배출통로(31)의 상부에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서 연장되는 안내입구(32)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통로(31)의 하단부에 그 배출통로와 연통되도록 돌출되는 끼움결합턱부(33)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안내입구(32)는 상기 사이징관부(20)에서 성형된 열수축튜브(3)가 상기 배출통로(31)로 원할하게 인입되도록 안내하여 주며, 상기 끼움결합턱부(33)는 상기 배출통로(31)를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하단부 내측에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 상기 배출통로(31)의 중간부 외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편(34)들 사이에 복수의 통수로(35)들을 확보하여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 내에 유입되어서 상승되는 냉각수가 골고루 퍼져서 상기 사이징관부(20)에서 성형된 열수축튜브(3)를 효율적으로 냉각시켜 주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끼움결합턱부(33)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패킹홈(36)내에 환형의 기밀패킹(37)을 내설하여, 상기 배출안내관부(30)가 진공통로관부(10) 내측에 밀실하게 설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 내에 조성된 진공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통로관부(10) 내에 유입된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은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대상 면적을 최소화하여 컴팩트한 구조로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서 제작비용이 저렴한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작업중에 불필요하게 지체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열수축튜브의 생산량을 증대시켜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내부가 트여지는 원통형의 파이프로서 성형되어 길이방향의 상부에 기수흡출구(11)를 그 중간부와 하부에는 냉각수회수구(12) 및 냉각수주입구(13)를 각각 연통되게 설치하여서 된 진공통로관부(10)와,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그 진공통로관부 내에 조성된 진공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흡기공(21a)들이 형성되는 사이징통로(21)를 가져서 가열된 상태로 통과하는 기성튜브(2)의 직경을 크게 확경시켜서 열수축튜브(3)로 성형하여 주는 사이징관부(20)와, 상기 진공통로관부(10) 하단부 내측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사이징관부(20)를 통하여 성형된 열수축튜브(3)를 통과 배출시켜 주는 배출통로(31)를 가지는 배출안내관부(3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흡출구(11)는 그 선단부에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외경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요입 형성되는 결합홈(11b)을 가져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상부에 뚫어지는 통기공(A)와 연통되도록 밀착시키고 결착구(11c)로 결착하여서 연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회수구(12) 및 냉각수주입구(13)는 그 중간부와 하부에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외경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요입 형성되는 결합홈(12b,13b)을 가져서, 상기 진공통로관부(10)의 중간부와 하부에 뚫어지는 통수공(B)에 각각 연통되도록 밀착시키고 결착구(12c,13c)로 결착시켜서 연통되게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징통로(21)의 흡기공(21a)들은 그 사이징통로의 하부로부터 중간부까지 등간격마다 서로 마주하도록 한쌍씩 뚫어져서 상하로 엇갈리게 배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안내관부(30)는 그 배출통로(31)의 상부에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서 연장되는 안내입구(32)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통로(31)의 하단부에 그 배출통로와 연통되도록 돌출되는 끼움결합턱부(33)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31)의 중간부 외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편(34)들 사이에 복수의 통수로(35)들을 확보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KR2019990016232U 1999-08-09 1999-08-09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67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32U KR200167266Y1 (ko) 1999-08-09 1999-08-09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32U KR200167266Y1 (ko) 1999-08-09 1999-08-09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266Y1 true KR200167266Y1 (ko) 2000-02-15

Family

ID=1958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2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167266Y1 (ko) 1999-08-09 1999-08-09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2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8056A1 (en) High Thermal Capacity Mold Assembly
US6295980B1 (en) Composite polymer manifold for water heating unit
JPH04247920A (ja) 射出成形用ソケットホルダ
US20110064842A1 (en) Cooling device for molding apparatus
KR200167266Y1 (ko) 열수축튜브 성형용 확경장치
KR100867189B1 (ko) 사출금형의 냉각 칸막이
RU2004114206A (ru)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й узел с внутренним охлаждением
JP2007107426A (ja) 内燃機関の冷却液通路構造
CN219813411U (zh) 一种具有回路散热风道的电吹风
JP4307898B2 (ja) タイヤ加硫機のガスサイクル装置
JP2006068956A (ja) 射出金型のキャビティ底部の冷却構造
CN109653893A (zh) 用于汽缸盖的冷却套管
JP2004209928A (ja) タイヤ加硫装置におけるブラダーの流体給排ヘッド
JP2597165Y2 (ja) ダイカスト用プランジャチップ
KR200150775Y1 (ko) 사출금형의 냉각장치
KR100272323B1 (ko) 홴코일 유닛의 헤더장치
CN216589415U (zh) 一种注塑机液压系统用冷却器
CN213797969U (zh) 一种多孔一体管冷却定型水箱
CN217810003U (zh) 一种高效环保绞纱阶梯升温染色装置
CN218399318U (zh) 瓶坯模外冷却机械手
CN214533186U (zh) 一种发动机用冷却装置
CN217574058U (zh) 一种电缆头保护套扩张装置
CN216182553U (zh) 一种注塑机自动化冷却设备
JPH0620780B2 (ja) ロールの加熱構造
KR100361937B1 (ko) 소형4각관의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8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8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