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6674Y1 -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 Google Patents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674Y1
KR200166674Y1 KR2019980000754U KR19980000754U KR200166674Y1 KR 200166674 Y1 KR200166674 Y1 KR 200166674Y1 KR 2019980000754 U KR2019980000754 U KR 2019980000754U KR 19980000754 U KR19980000754 U KR 19980000754U KR 200166674 Y1 KR200166674 Y1 KR 200166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filter
inlet
in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423U (ko
Inventor
황두연
Original Assignee
황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두연 filed Critical 황두연
Priority to KR2019980000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6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6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 및 산업 공정수중에 포함된 고형물을 걸러내기 위한 고액(固液) 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의 처리 용량을 증대 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타 드럼이 수평으로 누워 설치되어 수평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한쪽 끝단으로 유입되어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중 물은 드럼의 표면 휠타 개공을 통하여 드럼외측 하부로 흘러 내리면서 개공을 통과하지 못한 고형물은 드럼 내측에 걸려 뭉쳐지면서 서서히 유입구 반대편 끝단으로 흘러 나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폐수 및 산업 공정수 고액 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류의 경우, 그 휠타면의 종류가 와이어 메쉬 직망이든 타공판이든 역삼각형 단면의 웨지 와이어든 관계없이 일단 드럼의 측면부 휠타면을 흘러내리며 외부로 다 통과되지 못하고 드럼 하부 내측에 모이는 유입수는 즉시 유입구 반대편 배출구 쪽으로 드럼 내측 최하부의 일직선을 타고 흘러나가 오버 플로우 되기 마련인데 이는 이 종류의 드럼 휠타류가 휠타 표면을 흐르는 극히 얕은 깊이의 물의 무게 및 중력을 이용하여 휠타링이 이루어져 그 실제 처리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폐수나 공정수가 고농도가 되고 휠타의 개공이 작아질수록 유체의 점도 및 표면장력에 의하여 그 처리량은 급격히 줄어 드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럼 휠타의 드럼 내부 중간부쯤에 드럼 반경 높이의 약 1/2정도 높이에 해당되는 나선형 물막이 날개들을 돌아가며 그 개구부가 서로 엇갈리게 장착하면 유입구측 드럼 부위가 물막이 날개의 높이까지 유입수가 가득 찬 채로 작동되게 되어 기존의 휠타에서 적용되던 수압의 10여배 이상의 수압으로 휠타링이 이루어지게 되어 최소한 2-3배 또한 고농도 유입수의 경우에는 3-5배 이상의 처리량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변속 모타를 사용하여 드럼의 회전수를 조절하게되면 배출되는 고형물 슬러지의 농도까지도 어느정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또한 얻게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안출된 드럼 휠타는 제지 공정수중 백수를 여과하여 원료를 농축 회수하고 물을 재활용하거나 하수처리장의 최초 침전지 및 최종 침전지의 슬러지를 더욱 농축시키는등 각종 산업 공정수와 폐수의 여과 및 농축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 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본 고안은 폐수 및 산업 공정수중에 포함된 고형물을 걸러내기 위한 고액(固液) 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의 처리 용량을 증대 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폐수처리장의 전처리부에서 폐수중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물을 사전에 제거하거나 폐수처리 후 최종 방류수를 재여과하기 위하여 그리고 제지 공정중 백수를 농축하는등 갖가지 산업 공정수의 여과 공정에서도 휠타 드럼이 수평으로 누워 설치되어 수평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되면서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를 휠타 드럼면을 통과시켜 흘려 내 보내며 여과시키는 고액분리용 드럼 휠타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휠타 드럼이 수평으로 누워 설치되어 수평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한쪽 끝단으로 유입되어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중 물은 드럼의 표면휠타 개공을 통하여 드럼외측 하부로 흘러 내리면서 개공을 통과하지 못한 고형물은 드럼 내측에 걸려 뭉쳐지면서 서서히 유입구 반대편 끝단으로 흘러 나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폐수 및 산업 공정수 고액 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류의 경우, 그 휠타면의 종류가 와이어 메쉬 직망이든 타공판이든 역삼각형 단면의 웨지 와이어든 관계없이 일단 드럼의 측면부 휠타면을 흘러내리며 외부로 다 통과되지 못하고 드럼 하부 내측에 모이는 유입수는 즉시 유입구 반대편 배출구 쪽으로 드럼 내측 최하부의 일직선을 타고 흘러나가 오버 플로우 되기 마련인데 이는 이 종류의 드럼 휠타류가 휠타 표면을 흐르는 극히 얕은 깊이의 물의 무게 및 중력을 이용하여 휠타링이 이루어져 그 실제 처리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폐수나 공정수가 고농도가 되고 휠타의 개공이 작아질수록 유체의 점도 및 표면장력에 의하여 그 처리량은 급격히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 여과 용량 증대장치가 부착된 고액 분리용 회전 드럼휠타의 사용 상태 예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여과 용량 증대장치가 부착된 고액 분리용 회전 드럼휠타의 사용 상태 예시 정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는 물막이 날개의 제작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회전축선 2 : 구동모타
3 : 구동체인 4 : 스프로켓
5 : 휠타 드럼 6 : 높이
7a, 7b : 물막이 날개 8 : 개구부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럼 휠타의 드럼 내부 중간부쯤에 드럼 반경 높이의 약 1/2정도 높이에 해당되는 나선형 물막이 날개들을 돌아가며 그 개구부가 서로 엇갈리게 장착하면 유입구측 드럼 부위가 물막이 날개의 높이까지 유입수가 가득 찬 채로 작동되게 되어 기존의 휠타에서 적용되던 수압의 10여배 이상의 수압으로 휠타링이 이루어지게 되어 최소한 2-3배 또한 고농도 유입수의 경우에는 3-5배 이상의 처리량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변속 모타를 사용하여 드럼의 회전수를 조절하게되면 배출되는 고형물 슬러지의 농도 까지도 어느정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 또한 얻게되는 것이다. 그 내용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고하면, 수평으로 누워 설치되어 수평회전축선(1)을 중심으로 구동모타(2)와 구동체인(3) 및 스프로켓(4)의 구동 작용에 의하여 회전되는 휠타 드럼(5)의 내부에 상기 휠타 드럼(5) 길이의 중간부쯤에 상기 휠타 드럼(5)의 반경의 약 1/2정도 높이(6)를 가지는 물막이 날개(7a, 7b)들을 상기 휠타 드럼(5) 내측 원주면을 따라 돌아가며 나선형으로 장착한다. 상기 물막이 날개(7a, 7b)를 1개로하여 길게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휠타 드럼(5) 내측 원주면 전체 360°를 한바퀴 돌고서도 일부 구간이 중첩되어야만 개구부(8)로 유입수(9)가 갑자기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최소 480°에 해당하는 길이만큼으로 장착되어야 하나 이는 1개의 길이가 너무 길어 용접식이든 볼트 부착식이든 작업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으므로 2-6개를 1조로 하여 상기 개구부(8)를 원주상으로 엇갈려가며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2개의 물막이 날개(7a, 7b)가 1조가 되어 장착되는 경우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1개의 길이가 각각 상기 휠타 드럼 내측 전체 원주의 5/6 즉 300°에 해당되는 길이로 장치되면 되지만 제4도에서와 같이 원주의 4/6 즉 240° 짜리 물막이 날개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3개 그리고 제5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원주의 반(=3/6) 즉 180°짜리 물막이 날개의 경우 6개가 엇갈려가며 부착되어야만 유입수(9)가 바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300°짜리 2개를 1조로하여 상기 개구부(8)가 원주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장치하는 것이 하나의 개구부(8)가 휠타 드럼(5)의 하부에 위치해 있을때 흘러나가려는 유입수(9)의 진행을 다른 한 개가 막아주는 역할을하여 가장 추천할 만 하다. 또한 상기 물막이 날개(7a, 7b) 부착시의 나선형 회전 방향은 상기 휠타 드럼(5)이 회전되어 올라갈 때 상기 물막이 날개(7a, 7b)의 고형물 배출구(10)측 끝단이 고형물을 상기 휠타 드럼(5)의 배출구(10) 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되어야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물막이 날개 안쪽의 유입수가 휠타 드럼의 배출구쪽으로 바로 흘러 나가지 못하고 휠타 드럼의 반경의 약 1/2높이 정도의 수위까지 거의 가득 찬 채로 작동되게 되어 기존의 휠타에서 적용되던 5-10mm 두께의 얕은 물에 의한 수압의 10여배 이상되는 수압에 의하여 휠타 드럼의 하부 휠타 면에서 고압 여과 작용이 일어나게 되므로 기존의 최소한 2-3배, 또한 고농도 유입수의 경우 3-5배 이상 유량의 여과처리가 가능하게되어 기계가 컴팩트해 지면서도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며, 구동 모타를 가변속형으로 채택하여 휠타 드럼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경우, 배출되는 고형물 슬러지의 농도까지도 어느정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휠타면을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 12는 농축된 고형물, 13은 유입 프랜지, 14는 프레임, 15는 여과수 통, 16은 여과수 배출 프랜지, 17은 드럼 지지 롤러, 18은 양측 커어버이며 19는 드럼 세정 노즐이 취부된 샤워 파이프이다.

Claims (2)

  1. 휠타 드럼(5)이 수평으로 누워 설치되어 수평회전축선(1)을 중심으로 구동모타(2)와 구동체인(3) 및 스프로켓(4)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며 한쪽 끝단으로 유입되어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9)중 물은 상기 휠타 드럼(5)의 원주면 개공을 통하여 상기 드럼(5) 외측 하부로 흘러 내리고 개공을 통과하지 못한 고형물(12)은 상기 휠타 드럼(5) 내측에 걸려 뭉쳐지면서 서서히 유입부 반대편 끝단 배출구(10)로 흘러 나가도록 구성된 공지, 공용의 고액(固液)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장치중, 상기 휠타 드럼(5)의 내측 원주면에 일정 높이(6)의 물막이 날개(7a, 7b)들을 나선형으로 돌아가며 그 개구부(8)가 서로 엇갈리게 부착하므로서 상기 물막이 날개(7a, 7b)들이 상기 휠타 드럼(5)안쪽의 유입수(9)가 상기 배출구(10)쪽으로 바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휠타 드럼(5)의 유입부측의 수위를 항시 상기 물막이 날개(7a, 7b)높이(6) 정도로 높여준 상태로 작동되면서 상기 휠타 드럼(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물막이 날개(7a, 7b)들의 개구부(8)가 원주의 하단부를 돌아갈때만 유입수(9)와 고형물(12) 슬러지가 배출구 쪽으로 조금씩 흘러 나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 날개(7a, 7b)가 1개로 구성되어 그 일부 구간이 360° 원주면을 넘어 중첩되도록 나선형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여과 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KR2019980000754U 1998-01-23 1998-01-23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Expired - Fee Related KR200166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54U KR200166674Y1 (ko) 1998-01-23 1998-01-23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54U KR200166674Y1 (ko) 1998-01-23 1998-01-23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23U KR19990034423U (ko) 1999-08-25
KR200166674Y1 true KR200166674Y1 (ko) 2000-07-01

Family

ID=1953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754U Expired - Fee Related KR200166674Y1 (ko) 1998-01-23 1998-01-23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6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23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5785B2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US3979289A (en) Filtration method
KR101814898B1 (ko) 회전식 디스크 필터
JPH0710440B2 (ja) 固液分離装置
JP3284225B2 (ja) 凝集沈殿装置
EA001012B1 (ru) Фильтр с очисткой встречным течением
RU21566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осадка из протекающей по желобу жидкости
JP2003284906A (ja) 濾過機及び濾過装置
KR100981290B1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처리방법
JP3482891B2 (ja) 汚泥濃縮処理装置
JP3832330B2 (ja) 外筒回転型濃縮機および汚泥の分離濃縮方法
KR200166674Y1 (ko) 여과용량 증대 장치가 부착된 고액분리용 회전 드럼 휠타
KR100452432B1 (ko) 수처리시스템의 입자분리장치
US7150826B2 (en) Filtering apparatus
JPS6216125B2 (ko)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200432978Y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20010000766A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KR101552506B1 (ko) 미생물 슬러지 농축장치
JP2004305902A (ja) 濾過機
JPH1147520A (ja) ブラッシフィルター
KR101944020B1 (ko) 협잡물 처리용 드럼 스크린
JPH07108110A (ja) スラリー濃縮方法及び濃縮装置
KR200402856Y1 (ko) 유로회전식 스크리닝 협잡물 처리장치
JPS5842005Y2 (ja) 水流駆動式ストレ−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0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