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5494Y1 - 도로용 가드 레일 - Google Patents

도로용 가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494Y1
KR200165494Y1 KR2019990015700U KR19990015700U KR200165494Y1 KR 200165494 Y1 KR200165494 Y1 KR 200165494Y1 KR 2019990015700 U KR2019990015700 U KR 2019990015700U KR 19990015700 U KR19990015700 U KR 19990015700U KR 200165494 Y1 KR200165494 Y1 KR 200165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guardrail
guard rail
road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큰길엔지니어링
이범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큰길엔지니어링, 이범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큰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15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4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49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가장자리나 중앙부 근처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물의 일종인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노면의 덧씌우기와 같은 재포장에 따르는 노면 높이 변동과 관련되어 가드레일의 위치 조절이 가능 하도록 가드레일 그리고 가드레일의 지지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드레일은, 가드레일(10)을 포스트(12)에 고정하는 죔쇠(17)의 위치를 위아래로 이동 가능 하도록 포스트(12)에 장공홈(16)을 만들고, 상기 장공홈을 따라 가드레일과 포스트 사이에서 가드레일을 포스트에 결합 시키는 연결대(13)를 더 구비하며, 연결대는 포스트에 고정시켜 연결대의 위치를 위아래로 옮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가드레일의 높이를 도로 재포장 높이 만큼 쉽게 높혀 줄수 있고 시공 품질이 좋아지고 가드레일의 사후 관리도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도로용 가드 레일{A protect Guide Rail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 가장자리나 중앙부 근처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물의 일종인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로의 덧씌우기와 같은 도로 재포장에서 노면 높이 변동과 관련되어 가드레일의 높이 조절이 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드레일은 주행중인 차량의 측방향 차선 이탈에 따른 사고와 반대편 주행중 차량 접촉과 충돌에 대비할 목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나 편도의 경계가 되는 중앙부 근처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물 이다.
도로용 시설물은 안전도가 먼저 고려된다. 주로 충돌을 가정하여 데미지를 줄이고 충격 에너지를 저감 시키는 시설물 분야에서는 쿠션 재료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 있다.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들 중 차량 이탈이나 중앙 경계선 이탈에 대비하는 시설재로는 플레이트형 가드레일과 와이어형 가드가 있다.
와이어형 가드는 몇가닥의 고강도 와이어를 지주(포스트)를 중심으로 당겨 차량이 가장자리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대하여 플레이트형 가드레일은 판상의 철재를 붙여 도로 가장자리나 중앙 경계부에 보호막을 형성한다.
차량 이탈에 대비하는 안전도에서는 와이어형 가드 보다는 플레이트형 가드레일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러나 플레이트형 판재를 여러개 붙혀 놓아 가드레일로 만들기 때문에 설치가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든다.
도 1은 이 같은 플레이트형 가드레일의 시공예를 나타낸다. 가드레일(1)의 형상은 정해져 있지 않고 도로 여건이나 설치 조건에 따라 임의로 정해 설치한다.
가드레일(1)을 도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지지용 포스트(2)가 지지부재로서 소요된다. 그리고 가드레일(1)을 이 포스트(2)에 지지하기 위해 포스트(2)와 가드레일(1)을 서로 결속하거나 결합하는 체결요소로서 죔쇠(3)도 필요하다.
포스트(2)는 지면에 들어가 박히기 때문에 부동적인 부분으로 구분되고, 가드레일(1)은 포스트(2)로 부터 떼어내거나 다시 붙힐 수 있는 유동적인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가드레일(1)의 부분적인 훼손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만을 보수 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포스트(2)와 가드레일(1)의 결합은 기본적으로 분해 결합이 가능한 볼트 결합에 의존 한다. 그러면서도 볼트 체결 수를 조절하거나 댐핑재를 가드레일과 포스트 사이에 넣어 보다 안전도를 높히는 체결 방법도 적용 되고 있다.
도 2는 댐핑재(4)를 적용한 가드레일(1)의 측단면 모식도 이다. 포스트(2)에는 구멍(5)을 뚫고 마찬가지로 가드레일(1)에도 대응되는 구멍을 뚫어 안쪽으로 부터 죔쇠(3)를 각 구멍(5)들을 관통시켜 끼워서 포스트(2)의 바깥에서 적절한 보강재를 대고 결합한 형태이다.
가드레일(1)의 안전도는 무엇보다 도로 노면과 가드레일의 위치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너무 높으면 차선 이탈시 가드레일(1)에 접촉 되지 않고 고로 노면과 가드레일(1) 사이에 형성되는 틈 사이로 들어갈 수 있으며, 너무 낮으면 차량이 가드레일(1)을 넘어서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드레일을 처음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이러한 노면에 대한 가드레일의 적정 높이를 구해 규정된 높이로 가드레일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 노면의 덧씌우기(Overlay)와 같은 도로 재포장 단계에서는 가드레일과 노면 사이의 틈 간격 즉 가드레일(1)의 높이가 노면에 의해 변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럴 때는 다시 가드레일을 포스트(2)로 부터 떼어낸 뒤 가드레일의 적정 높이를 찾아 다시 설치 해야 한다.
재시공 방법은 먼저 포스트(2)에서 가드레일(1)을 떼어내고, 포스트(2)에 기존 구멍 보다는 윗쪽에 새로운 고정용 구멍(5)을 다시 내는 작업을 실시한 뒤 가드레일(1)을 새로 가공된 구멍(5)에 맞추어 조립하는 순서를 거치는 것이지만, 이 작업도 수평을 어긋나는 가드레일의 설치 조건에서는 몇번의 구멍 내기 작업을 반복해야 하고 가드레일의 수평 잡기도 간단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 저하와 구멍내기 작업에 소요되는 장비 및 인적 소요가 심해 경제성이 떨어지고 구조적으로는 볼트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포스트와 가드레일간의 들뜸이나 매칭성이 저하되어 시공 품질을 저하 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에 고정되는 포스트에 가드레일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로 노면 높이 변동에 대하여 가드레일의 위치를 포스트를 중심으로 이동 시켜 가드레일의 높이 조정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도로에 또는 구조물에 포스트를 고정하고, 포스트를 중심으로 가드레일을 별도의 체결용 볼트로 포스트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도로용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가드레일과 포스트 사이에서 가드레일을 포스트에 결합 시키는 연결대를 설치하고, 연결대를 포스트에 고정시키고 연결대의 위치를 위아래로 옮길 수 있도록 포스트에 장공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연결대는 가운데 부위가 포스트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는 동시에 포스트의 장공홈과 통하는 체결 구멍이 있으며, 이 체결 구멍을 중심으로 양 측단부는 가드레일을 부착 하기 위한 체결용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공홈은 위아래 그리고 몇 개의 정착홈이 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로용 가드레일의 시공 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가드레일 지지부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이 표현된 것으로 (A)는 표면도 (B)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대의 형상
도 5는 본 고안의 가드레일과 포스트의 형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의 시공 예를 보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도 7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포스트의 다양한 구성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의 높이 조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드레일(Guard Rail) 11.14.15:체결구멍
12:포스트 13:연결대
16;장공홈 17.18:죔쇠
19:정착홈
이렇게 가드레일을 포스트에 설치하여 도로용 가드레일로 시공하는데 있어서 포스트에 대한 가드레일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대를 사용하고 연결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포스트에 장공홈을 만들어 주면 노면 높이에 따라 가드레일의 높이를 간단히 맞출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설치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 이고, 도 4는 연결대의 모형 이며, 도 5는 연결대를 포스트에 붙힌 모양이다. 도 6은 가드레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포스트에 형성시킨 장공홈의 다양한 형태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의 높이 조절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가드레일의 구성은, 가드레일(10) 이면에서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포스트(12)를 포함한다.
가드레일(10)에는 도 3과 같이 연결대(13)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 구멍(11)이 종렬로 뚫려 있다. 연결대(13)는 가드레일(10)과 포스트(12) 사이에 위치하여 가드레일(10)을 포스트(12)에 지지 가능한 판상의 브래킷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진다.
포스트(12) 에는 연결대(13)를 포스트(12)에 고정 시키고 연결대(13)의 위치를 위아래로 옮길 수 있도록 장공홈(16)이 뚫려 있다.
연결대(13)는 도 4와 같이 가운데 부위가 포스트(12)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는 동시에 포스트(12)의 장공홈(16)과 통하는 체결 구멍(14)이 있으며, 이 체결 구멍(14)을 중심으로 양 측단부는 가드레일(10)을 부착 하기 위한 체결 구멍(15)을 형성한다. 포스트(12)에 형성되는 장공홈(16)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정착홈(19)이 형성된다.
가드레일(10)을 포스트(12)에 고정 시키기 위해서 볼트와 같은 죔쇠(17)를 연결대(13)의 체결 구멍(14)으로 관통 시켜 고정하고 이면에서는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죔쇠(17)를 고정한다.
가드레일(10)을 포스트(12)에 붙히는데 있어서 적당한 가드레일(10) 지지부재가 있으면 반드시 연결대(13)를 쓰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가드레일(10)을 포스트(12)에 붙히는데 있어서 연결대(13)를 사용하고 연결대(13)를 포스트(12)의 장공홈(16)에 고정 시키면, 도로 덧씌우기와 같은 더러 노면 높이 상승이 있을 때 가드레일(10)의 높이를 노면 높이 상승 폭 만큼 상승시켜 간단히 조절 할수 있다.
도로 노면 높이 변동에 대한 가드레일(10)의 높이 조절의 예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은 구성부를 통해 도 8과 같은 상태로 조절 된다.
가드레일(10)의 설치 순서는 기존의 순서와 흡사하다. 즉 가드레일(10) 설치 대상부를 선정하여 포스트(12)를 고정하고 여기에 가드레일(10)을 부착 하는 순서다. 가드레일(10)은 직접 포스트(12)에 죔쇠(18)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붙혀도 되지만 연결대(13)를 매개로 붙힌다. 연결대(13)를 먼저 가드레일(10)에 형성된 체결 구멍(11)과 연결대(13)에 형성된 체결 구멍(15)을 맞대어 죔쇠(18)로 고정하거나, 연결대(13)의 체결 구멍(14)을 포스트(12)의 장공홈(16)에 맞추어 죔쇠(17)를 관통시켜 포스트(12)에 연결대(13)를 고정한 뒤 여기에 가드레일(10)을 붙혀도 된다.
연결대(13)는 반드시 쓰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연결대(13)는 가드레일(10)과 포스트(12)의 결합력을 강화 시키고 결합에 도움을 주며 위치 조절 때 유리한 작용을 한다.
포스트(12)에 뚫려 있는 장공홈(16)의 사이즈는 가드레일(10)의 위치 조정 가능영역이 되어 충분히 유지 시키며 임의의 위치에 1회의 노면 상승 폭을 고려하여 정착홈(19)을 만들면 죔쇠(17)의 결속력을 강화 시킬 수 있고 동시에 높이 조절의 기준점 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각부의 구성물을 통해 시공되는 기초 노면 'H', 그리고 덧씌우기에 의해 변형된 노면 높이 'H1' 에 대한 가드레일(10)의 높이 조정의 예이다.
초기의 노면 높이가 'H' 일 때 포스트(12)에 대한 가드레일(10)의 설치 및 시공은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따라서 초기 노면 'H'에 대한 가드레일(10)의 간격 즉 높이는 'L'의 간격을 갖는다. 여기서 'L'의 간격은 안전도를 고려한 규정된 간격이다. 그러나 도로 재포장을 통해 노면의 높이가 'H1'으로 상승된 경우는 요구되는 간격 'L'의 높이가 그만큼 줄어들고 따라서 높이 조절을 통해 규정된 간격 'L1'으로 조절 한다. 이때 가드레일(10)과 포스트(12) 사이에서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대(13)를 죔쇠(17)를 풀어준 상태에서 가드레일(10)을 올려주면 죔쇠(17)는 포스트(12)에 나있는 장공홈(16)을 따라 위로 올라가고 규정된 높이가 확보되면 그 위치에 죔쇠(17)를 고정 시킨다. 이때 죔쇠(17)는 완전히 분리 시키지 않아도 장공홈(16)을 따라 위로 올라가며, 이러한 가드레일(10)의 높이 조절에서 선행되는 죔쇠(17)의 조작은 가드레일(10)을 연결대(13)에 고정 시키는 죔쇠(18)를 먼저 풀어서 가드레일(10)을 떼어낸 상태에서 전면에서 죔쇠(17)를 통해 연결대(13)의 위치를 조절한 뒤 나중에 가드레일(10)을 연결대(13)에 체결 해도 된다.
따라서 포스트(12)에 도로 노면 높이에 따라 가드레일(10)을 재 결합하기 위한 체결 구멍 내기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더욱이 체결 구멍 내기 작업의 어려움으로 가드레일의 높이 조절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방치되는데 따른 안전 사고를 간단한 가드레일의 위치 조절 작업으로 유도 함으로서 사전에 에방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포스트를 중심으로 가드레일을 상하로 조정 가능 하도록 함으로서 설치 단계나 도로 재포장과 같이 가드레일의 높이 조정이 필요할 때 간단하고 신속하게 가드레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도로 재포장 때마다 가드레일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유도하여 안전사고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여 사고를 줄이는 효과로 나타나며, 시공 품질을 향상 시키고 사후 관리도 쉬워 진다.

Claims (3)

  1. 도로 또는 구조물에 포스트를 고정하고, 포스트를 중심으로 가드레일을 별도의 체결용 죔쇠로 포스트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용 가드레일에 있어서,
    가드레일을 포스트에 고정하는 죔쇠의 위치를 위아래로 이동 가능 하도록 포스트에 장공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홈을 따라 가드레일과 포스트 사이에서 가드레일을 포스트에 결합 시키는 연결대를 더 구비하며, 연결대는 포스트에 고정시켜 연결대의 위치를 위아래로 옮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드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대는 가운데 부위가 포스트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는 동시에 포스트의 장공홈과 통하는 체결 구멍이 있으며, 이 체결 구멍을 중심으로 양 측단부는 가드레일을 부착 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드레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홈은 포스트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공홈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정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드레일.
KR2019990015700U 1999-08-02 1999-08-02 도로용 가드 레일 Expired - Fee Related KR200165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700U KR200165494Y1 (ko) 1999-08-02 1999-08-02 도로용 가드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700U KR200165494Y1 (ko) 1999-08-02 1999-08-02 도로용 가드 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494Y1 true KR200165494Y1 (ko) 2000-02-15

Family

ID=1958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700U Expired - Fee Related KR200165494Y1 (ko) 1999-08-02 1999-08-02 도로용 가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4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95B1 (ko) * 2008-03-28 2009-09-03 동양건설(주) 각도조절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울타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95B1 (ko) * 2008-03-28 2009-09-03 동양건설(주) 각도조절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471B2 (en) Combined guardrail and cable safety systems
NO20013328L (no) Demonterbart autovernfeste
US20080272352A1 (en) Combined Guardrail and Cable Safety Systems
US9074325B2 (en) Portable temporary turnout system for rails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AU728145B2 (en) Railing
KR200165494Y1 (ko) 도로용 가드 레일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200177194Y1 (ko) 가드 케이블 고정장치
KR101835859B1 (ko) 다이크용 가드레일 지주 보강구조
KR101732779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KR20180015387A (ko) 마운팅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설 장비 탈부착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70018735A (ko) 기울기 조정 각입장치 금구
KR102688644B1 (ko) 가드레일 설치용 티형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시공방법
KR20160084948A (ko)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DK2927374T3 (en) Vehicle retention system with start / end construction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KR102186947B1 (ko) 안전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확장형 가드레일
KR100660046B1 (ko) 차선규제봉
JP7691861B2 (ja) 仮設防護柵の漏洩同軸ケーブル仮置構造、及び仮設防護柵の漏洩同軸ケーブル仮置方法
KR200436283Y1 (ko) 표지판 거치대
KR102466232B1 (ko) 위치 조절식 지지력 보강장치
CN217997902U (zh) 一种etc门架防撞护栏
CN216339220U (zh) 一种用于弧形道面的简易拆装式安防结构
KR200293143Y1 (ko) 도로표지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8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8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7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3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