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5420Y1 - 일회용 접는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접는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420Y1
KR200165420Y1 KR2019990014332U KR19990014332U KR200165420Y1 KR 200165420 Y1 KR200165420 Y1 KR 200165420Y1 KR 2019990014332 U KR2019990014332 U KR 2019990014332U KR 19990014332 U KR19990014332 U KR 19990014332U KR 200165420 Y1 KR200165420 Y1 KR 200165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ne
folding
vertical
fo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유미
Original Assignee
권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유미 filed Critical 권유미
Priority to KR2019990014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42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with end portion of body adapted to be closed, by flattening or folding operations, e.g. formed with crease lines or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일회용 접는컵은 컵본체의 둘레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개의 가로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세로접는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접는선과 세로접는선에 의해 컵을 접거나 펼수 있도록 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컵을 사용한 후 컵을 접어 폐기하므로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주며, 상기 일회용 컵을 접어서 판매할 수 있어 컵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접는컵{Disposable folding cup}
본 고안은 일회용 접는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이컵에 주름을 주어 종이컵을 접을 수 있도록 하므로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간편하며, 어느곳에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접는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컵은 종이 안쪽면에 코팅처리를 하여 물과 접촉시 물이 새지않도록 하며, 종이를 컵형태로 재단한 후 풀을 붙여 접어서 제조한다.
종이컵은 커피 및 음료자판기 또는 야외에서 일회용으로 사용하는등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종이컵은 사용후 컵의 부피로 인해 필요이상으로 쓰레기 봉투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이컵을 생산하여 판매함에 있어서도 컵의 부피로 인해 제품의 활용용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종이컵을 접을 수 있도록 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일회용 접는컵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이컵을 사용한 후 컵을 접어 폐기하므로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주는 일회용 접는컵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컵을 접어서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어 종이컵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일회용 접는컵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컵본체의 둘레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개의 가로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세로접는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접는선과 세로접는선에 의해 컵을 접거나 펼수 있도록 한 일회용 접는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로접는선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는 가로요(凹)부선과, 외측으로 접혀나오는 가로철(凸)부선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세로접는선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는 세로요부선과, 외측으로 접혀나오는 세로철부선이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접는선을 기준으로 세로요부선과 세로철부선이 바뀌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로접는선은 세로접는선의 세로요부선과 세로철부선을 따라 지그재그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는 컵이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컵이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c는 컵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을 나타내는 펄침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컵이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b는 컵이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컵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컵이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b는 컵이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c는 컵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로접는선 11 ; 가로요부선
12 ; 가로철부선 20 ; 세로접는선
21 ; 세로요부선 22 ; 세로철부선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는 컵이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컵이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c는 컵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을 나타내는 펄침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은 컵본체(C)의 둘레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개의 가로접는선(10)이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C)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세로접는선(2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접는선(10)과 세로접는선(20)에 의해 컵을 접거나 펼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로접는선(10)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는 가로요부선(11)과, 외측으로 접혀나오는 가로철부선(12)이 상부에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교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로접는선(20)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는 세로요부선(21)과, 외측으로 접혀나오는 세로철부선(22)이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가로접는선(10)을 기준으로 세로요부선(21)과 세로철부선(22)이 바뀌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로접는선(10)을 기준으로 컵을 접은 후 세로접는선(20)으로 접었을 때 컵의 접힌면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요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로접는선(10)은 세로접는선의 세로요부선(21)과 세로철부선(22)을 따라 지그재그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므로 가로접는선(10)과 세로접는선(20)이 서로 만나 접힐 때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컵(C)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컵의 가로접는선(10)과 세로접는선(20)을 통해 접어둔 상태로 보관하거나 휴대하게 되며, 상기 컵(C)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컵의 하단부를 잡은채로 컵의 상단부를 당겨 펴주므로 컵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게 된다.
컵(C)을 사용한 후에는 컵의 내용물을 비운 후, 상기 컵(C)을 펼때와 반대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컵을 눌러주기만 하면, 상기 컵(C)의 가로접는선(10)과 세로접는 선(20)을 통해 컵이 손쉽게 접히게 되므로, 사용후의 쓰레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의 접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와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일회용 접는컵의 접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을 눌러주면, 가로접는선에 의해 컵이 다단으로 접혀져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그와 동시에 세로접는선에 의해 컵의 폭이 줄어들게 되어 전체적으로 접혀진다. 이때 각각의 세로접는선은 동일한 방향으로 세로요부선과 세로철부선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최소의 부피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일회용 커피믹스를 사용할 경우, 야외에서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일회용 종이컵을 준비해야되고, 그 일회용 종이컵에다 커피를 넣고 물을 부어 커피를 마시게 되지만, 본 고안을 적용한 종이컵(C)을 사용하게 되면, 우선 종이컵(C)을 접어서 휴대하게 되므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한 후에는 다시 접어서 폐기하므로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주게 된다.
본 고안을 좀더 활용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커피믹스를 제조하는 회사는 비닐봉지에 커피를 담아 밀봉한 후 제품으로 판매하므로,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커피와 컵과 물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C)을 이용하면, 상기 접는컵 속에 커피를 넣고 포장하여 제품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접는컵 속에 포장된 커피를 구입한 후 컵을 펴서 그 속에 물만 부으면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할 뿐만아니라 그 활용가치도 그 만큼 높아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접는 컵에 적용되는 재질은 종이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재질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이컵 외에도 다른 용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컵라면의 경우 라면을 담는 용기에 접는컵을 사용하여 일회용 컵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컵라면을 담는 용기에 적용하게 되면, 기존의 포장박스의 부피를 줄여주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달 및 보관에 있어서 편리하며, 일회용 야채스프나, 크림수프등에 있어서도 본 고안의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회용 접는컵을 사용할 경우 실내에서나 야외에서 소비자들이 손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후에는 간단히 접어서 폐기하게 되므로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접는컵은 컵본체의 둘레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개의 가로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세로접는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접는선과 세로접는선에 의해 컵을 접거나 펼수 있도록 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컵을 사용한 후 컵을 접어 폐기하므로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주며, 상기 일회용 컵을 접어서 판매할 수 있어 컵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컵본체의 둘레에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개의 가로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세로접는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접는선과 세로접는선에 의해 컵을 접거나 펼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접는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접는선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는 가로요부선과, 외측으로 접혀나오는 가로철부선이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접는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접는선은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는 세로요부선과, 외측으로 접혀나오는 세로철부선이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가로접는선을 기준으로 세로접는선의 요철이 바뀌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접는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접는선은 세로접는선의 세로요부선과 세로철부선을 따라 지그재그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접는컵.
KR2019990014332U 1999-07-20 1999-07-20 일회용 접는컵 Expired - Fee Related KR200165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332U KR200165420Y1 (ko) 1999-07-20 1999-07-20 일회용 접는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332U KR200165420Y1 (ko) 1999-07-20 1999-07-20 일회용 접는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006A Division KR100354713B1 (ko) 2000-09-19 2000-09-19 일회용 접는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420Y1 true KR200165420Y1 (ko) 2000-02-15

Family

ID=1958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3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165420Y1 (ko) 1999-07-20 1999-07-20 일회용 접는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4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8136C1 (ru) Упаковочная емкость и заготовк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7587883B2 (en) Portable food dispenser
CN103228542B (zh) 包装容器的制造方法及包装容器
JPWO2002010020A1 (ja) 紙製包装容器の製造法及び紙製包装容器
KR20000064741A (ko) 포장용기와이포장용기용블랭크
IE871004L (en) Package with handle
US3913823A (en) Paper product foldable manually to form a non-leaking container
CN103228544B (zh) 包装容器的制造方法及包装容器
EP0598031A1 (en) Collapsible refill container for granular products adapted to be inserted into an outer box-type package
CA2385379A1 (en) Household product package with tamper evident cap
KR100354713B1 (ko) 일회용 접는컵
US9873544B1 (en) Beverage carton divider
CN211167760U (zh) 坯件和用于储存食品的包装
KR20080000998A (ko) 일회용 접는 종이컵
KR200165420Y1 (ko) 일회용 접는컵
KR200223746Y1 (ko) 접히는 페트병
US3905539A (en) Unitary container and closure with dispensing means and apparatus for storage thereof
US20110121060A1 (en) Foldable container with gusset folds
SU1364234A3 (ru) Упаковочна тара параллелепипедной формы
KR200224463Y1 (ko) 절첩식 컵
KR200364685Y1 (ko)
KR20100067460A (ko) 접는 컵
JP2010018330A (ja) カップ容器
KR200195803Y1 (ko) 절첩식종이컵
KR20100000262A (ko) 접어지는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7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7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0090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