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5107Y1 - 스포트 킬러 회로 - Google Patents

스포트 킬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107Y1
KR200165107Y1 KR2019960004300U KR19960004300U KR200165107Y1 KR 200165107 Y1 KR200165107 Y1 KR 200165107Y1 KR 2019960004300 U KR2019960004300 U KR 2019960004300U KR 19960004300 U KR19960004300 U KR 19960004300U KR 200165107 Y1 KR200165107 Y1 KR 200165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rive pulse
high voltage
spo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757U (ko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04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107Y1/ko
Publication of KR970055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1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포트 킬러 회로에 관한 것으로, 고압발생회로부로부터 스포트 킬러부를 통하여 CRT의 제1그리드로 전압을 방전시키는 기간 내에 상기 고압 발생 회로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수평 드라이브 회로로부터 상기 고압발생회로로 드라이브 펄스가 인가되는 것을 억제하는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로 이루어져서 수평 드라이브 회로로부터 고압 발생회로부에 전달되는 수평 구동 펄스를 빨리 차단하므로써, 스포트 현상에 의한 CRT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CRT의 수명 연장은 물론 소비자의 불만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포트 킬러 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스포트 킬러회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고압용B+발생회로의 상세회로도,
제3도는 제1도의 고압발생회로부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제1도의 밝기조절부 및 스포트킬러부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스포트 킬러회로의 블럭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스포트 킬러회로의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압용B+발생회로 20 : 고압발생회로부
30 : 밝기조절부 40 : 스포트킬러부
50 : CRT 100 :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
Q1 : 펄스 스위칭 트랜지스터 Q2 : 고압 발생용 트랜지스터
Q8 : 펄스 차단용 트랜지스터 C8, C9 : 캐패시터
R17, R18 : 분압용 저항 R19 : 저항
본 고안은 스포트 킬러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DPMS 모드 동작중 서스펜드-모드에서 오프-모드로 전환할 때, 고압 공급회로와 고압발생회로부의 잔류 전원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포트(SPOT)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발생회로부로 입력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를 차단하여 스포트킬러회로의 방전 시간 보다 고압 방전 시간을 짧게 하므로서 스포트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스포트 킬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추세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주변장치인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모니터의 전원을 관리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전원관리(DPMS : 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기능이 추가된 모니터가 등장하고 있다.
즉, 컴퓨터는 컴퓨터 사용상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전원관리상태를 실현하기 위하여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모니터에서는 컴퓨터로부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 대응하여 전원 관리 상태를 수행하다.
이때 전원 관리 상태는 온상태(On State), 스탠바이상태(Stand-by State 서스펜드상태(Suspend State), 파워오프상태(Off State)로 구분하고 있다.
여기서 온상태는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와 수직동기신호(Vertica Sync)의 펄스출력이 모두 나타나고, 스탠바이상태는 수직동기신호의 펄스 출력만이 나타나고, 서스펜드상태는 수평동기신호의 펄스 출력만이 나타나고, 오프상태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펄스 출력이 모두 나타나지 않게 함으로써, 전원 관리(DPMS) 상태를 구별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원 관리(DPMS) 상태는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의 계속적인 경과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온상태-스탠바이상태-서스펜드상태-오프상태로 전환한다.
일반적으로 수상기나 모니터등 음극선관(이하 CRT라 한다)을 사용하는 제품에 있어서, 정상 동작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할 경우, 수평 및 수직 편향회로는 전원이 오프 되는 즉시 편향 동작은 중지되지만, CRT에 충전된 고압은 방전 루프가 없어 서서히 전압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CRT에 내장된 열 전자 방출을 위한 히터도 서서히 식게 됨으로 CRT내에서의 열 전자 방출은 히터가 식어 가는 동안 서서히 감소한다.
이 때, CRT에 충전된 고압도 서서히 방전을 하게 되어 히터에서 방출되는 열전자를 CRT의 앞으로 끌어당기게 되나 수직, 수평 편향회로는 동작을 멈춘 상태이므로 히터에서 방출된 열 전자는 그대로 CRT의 앞면으로 끌리게 된다.
따라서 화면에 밝은 하나의 점으로 발광하게되어 CRT의 노광면을 태워 버리게 되는데 이를 스포트라고 하며, 이를 방지하는 회로를 스포트 킬러회로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스포트현상은 전원을 오프할 경우 외에도, 전원 관리(DPMS) 하의 서스펜드모드에서 오프모드로 전환할 때에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스포트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일반적인 스포트킬러회로는 제1도의 블럭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고압용B+공급회로(10), 고압발생회로부(20), 밝기조절부(30), 스포트킬러부(40) 및 CRT(50)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고압용B+발생회로(10)의 상세회로도이다.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코일(L1)을 통해 B+전원을 공급받아 턴-온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Q4)와, 상기 FET(Q4)의 게이트단에 연결된 분압용 저항(R1 및 저항(R14)과, 상기 저항(R13)에 콜렉터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3) 및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PWM-IC(펄스 폭 변조용 집적 회로, IC1)와,단을 통해 후술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 연결된 캐패시터(C6∼C7) 및 다이오드(D8∼D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R12∼R16은 저항, D10, D11은 다이오드다.
제3도는 제1도의 고압발생회로부(20)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수평 드라이브 회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달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luse)를 인가받아 고압 발생 트랜지스터(Q2)를 온(ON), 오프(OFF) 시키는데 충분 베이스 전류를 공급하고, 파형보정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로서, 본 도면에서는 1단 증폭회로의 경우를 설명한다.
다수의 저항(R7∼R11) 및 캐패시터(C2∼C5)와, 트랜지스터(Q1)(Q2)와, 다오드(D3∼D7), 고압트랜스포머(TF1) 및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를 포함하여 성된다.
제4도는 상기 제1도의 블록도에 나타난 밝기조절부(30) 및 스포트킬러부(40)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밝기조절부(30)는단을 통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로부터 공급되는 -B+전압을 검출하는 저항(R3)과 분압용 저항(R1) 및 그 연결점에 콜렉터단이 접속된 트랜지스터(Q5)와, 상기 검출용 저항(R3)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단에 접속되는 가변저항(VR) 및 저항(R4)과, 비데오뮤트신호(V-mute)를 검출하는 저항(R6)과, 상기 저항(R6)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이 접지된 트랜지스터(Q7)과,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저항(R5)과, 상기 저항(R5)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저항(R2)에 콜렉터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변저항(VR)을 통해 제1그리드(G1) 전압을 조절하게된다.
또한, 스포트킬러부(40)는 상기 제1그리드(G1) 출력단에 연결된 다이오드(D1)(D2) 및 캐패시터(C1)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작동에 의해 스포트킬러 동작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포트 킬러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미도시된 수평 드라이브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에 의해 스위칭이 일어난다.
이 때, B+전원이 공급되고 스위칭이 시작되면 제3도의 고압발생회로부(20)에서는 CRT(50)에 필요한 고전압(H/V), 포커스(Focus) 전압, 스크린(Screen)전압, 제1그리드(G1) 전압등을 발생시킨다. 이 때, 제4도의 밝기조절부(30)에서는 밝기 조절 가변저항(VR)을 사용하여 제1그리드(G1) 전압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통상의 동작에 있어, 전원이 차단되거나, DPMS에 의해 서스펜드 모드에서 오프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스포트 킬러부(40)에서는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음전하)을 제1그리드(G1)에 인가하여 방전하므로써 CRT(50)의 제1그리드(G1)를 통해 열전자방출을 차단하여 스포트 발생을 억제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포트킬러회로는 전원 차단시나, DPMS에서의 서스펜드모드에서 오프모드로 전환될 때 고압용B+발생회로(10) 및 고압발생회로부(20)의 잔류 전원으로 인해 고압트랜스포머(TF1)가 동작되어 CRT(50)의 고전압(H/V 방전 시간이, 스포트킬러부(40)에 의해 제1그리드(G1)로 방전되는 시간(스포트 제어시간)보다 길어져 스포트가 발생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압발생회로부(20)로 입력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w pulse)를 차단함으로써, 스포트킬러부(40)의 캐패시터(C1) 방전 시간 보다 고압발생회로부(20)의 동작을 빨리 멈추게 하여 CRT(50)에 공급되는 고전압(H/V)에 따른 잔류 전압을 빠르게 방전시켜 스포트 발생을 억제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를 제공하는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 차단시나 DPMS 모드에서 발생되는 스포트 현상을 개선하여 CRT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스포트 현상에 따른 불만족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스포트 킬러 회로는 고압용B+발생회로(10), 고압발생회로부(20), 밝기조절부(30), 스포트킬러부(40) CRT(50)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스포트킬러회로에 있어서, 전원 오프 또는 전원관리(DPMS) 동작중 서스팬드모드에서 오프모드로의 전환시에 상기 스포트킬러부(40)를 통해 제1그리드(G1) 전압이 방전되는 시간보다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동작정지시간이 빠르도록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로 입력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를 차단하는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100)를 더 구비하여 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포트 킬러 회로는 고압용B+발생회로(10), 고압발생회로부(20), 밝기조절부(30), 스포트킬러부(40) 및 CRT(50)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스포트킬러회로에 있어서,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 입력단에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100)을 더 구비하여 된 것으로, 전원차단시 상기 스포트킬러부(40)를 통하여 CRT(50)의 제1그리드(G1)로 전압을 방전시키는 기간 내에 상기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의 입력을 차단하여 결국,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100)의 상세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고압발생회로부(20)의 입력단에 미도시된 수평드라이브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를 검출하는 저항(R19)과, 분압용 저항(R17, R18)과, 짧은 방전 시간을 갖는 충·방전용 캐패시터(C8)(C9)와, 베이스단에 상기 캐패시터(C9)가 연결되고 그 컬렉터단이 접지됨과 동시에 에미터단이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스위칭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8)로 구성된다.
즉, 상기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100)는 고압발생회로부(20)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을 제어함으로써, 결국 고압 발생용 트랜지스터(Q2)를 제어하게 되어 고압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상기 캐패시터(C8)(C9)는 방전시간이 짧은 것이 선택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포트 킬러 회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수평 드라이브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에 의해 스위칭이 일어난다.
이 때, B+전원이 공급되고 스위칭이 시작되면 고압발생회로부(20)에서는 CRT(50)에 필요한 고전압(H/V), 포커스(Focus) 전압, 스크린(Screen) 전압, 제1리드(G1) 전압등을 발생시켜, 정상동작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전원이 오프되거나 DPMS 실행중 서스펜드모드에서 오프모드로 전환될 때, 제6도에서와 같이 2차측 B+전원이 차단되는 데, 이 때 상기 드라이브 펄스 억제회로(100)의 충·방전용 캐패시터(C8)(C9)에 충전된 전하의 방전이 실행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8)가 턴온된다. 그러면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펄스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지 전위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된다.
다음에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고압트랜스포머(TF1)에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가 인가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트랜스포머(TF1)의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포머(TF1)의 2차측에 있는 고압 발생용 트랜지스터(Q2)에 구동 펄스가 인가되지 않아, 상기 고압 발생용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또한, 상기 고압 발생용 트랜지스터(Q2)의 턴오프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동작이 정지되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로부터 CRT(50)로 고전압(H/V)이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CRT(50)의 히터에서 방출된 열전자가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CRT(50)의 히터로부터 방출된 열전자가 CRT(50)의 앞의 한점으로 쏠리는 스포트 현상이 방지된다.
즉, 상기 스포트킬러부(40)의 캐패시터(C1) 방전 시간보다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동작 정지 시간이 더 짧음으로써, 상기 고압용B+발생회로(10) 및 고압발생회로부(20)에 충전되어 있던 잔류전압이 빠르게 방전된다. 따라서 스포트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드라이브수단으로부터 고압발생회로부(20)에 전달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를 빨리 차단하므로써, 스포트 현상에 의한 CRT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CRT의 수명 연장은 물론 소비자의 불만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2회 정정) 고압용B+발생회로(10), 고압발생회로부(20), 밝기조절부(30) 스포트킬러부(40) 및 CRT(50)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스포트킬러회로에 있어서, 전원 오프 또는 전원관리(DPMS) 동작중 서스팬드모드에서 오프모드로의 전환시에 상기 스포트킬러부(40)를 통해 제1그리드(G1) 전압이 방전되는 시간보다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동작정지시간이 빠르도록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로 입력되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를 차단하는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10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킬러회로.
  2.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100)는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의 고압 발생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구동 펄스를 생성시키도록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에 의해 스위칭되는 펄스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가 입력되는 입력단 사이에 개재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
  3. (2회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펄스 억제회로(100)는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를 검출하는 저항(R19)과, 분압용 저항(R17)(R18)과, 짧은 방전 시간을 갖는 충·방전용 캐패시터(C8, C9)와, 전원 오프 시 또는 전원 관리(DPMS) 동작 중의 오프 모드시에 상기 고압발생회로부(20)에 수평드라이브펄스(Drive pulse)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펄스 차단용 트랜지스터(Q8)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트 킬러 회로.
KR2019960004300U 1996-03-08 1996-03-08 스포트 킬러 회로 Expired - Lifetime KR200165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300U KR200165107Y1 (ko) 1996-03-08 1996-03-08 스포트 킬러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300U KR200165107Y1 (ko) 1996-03-08 1996-03-08 스포트 킬러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57U KR970055757U (ko) 1997-10-13
KR200165107Y1 true KR200165107Y1 (ko) 2000-01-15

Family

ID=1945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300U Expired - Lifetime KR200165107Y1 (ko) 1996-03-08 1996-03-08 스포트 킬러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1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334B1 (ko) * 1998-12-17 2002-05-09 윤종용 음극선관 보호장치
KR100332820B1 (ko) * 2000-06-01 2002-04-19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씨알티 소손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57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6093B2 (ja) 映像管用グリッドバイアス制御回路
US4734771A (en) Start-up control circuitry for a television apparatus
US4488181A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4709321A (en) Regulator protection circuit for video apparatus
KR200165107Y1 (ko) 스포트 킬러 회로
KR0116710Y1 (ko) 스포트 킬러 회로
KR100224084B1 (ko) 음극선관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수평출력 트랜지스타의 보호용 회로
KR100226686B1 (ko) Crt 보호 장치
EP0092954B1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display system
US6137245A (en) Circuit for generating control grid voltage for cathode ray tube
KR0135999B1 (ko) 음극선관의 스폿(spot) 제거회로
KR100702699B1 (ko) 수직 블랭킹 및 스포트 제거 결합 회로
KR0119284B1 (ko) 모드 절환시 고압 출력 방지회로
KR100358613B1 (ko) 화상표시관방전방법및화상표시장치
KR10031875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폿 제거 회로
KR200224874Y1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폿 제거 회로
KR19990002540U (ko) 텔레비젼 수상관에서 파워 오프시 스폿 제거 회로
KR100265378B1 (ko) 스폿제거회로
KR200179723Y1 (ko) 수평 안정화 회로
KR100226687B1 (ko) Crt보호장치
KR20050032398A (ko) Cdt의 스폿 제거 회로
KR200175663Y1 (ko)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KR20000004041U (ko) 모니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200145946Y1 (ko) 텔레비젼 crt의 잔상방지장치
KR100738661B1 (ko) 씨알티 잔상 제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3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83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9022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22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0

Appeal identifier: 1999101001007

Request date: 1999032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91006

U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3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19990322

Decision date: 1999100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609

B701 Decision to grant
U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90927

Patent event code: UB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0

Patent event code: UB07011S01I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Request date: 19990322

Decision date: 19991006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0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