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5050Y1 - 관의단열카바 - Google Patents

관의단열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050Y1
KR200165050Y1 KR2019990014059U KR19990014059U KR200165050Y1 KR 200165050 Y1 KR200165050 Y1 KR 200165050Y1 KR 2019990014059 U KR2019990014059 U KR 2019990014059U KR 19990014059 U KR19990014059 U KR 19990014059U KR 200165050 Y1 KR200165050 Y1 KR 200165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lass fiber
fiber surface
pipe
insul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영
Original Assignee
최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영 filed Critical 최대영
Priority to KR2019990014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0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ceramic or vitreous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열카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管)의 외주부에 설치하여 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단열을 도모하는데 사용되는 관의 단열카바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관체의 외주부에 불연소재인 유리섬유면을 접착시키는 한편, 상기 유리섬유면의 일단에 이를 관체에 결합시킬 수 있는 접착부재를 형성하므로서 단열카바의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시공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부식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또한 유리섬유면이 무독성이면서 불연소재이기 때문에 화염전파의 우려가 없는 관의 단열카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리섬유면에 각종 관의 고유색상을 도포하기가 용이하므로 단열카바를 해체하지 않고도 그 내부의 관의 용도를 알 수 있도록 한 관의 단열카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리섬유재질의 관체의 내부에 관이 삽설되는 관홈이 형성된 단열카바에 있어서, 상기 관체( 11)의 외주부에 불연소재인 유리섬유면(13)을 접착시키는 한편, 상기 유리섬유면 (13)의 일단 내측에 유리섬유면(13)의 또 다른 일단과 접착되게 이형지(15)를 구비한 접착부재(14)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관의 단열카바{A insulation cover of a tube}
본 고안은 단열카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管)의 외주부에 설치하여 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단열을 도모하는데 사용되는 관의 단열카바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스나 하수, 그리고 냉.온수를 유통시키는데 사용되는 관의 외주부에는 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단열을 도모하기 위하여 단열카바가 설치되는데, 상기 단열카바는 도 1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리섬유재질의 관체(1a)의 내부에 관(2)이 삽설되는 관홈(1b)이 형성된 것이다.
부연하자면, 상기 관(2)의 외주부에 관홈(1b)이 밀착되게 단열카바(1)를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단열카바(1)의 관체(1a) 외주부에 비닐재질과 같은 테이프(3 )를 권선하거나, 또는 단열카바(1)의 관체(1a) 외주부에 금속박판을 쒸워 완료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카바(1)는 관체(1a)에 테이프(3)를 권선하기가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테이프(3)가 산화되어 관체(1a)로부터 탈락되기 때문에 단열목적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동시에 화재시 테이프(3)로부터 유독가스가 방출되며, 또한 관체(1a) 외주부에 금속박판을 쒸웠을 시에는 그 작업이 매우 힘드는 동시에 단열카바(1)의 설치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단열카바(1)내의 관이 가스관인지 하수관인지 구분이 전혀 안되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관이 함께 있을 시에는 단열카바(1)를 일일이 해체하여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체의 외주부에 불연소재인 유리섬유면을 접착시키는 한편, 상기 유리섬유면의 일단에 이를 관체에 결합시킬 수 있는 접착부재를 형성하므로서 단열카바의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시공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부식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또한 유리섬유면이 무독성이면서 불연소재이기 때문에 화염전파의 우려가 없는 관의 단열카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리섬유면에 각종 관의 고유색상을 도포하기가 용이하므로 단열카바를 해체하지 않고도 그 내부의 관의 용도를 알 수 있도록 한 관의 단열카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카바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카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카바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카바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단열카바 11:관체
12:관홈 13:유리섬유면
14:접착부재 15:이형지
20: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리섬유재질의 관체의 내부에 관이 삽설되는 관홈이 형성된 단열카바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외주부에 불연소재인 유리섬유면을 접착시키는 한편, 상기 유리섬유면의 일단 내측에 유리섬유면의 또 다른 일단과 접착되는 접착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카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카바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이다.
단열카바(10)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리섬유재질의 관체(11)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1)의 내부에 가스나 하수, 또는 냉.온수용 관(20)이 삽설되는 관홈(1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체(11)는 고속 스피너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올이 짧은 유리섬유로 제조된다.
그런 다음, 상기 관체(11)의 외주부에 유리를 용융하여 길게 인발시킨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된 유리섬유면(13)이 접착되는데, 이때 상기 유리섬유면(13)의 일단 내측에 유리섬유면(13)의 또 다른 일단과 접착되게 이형지(15)를 구비한 접착부재(14)가 형성된다. 즉, 관체(11)를 관(20)에 설치한 다음, 관체(11) 외주부의 유리섬유면(13) 일단으로 이형지(15)가 분리된 접착부재(14)를 유리섬유면(13)의 또 다른 일단에 접착시켜 관(20)에 단열부재(10)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유리섬유면(13)에 황색, 백색, 적색, 회색 등을 염색하여 가스관에 사용할 시에는 황색 유리섬유면(13)을, 하수관에 사용할 시에는 백색 유리섬유면(13)을, 그리고 난방관에 사용할 시에는 적색 유리섬유면(13)을, 냉보온관으로 사용할 시에는 회색 유리섬유면(13)을 선택하므로 단열카바(10)의 외측에서 그 내부의 관(20)의 용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미 설치된 관(20)에 단열카바(10)를 시공하고자 하면, 상기 관(20)에 관체(11)를 적당히 벌려 이의 관홈(12)이 밀착되게 하는 한편, 관체(11) 외주부에 접착된 유리섬유면(13) 일단에서 이형지(15)를 분리시켜 접착부재(14)를 노출시킨 다음, 이를 유리섬유면(13)의 또 다른 일단에 접착시켜 시공을 완료한다.
이때, 유리섬유면(13)을 가스관에 사용할 시에는 황색 유리섬유면(13)을, 하수관에 사용할 시에는 백색 유리섬유면(13)을, 그리고 난방관에 사용할 시에는 적색 유리섬유면(13)을, 냉보온관으로 사용할 시에는 회색 유리섬유면(13)을 선택하므로서 단열카바(10)의 외측에서 그 내부의 관(20)의 용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관체(11)의 외주부에 불연소재인 유리섬유면(1 3)을 접착시키는 한편, 상기 유리섬유면(13)의 일단에 이를 관체(11)에 결합시킬 수 있는 접착부재(14)를 형성하므로서 단열카바(10)의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시공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부식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또한 유리섬유면(13)이 무독성이면서 불연소재이기 때문에 화염전파의 우려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리섬유면(13)에 각종 관의 고유색상을 도포하기가 용이하므로 단열카바(10)를 해체하지 않고도 그 내부의 관(20)의 용도를 알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유리섬유재질의 관체의 내부에 관이 삽설되는 관홈이 형성된 단열카바에 있어서,
    상기 관체(11)의 외주부에 불연소재인 유리섬유면(13)을 접착시키는 한편, 상기 유리섬유면(13)의 일단 내측에 유리섬유면(13)의 또 다른 일단과 접착되게 이형지(15)를 구비한 접착부재(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의 단열카바.
  2. 제1항에 있어서
    관(20)의 용도에 따라 유리섬유면(13)의 색상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의 단열카바.
KR2019990014059U 1999-07-16 1999-07-16 관의단열카바 KR200165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59U KR200165050Y1 (ko) 1999-07-16 1999-07-16 관의단열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59U KR200165050Y1 (ko) 1999-07-16 1999-07-16 관의단열카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050Y1 true KR200165050Y1 (ko) 2000-02-15

Family

ID=1958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059U KR200165050Y1 (ko) 1999-07-16 1999-07-16 관의단열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0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9922A1 (en) Coupled pipe assembly having a tapered interior sleeve
CA2178524A1 (en) Boiler protection tube assembly
DE59307976D1 (de) Zur Herstellung einer Rohrverbindung dienende Kupplungsvorrichtung
DK1093556T3 (da) Rörkobling
KR200165050Y1 (ko) 관의단열카바
KR19990017597U (ko) 관의단열카바
KR880014204A (ko) 부동파이프
ATE192839T1 (de) Anbohrarmatur
ATE112836T1 (de) Kunststoffmantelrohr.
KR200235065Y1 (ko) 엘보관용 단열재 카바
ES2127453T3 (es) Manguito tubular para recibir tubos que pasan a traves de paredes o techos.
DE69817169D1 (de) Herstell- und Montageverfahren einer Rohrkupplung
CN213712325U (zh) 一种隔热套管
FR2701750B1 (fr) Ligne de tuyaux de fonçage, et tuyau de fonçage correspondant.
EP1114959B1 (en) High-strength, durably-flexible hose for hydraulic coupling applications
ATE159332T1 (de) Fixpunktbefestigung einer rohrleitung an einer gebäudewand
RU99119301A (ru) Термокомпенсатор
KR200250788Y1 (ko) 급수 배관용 보온 커버
ATE370365T1 (de) Schachtsystem
DE60200917D1 (de) Endverschluss für ein isoliertes Rohrelement
KR200171910Y1 (ko) 배관용 파이프 커넥터
JP2001218346A (ja) 橋梁添架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管の防火構造及びその防火材
JPH0337080B2 (ko)
KR200181891Y1 (ko) 하수관 분기 연결관
KR200298463Y1 (ko) 보일러 덕트 코어용 벽면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7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7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