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4228Y1 - 서포트용너트 - Google Patents

서포트용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228Y1
KR200164228Y1 KR2019990015268U KR19990015268U KR200164228Y1 KR 200164228 Y1 KR200164228 Y1 KR 200164228Y1 KR 2019990015268 U KR2019990015268 U KR 2019990015268U KR 19990015268 U KR19990015268 U KR 19990015268U KR 200164228 Y1 KR200164228 Y1 KR 200164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upport
handle
flang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일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065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1134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일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일주산업
Priority to KR2019990015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2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의 길이를 가변 조정시키는 서포트용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너트의 외주연에 너트를 회전시키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회전용 핸들을 설치하여 너트의 회전 동작을 용이할 수 있게 한 서포트용 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포트용 너트는 주물로 제조됨에 따라 기존의 너트에 플랜지부만을 용접 등과 같은 접속 수단으로 부착시킬 수 없어 새로운 금형으로 너트를 제조할 수밖에 없고,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외주연에 양측에 돌기(40)(41)가 형성되는 서포트용 너트(4)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기(40)(41)에 끼워지는 통공(10)(20)을 구비한 한 쌍의 브라켓트(1)(2)와, 상기 브라켓트(1)(2)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11)(21)와, 각 플랜지(11)(21)의 사이에 손잡이(3)의 일단을 삽입하여 리벳팅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생산된 너트에 손잡이를 용이하게 설치시킬 수 있어 폐기되는 종래 너트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너트의 회전시킴에 있어서는 손잡이를 이용한 회전과 돌기를 타격 하여 회전시키는 두 가지의 동작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서포트용 너트 {Nut for a concreate form support}
본 고안은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의 길이를 가변 조정시키는 서포트용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너트의 외주연에 너트를 회전시키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회전용 핸들을 설치하여 너트의 회전 동작을 용이할 수 있게 한 서포트용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포트는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부에 받침판(55)이 형성된 하부기둥(5)과, 하부기둥(5)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50)와, 나사부(50)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51)과, 상기 나사부(5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4)와, 상부에 받침판(65)을 구비하며 상기한 하부기둥(5)내에 삽입되는 상부기둥(6)과, 상부기둥(6)의 하단 외주연에 상기 요홈(51)내에 삽입되는 지지턱(6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서포트는 나사부(50)에 체결된 너트(4)의 회전에 따라 너트(4)의 상면에 재치된 지지턱(60)을 들어올리고 내리면서 서포트의 길이를 가변 조정하여 거푸집을 받쳐 주게 되는 것이다.
너트(4)를 회전시킴에 있어서는 너트(4)의 외주연 양측에 돌기(40)(41)를 형성시켜 돌기를 잡고 너트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너트(4)는 건설 현장에서 장기간 설치 사용되고 보관됨에 따라 나사부(50)에 모래, 콘크리트 등과 같은 이 물질이 끼이거나 부착되기 마련이고 이는 너트(4)를 손의 힘으로는 도저히 회전시킬 수 없는 지경에까지 만들게 된다.
이에 따라 너트(4)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40)(41)를 햄머등으로 타격 시켜 회전시키는 실정으로 서포트의 길이 조절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너트에 회전 손잡이를 설치시켜 너트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서포트용 너트가 제공되기에 이르렀다.
회전 손잡이가 부설되는 너트는 첨부된 도면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너트(400)의 외주연 일 측에 한 쌍의 플랜지(401)를 형성시키고, 상기 플랜지(401)의 사이에 손잡이(300)의 일단을 삽입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포트용 너트(400)는 주물로 제조됨에 따라 기존의 너트(400)에 플랜지부(401)만을 용접 등과 같은 접속 수단으로 부착시킬 수 없어 새로운 금형으로 너트를 제조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 손잡이가 부설된 너트(400)는 서포트의 길이 조절 작업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나사부(50)와 너트(400)의 사이에 이 물질이 끼이지 않은 비교적 깨끗한 상태에서는 손잡이(300)만으로도 너트(4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나, 나사부(50) 또는 너트(400)에 콘크리트가 부착되어 응고된 상태에서는 손잡이(300)만으로는 이를 회전시킬 수 없어 종래와 동일하게 너트(400)를 타격 하여 회전시키는 실정이 다.
그러나 손잡이(300)가 부설된 너트(400)의 경우에는 햄머등으로 타격할 적정한 돌기부가 없음에 따라 불가피하게 손잡이(300)를 결합시키는 플랜지부(401)를 타격 함에 따라 주물로 제작된 플랜지부(401)가 쉽게 떨어지게 되고 결국 너트를 폐기 처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손잡이(300)가 부설된 너트(400)가 제공됨에 따라 종래의 너트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 처분하여야 하는 실정으로서 귀중한 자원과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외주연에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는 종래의 너트에 너트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회전 손잡이를 설치시킴으로써, 폐기 처분되는 너트를 재활용하여 귀중한 자원의 낭비와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하고, 너트를 회전시킴에 있어서는 손잡이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종래와 동일하게 이를 타격 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게 하는 서포트용 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외주연에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는 서포트용 너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기에 끼워지는 통공을 구비한 한 쌍의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와, 각 플랜지의 사이에 손잡이의 일단이 삽입되어 리벳팅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서포트용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용 너트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용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브라켓트 3. 손잡이
4. 너트 10,20. 통공
11,21. 플랜지 14,24. 리브
40,41. 돌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용 너트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용 너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주연에 양측에 돌기(40)(41)가 형성되는 서포트용 너트(4)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기(40)(41)에 끼워지는 통공(10)(20)을 구비한 한 쌍의 브라켓트(1)(2)와, 상기 브라켓트(1)(2)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11)(21)와, 각 플랜지(11)(21)의 사이에 손잡이(3)의 일단이 삽입되어 리벳팅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각각의 브라켓트(1)(2) 형상은 너트(4)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시켜 브라켓트(1)(2)가 너트(4)의 외주연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브라켓트(1)(2)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11)(21)의 절곡부(13)(23)에 다수의 리브(rib)(14)(24)를 형성시켜 너트(4)의 회전동작시 플랜지(11)(21)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미설명 부호 7은 리벳이고, 12와 22는 리벳이 관통되는 리벳구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너트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너트(4)의 일 측에 형성된 돌기(40)에 브라켓트(1)의 일단에 형성된 통공(10)의 삽입시키고, 또다른 브라켓트(2)의 통공(20)을 상기 돌기(40)와 대향되는 쪽에 형성된 돌기(41)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의 돌기(40)(41)에 통공(10)(20)이 삽입되면 각 브라켓트(1)(2)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11)(21)가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게 된다.
이어 각 플랜지(11)(21)의 사이에 리벳구멍(30)이 형성된 손잡이(3)의 일단을 삽입시켜 손잡이(3)의 리벳구멍(30)과 각 플랜지(11)(21)에 형성된 리벳구멍(12)(22)을 일치시킨 다음 각각의 구멍 내로 리벳(7)을 관통 삽입시키고 리벳(7)의 일단을 타격 시키게 되면 손잡이(3)의 조립 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너트(4)는 너트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너트(4)에 하중이 적게 걸리는 경우에는 플랜지(11)(21)에 결합된 손잡이(3)를 이용하여 너트(4)를 회전시키고, 너트(4)에 하중이 많이 걸리거나 너트(4) 및 나사부(50)에 콘크리트 등이 응고 부착된 경우에는 브라켓트(1)(2)의 통공(10)(20)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40)(41)를 햄머등으로 타격 하여 너트(4)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에 생산된 너트에 손잡이를 용이하게 설치시킬 수 있어 폐기되는 종래 너트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너트의 회전시킴에 있어서는 손잡이를 이용한 회전과 돌기를 타격 하여 회전시키는 두 가지의 동작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외주연에 양측에 돌기(40)(41)가 형성되는 서포트용 너트(4)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기(40)(41)에 끼워지는 통공(10)(20)을 구비한 한 쌍의 브라켓트(1)(2)와, 상기 브라켓트(1)(2)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11)(21)와, 각 플랜지(11)(21)의 사이에 손잡이(3)의 일단을 삽입하여 리벳팅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용 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브라켓트(1)(2) 형상을 너트(4)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플랜지(11)(21)의 절곡부(13)(23)에 다수의 리브(14)(24)를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용 너트.
KR2019990015268U 1999-07-27 1999-07-28 서포트용너트 KR200164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268U KR200164228Y1 (ko) 1999-07-27 1999-07-28 서포트용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56A KR20010011344A (ko) 1999-07-27 1999-07-27 서포트용 너트
KR2019990015268U KR200164228Y1 (ko) 1999-07-27 1999-07-28 서포트용너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656A Division KR20010011344A (ko) 1999-07-27 1999-07-27 서포트용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228Y1 true KR200164228Y1 (ko) 2000-02-15

Family

ID=2663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268U KR200164228Y1 (ko) 1999-07-27 1999-07-28 서포트용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2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4228Y1 (ko) 서포트용너트
KR200232716Y1 (ko) 높이 조절형 하중 지지대
KR20010011344A (ko) 서포트용 너트
KR200436781Y1 (ko)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JP298673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におけるスリーブの位置決め用治具
US7520147B2 (en) Anchorage device for fastening a counterweight to a washing machine tub
CN210106756U (zh) 管道套管安装固定装置
KR100771232B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412751Y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195887Y1 (ko) 교량용 동바리 클램프
KR200339375Y1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KR200347294Y1 (ko) 거푸집 세파타이용 캡너트
KR100446023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CN209429534U (zh) 一种建筑铝模板锁紧装置
KR200405409Y1 (ko) 고정용 볼트
KR200434966Y1 (ko) 지주 가림판 커버
CN213038869U (zh) 一种拆卸快速、便捷的模壳固定装置
KR200372680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21433Y1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KR200352435Y1 (ko) 거푸집 매립형 세파타이
KR200415001Y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397558Y1 (ko) 몰드 결합장치
KR20000020509U (ko) 둥근다이 핸들
KR200303733Y1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KR200370271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폼의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28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7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