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3622Y1 -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 Google Patents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622Y1
KR200163622Y1 KR2019970021076U KR19970021076U KR200163622Y1 KR 200163622 Y1 KR200163622 Y1 KR 200163622Y1 KR 2019970021076 U KR2019970021076 U KR 2019970021076U KR 19970021076 U KR19970021076 U KR 19970021076U KR 200163622 Y1 KR200163622 Y1 KR 200163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ouble
hot water
heat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554U (ko
Inventor
박칠림
심재억
김상욱
박순철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장병주
주식회사대우
이일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주, 주식회사대우, 이일쇄 filed Critical 장병주
Priority to KR2019970021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62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6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8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with heat sprea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돌난방 시스템에 이용되는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에 관한 것으로, 바닥 하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부로의 열전달을 극대화시키고, 시공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높은 금속판재와,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접착제에 의해 압착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되, 하부패널 및 온수관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시공이 간편하고, 열확산용 패널의 열적 불균형을 해소하며, 낮은 공급 온수 온도로도 바닥 전체에 균등한 온도 분포를 나타낼 수 있어 재실자들의 쾌적감을 높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비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판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판넬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양면판넬이 건식 온돌난방 시스템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돌용 상부판넬 2 : 온돌용 하부판넬
3 : 온수관 4 : 양면판넬의 상부면(전도성 재질)
5 : 양면판넬의 하부면(단열성 재질)
6 : 양면판넬 7 : 방진기
8 : 바닥 슬라브
본 고안은 건식 온돌난방 시스템에 이용되는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판넬의 하부면은 단열성 재질을 이용하여 하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판넬의 상부면은 열전도율이 높은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열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낮은 온수온도로 바닥의 균등한 온도분포를 유지함으로써, 재실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판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닥복사 온돌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의 습식공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건식 공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들 제안되고 있는 대부분의 건식공법에서는 상부로의 열전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열확산핀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건식공법에 사용되는 이러한 열확산핀은 그 형태가 온수관 직상부 및 온수관 주위의 일부분만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바닥 표면 온도의 불균형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열확산핀의 재질이 대부분 아연도강판 등과 같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상부로의 방열량은 큰 반면에, 하부로의 열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건식 온돌난방 시스템에서는 하부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열확산핀 하부에 별도의 단열재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는 시공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온돌판넬을 사용한 종래의 온돌난방 시스템은 인체에 이로운 쾌적한 실온을 유지하는 경우에 바닥 표면 온도가 쾌적범위를 벗어나 너무 낮아지게 되고, 쾌적한 바닥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실온이 과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종래의 온돌난방 시스템은 쾌적한 실온을 유지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고, 온돌난방 시스템에서 온수관 하부로의 열손실을 억제하고, 온수관 상부로의 열전달 효율을 높임으로써, 낮은 온도의 온수로도 원하는 실온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 표면 온도의 균일한 분포를 확보할 수 있는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면판넬은, 상부판넬과, 하부판넬, 및 온수관을 포함하는 온돌난방 시스템에 이용되는 양면판넬에 있어서, 열전도율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높은 열전도부재인 금속판재,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접착제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금속판재와 일체화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화된 판넬이 바닥면 전체에 대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사이즈를 가지며, 그 형상이 상기 하부판넬 및 온수관의 형상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판넬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판넬의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4"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판넬의 상부면, "5"는 단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판넬의 하부면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판넬을 제공하기 위해 판넬의 상부면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고, 판넬의 하부면은 단열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재질을 접착제를 이용해 압착하여 일체화시켰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부로의 열전달성은 향상되고, 하부로의 열손실은 방지되며, 일체화된 판넬을 하부판넬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단열 및 전열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해 진다.
여기서,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는 종래의 아연도강판이나, 알루미늄박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른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열성 재질로는 스치로폴이나 우레탄폼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판넬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열면의 두께를 약 2㎜ 정도로 하였으며, 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전도판의 두께는 약 1mm 정도로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건식온돌의 하부판넬 형태, 적용 방법, 온수관의 재질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 크기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도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양면판넬이 건식 온돌난방 시스템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1"은 상부판넬, "2"는 하부판넬, "3"은 온수관, "6"은 본 고안인 양면판넬, "7"은 방진기, "8"은 바닥 슬라브를 각각 나타낸다.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8)의 상측에는 하층으로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기(7)가 삽입된 하부판넬(2)이 설치된다. 이 하부판넬(2)에는 온수관(3)이 설치되도록 홈이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양면판넬(6)은 이 하부판넬(2)의 구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 하부판넬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온수관(3)은 이 하부판넬의 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양면판넬(6)의 상측에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이 양면판넬의 상측에는 상부판넬(1)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온돌난방 시스템에 이용되어 온수관에 의해 발생된 열이 하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판넬로는 방열 효율을 촉진시킴으로써, 실내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재실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난방 에너지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단열과 전열이 일체화 되어, 시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판넬과, 하부판넬, 및 온수관을 포함하는 온돌난방 시스템에 이용되는 판넬에 있어서, 열전도율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높은 열전도부재인 금속판재와,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접착제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금속판재와 일체화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화된 판넬이 바닥면 전체에 대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사이즈를 가지며, 그 형상이 상기 하부판넬 및 온수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는, 아연도강판 혹은 알리미늄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스치로폴 혹은 우레탄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넬.
KR2019970021076U 1997-07-31 1997-07-31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200163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076U KR200163622Y1 (ko) 1997-07-31 1997-07-31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076U KR200163622Y1 (ko) 1997-07-31 1997-07-31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54U KR19990007554U (ko) 1999-02-25
KR200163622Y1 true KR200163622Y1 (ko) 2000-01-15

Family

ID=1950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0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163622Y1 (ko) 1997-07-31 1997-07-31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6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11B1 (ko) * 2007-12-27 2010-05-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온돌패널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54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3622Y1 (ko) 단열 및 전열 기능이 일체화된 양면패널
US9404665B1 (en) Radiant panel system having increased efficiency
JPS6358035A (ja) 暖房用床構造体
CN212534908U (zh) 一种地暖系统
KR100835231B1 (ko)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난방 시스템
CN210798020U (zh) 一种冷热辐射挂片
KR200159445Y1 (ko) 보일러용 온수x-l파이프에 알루미늄방열판을 붙인 조립식 온돌 판넬
KR200357841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하는 전기 히트패널
JPS5835930Y2 (ja) 暖房パネル
CN220852430U (zh) 一种高效供暖供冷用辐射空调板
CN215802814U (zh) 制冷供暖装饰板的槽式底板
KR200250987Y1 (ko) 온수온돌용호오스배관판
JP4043998B2 (ja) 床暖房装置の施工方法
CN218861893U (zh) 毛细管网a级防火冷暖辐射装饰一体板
CN219550720U (zh) 冷热辐射板
KR200341742Y1 (ko) 알루미늄 피복 경질발포우레탄폼을 이용한 온돌용 바닥 방열 및 단열재
JPH10267308A (ja) 暖房装置
KR200321237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패널
JPH09280580A (ja) 床暖房用放熱体
CN2467633Y (zh) 外墙保温板
KR20000001417U (ko) 난방 배관용 플레이트
KR960006514Y1 (ko) 다목적 조립식 온돌패널
EP0999415A3 (en) Underfloor heating panels
KR200173916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난방장치
JP2000154923A (ja) 暖房用ヒ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7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0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