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3345Y1 - 의자시트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시트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345Y1
KR200163345Y1 KR2019990012994U KR19990012994U KR200163345Y1 KR 200163345 Y1 KR200163345 Y1 KR 200163345Y1 KR 2019990012994 U KR2019990012994 U KR 2019990012994U KR 19990012994 U KR19990012994 U KR 19990012994U KR 200163345 Y1 KR200163345 Y1 KR 200163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
coupling
writing table
chai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이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원 filed Critical 이정원
Priority to KR2019990012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철골의자에 있어서, 의자다리, 필기대를 용접에 의해서만 결합하던 것을 결합홈, 결합공을 형성하여 이에 의자다리, 필기대 등을 결합하여 용접함으로써 견고하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수 있게 한 의자시트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의자시트 받침대의 상부면 앞뒤쪽에 그 높이가 서로 다른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 볼트결합공을 각각 형성하며, 전기 의자시트 받침대의 측면 양끝단에 의자다리 결합홈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필기대 고정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형성하여 의자다리 및 필기대 고정구를 끼워 용접하므로 용접부위의 수명을 연장시켜 의자의 철골구조를 견고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의자시트를 받침대의 돌출부에 점결합하므로서 의자시트와 받침대가 서로 유동 없이 밀착 고정되므로 의자의 철골 구조와 의자시트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시트 받침대{Support of a chair seat}
본 고안은 일반적인 철골의자에 있어서, 의자다리, 필기대를 용접에 의해서만 결합하던 것을 결합홈, 결합공을 형성하여 이에 의자다리, 필기대 등을 결합하여 용접함으로써 견고하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수 있게 한 의자시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철골의자는 그 대부분이 철판 등에 직접 의자다리 또는 필기대 고정구를 맞대고 용접에 의해서만 결합하였던 것으로 그 결합력이 약하고, 적은 힘에도 쉽게 용접부위가 떨어지거나 부식되어 의자가 망가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의자시트를 결합함에 있어서도 편편한 의자 골격에 약간 굴곡이 있는 의자시트를 볼트 등으로 선결합하되 의자시트가 의자골격에 밀착 고정되지 않고 한쪽이 들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의자골격으로 부터 의자시트가 흔들리므로 의자 골격과 의자시트가 쉽게 분리되어 의자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는 의자의 유지보수를 위한 필요 없는 경비가 소요되는 등 여러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시트 받침대의 양끝단에 의자다리 결합홈을 형성하고 일측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이 결합홈과 결합공에 의자다리와 필기대 고정구를 끼워 결합한 후 용접을 하게 하여 그 결합력이 견고하고 사용수명이 긴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조립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단면 설명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의자시트 받침대, 1': 상부면, 1': 측면,
2,2': 돌출부, 3,3': 볼트결합공, 4,4': 결합홈,
5: 결합공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자시트 받침대(1)의 상부면(1') 앞뒤쪽에 그 높이가 서로 다른 돌출부(2)(2')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2)(2')에 볼트결합공(3)(3')을 각각 형성하며, 전기 의자시트 받침대(1)의 측면(1') 양끝단에 의자다리 결합홈(4)(4')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필기대 고정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5)을 형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6,6'은 의자다리, 7은 의자시트, 8은 필기대, 9는 고정구, 10,10'은 볼트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이용한 의자의 제작과정을 보면,
본 고안의 의자시트 받침대(1)의 측면(1')에 형성된 의자다리 결합홈(4)(4')에 'ㄷ'자 형상의 의자다리(6)(6')를 끼우고 각 의자다리(6)(6')의 각도를 조절한 후 일반적인 용접방법에 의해 용접을 하면 의자다리(6)(6')와 의자시트 받침대(1)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의자다리(6)(6')와 의자시트 받침대(1)를 결합한 후 의자시트 받침대(1)의 측면(1') 결합공(5)에 필기대(8) 고정구(9)를 끼워 결합한 후 이 또한 전기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그 각도를 조절한 후 통상의 용접방법에 의해 용접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의자시트 받침대(1)의 의자다리 결합홈(4)(4')에 의자다리(6)(6')를 결합공(5)에 고정구(9)를 끼워 용접에 의해 고정하므로 의자시트 받침대(1)와 의자다리(6)(6'), 의자시트 받침대(1)와 고정구(9)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여 의자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의자의 철골 구조가 완성되면 의자시트 받침대(1) 상부면(1')의 돌출부(2)(2')에 의자시트(7)를 올려놓고 받침대(1)의 볼트결합공(3)(3')을 통하여 볼트(10)(10')로서 의자시트(7)와 받침대(1)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의자시트 받침대(1)의 돌출부(2)(2')와 의자시트(7)가 통상적인 선결합을 하지 않고 의자시트(7)가 받침대(1)의 4개 돌출부(2)(2')에서 점결합에 의해 서로 각 점에서 밀착 결합되므로 의자시트(7)와 받침대(1)가 유동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의자시트 받침대(1)의 돌출부(2)(2') 높낮이를 앞뒤가 서로 다르게 함으로서 의자시트(7)의 기울기를 자연스럽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받침대(1)를 'ㄱ'자 앵글을 사용하였으나, 원형 또는 사각형재를 사용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결합홈(4)(4'), 결합공(5), 원형으로 하고 의자다리(6)(6'), 고정구(9) 등을 원형파이프로 도시하였으나 결합홈(4)(4'), 결합공(5)을 사각으로 의자다리(6)(6'), 고정구(9)등을 사각 파이프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의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의자다리 및 필기대 고정구를 의자시트 받침대의 결합홈과 결합공에 끼워 용접하므로 용접부위의 수명을 연장시켜 의자의 철골구조를 견고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의자시트를 받침대의 돌출부에 점결합하므로서 의자시트와 받침대가 서로 유동 없이 밀착 고정되므로 의자의 철골 구조와 의자시트가 견고히 결합되어 있어 분리될 확률이 적으며 받침대의 앞뒤 돌출부의 높이를 다르게 하므로서 의자시트의 기울기를 자연스럽게 맞출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의자시트 받침대(1)의 상부면(1') 앞뒤쪽에 그 높이가 서로 다른 돌출부(2)(2')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2)(2')에 볼트결합공(3)(3')을 각각 형성하며, 전기 의자시트 받침대(1)의 측면(1') 양끝단에 의자다리 결합홈(4)(4')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필기대 고정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5)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시트 받침대.
KR2019990012994U 1999-07-05 1999-07-05 의자시트받침대 KR200163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994U KR200163345Y1 (ko) 1999-07-05 1999-07-05 의자시트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994U KR200163345Y1 (ko) 1999-07-05 1999-07-05 의자시트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345Y1 true KR200163345Y1 (ko) 2000-02-15

Family

ID=1957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994U KR200163345Y1 (ko) 1999-07-05 1999-07-05 의자시트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3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2255A1 (en) Shelf support system having a cylindrical support post and providing improved stability and rigidity
USD474846S1 (en) Bollard
US4645261A (en) Child's convertible furniture
KR200163345Y1 (ko) 의자시트받침대
EP0815775A3 (fr) Système modulaire de construction de mobilier de bureau
KR20200062017A (ko) 조립식 가구
US5722721A (en) Pole advertising seat
JP2018050967A (ja) 支持台、回動阻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93428B1 (ko) 의자 결합구조
US7422187B2 (en) Support stand
CN210276530U (zh) 一种坐具
JP2011172829A (ja) 作業台
KR20100027297A (ko) 다용도 받침대
CN105534105B (zh) 一种坐具支撑腿的安装结构
CN214127735U (zh) 一种新型用于狭小空间的双面排凳
JPS635553Y2 (ko)
JP3155814U (ja) 椅子の脚部構造
JP4951776B2 (ja) 椅子
JP2020062202A (ja) テーブル
CN215076218U (zh) 一种水泥制稳固防倾倒的仿木桌凳
JPS5822605Y2 (ja) 劇場用いすの座取付装置
JP4341825B2 (ja) 椅子の座の構造
JP2005211244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H047800Y2 (ko)
CN200987510Y (zh) 一种吧台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7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7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