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2974Y1 -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974Y1
KR200162974Y1 KR2019940012500U KR19940012500U KR200162974Y1 KR 200162974 Y1 KR200162974 Y1 KR 200162974Y1 KR 2019940012500 U KR2019940012500 U KR 2019940012500U KR 19940012500 U KR19940012500 U KR 19940012500U KR 200162974 Y1 KR200162974 Y1 KR 200162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hamber
switching
diaphragm
switching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125U (ko
Inventor
우영석
Original Assignee
우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석 filed Critical 우영석
Priority to KR2019940012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974Y1/ko
Publication of KR950034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9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 하는 열 감지 캡의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여 경보를 발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이어프램과 스위칭접점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외부 충격이나 열변형에 의한 오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및 가동접점을 갖는 스위칭접점실과, 이 스위칭접점실을 수납 지지하는 차폐실과, 이 차폐실을 지지함과 동시에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장착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실의 요입부에 환형 안착 홈을 마련하고, 이 안착 홈이 다이어프램의 플랜지와 스위칭접점실의 테두리를 함께 삽입 배치하여, 접착제로서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제품 오 동작을 방지하고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제안한다.
[색인어]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

Description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
본 고안은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시 온도 상승에 따라 내부 공기가 팽창하므로서 경보장치를 스위칭 해주는 차동식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시키는 화재 감지기는, 구조에 따라 차동식, 정온식, 이온식 및 광전식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한 차동식 화재 감지기는 열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 하는 열감지 캡과, 상기한 열 감지 캡에서 감지한 온도 변화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시켜 경보장치로 전달하는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열 감지 캡은 공지의 다이어프램이 장착되는 차폐실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열 팽창에 의해, 온 오프 되는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을 갖는 스위칭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베이스는 건물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 감지 캡을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공지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91-5321호(1991. 7.22)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화재 감지기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화재 감지기는 제조가 쉽고, 조립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폐실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가동 및 고정접점을 구비한 별도의 스위칭접점실을 수납하고, 상기 차폐실을 링형상의 하우징과 고정판 사이에 장착하며, 상기 스위칭접점실에 검사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상기한 방식의 화재 감지기는 베이스에 발광 다이오드와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배선 결속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수리 및 보수가 어려우며, 상기 베이스의 두께가 커져 제품의 슬림화를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94-1951호(1994. 2. 2)에는 미들 플레이트에 회로기판을 마련하여 이를 스위칭접점에 접속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회로기판에 연결된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마련된 배선 결속 수단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화재 감지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에서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차폐실과 상기 차폐실에 장착되는 스위칭접점실의 결합구조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접점실은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단순히 차폐실의 오목부로 끼워지게 되는 바, 이는 스위칭접점실의 유동을 초래하여 상기 다이어프램과 가동 및 고정접점사이의 간격 불균일을 일으키게 됨은 물론, 그에 따른 제품의 오 동작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 상기한 다이어프램은 열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박판으로 형성되어지는 바, 이는 외부 충격이나 조립 불량에 의하여 손쉽게 변형되는 구조적인 취약성을 안고 있다.
아울러, 전술한 스위칭접점실은 열에 대한 변형률이 낮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그 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열변형을 위한 고려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 물론 모든 구조를 폴리카보네이트로 하면 열에 의한 변형률 문제는 해결될 것이나, 잘 알려져 있듯이 폴리카보네이트는 탄소섬유로 불리는 값이 비싼 물질이므로 경제성이 없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이어프램과 가동 및 고정접점을 갖는 스위칭 접점실을 일체로 고정시켜, 그 사이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오 동작을 방지하고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이어프램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이나 오 동작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스위칭접점실의 열변형을 억제하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내부 체적이 팽창하는 다이어프램을 갖춘 차폐실로 이루어진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로서, 상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갖는 스위칭접점실과, 이 스위칭접점실을 수납 지지하여 밀폐된 공기실을 형성하는 차폐실과, 이 차폐실을 지지함과 동시에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장착되는 미들 플레이트로 열 감지 캡을 구성하되, 상기 차폐실의 오목부에 환형안착 홈을 마련하고, 이 안착 홈에 다이어프램과 스위칭접점실의 테두리를 함께 삽입시켜서 접착제로 일거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스위칭접점실은 열에 의한 변형이 최소로 나타나도록 실드면이 대략 '' 자상으로 돌출 형성된 단면을 가진다.
또, 상기한 스위칭접점실의 가동접점은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선단에 연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는 콘택트 와이어가 부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다이어프램은 가동접점과 접촉되는 방향으로 볼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도1의 A-A선 절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의 가동 및 고정 접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의 다이어프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폐실 2 : 오목공
3 : 안착 홈 4 : 다이어프램
5 : 스위칭접점실 10 : 미들 플레이트
16 : 현가부재 41 : 플랜지
42 : 돌출부 44 : +자 돌출부
50 : 실드면 51 : 가동접점
52 : 고정접점 55 : 테두리
59 : 연장부 60,61 : 콘택트 와이어
이하, 본 고안의 비한정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분해 사시도 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1은 차폐실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차폐실(1)은 중앙에 오목공(2)을 보유하는 금속제 통으로 된 것이며, 그 오목공(2)의 둘레에는 안착 홈(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착 홈(3)에는 다이어프램(4)이 수납되어서 상기 오목공(2)을 막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오목공(2)을 막아주는 다이어프램(4)의 상측으로는 스위칭접점실(5)이 안착되어진다.
스위칭접점실(5)은 실드면(50)이 대략 '' 자 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조절나사(56)가 삽착되어 있고, 또한 내측 가장자리에서 중앙을 향하여 가동접점(51)과 고정접점(52)이 대칭을 이루는 위치로 각각 부착 설치된다.
상기 양 접점(51)(52)은 저마다 체결부재(53, 53')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것이며, 이 체결부재(53, 53')는 다시 스위칭접점실(5)의 외부에서 리이드부재(5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부분으로 이용된다.
상기한 리이드부재(54)의 타단은 차폐실(1)이 안착 고정되는 미들 플레이트(10)의 회로기판(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 부분에서는 별도의 체결부재(12)를 개재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또, 상기 미들 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회로기판(11)의 일부로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수납하기 위한 안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 수납되는 발광 다이오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화재 감지기에 전원이 투입된 상태임을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회로기판(11)에는 또 다른 체결부재(15)에 의해 설치되는 다른 리이드부재(14)가 연결되어서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제2도는제1도을 조립상태에서 A-A선에 따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차폐실(1)의 안착 홈(3)에는 먼저 접착제가 칠해진 다음에 다이어프램(4)의 가장자리측 플랜지(41)를 안착시키고, 이어서 스위칭접점실(5)의 테두리(55)를 끼워 넣어 같이 일체로 접착 고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고정시켜서 상기 차폐실(1)이 밀폐 형성된 공기실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한 다이어프램(4)의 중심부는 가동접점(51)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부(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돌출부(42)는 상기 차폐실(1)의 내부 체적이 팽창될 때에 다른 부분에 우선하여 가동접점(51)을 연동시키도록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가동접점(51)이 다이어프램(4)의 돌출부(42)에 의해 연동되면 상방으로 위치 이동하여 대향 배치된 고정접점(52)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된다. 또 다이어프램(4)에 의한 연동 위치는 중심에 설치된 조절나사(56)로 간격 조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4)의 팽창에 연동하여 행해지는 가동접점(51)과 고정접점(52) 사이의 스위칭 작용 및 조절나사(56)를 통한 간격 조절은 종래의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에서와 같은 것이다.
한편, 상기한 스위칭접점실(5)의 실드면(50)은 상방으로 약간 돌출 되어 단면이 대략 ''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제3도는 전술한 가동접점(51)과 고정접점(52)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가동접점(51)과 고정접점(52)은 체결부재(53)를 개재하여 스위칭접점실(5)에 장착되는 것이나, 상기한 가동접점(51)이 다이어프램(4)과 접촉되어지는 면에는 절연부재(57)가 부착되어서 스위칭 작용 시에 통전되는 것을 막아 주고 있고, 이것은 2개의 돌기(57')를 가동접점(51)의 선단에 마련된 구멍(58)으로 관통시킨 다음 그 끝을 녹여 융착하는 것으로 부착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절연부재(57)의 돌기(57')를 융착시킨 흔적으로 고정 접점(52)과의 스위칭이 불량으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접점(51)의 선단을 연장부(59)로 형성함과 아울러 고정접점(52)과 접촉하는 면으로 콘택트 와이어(60)를 부착하고, 이것과 대응하도록 상기한 고정접점(52)에도 콘택트 와이어(61)를 상호 직교되게 부착 배치하고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다이어프램의 표면 형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다이어프램(4)의 돌출부(42) 중심에 구조적으로 강도의 향상과 열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자 돌출부(44)를 부가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차폐실(1)의 다이어프램(4)이 열 팽창하게 되면, 스위칭접점실(5)의 가동접점(51)과 고정접점(52) 사이는 콘택트 와이어(60)(61)가 상호 교차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스위칭 온으로 되기 때문에 감지 동작이 정확하고 오접촉도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위칭 온 상태는 스위칭접점실(5)이 열을 받아도 실드면(50)이 대략 '' 자상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유지되어 화재 감지 신호를 길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교차상을 이루는 콘택트 와이어를 통해 스위칭 온으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화재 감지신호를 정확하고 오작동이 없이 발하게 되며, 또 스위칭접점실의 실드면 구조와 다이어프램의 돌출부 보강 형상을 통해 열에 의한 변형이 억제되어 비교적 긴 시간동안 화재 감지신호를 발할 수 있다.

Claims (1)

  1.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수용 배치되는 스위칭접점실이 내부에 마련된 차폐실과, 이 차폐실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양 접점 사이의 스위칭 온 신호를 외부로 도출하여 주는 미들 플레이트를 갖춘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접점실(5)의 실드면(50)이 대략 '' 자상으로 형성되고, 가동접점(51)과 고정접점(52)의 대향면에는 서로 교차 접촉되는 콘택트 와이어(60)(61)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접점(51)과 접촉되는 다이어프램(4)의 돌출부(42) 중심에는 +자 돌출부(44)가 형성되어서 구조 보강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
KR2019940012500U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 Expired - Lifetime KR200162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500U KR200162974Y1 (ko)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500U KR200162974Y1 (ko)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25U KR950034125U (ko) 1995-12-18
KR200162974Y1 true KR200162974Y1 (ko) 1999-12-15

Family

ID=1938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500U Expired - Lifetime KR200162974Y1 (ko)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9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96B1 (ko) 2020-03-16 2020-12-03 박인자 소방 감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96B1 (ko) 2020-03-16 2020-12-03 박인자 소방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25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839B1 (ko) 화재 탐지기
US5709358A (en) Installing structure of cluster module
KR950704080A (ko) 전극 홀더 및 전기 센서(welding tongs and electric sensor)
CN101772694B (zh) 红外线检测器
US20040031924A1 (en) Infrared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nfrared sensor
US20120033710A1 (en) Optical temperature sensor
KR200162974Y1 (ko) 화재감지기
JP2015079691A (ja) 光電センサ
JP5065984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EP0156915B2 (en) Ionization type smoke sensor
US4853544A (en) Heat-resistant case for an ionization-type smoke det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162972Y1 (ko)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EP3540389A1 (en) Photoelectric sensor
KR200162868Y1 (ko) 화재감지기
KR970003325A (ko) 회로 차단기
WO2018051795A1 (ja) 火災感知器用ベース及び火災感知器
KR102574741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CN223080016U (zh) 电感式开关
KR970000421Y1 (ko) 차동식 화재 감지기
KR102566252B1 (ko) 오토 디포그 센서
JP4458488B2 (ja) 樹脂製窓
KR200162976Y1 (ko) 화재감지기
CN220817696U (zh) 路灯组件
KR200464814Y1 (ko) 차동식 열감지기
JPH05174269A (ja) 紫外線式炎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5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53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3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9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