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2082Y1 -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082Y1
KR200162082Y1 KR2019970013447U KR19970013447U KR200162082Y1 KR 200162082 Y1 KR200162082 Y1 KR 200162082Y1 KR 2019970013447 U KR2019970013447 U KR 2019970013447U KR 19970013447 U KR19970013447 U KR 19970013447U KR 200162082 Y1 KR200162082 Y1 KR 200162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closing
slider
ni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308U (ko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박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영 filed Critical 박성영
Priority to KR2019970013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082Y1/ko
Publication of KR970049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0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tracting writing-poin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용 캡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수성, 유성 등의 건조용 잉크를 사용하며 착탈용 캡을 가지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전후 슬라이드 운동에 따라 캡에 내장된 별도의 개폐캡이 개폐 작동하면서 펜촉이 출몰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캡의 분실과 잉크의 건조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상의 편익도 일층 배가시킨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통상이 증발성 또는 휘발성 잉크 등을 사용하는 싸인펜, 수성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1)용 캡(4)에 필심부(3)의 펜촉(6)이 출몰하는 개폐공(6)을 캡(4)의 전후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캡(7)을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캡을 분리 및 전후에 끼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등을 일소함은 물론, 캡의 착탈작동으로 인한 캡의 분실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본 고안은 필기구용 캡개폐장치(cap opening & shutting device of writting instrumen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증발성 또는 휘발성 잉크 등을 사용하는 각종의 필기구(예 ; 싸인펜, 수성볼펜 등) 등에 적용하여 캡의 전후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캡의 선측에 내장된 개폐캡이 각운동 개폐되면서 펜촉은 캡 선단의 개폐공을 통해 출몰작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용 캡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를 사용한 필기구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증발성, 또는 휘발성 잉크를 사용하는 싸인펜, 수성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는 필기감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증발성, 또는 휘발성 잉크를 사용한 필기구는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기구의 필심부 선단에서 착탈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캡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필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캡을 분리하여 필심부 후단에 끼움 결합한 후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재차 캡을 필심부 후단으로부터 분리하여 펜촉이 있는 필심부 선단으로 끼움 밀폐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자칫 사용중에 캡을 분실할 우려가 높으며, 캡이 분실되었을 경우에는 펜촉에 있는 잉크가 증발 및 경화되어 필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다수의 개선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기존 잉크를 사용한 필기구는 캡의 개폐작동이 필요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도 다양한 종류의 필기구용 캡개폐장치가 다수 출원된 바 있으나, 알려진 선행기술 등은 그 구성이 지극히 복잡하고 제조상의 난점, 원가앙등 등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캡을 원활하게 개폐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은 당해업계의 절실한 과제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증발성 또는 휘발성 등의 잉크를 사용하는 각종 필기구용 캡개폐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에서는 필기구의 필심부 선측에 결합된 캡을 전후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면 캡의 선측 개폐공을 단속하는 개폐캡이 각운동하면서 펜촉이 선택 출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익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캡의 분실문제 및 잉크의 건조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상의 제반 이점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필기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성중 개폐용 캡을 발췌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휴대 및 보관시의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소, 사용시의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및 요부확대 평면도로서, 휴대 및 보관시의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사용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 2 : 펜촉
3 : 필심구 4 : 캡
5 : 엔드캡 6 : 개폐공
6a : 패킹 7 : 개폐캡
8 : 개구 9 : 축핀
10 : 비틀림스프링 11 : 끼움편
12 : 돌기 13 : 연결로드
14,14a : 슬라이드홈 15 : 슬라이더
16 : 걸림환턱 16a : 걸림턱
17 : 스토퍼
도1은 본 고안에서 개시하는 필기구(1)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캡개폐장치중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3, 4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등으로서, 선단에 펜촉(2)를 가지는 필심부(3)와, 상기 필심부(3)이 전후에 선택적으로 끼움착탈되는 캡(4)을 갖는 통상이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1)의 필심부(3) 선측에는 전후로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캡(4)을 결합한다. 상기 캡(4)은 관체로 구성하되 후단부는 링형상의 엔드캡(5)으로 긴밀하게 밀폐되고, 선측에는 펜촉(2)이 출몰 작동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진 개폐공(6)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공(6)의 내측으로는 기밀성유지를 위하여 링형의 패킹(6a)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공(6)을 선택적으로 개폐 작동시킬 수 있는 개폐캡(7)이 캡(4)의 내부에 내장되는데, 이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구체의 1/2은 제거하여 펜촉출몰용 개구(8)를 형성하고, 나머지 1/2이 개폐공(6)을 개폐 단속하는 개폐캡(7)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개폐캡(7)의 상단 좌우로는 축핀(9)을 형성하여 비틀림스프링(10)을 끼움조립하되, 비틀림스프링(10)의 일단은 개폐캡(7)이 끼움편(11)상에 끼움고정되고, 타단은 캡(4)의 내연에 형성되는 돌기(12)에 걸림될 수 있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캡(7)의 연결부 중앙에는 강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로드(13)의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로드(13)의 타단은 캡(3)의 중간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4)상에서 슬라이드 작동가능케 결합된 슬라이더(15)에 연결한다. 상기 슬라이더(15)는 캡(4)을 전후 슬라이드 작동시 개폐캡(7)의 개폐작동의 정위치 설정과 더불어 개폐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필심부(3) 외연에 형성된 걸림환턱(16)에 선택연접되면서 작동폭이 제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돌출 스토퍼(17)를 필심부(3)의 후측에 형성하여 엔드캡(5) 내측면부에 선택연접하면서 캡(4)의 전후진폭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도5, 6은 본 고안의 필기구(1)에 있어서,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및 평면도로서, 이는 연결로드(13)의 일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15)의 위치를 필심부(3)에 형성되는 걸림환턱(16)의 전측에 위치토록 한 변형실시예이다. 이러한 경우는 슬라이더(15)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캡(3)상의 슬라이드홈(14a) 선측은 라운드형으로 구성하고 걸림환턱(16)을 슬라이더(15)의 폭(t)과 동일한 정도의 걸림턱(16a)으로 구성하여 슬라이더(15)가 필심부(3)의 전진작동을 개폐캡(7) 개방 후에는 방해하않도록 구성하며, 개폐캡(7)이 축핀(9)에 비틀림스프링(10)을 전기와는 역방향으로 캡(4) 내연부상의 돌기(12)와 탄력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이 갖는 특유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의 필기구(1)를 보관, 휴대 시에는 도1, 3 과 같은 상태, 즉 필심부(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캡(4)이 필심부(3)의 전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로 보관, 휴대케 된다. 이러한 상태는 캡(4)의 전측 개폐공(6) 내측을 본 고안의 개폐캡(7)이 패킹(6a)에 밀접하에 폐쇄상태를 유지케 되는데, 이때 개폐캡(7)의 양측 축핀(9)에 결합된 비틀림스프링(10)은 일단이 캡(4)의 내연부에 형성된 돌기(12)에 의해 스톱핑되고, 타단은 개폐캡(7)의 끼움편(11)에 고정되어 있어 압축상태를 유지케 되는데, 이는 개폐캡(7)이 일단에 연결된 연결로드(13)의 타단이 슬라이더(15)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15)는 필심부(3)상에 형성된 걸림환턱(16)에 의해 캡(4)이 전진상태에서는 전방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는 펜촉(2)이 위치하는 캡(4) 내부의 공실은 외기와는 차단밀폐상태를 유지케 된다. 즉 개폐공(6)은 개폐캡(7)이 패킹(6a)에 밀접하면서 폐쇄하고 있고, 캡(4)의 후단은 링형의 엔드캡(5)이 폐쇄하고 있어 증발성 또는 휘발성의 잉크는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필기구(1)를 사용코자 할 시는 캡(4)을 필심부(3)의 후측으로 슬라이드 후진시킨다. 캡(4)이 필심부(3)의 후측으로 후진하면 필심부(3)상에 형성된 걸림환턱(16) 후측과 연접되어 있는 슬라이더(15)가 비틀림스프링(10)의 복원탄성에 의해 슬라이드홈(14)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15)가 전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이와 연결로드(13)로 연결된 개폐캡(7)은 비틀림스프링(10)의 복원탄성으로 각운동하면서 개구(8)가 패킹(6a)의 중앙부위로 이동케 되어 개폐공(6)은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며, 캡(4)의 연속적인 후진작동이 진행되면서 펜촉(2)이 개구(8)와 링형의 패킹(6a) 중앙부위와 개폐공(6)을 경유하여 도4와 같이 노출상태, 즉 필기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기구(1)를 사용후 보관, 휴대코자 할 시는 캡(4)을 재차 필심부(3)의 전측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면 펜촉(2)이 우선적으로 개폐공(6)과 패킹(6a) 및 개폐캡(7)의 개구(8)를 통하여 캡(4)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연속적인 후진작동에 의하여 필심부(3)의 걸림환턱(16)이 슬라이더(15)와 연접하면서 슬라이더(15)를 후방으로 밀면서 후진하게 되므로 슬라이더(15)는 슬라이드홈(14)을 따라 후진하게 되고, 당연히 슬라이더(15)의 후진작동에 의해 이와 연결된 연결로드(13)가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비틀림스프링(10)에 탄력설치된 개폐캡(7)은 전기 개방작동과는 역방향으로 각운동하여 개폐캡(7)이 패킹(6a)과 밀접상태로 전환되어 개폐공(6)은 폐쇄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도5, 6과 같은 상태는 개폐캡(7)이 전기한 제1실시예와는 역방향으로 비틀림스프링(10)이 탄력설치되어 개폐캡(7)의 개폐작동이 캡(4)의 전후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행하여지는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필심부(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캡(4)이 필심부(3)의 전측으로 슬라이드 된 상태로 보관, 휴대케 됨은 전기와 같으며, 이러한 상태는 캡(4)의 전측 개폐공(6) 내측을 본 고안의 개폐캡(7)이 패킹(6a)에 밀접하여 폐쇄상태를 유지케 되는데, 이때 개폐캡(7)의 양측 축핀(9)에 결합된 비틀림스프링(10)은 일단이 캡(4)의 내연부에 형성된 돌기(12)에 의해 스톱핑되고, 타단은 개폐캡(7)의 끼움편(11)에 고정되어 있어 전개상태를 유지케된다. 필기구(1)를 사용하기 위하여 캡(4)을 필심부(3)의 후측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면, 필심부(3)에 형성된 걸림턱(16a)이 전진하면서 슬라이더(15)를 전측으로 밀게되어 슬라이더(15)는 슬라이드홈(14)을 따라 전진케되고, 슬라이더(15)의 전진작동에 따라 이와 연결로드(13)로 연결된 개폐캡(7)이 각운동하여 비틀림스프링(10)은 압축상태로 전환되고, 슬라이더(15)가 슬라이드홈(14)의 선측부위에 이르면 슬라이드홈(14)의 선측이 라운드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슬라이더(15)는 라운드형의 아치를 그리면서 전진케되고, 연속적인 캡(4)의 후진작동에 의해 필심부(3)의 걸림턱(16a)은 슬라이더(15)에 방해받지 않고 전진하여 필심부(3) 선단의 펜촉(2)이 개구(8)와 링형이 패킹(6a) 중앙부위와 개폐공(6)을 경유하여 도6과 같이 노출상태, 즉 필기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기구(1)를 사용후 보관, 휴대코자 할 시는 캡(4)을 재차 필심부(3)의 전측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면 펜촉(2)이 우선적으로 개폐공(6)과 패킹(6a) 및 개폐캡(7)의 개구(8)를 통하여 캡(4)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연속적인 후진작동에 의하여 필심부(3)의 걸림턱(16a)이 슬라이더(15)의 후측으로 후진케 되면 펜촉(2)이 개폐캡(7)의 개구(8)를 통과하면서 비틀림스프링(10)의 복원탄성에 의해 개폐캡(7)이 원위치로 각운동복원되어 개폐공(6)이 폐쇄되고, 슬라이더(15)는 계속 후진하여 슬라이드홈(14)의 후단부에 위치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증발성 또는 휘발성 잉크 등을 사용하는 싸인펜, 수성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1)용 캡(4)에 필심부(3)의 펜촉(6)이 출몰하는 개폐공(6)을 캡(4)의 전후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캡(7)을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캡을 필심부 전후로 착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등을 일소함은 물론, 캡의 착탈작동으로 인한 캡의 분실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지극히 간편하여 기존 필기구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증발성 또는 휘발성 잉크 등을 사용하며, 펜촉(2)이 선단에 노출된 필심부(3)와 상기 펜촉(2)을 개폐하는 캡(4)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1)에 있어서 ; 상기 캡(4)은 선단에 개폐공(6)과 후단에 기밀유지용 엔드캡(5)을 가지고 필심부(3) 선측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캡(4)의 개폐공(6) 내측에는 패킹(6a)과, 상기 패킹(6a)에 연접되는 개폐캡(7)을 각운동 가능하게 내장하되, 상기 개폐캡(7)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반구의 1/4정도의 펜촉(2) 출몰용 개구(8)를 가지며, 개폐캡(7)은 좌우에는 축핀(9)을 형성하여 양단이 각각 캡(4) 내연부에 형성되는 돌기(12)와 개폐캡(7)의 끼움편(11)에 탄력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10)을 끼움 고정하며, 상기 개폐캡(7)은 캡(4)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4)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되고 필심부(3)의 외연에 형성된 걸림환턱(16)의 후측에 연접하면서 전진작동이 제어되는 슬라이더(15)와 연결로드(13)로 연결하여 필심부(3)이 전후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각운동하면서 개폐공(6)을 개폐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 상기 필심부(3)에는 슬라이더(15) 후측과 선택연접하면서 슬라이더(15)를 일정폭 푸싱할 수 있는 걸림턱(16a)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15)가 결합되는 슬라이드홈(14)능 선측이 일방 라운드형으로 구성되어 걸림턱(16a)이 형성된 필심부(3)의 전진작동을 가능케 구성하며, 상기 개폐캡(7)의 축핀(9)에 끼움되는 비틀림스프링(10)은 개폐캡(7)이 폐쇄작동시 전개되고, 개방작동시 압축될 수 있도록 캡(4) 내연에는 돌기(12)를 형성하여 개폐캡(7)상의 끼움편(11)과 탄력설치하여 캡(4)의 전후작동에 따라 개폐캡(7)이 개폐공(6)을 개폐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KR2019970013447U 1997-05-29 1997-05-29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62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447U KR200162082Y1 (ko) 1997-05-29 1997-05-29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447U KR200162082Y1 (ko) 1997-05-29 1997-05-29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308U KR970049308U (ko) 1997-08-12
KR200162082Y1 true KR200162082Y1 (ko) 1999-12-01

Family

ID=195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447U Expired - Lifetime KR200162082Y1 (ko) 1997-05-29 1997-05-29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0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96B1 (ko) * 2006-04-28 2007-11-02 주식회사 모리스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308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7557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drying preventing mechanism
ES2825824T3 (es) Instrumento de escritura
AU2003230963B2 (en) Self-sealing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KR100734903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JPS61248797A (ja) ペン
KR100503569B1 (ko) 필기구
JP2007320209A (ja) 開閉蓋付の筆記具
KR200162082Y1 (ko) 필기구용 캡개폐장치
KR100549117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US20090245920A1 (en) Capless Retractable Marking Pen
US2862473A (en) Pocket clips
JP3836942B2 (ja) ペン
JP4666795B2 (ja) キャップレス筆記具
EP3357707A1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utomatic sealing structure
JP3793929B2 (ja) ワンタッチ式マーカーホルダー
KR200399099Y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JPH065197Y2 (ja) 複合筆記具
KR100876952B1 (ko) 필기구
JPH0415515Y2 (ko)
KR200331308Y1 (ko) 캡이 내장된 필기구
JPH04221700A (ja) ノック式筆記具
JP3853019B2 (ja) ボールペンのリフィール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KR200357378Y1 (ko) 캡이 없는 마킹펜
KR970000481Y1 (ko)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5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9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