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9959Y1 -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959Y1
KR200159959Y1 KR2019950046621U KR19950046621U KR200159959Y1 KR 200159959 Y1 KR200159959 Y1 KR 200159959Y1 KR 2019950046621 U KR2019950046621 U KR 2019950046621U KR 19950046621 U KR19950046621 U KR 19950046621U KR 200159959 Y1 KR200159959 Y1 KR 200159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verload
battery
start motor
preve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120U (ko
Inventor
이점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6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959Y1/ko
Publication of KR970047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95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 경우, 시간의 경과를 체크할 수 없기 때문에 무리하게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므로서, 상기 스타트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면서 파송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상기 발생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므로서, 차량의 폭발 유발 및 차량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시동시에 발생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배터러의 방전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성시키므로서,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발생 및 파손과 상기 발생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시키므로서, 차량의 폭발 유발 방지 및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켜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장치이다.

Description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의 구조를 보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배터리 2 : 메인 퓨자 블링크
3 : 서브 퓨자 블링크 4 : 점화 스위치
5 : 시동 록 스위치 6 : 제어수단
7 : 스타트 모터 SW1 : 전원차단 스위치
본 고안은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시동시에 발생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여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 경우, 시간의 경과를 체크 할수 없기 때문에 무리하게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므로서, 상기 스타트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면서 파송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상기 발생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므로서, 차량의 폭발 유발 및 차량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시동시에 발생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성시키므로서,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발생 및 파손과 상기 발생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시키므로서, 차량의 폭발 유발 방지 및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켜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전원을 발생시키는 배터리(1)오, 상기 배터리(1)에서 발생된 일정전윈에 따라 일정전류를 발생시키는 메인 퓨자 블링크(2) 및 서브 퓨자 블링크(3)와, 상기 서브 퓨자 블링크(3)에서 발생된 일정전류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점화시키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점화 스위치(4)와, 상기 점화 스위치(SW1)의 동작 및 클럭 페달의 동작에 따라 차량 시동을 동작시키기 위해 온/오프 동작하는 록(LOCK)스위치(5)와, 상기 시동 록 스위치(5)의 은/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라 차량의 시간 및 시스템에 흐르는 일정전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과, 상기 제어수단(6)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전윈차단 스위치(SW1)와, 상기 전윈차단 스위치(SW1)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스타트 모터(7)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1)에서 일정전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배터리(1)에서 발생된 일정전윈에 따라 메인 퓨자 블링크(2) 및 서브 퓨자 블링크(3)에서는 일정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차량의 클럭 페달을 밟으면, 상기 클럭 페달의 동작에 따라 메인퓨자 블링크(2) 및 서브 퓨자 블링크(3)에서 발생된 일정전류는 점화 스위치(4)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 스위치(4)에서는 서브 퓨자 블링크(3)에서 발생된 일정전류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점화시키기 위해 온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되며, 상기 점화 스위치(SW1)의 온 스위칭 동작 및 운전자의 클럭 페달의 동작에 따라 시동 록 스위치(5)에서는 차량 시동을 동작시키기 위해 온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동 록 스위치(5)의 온 스위칭 동작에 따라 시스템에 흐르는 일정전류는 제어수단(5)를 통과하여 스타트 모터(7)에 전달되므로서, 상기 스타트 모터(7)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에서는 시간을 체크하면서 일정시간(예; 10초)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수단(6)에서는 전윈차단 스위치(SW1)의 스위칭 동작을 오프시키게 되며, 상기 전원차단 스위치(SW1)의 오프 동작에 따라 배터리(1)에서 공급되는 일정전윈이 차단되어 스타트 모터(7)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 살패에 따라 상기 시동을 중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6)에서의 시간측정은 점화 스위치(4)의 작동위치가 스타트 위치(START)일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으로 시동의 실패할 경우에는 시동 키이를 온(ON)위치로 원위치하면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이 차단되면서 기존의 시동 패턴이 삭제되므로 다시 재시동을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차량 재동시에 발생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성시키므로써,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발생 및 파손과 상기 발생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시키므로서, 차량의 폭발 유발 방지 및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켜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정전운을 발생시키는 배터리(1)와, 상기 배터리(1)에서 발생된 일정전윈에 따라 일정전류를 발생시키는 메일 퓨자 블링크(2) 및 서브 퓨자 블링크(3)와, 상기 서브 퓨자 블링크(3)에서 발생된 일정전류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점화시키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점화 스위치(4)와, 상기 점화 스위치(SW1)의 동작 및 클럭 페달의 동작에 따라 차량 시동을 동작시키기 위해 온/오프 동작하는 록(LOCK)스위치(5)와, 상기 시동 록 스위치(5)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라 차량의 시간 및 시스템에 흐르는 일정전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과, 상기 제어수단(6)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전원차단 스위치(SW1)와, 상기 전원차단 스위치(SW1)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스타트 모터(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 방지 장치.
KR2019950046621U 1995-12-23 1995-12-23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59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621U KR200159959Y1 (ko) 1995-12-23 1995-12-23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621U KR200159959Y1 (ko) 1995-12-23 1995-12-23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120U KR970047120U (ko) 1997-07-31
KR200159959Y1 true KR200159959Y1 (ko) 1999-11-01

Family

ID=1943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621U Expired - Lifetime KR200159959Y1 (ko) 1995-12-23 1995-12-23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9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120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0873A (ko) 차량용 도난방지 보안장치의 동작조건을 관리하기 위한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69076A (ko) 아이들 스톱 & 고 시스템 제어방법
US5848577A (en) Internal-combustion engine starter device
KR200159959Y1 (ko) 스타트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US5048503A (en) Automatic power interrupting system for vehicular control circuit
KR0184334B1 (ko) 건설중장비용 전원공급 제어장치
JP2000127903A (ja) 自動車の始動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0150244Y1 (ko) 엔진 시동장치
KR200142399Y1 (ko) 버스의 밧데리 스위치 오프로 인한 과부하 방지 장치
KR200355122Y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100422537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9990003993A (ko)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100192913B1 (ko) 자동차의 키스위치 리턴 시스템
KR100240088B1 (ko) 건설기계의 엔진 정지시 제어기의 보호장치 및 방법
JPH073018Y2 (ja) エンジン始動回路のスイツチ接点保護装置
FR2771781A1 (fr) Dispositif pour la commande d'un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KR910001674Y1 (ko) 자동차용 안전 경보 장치
KR100203500B1 (ko) 발전기의 비상정지회로
KR100217573B1 (ko) 도난 방지장치
KR0122964Y1 (ko) 시동오프시 휠타입 중장비의 밧데리 방전 방지회로
KR19980049784A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방법
KR200178369Y1 (ko) 밧데리 방전 차단장치
KR0138035Y1 (ko) 모터 과부하 방지회로
JP2004007889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チャージランプ用回路
KR19980056286A (ko) 자동차의 엔진 정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8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