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9197Y1 -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197Y1
KR200159197Y1 KR2019970005078U KR19970005078U KR200159197Y1 KR 200159197 Y1 KR200159197 Y1 KR 200159197Y1 KR 2019970005078 U KR2019970005078 U KR 2019970005078U KR 19970005078 U KR19970005078 U KR 19970005078U KR 200159197 Y1 KR200159197 Y1 KR 200159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ignal
switching circuit
auxiliary
adap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0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60913U (en
Inventor
이기범
Original Assignee
황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태 filed Critical 황경태
Priority to KR2019970005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197Y1/en
Publication of KR19980060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91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197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하나의 하우징(9) 내에 휴대폰 인터페이스(36), 모드 전환 회로(42),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16), 및 휴대폰 접속부(10)를 내장한 어댑터(2)를 휴대폰 접속부(10)에 의해 휴대폰(6)에 접속하고, 이어폰 타입의 스피커(28)와 마이크(32) 및 플러그(14)가 구비된 보조 통화 장치(4)를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16)에 접속하므로써, 휴대폰(6) 자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 통화 장치(4)에 의해 핸드 프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가 제공되고, 이로써 휴대폰에 접속되는 어댑터와 보조 통화 장치를 통해서 휴대폰의 사용자가 휴대폰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중이나 보행 중에도 핸드 프리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주행 중에 휴대폰을 사용하더라도 운전자의 두 손 모두가 사용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주행에 관한 집중력의 분산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교통 사고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hand-free device of a mobile phone, and includes a mobile phone interface 36, a mode switching circuit 42, an auxiliary call device connection portion 16, and a mobile phone connection portion 10 in one housing 9. The adapter 2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6 by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art 10, and the auxiliary calling device 4 equipped with the earphone type speaker 28, the microphone 32, and the plug 14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alling device. By connect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16, a simple hand free device of a mobile phone is provided which enables a hand-free call by the auxiliary call device 4 using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6 itself, thereby connecting to the mobile phone. The adapter and the auxiliary call device allow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to use the mobile phone freely while driving or walking while us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mobile phone, thereby greatl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it is also even with your phone, both the driver's hands can be used while driving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raffic accidents is not distributed in the driver's concentration on driving will not occur.

Description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Simple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기술 분야)(Technology field)

본 고안은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보행 중이나 차량 운전 중에 통화를 하고자 할 때 휴대폰을 핸드 프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hand free device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hand free device of a mobile phone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to use the mobile phone hand-free when you want to talk while walking or driving a vehicle. will be.

(종래 기술)(Prior art)

현재 사용중인 휴대폰은 통화자의 수요와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폰에서는 상기한 CDMA방식에 의해서 전송 매체로 전송된 신호를 가공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수신 가능한 음성으로 전환하거나, 휴대폰 사용자의 음성을 가공하여 전송 매체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is widely used for mobile phones in use in order to satisfy callers' demands and quality. In mobile phones, mobile phones are processed by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to a transmission medium using the above CDMA method. It converts into a voice that can be received by the user, or processes the voice of a mobile phone user into a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transmission medium.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폰의 대부분은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폰을 잡고 통화를 하도록 되어 있어서, 보행중이나 차량의 운전 도중에 통화를 하여야 할 경우에는 휴대폰을 한 손에 들고 통화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폰의 사용자가 양손에 짐을 들고 있을 경우에는 통화를 위하여 짐을 바닥에 내려놓고 통화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운전 중에 통화를 하게 될 경우에는 한 손으로 휴대폰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만 운전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지고 돌발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운전자의 빠른 대처가 불가능하게 되어 교통 사고의 발생률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차량 운전 중의 휴대폰 사용에 따른 교통 사고의 다발이 사회문제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Most of the mobile phones as described above are to be held in the hands of the user to talk on the phone, if you need to talk on the phone while walking or driving the vehicle, you must hold the phone in one hand. Therefor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is carrying the luggage in both han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ll should be put down on the floor for the call. In addition, when making a call while driving a vehicle, the user must drive with only one hand while holding the mobile phone with one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idence of increases. Recently, a numb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use of a mobile phone while driving a vehicle has become a social problem.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스피커와 마이크를 포함한 어댑터를 차량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하여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가 동작되도록 하는 차량용 핸드 프리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으며, 이로써 운전자가 주행 도중에 간단한 조작으로 핸드 프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a countermeasure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vehicle hand-free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an adapter includ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vehicle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o operate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s practically used. This allows the driver to make a hand-free call while driving.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핸드 프리 장치는, 차량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에 있거나 보행 중일 경우에는 핸드 프리한 통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스피커가 차량의 내부 전체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송·수신자간의 통화 내용이 차량 동승자에게 청취되어 통화의 비밀이 보장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종래의 핸드 프리 장치는 고가이므로 일반적인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and-free device for a vehicle is not only fixedly attached to the vehicle but also uses the vehicle battery as a power source, whereby a hand-free call becomes impossible when the user is outside the vehicle or walking. In addition, since the speaker outputs the caller's voice to the entire interior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are heard by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and the confidentiality of the call is not guaranteed.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hand-free device is expensive, it is economically expensive to be used by a general user.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휴대폰이 지니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하면서 또는 차량을 운전하면서 휴대폰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 휴대폰 자체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핸드 프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휴대폰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mobile phone is to be used while walking or driving a vehicle, the mobile phone is hand-free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hand 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a mobile phone user.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 장치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 는 개략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simple hand-free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imple hand free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모드 전환 신호의 파형도.3 is a waveform diagram of a mode switching signa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 : 어댑터 4 : 보조 통화 장치2: adapter 4: auxiliary calling device

6 : 휴대폰 7 : 핸드 프리 장치 접속부6: mobile phone 7: hand-free device connection

8 : 케이스 9 : 하우징8: case 9: housing

10 : 휴대폰 접속부 14 : 플러그10: mobile phone connection 14: plug

16 :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 18 : 충전 회로16: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18: charging circuit

22 : 충전 플러그 24 : 충전 플러그 접속부22: charging plug 24: charging plug connection

28 : 스피커 30 : 클립28: speaker 30: clip

32 : 마이크 34 : 와이어32: microphone 34: wire

35 : 볼륨 스위치 36 : 휴대폰 인터페이스35: volume switch 36: mobile phone interface

38 : 스위칭 회로 39: 증폭 회로38: switching circuit 39: amplifying circuit

42 : 모드 전환회로 46 : 스피커42: mode switching circuit 46: speaker

48 : 마이크 49 : 코덱48: microphone 49: codec

50 : 신호 검출 회로 52 : 레벨 검출기50: signal detection circuit 52: level detector

54 : 비교기 56 : 드라이버54: Comparator 56: Driver

58 : 모드 전환 스위칭 회로58: mode switching switching circuit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휴대폰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회로,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 및 휴대폰 접속부를 내장한 어댑터를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의해 휴대폰에 접속하고, 이어폰 타입의 스피커와 마이크 및 플러그가 구비된 와이어형 보조 통화 장치를 상기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에 접속하므로써, 필요에 따라 휴대폰 자체의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 통화 장치에 의해 핸드 프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connect a mobile phone interface, a mode switching circuit, an auxiliary call device connection unit, and an adapter having a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to a mobile phone by means of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and an earphone-type speaker, a microphone, and a plug. By connecting the wired auxiliary call device provided with the auxiliary call device connection portion, the mobile hand free device of the mobile phone can make a hand-free call by the auxiliary call device using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itself, if necessary. Is achieved.

상기 핸드 프리 장치의 어댑터에는 충전 회로와 충전 플러그 접속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별도의 충전 장치 없이 상기한 어댑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거 라이터 소켓을 통해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adapter of the hand-fre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circuit and a charging plug connection unit, thereb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of the vehicle using the adapter without a separate charging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어폰 타입의 스피커, 마이크, 및 플러그를 구비한 와이어형 보조 통화 장치; 스위칭 회로, 증폭 회로, 코덱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통화 장치와 휴대폰의 신호 레벨을 맞추는 휴대폰 인터페이스; 레벨 검출기, 비교기 및 드라이버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휴대폰 모드 신호와 핸드 프리 모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휴대폰으로 인가하는 모드 전환 회로; 상기 보조 통화 장치의 플러그가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스 회로에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 접속부에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휴대폰 접속부;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회로,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 및 휴대폰 접속부는 하나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어댑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d auxiliary telephone device having an earphone-type speaker, a microphone, and a plug; A mobile phone interface composed of a switching circuit, an amplifying circuit, and a codec, and adapted to match the signal level of the auxiliary calling device and the mobile phone; A mode switching circuit comprising a level detector, a comparator and a driver, and selectively applying a cellular phone mode signal and a hand free mode signal to the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ellular phone interface; An auxiliary call device connection portion for removably connecting the plug of the auxiliary call device to the cellular phone interface circuit; A mobile phone connecting portion for detachably electrically connecting to a simple hand free device connecting portion of the mobile phone; Wherein the mobile phone interface, the mode switching circuit, the auxiliary call device connection unit, and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are provided in one housing to constitute an adapter, and is achieved by the simple hand free device of the mobile phon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 예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imple hand free devi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merely illustrate the simple hand-free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프리 장치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 프리 장치는 크게 어댑터(2)와 와이어형 보조 통화 장치(4)로 이루어져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hand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hand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nsists of an adapter 2 and a wired auxiliary call device 4.

휴대폰(6)의 일 측에는 핸드 프리 장치의 어댑터(2)가 접속되는 핸드 프리 장치 접속부(7)가 휴대폰(6)의 케이스(8)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핸드 프리 장치 접속부(7)는 일반적으로 휴대폰(6)의 케이스(8)에 장착되는 개폐식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6, a hand free device connecting portion 7 to which the adapter 2 of the hand free device is connected is formed in the case 8 of the mobile phone 6, and the hand free device connecting portion 7 is generally used. It is cut off from the outside by an openable cover (not shown) mounted on the case 8 of the mobile phone 6.

어댑터(2)를 구성하는 하우징(9)의 휴대폰(6) 쪽 단부에는 휴대폰(6)에 결착되어 상기 핸드 프리 장치 접속부(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폰 접속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9)의 다른 쪽 단부에는 와이어형 보조 통화 장치(4)의 플러그(14)가 접속되는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9)의 또 다른 쪽 단부에는 차량의 시거 라이터 소켓(도시되지 않음)과 어댑터(2)의 후술하는 충전 회로(18)를 연결하는 충전 플러그(22)가 접속될 수 있도록 충전 플러그 접속부(24)가 형성되어 있다.At the end of the mobile phone 6 of the housing 9 constituting the adapter 2, a mobile phone connection part 10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6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and free device connection part 7. At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9, an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ng portion 16 to which the plug 14 of the wire-typ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4 is connected is formed. Optionally,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9 is charged so that a charging plug 22 connecting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circuit 18 described later of the adapter 2 can be connected. The plug connection part 24 is formed.

상기한 와이어형 보조 통화 장치(4)는 휴대폰(6)의 사용자가 보행을 하면서 또는 차량을 운전하면서 핸드 프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귀에 꽂을 수 있는 소형의 이어폰 타입으로 형성된 스피커(28)와, 일 측에 클립(30)이 장착되어 상의의 임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32)와, 상기한 마이크(3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스피커(28)를 통해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와이어(34)와, 어댑터(2)의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16)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플러그(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통화 장치(4)에는, 휴대폰(6)의 수신 감도에 따라 스피커(28)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스위치(35)가 설치될 수 있다.The wired auxiliary call device 4 is a speaker 28 formed of a compact earphone type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user's ear so that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6 can talk freely while walking or driving a vehicle. And a microphone 32 mounted at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clip 30 can be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upper side, and a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32 and a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28. And a plug 14 tha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ng portion 16 of the adapter 2. Preferably, the auxiliary call device 4 may be provided with a volume switch 35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28 according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phone 6.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핸드 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3은 모드 전환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waveform of the mode switch signal.

어댑터(2)는 휴대폰 인터페이스(36), 모드 전환 회로(42)를 포함하고, 충전 회로(18)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The adapter 2 includes a cellular phone interface 36, a mode switching circuit 42 and optionally a charging circuit 18.

휴대폰 인터페이스(36)는 휴대폰(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보조 통화 장치(4)로 통화가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휴대폰(6)과 보조 통화 장치(4)의 신호 레벨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모드 전환 회로(42)는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스(3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폰(6)에 장착된 스피커(46)와 마이크(48)를 동작시키는 휴대폰 모드 신호나 보조 통화 장치(4)에 장착된 스피커(28)나 마이크(32)를 동작시키는 핸드 프리 모드 신호를 휴대폰(6)으로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작용을 하는 회로이다.The cellular phone interface 36 serves to match the signal level of the cellular phone 6 and the auxiliary calling device 4 to enable a call from the cellular phone 6 to the auxiliary calling device 4. The mode switching circuit 42 uses a signal applied from the cellular phone interface 36 to a cellular phone mode signal or an auxiliary call device 4 that operates the speaker 46 and the microphone 48 mounted on the cellular phone 6. It is a circuit for selectively applying a hand free mode signal for operating the mounted speaker 28 or the microphone 32 to the cellular phone 6.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충전 회로(18)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시거 라이터 소켓을 이용하여 휴대폰(6)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충전하기 위한 회로이다.The charging circuit 18 optionally included is a circuit for charging a battery (not shown) of the mobile phone 6 using a cigarette lighter socket mounted inside the vehicle.

휴대폰 인터페이스(36)는 스위칭 회로(38)와 코덱(CODEC; 49)과 증폭 회로(39)로 구성된다.The cellular phone interface 36 is composed of a switching circuit 38, a codec 49, and an amplifying circuit 39.

스위칭 회로(38)는 휴대폰(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아날로그(Analog)신호인지, 디지털(Digital)신호인지를 구별하여 각각의 신호에 상응한 전송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휴대폰의 신호 방식(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탈 방식)에 관계 없이 본 고안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코덱(49)은 휴대폰(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일 경우에 스위칭 회로(38)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가 스피커(28)를 통해서 들을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증폭 회로(39)는 휴대폰(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디지털일 경우에 코덱(49)을 통해서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보조 통화 장치(4)를 통해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휴대폰(6)과 보조 통화 장치(4)의 신호 레벨을 맞추는 역할을 하고, 휴대폰(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일 경우에는 스위칭 회로(3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보조 통화 장치(4)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신호 레벨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The switching circuit 38 is configur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ellular phone 6 is an analog signal or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 the signal to a transmission path corresponding to each signal. Regardless of the method (analog method or digital method), the simple hand 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he codec 49 converts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witching circuit 38 into an analog signal so that the user can hear it through the speaker 28 when the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phone 6 is a digital signal. The amplifying circuit 39 performs an auxiliary call with the mobile phone 6 so that an analog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dec 49 can be communicated through the auxiliary call device 4 when the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phone 6 is digital. It serves to match the signal level of the device 4, and i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phone 6 is an analog signal, the signal from the switching circuit 38 can be used to make a call using the auxiliary call device 4. It plays a role of level matching.

모드 전환 회로(42)는 휴대폰 인터페이스(36)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휴대폰(6)의 스피커(46)와 마이크(48)를 동작시키는 휴대폰 모드 신호나 보조 통화 장치(4)의 스피커(28)와 마이크(32)를 동작시키는 핸드 프리 모드 신호를 형성하여 휴대폰(6)으로 인가한다. 모드 전환 회로(42)는 레벨 검출기(52), 비교기(54) 및 드라이버(56)로 구성된다.The mode switching circuit 42 is a mobile phone mode signal for operating the speaker 46 and the microphone 48 of the mobile phone 6 or the speaker 28 of the auxiliary call device 4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phone interface 36. ) And a hand-free mode signal for operating the microphone 32 are formed and applied to the mobile phone 6. The mode switching circuit 42 is composed of a level detector 52, a comparator 54 and a driver 56.

휴대폰 인터페이스(36)로부터 인가된 신호는 기준의 소정 레벨 이상의 신호를 검출하는 레벨 검출기(52)로 보내져 그 신호 레벨이 검출되어 비교기(54)로 보내지고, 비교기(54)에서는 소정 값으로 크기가 정해진 기준 전압(V)과 상기한 레벨 검출기(52)로부터 인가된 검출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드라이버(56)로 보낸다. 드라이버(56)에서는 상기 비교기(5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폰 모드 신호(P)나 핸드 프리 모드 신호(H)를 발생시켜서 휴대폰(6)으로 인가한다.The signal applied from the cellular phone interface 36 is sent to a level detector 52 that detects a signal above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reference, and the signal level is detected and sent to the comparator 54, and the comparator 54 is sized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V is compared with the magnitude of the detection voltage applied from the level detector 52 and the difference is sent to the driver 56. The driver 56 generates a mobile phone mode signal P or a hand free mode signal H by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54 and applies it to the mobile phone 6.

모드 전환 회로(4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P)(H)는 휴대폰(6)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모드 전환 스위칭 회로(58)의 스위치(60)를 동작시킨다. 상기 스위치(60)는 송신되는 신호에 베이스 밴드(Base Band)신호를 가하거나 수신되는 신호에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제거하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60)는 모드 전환 회로(4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P)(H)에 의하여 휴대폰(6)의 오디오(Audio) 처리부(64)와 상기 베이스 밴드 처리부(62)를 접속하여 휴대폰(6)의 스피커(46)와 마이크(48)를 동작시키거나, 휴대폰 인터페이스(36)와 상기 베이스 밴드 처리부(62)를 접속하여 보조 통화 장치(4)의 스피커(28)와 마이크(32)를 동작시킨다.The signal P (H) output from the mode switching circuit 42 operates the switch 60 of the mode switching switching circuit 58 configured inside the cellular phone 6. The switch 60 is connected to a base band processor 62 for applying a base band signal to a transmitted signal or removing a base band signal from a received signal, and the switch 60 is a mode switching circuit.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64 of the mobile phone 6 and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6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ignal P (H) outputted from the 42, and the speaker 46 and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phone 6 are connected. The mobile phone interface 36 and the baseband processor 62 are operated to operate the speaker 28 and the microphone 32 of the auxiliary call device 4.

그리고, 어댑터(2)가 휴대폰(6)에 접속되어 있을 동안에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시거 라이터 소켓과 상기한 충전 회로(18)를 연결하는 충전 플러그(22)를 어댑터(2)를 구성하는 하우징(9)의 충전 플러그 접속부(24)에 접속하여 하우징(9)의 내부에 배치된 충전 회로(18)를 통해서 휴대폰(6)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While the adapter 2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6,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adapter 2 includes a cigarette lighter socket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a charging plug 22 connecting the charging circuit 18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charging plug connecting portion 24 of (9) so that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6 can be charged via the charging circuit 18 disposed inside the housing 9.

상기한 휴대폰으로부터 어댑터로 인가되는 신호는 링(Ring) 신호, 키이(Key) 신호, 호(Call)신호를 포함하고, 상기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3을 통해서 상기 핸드 프리 가능한 휴대폰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signal applied to the adapter from the mobile phone includes a ring signal, a key signal, and a call signal,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free mobile phone is shown through FIG. 3 showing the waveform of the signal. Explain.

착신 신호인 링 신호(R)가 발생하여 끝나는 시점(T1) 즉, 통화가 시작되는 시점(T1)에서 모드 전환 회로는 핸드 프리 모드 신호(H)를 발생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보조 통화 장치를 사용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하고, 상기한 통화가 끝나는 시점(T2)에서는 모드 전환 회로는 휴대폰 모드 신호(P)로 전환하여 이후에 발생되는 링신호(R)를 수신자가 휴대폰의 스피커를 통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한다.At the time T1 at which the ring signal R, which is an incoming signal, ends and occurs, i.e., at the time T1 at which the call starts, the mode switching circuit generates a hand-free mode signal H so that the mobile phone user uses the auxiliary call device. At the end of the call (T2), the mode switching circuit switches to the cellular phone mode signal (P) so that the receiver can hear the ring signal (R) generated later through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

그리고, 발신 신호인 키 신호(K)가 발생되는 시점(T3)에서 모드 전환 회로는 핸드 프리 모드 신호(H)를 출력하여 휴대폰을 핸드 프리 모드로 변환하고, 통화가 끝나는 시점(T4)에서는 상기한 모드 전환 회로에서는 휴대폰 모드 신호(P)로 변환함으로써, 휴대폰을 휴대폰 모드로 전환한다.At the time T3 at which the key signal K, which is the outgoing signal, is generated, the mode switching circuit outputs the hand free mode signal H to convert the cellular phone to the hand free mode. In one mode switching circuit, the mobile phone is switched to the mobile phone mode by converting it to the mobile phone mode signal P. FIG.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에 접속되는 어댑터와 보조 통화 장치를 통해서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중이나, 보행 중에도 핸드 프리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부가적으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거 라이터 소켓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user can use the mobile phone freely while driving or walking by us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adapter and the auxiliary calling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mounted inside of the phone allows you to charge your phone's battery.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에 의하면, 휴대폰의 신호 방식에 관계 없이 휴대폰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중이나 보행 중에도 핸드 프리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주행 중에 휴대폰을 사용하더라도 운전자의 두 손 모두가 사용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주행에 관한 집중력의 분산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교통 사고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imple hand-free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the signal system of the mobile phone, the user can use the mobile phone freely while driving or walking by us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mobile phone. The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and even when using a mobile phone while driving, both hands of the driver can be us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driver's driving power is not generat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Claims (2)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에 있어서, 이어폰 타입의 스피커(28), 마이크(32), 및 플러그(14)를 구비한 와이어형 보조 통화 장치(4);A simple hand 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comprising: a wired auxiliary call device (4) having an earphone-type speaker (28), a microphone (32), and a plug (14); 상기 휴대폰(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디지털인지 아날로그인지를 검출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송 경로를 통해서 전송하는 스위칭 회로(38), 상기 스위칭 회로(38)로부터 인가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49), 상기 스위칭 회로(38)와 코덱(49)으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보조 통화 장치(4)와 휴대폰(6)의 신호 레벨을 맞추는 증폭 회로(39)로 구성된 휴대폰 인터페이스(36);A switching circuit 38 for detecting whether a signal applied from the mobile phone 6 is digital or analog and transmitting it through a transmission path corresponding thereto, and a codec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switching circuit 38 into an analog signal. A mobile phone interface 36 composed of an amplifying circuit 39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witching circuit 38 and the codec 49 to match the signal level of the auxiliary call device 4 and the mobile phone 6; 레벨 검출기(52), 비교기(54) 및 드라이버(56)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스(36)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휴대폰 모드 신호(P)와 핸드 프리 모드 신호(H)를 선택적으로 휴대폰(6)에 인가하는 모드 전환 회로(42);A level detector 52, a comparator 54, and a driver 56, and selectively selects a cellular phone mode signal P and a hand free mode signal H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cellular phone interface 36. A mode switching circuit 42 applied to 6); 상기 보조 통화 장치(4)의 플러그(14)가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스 회로(36)에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16); 및An auxiliary call device connection portion 16 to which the plug 14 of the auxiliary call device 4 is detach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llular phone interface circuit 36; And 휴대폰(2)의 핸드 프리 장치 접속부(7)에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폰 접속부(10); 를 포함하고,A mobile phone connecting portion 10 detach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and free device connecting portion 7 of the mobile phone 2; Including, 여기에서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스(36), 모드 전환 회로(42), 보조 통화 장치 접속부(16) 및 휴대폰 접속부(16)는 하나의 하우징(9) 내에 구성되어 어댑터(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The mobile phone interface 36, the mode switching circuit 42, the auxiliary call device connection 16, and the mobile phone connection 16 are configured in one housing 9 to constitute an adapter 2. Simple hand free device for mobile ph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는 충전 회로(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2)를 구성하는 하우징(2)에는 상기 충전 회로(18)와 차량의 시거 라이터 소켓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충전 플러그(22)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충전 플러그 접속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간이 핸드 프리장치.2. The adapter (2)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harging circuit (18), wherein the housing (2) constituting the adapter (2) electrically connects the charging circuit (18) and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of the vehicle. A simple hand 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a charging plug connecting portion (24) to which a charging plug (22) to be connected is detachably connected is formed.
KR2019970005078U 1997-03-19 1997-03-19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Expired - Lifetime KR2001591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078U KR200159197Y1 (en) 1997-03-19 1997-03-19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078U KR200159197Y1 (en) 1997-03-19 1997-03-19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13U KR19980060913U (en) 1998-11-05
KR200159197Y1 true KR200159197Y1 (en) 1999-10-15

Family

ID=1949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078U Expired - Lifetime KR200159197Y1 (en) 1997-03-19 1997-03-19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197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67B1 (en) * 1998-12-30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Hands-free device and calling method of mobile phon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13U (en)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674A (en) A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s o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erial communication bus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KR100338000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A2071931A1 (en) Cell switch
US20030148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JP2003125069A (en) Speaker module connectable to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159197Y1 (en) Hand free device of mobile phone
KR100359647B1 (en) Earphone type wireless telephone system
JPH06104813A (en) Radio telephone set
KR10030648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a speaker for hand- free
KR100383545B1 (en) Telephone device mounted in vehicle
KR200178691Y1 (en) Free Way Speaker System of Mobile Phone
KR200194623Y1 (en)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with wireless Earphone and Connection Switch on a Handlebar
KR19990084177A (en) Hands-free system for portablephone
KR200189884Y1 (en) A car audio for hands-free
JP2000286929A (en) Portable telephone battery charger
KR200169244Y1 (en) An additional transmission and receipt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25634Y1 (en) Hand free apparatus by wireless and wire
EP13493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JPH03262239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193178Y1 (en) The hands-free which make use of audio
KR950011081B1 (en) Hand-Free Calling Device for Cordless Phone Handheld Device
KR200226248Y1 (en) Wireless Handfree
KR200228526Y1 (en) Wireless hand-free device for hand-phone
KR200210158Y1 (en) An apparatus which connecting to receiving sound of potable radiophone automat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3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0723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7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