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7984Y1 -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 Google Patents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984Y1
KR200157984Y1 KR2019970001802U KR19970001802U KR200157984Y1 KR 200157984 Y1 KR200157984 Y1 KR 200157984Y1 KR 2019970001802 U KR2019970001802 U KR 2019970001802U KR 19970001802 U KR19970001802 U KR 19970001802U KR 200157984 Y1 KR200157984 Y1 KR 200157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ealing structure
waterproof plate
trap
toi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568U (ko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홍성철
성진드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철, 성진드림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성철
Priority to KR2019970001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98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98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 등의 설치에 따라 배수관의 상단에 일체화되도록 끼움 처리되는 별도의 연결관을 마련하고, 이에 양변기 고정용 플랜지를 일정한 간격차를 두고 나착연결시키되, 상기 간격에 방수판이 위치되어 밀폐패킹으로 긴밀하게 끼움 처리되도록 함으로 종래와 같이 양변기 및 방수판 등이 유동되어도 긴밀도가 항상적으로 유지되어 누수의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부재간의 결합에 따른 내구성 및 작업성의 향상으로 공정의 단축을 기할 수 있는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일반적으로, 오수용 배수 트랩의 구조는 첨부된 제1도에서와 같이 바닥 콘크리이트면(1)을 관통하여 정화조로 연결되는 P.V.C 합성수지재의 배수관(2)이 상기 바닥 콘크리이트면(1)의 상단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고, 그 외주면으로는 배수관(2)의 상단과 동일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모르타르가 타설되고 방수판(3)이 위치 고정된다.
이때, 방수판(3)과 배수관(2)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으로는 주로, 실리콘에 의해 씰링 처리되며, 플랜지 패킹(4a)이 평면의 외주연에 감착되는 별도의 고정용 플랜지(4)가 마련되어 상기 배수관(2)에 긴밀하게 끼움 처리된 채 방수판(3)에 고정되고, 이후 양변기 본체(5)가 위치되어 상호 긴밀하게 보올트(6)로서 체결됨으로 양변기의 오수구가 배수관(2)에 몰입되도록 함이 보편적인 설치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의 배수 트랩 구조에는 누수 발생의 우려가 현저하게 내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다.
즉, 방수판(3)과 배수관(2) 사이에 처리되는 실리콘으로 인해 작업성의 저하는 물론 장시간의 사용에 따라 그 접착성이 약화되고, 내구성이 낮아 균열과 틈이 발생되어 누수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양변기의 계속적인 사용에 따라 사용자의 하중 및 편중 사용으로 인하여 양변기 본체(5)가 유동되면 이와 동시에 방수판(3)도 움직이게 되어 전체적인 배수 트랩의 연결 구조에 간극이 발생됨으로 누수의 발생이 충분히 예견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변기 본체의 설치에 따라 배수 트랩의 작업성 및 긴밀도를 향상시키어 내구성의 향상 및 누수의 우려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 콘크리이트면 20 : 배수관
30 : 방수판 30a : 밀폐패킹
40 : 플랜지 50 : 양변기 본체
60 : 보올트 70 : 연결관
70a : 나선홈 70b : 걸림홈
상기 본 고안의 목적 및 요망 사항을 달성하기 위한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의 바닥 콘크리이트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 상단에 끼움 처리되어 바닥 콘크리이트면의 상단으로 돌출 되며, 돌출된 평면 선단의 외주연이 확대되어 있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평면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나착되며, 양변기 본체와 체결 고정되는 플랜지; 및 상기 간격에 긴밀하게 밀폐 패킹을 게재시키어 방수판이 끼움 처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는 통상의 바닥 콘크리이트면(10)을 관통한 채 정화조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관(20)이 바닥 콘크리이트면(10)보다 다소 낮도록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0)의 상단이 밀착되게 끼움 처리되어 바닥 콘크리이트면(10)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는 연결관(70)이 마련되는데, 평면 선단의 외주연이 다소 확대되어 있으며, 그 상단의 내주면으로는 나선홈(70a)이 형성되고, 하단의 외주면으로는 복수의 걸림부(70b)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닥 콘크리이트면(10)의 상단으로는 일정 두께를 유지하는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것이고, 이후 방수판(30)이 배수 트랩의 설치 공간을 남겨두고, 그 외면의 바닥면으로 설치되는 바, 상기 방수판(30)의 내주면을 긴밀하게 밀폐패킹(30a)으로 감착시킨 후 상기 밀폐패킹(30a)이 전술한 전술관(70)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관(70)의 평면으로 이와 나착되어 방수판(30)의 상단과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40)가 제공되는데, 상기 플랜지(40)의 상단으로는 충분한 밀폐성을 갖는 플랜지 패킹(40a)이 위치되며, 플랜지(40)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보올트(60)에 양변기 본체(50)가 견고하게 양변기의 오수구가 플랜지(40)의 내주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연결관(7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부(70b)에는 바닥 콘크리이트면(10)의 상부와 배수 트랩의 연결관(70)주변으로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르타르 받침판(80)을 끼움 처리하여 바닥 콘크리이트면(10)의 하단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본원은 종래, 실리콘에 의한 방수판과 배수관과의 씰링을 별도의 밀폐패킹으로서 대체하는 바, 이때 배수관의 상부로는 별도의 연결관이 위치되도록 하여 전술한 밀폐패킹을 밀착 게재시킴으로 효율적인 누수 방지가 가능해지며, 플랜지 역시 연결관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나착되어 있는 계속되는 양변기의 유동성에도 누수 방지를 위한 긴밀도의 유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립, 체결의 방식을 채택하여 공기의 단축으로 수반하는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방수판이 유동되거나, 혹은 배수관과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발생하여도 밀폐패킹 처리에 따라 누수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되는 등의 유동성을 부여받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양변기 등의 설치에 따라 배수관의 상단에 일체화되도록 끼움 처리되는 별도의 연결관을 마련하고, 이에 양변기 고정용 플랜지를 일정한 간격차를 두고 나착연결시키되, 상기 간격에 방수판이 위치되어 밀폐패킹으로 긴밀하게 끼움 처리되도록 함으로 바닥 방수판과의 긴밀도 향상은 물론 각 부재간의 결합에 따른 내구성을 높임으로 누수의 우려를 최소화한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를 제공한다.

Claims (1)

  1. 바닥 콘크리이트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 끼움 처리되어 바닥 콘크리이트면의 상단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평면 선단의 외주연이 확대되어 있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평면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나착되며, 양변기 본체와 체결 고정되는 플랜지; 및 상기 간격에 긴밀하게 밀폐 패킹을 게재시키어 방수판이 끼움 처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KR2019970001802U 1997-02-06 1997-02-06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57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802U KR200157984Y1 (ko) 1997-02-06 1997-02-06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802U KR200157984Y1 (ko) 1997-02-06 1997-02-06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68U KR19980057568U (ko) 1998-10-15
KR200157984Y1 true KR200157984Y1 (ko) 1999-10-15

Family

ID=5389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802U Expired - Lifetime KR200157984Y1 (ko) 1997-02-06 1997-02-06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9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68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408B2 (en) Non-leaking flush toilet kit
US6789275B2 (en) Non-leaking flush toilet system
US6581940B2 (en) Concrete manhole connector gasket
US3913928A (en) Resilient joint
US6519784B2 (en) Water closet seal apparatus
US5618416A (en) Roof drain
US6644670B2 (en) Sealing gaskets for water closets
CN102725456A (zh) 盥洗室座凸缘的密封
US20050108814A1 (en) Water closet connector seal
US6168208B1 (en) Seal for use with roof drains
US4832375A (en) Drainage element
KR200157984Y1 (ko) 오수용 배수 트랩의 씰링 구조
JPH08277538A (ja) 取付管の接続継手
JP5469807B2 (ja) 桝の接合構造および設置方法
JP4120547B2 (ja) 壁排水便器と排水管との接続構造
KR100444623B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840002603Y1 (ko) 양변기의 배수구용 연결 가스켓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JPS6022146Y2 (ja) 排水装置
FI86007B (fi) Takbrunn.
KR20020015528A (ko) 배수관 연결소켓 및 그 조립방법
JP2005253696A (ja) 水受けトレイ
JPH083813Y2 (ja) 地中埋設用ボックス体の止水継手
JPH0144658Y2 (ko)
JP2001049680A (ja) 台座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2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2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7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