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7680Y1 -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 Google Patents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680Y1
KR200157680Y1 KR2019960062339U KR19960062339U KR200157680Y1 KR 200157680 Y1 KR200157680 Y1 KR 200157680Y1 KR 2019960062339 U KR2019960062339 U KR 2019960062339U KR 19960062339 U KR19960062339 U KR 19960062339U KR 200157680 Y1 KR200157680 Y1 KR 200157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fiber connector
plug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174U (ko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60062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680Y1/ko
Publication of KR19980049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68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광화이버 접속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을 접속시킬 때 접속자에 광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광케이블의 끝단간의 접속과 정렬을 손쉽고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광화이버 접속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심 광섬유 접속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광섬유의 정렬을 쉽게 하고 사용기간중 안전하게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접속자들을 서로 결속하여 그 결속 및 분리함에 있어,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화이버 접속자의 구조는, 기계식 접속방법으로 광케이블을 내장한 한 쌍의 플러그를 결합하는 광화이버 접속자에 있어서,광섬유의 관통공이 형성된 광화이버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10)의 상단부로 결합되며 저면에는 탄성 스냅돌기(41)와 측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페룰(11)에 체결되는 절곡부(42)로 구성된 꺽쇠형상의 클램퍼(40)로 구성되어 광화이버 접속자를 결합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본 고안은 광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광화이버 접속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을 접속시킬 때 접속자에 광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광케이블의 끝단간의 접속과 정렬을 손쉽고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광화이버 접속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광섬유를 통해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 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자기장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차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정보화의 급속한 인식으로 보다 많은 광케이블의 선로가 요구되게 되었는데, 최근 개발되는 광케이블은 싱글 광섬유를 띠형상으로 일체화시킨 리본형 다심 광케이블을 제작하여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중간에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광케이블의 내부에는 매우 작은 직경(125㎛)으로 제작된 광섬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심선을 서로 연결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더욱이 다심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한꺼번에 다수 개의 광섬유를 연결해야 하므로 더욱 더 곤란하다.
광섬유의 접속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융착접속(Fusion splicing)방법과 기계식 접속(Mechanical Splicing)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의 융착 접속방법은 광섬유를 녹여서 접속하는 방법으로 영구접속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고가의 정밀 융착 접속장치를 사용해야 하고 전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원공급이 어려운 현장에서는 불편이 있는 반면 광특성의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기계식 광케이블 접속자는 작업의 편리성과 부가장치가 필요치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전원이 없더라도 손쉽게 접속을 할 수 있으며 광특성의 신뢰성 또한 융착접속과 거의 대등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광섬유의 파단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생된 비틀림 장력이 광섬유 클래딩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광섬유 코팅부위에서 2차 클램핑을 하는 방법이 유용하다. 또한, 2중 클램핑 기능 구현에 있어서도 1차 클램핑과 2차 클램핑 기능이 동시에 작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광섬유 접속을 위한 광케이블용 접속자는 광섬유간 접속시 정렬유지에 필요한 힘을 부가하는 클램핑 기능을 위해 특별한 공구가 사용되기 때문에 광섬유 접속작업에 있어서 원가상승 및 공구사용이 수반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클램핑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광섬유의 축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할 경우에는 광섬유가 정렬된 상태에서도 축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이 발생되므로 접속실패 및 광손실 증가의 요인을 초래한다. 이것에 대한 보완책으로 누름판이 축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밀림방지 구조를 부가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그 구현을 위한 부가장치는 소형이므로 제조 기술면에서 어려움이 따르며, 구조상으로도 취약하게 되어 있어 취급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다양한 광케이블 접속용 접속자가 특허출원 제95-38970호, 제95-71047호에 개시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5-007219호, 제95-021929호, 제95-010737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광화이버 접속자의 연결장치를 살펴보면, 종래의 광화이버 접속자는 다심 광케이블(50)의 심선이 삽입되고, 일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된 페룰(11)을 포함하는 한 쌍의 플러그(10)와, 전술한 페룰(11)을 수용하는 관통공(21)을 갖는 아답타(20)와, 내부가 빈 직사각형상을 구성하는 몸체의 양측 벽에는 각 한 쌍의 보강부재(22)가 부설되되, 그 양단부측에는 한 쌍의 플러그(10)가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자 전체를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탄성체(31)를 구비한 케이스(30)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계식 광케이블 접속자는 케이스에 결합할 때 스크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체결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어 현장에서 접속작업을 하는데 번거로움이 많았다.
또한 각각의 플러그(10)를 아답타(20)에 결합한 뒤 접속자와 아답타(20)가 고정되도록 케이스(30)속으로 삽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접속자가 결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케이스(30)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심 광섬유를 접속시키기 위한 곳에 플러그(10)를 설치하여 그 플러그(10)들을 서로 결속함에 있어 필요이상으로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심 광섬유 접속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광섬유의 정렬을 쉽게 하고 사용기간 중 안전하게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접속자들을 서로 결속하여 그 결속 및 분리함에 있어,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화이버 접속자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화이버 접속자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화이버 접속자의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플러그 11:페룰
12:연결공 20:아답타
21:관통공 22:보강부재
30:케이스 31:탄성체
40:클램퍼 41:스냅돌기
42:절곡부 50:광케이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화이버 접속자의 구조는, 기계식 접속방법으로 광케이블을 내장한 한 쌍의 플러그를 결합하는 광화이버 접속자에 있어서,
광섬유의 관통공이 형성된 광화이버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상단부로 결합되며 저면에는 탄성 스냅돌기와;
측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페룰에 체결되는 절곡부로 구성된 꺽쇠형상의 클램퍼로 구성되어 광화이버 접속자를 결합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내의 초다심 광케이블(50)이 플러그(10)의 후면에 있는 양쪽의 삽입구로 삽입된다. 또한, 광화이버 접속자 결합용 클램퍼(40)가 광화이버 접속자의 상부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용 클램퍼는 상부는 밀폐되어 있고 측면은 플러그(10)에 체결되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퍼의 저면에는 플러그에 체결되도록 탄성 스냅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광화이버 접속자가 평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로 삽입된 광케이블을 가지는 한 쌍의 플러그(10)가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자 전체를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탄성 스냅돌기(41)를 구비한 클램퍼(40)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10)내의 초다심 광케이블(50)이 플러그(10) 후면에 있는 양쪽의 삽입구로 삽입된다. 그리고 플러그(1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구로 플러그(10)의 내부로 삽입된 광케이블(50)이 정렬된다.
정렬된 광섬유다발은 다시 타측의 플러그에 정렬된 광섬유와 일치되게 되고 광화이버 접속자 결합용 클램퍼(40)가 플러그(10)의 상부를 커버하며 스냅돌기에 의해 광화이버 접속자 전체를 사방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결합용 클램퍼(40)는 플러그와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사면에 탄성 스냅돌기(41)를 가지고 또한 외부로부터 광화이버 접속자로 영향을 주는 비틀림 압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게 한다.
또한 이 클램퍼(40)는 광화이버 접속자를 탈착시 수동으로 제거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수십심이상의 초다심 광케이블(50)의 연결상태가 좋아지게 하기 위해 사면에 탄성 스냅돌기(41)를 가진 광화이버 접속자 결합용 클램퍼(40)가 광화이버 접속자 전체를 사방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광화이버 접속자로 영향을 주는 비틀림 압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게 되어 축방향으로의 밀림현상이 발생될 때 광케이블(50)의 접속실패 및 광손실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기계식 접속방법으로 광케이블을 내장한 한 쌍의 플러그를 결합하는 광화이버 접속자에 있어서,
    광섬유의 관통공(12)이 형성된 광화이버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10)의 상단부로 결합되며 저면에는 탄성 스냅돌기(41)와;
    측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페룰(11)에 체결되는 절곡부(42)로 구성된 꺽쇠형상의 클램퍼(40)로 구성되어 광화이버 접속자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다심 광케이블(50)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KR2019960062339U 1996-12-30 1996-12-30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Expired - Lifetime KR200157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339U KR200157680Y1 (ko) 1996-12-30 1996-12-30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339U KR200157680Y1 (ko) 1996-12-30 1996-12-30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74U KR19980049174U (ko) 1998-10-07
KR200157680Y1 true KR200157680Y1 (ko) 1999-11-01

Family

ID=1948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339U Expired - Lifetime KR200157680Y1 (ko) 1996-12-30 1996-12-30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6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74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1071C (en) Bend-limiting apparatus for a cable
CA1063398A (en) Optical waveguide connector
US20060263011A1 (en) Hybrid optical/electrical connector and adapter
JPH07119855B2 (ja) コネクタ装置
US4205897A (en) Fiber optic connector for single fiber
JPH11218644A (ja) 光ファイバ装置及び光ファイバ副組立体
WO2008100771A1 (en)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US62346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s
KR200157680Y1 (ko)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EP1193516A2 (en) Adapter for coupling used with fiber optic connectors
KR20040028409A (ko)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KR100207054B1 (ko) 초다심 광케이블용 컨넥터 결속체
KR100245623B1 (ko)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커넥터
KR200167148Y1 (ko)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KR200146324Y1 (ko) 정렬부재 고정핀을 갖는 다심 광 접속자조립체
KR100259267B1 (ko) 광화이버 접속자
KR200157678Y1 (ko) 광화이버 접속용 컨넥터
KR100193992B1 (ko) 기계식 광접속자 조립체
KR100272770B1 (ko) 광접속용 초다심 광커넥터조립체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KR100207056B1 (ko) 광 컨넥터 결속체
RU204638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ащивания многомодовых и одномодовых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JP2913549B1 (ja) 多心光コネクタ
KR200150790Y1 (ko) 다심 광콘넥터
JPH01262506A (ja) 多心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永久接続装置およびそ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7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