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6627Y1 -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627Y1
KR200156627Y1 KR2019970016080U KR19970016080U KR200156627Y1 KR 200156627 Y1 KR200156627 Y1 KR 200156627Y1 KR 2019970016080 U KR2019970016080 U KR 2019970016080U KR 19970016080 U KR19970016080 U KR 19970016080U KR 200156627 Y1 KR200156627 Y1 KR 200156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lutch
clutch booster
coupling structure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507U (ko
Inventor
성백내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2019970016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62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6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2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using Hall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클러치를 눌러줌으로써 유·공압 회로에 의한 클러치 판을 제어시켜 줄 때 아주 작은 힘으로도 클러치 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유·공압 배압 시스템에서 외부로 노출된 전선을 통하여 브라킷에 내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유체의 침투를 막고 회전 결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선의 비틀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선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고 전선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과 브라킷의 결합 부분을 에폭시 처리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며 전선의 비틀림을 막을 수 있으며 방수성이 양호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서 클러치를 눌러줌으로써 유·공압 회로에 의한 클러치 판을 제어시켜 줄 때 아주 작은 힘으로도 클러치 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유·공압 배압 시스템에서 외부로 노출된 전선을 통하여 브라킷에 내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유체의 침투를 막고 회전 결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선의 비틀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는, 운전자가 운행중 클러치를 밟으면 유·공압이 제공되어 클러치 부스터 작동 감지 센서 내의 샤프트를 이동시켜 유·공압 압력이 증가되고, 이 압력이 외부로 방출되어 클러치 판을 밀어 준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정단면도이다.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볼트 상에 형성된 전선 삽입 구멍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유·공압 주입구를 통하여 압력이 클러치 부스터 내부로 제공된다.
그리고, 클러치 부스터 내부에서 센서(120)는 상기 유·공압 주입구를 통하여 입력된 공기압에 따라 샤프트(20)를 좌우 운동시켜 내부 압력을 증가시킨 다음, 출구를 통하여 증강된 유·공압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서, 클러치 판이 밀려서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 센서의 결합구조(120)는 전체 어셈블리와 내부의 형상 및 구조물을 고정하고 보호하는 바디(10)가 외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을 작동할 때 좌우 운동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좌우 운동되는 샤프트(20)에 고정된 자석(30)과, 상기 자석(30)을 통하여 제공되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변위를 검출하는 센서를 고정시키고 상기 바디(10)에 고정되는 인쇄 회로 기판(4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는 상기 자석(30)이 클러치를 밟음에 따라 제공된 압력에 의한 변위를 검출하는 홀(Hall) IC(60)와, 상기 홀 IC(60)의 신호를 판독하여 전달하는 전선(70)이 납땜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쇄 회로 기판(40)을 내장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브라킷(50)은 O 형의 링(110)을 조립한 상기 바디(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70)을 지지하고 내부 방수를 하기 위한 볼트(80)와, 상기 전선(70)과 상기 볼트(80)의 사이에 삽입되어 방수역활을 지지하는 고무로 된 패킹(82)과, 상기 고무 패킹(82)이 상기 볼트(8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와셔(84)가 압입된다.
또한, 각종 부품을 상기 바디(10)에 조립하기 위한 각종 스크류(90)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핀(10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에 고정되는 자석(30)은 운전자에 의한 클러치의 조작에 의해 압력을 받아 이동되어 홀 IC(60)를 통하여 변위 신호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100)은 클러치 페달을 운전자가 밟았을 때 좌우 운동되는 샤프트(20)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고 좌우 방향으로만 압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40) 기판은 상기 홀 IC(6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클러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70)이 납땜되어 상기 바디(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80)에는 상기 브라킷(50)에 나사 식으로 조립되는 전선(70) 구멍이 있기 때문에 방수 유지를 위하여 고무 패킹(82)이 설치되고, 상기 고무 패킹(8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와셔(84)가 상기 볼트(80)에 결합 조립된다.
이때, 상기 볼트(80)가 결합되는 브라킷(50)은 방수를 하기 위하여 O 형으로 된 링(110)이 결합된 상기 바디(10)에 스크류(90)를 통하여 결합되어 방수역활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는, 상기 홀 IC와 상기 전선이 납땜된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바디에 결합할 때에, 스크류를 통하여 조립한 다음에도 방수를 위하여 볼트 내부에 고무 패킹을 압입하고, 상기 고무 패킹에 전선을 삽입한 다음 와셔를 다시 상기 볼트에 코킹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됨으로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지고 조립 공정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클러치 부스터의 분해 시에는 전선을 자른 후에 작업을 실시하든지 또는 와셔를 강제로 구겨서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볼트는 브라킷에 나사 조립식으로 회전 조립됨에 따라 전선이 비틀리게 되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전선이 납땜되기 때문에 인쇄 회로 기판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선과 브라킷의 결합 부위를 일체형으로 된 간단한 구조를 이루어 방수 처리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정단면도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선 삽입용 볼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20 : 샤프트
30 : 자석 40 : 인쇄 회로 기판
50 : 브라킷60 : 홀 IC
70 : 전선 80 : 볼트
82 : 패킹84 : 와셔
90 : 스크류100 : 가이드 핀
110 : 링120 : 센서
130 : 에폭시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는, 적어도 변위를 검출하는 홀 IC를 장착한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고정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브라킷과,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러치 부스터 센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선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유체가 내부로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선과 브라킷 사이를 에폭시 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는 같은 것으로 사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부스터를 작동하는 감지 센서(120) 중에 전체 어셈블리와 내부의 형상 및 구조물을 고정하고 보호하고 O 형의 링(110)이 조립 결합되는 바디(10)가 클러치 부스터의 외부에 장착되는 것과, 클러치 부스터를 작동할 때 좌우 운동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좌우 운동되는 샤프트(20)에 고정된 자석(30)및 상기 자석(30)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디(10)에 고정되어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인쇄 회로 기판(40)이 결합되는 것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40)을 고정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브라킷(50)과, 상기 자석(30)이 압력을 받아 변동된 변위를 검출하는 홀 IC(60)와, 상기 홀 IC(60)가 신호를 판독하면 이를 전달하는 전선(70) 등이 설치되는 구성은 종래와 동일함으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에서는 상기 전선 주위를 방수하기 위하여 전선과 브라킷의 결합 부분을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에폭시 처리를 한 점이 다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 의 센서 결합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는 홀 IC(60)와 전선(70)이 납땜되는 인쇄 회로 기판(40)은 스크류(90)에 의하여 브라킷(50)에 조립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선(70) 주변의 방수를 위하여 상기 전선(70)과 상기 브라킷(50)의 사이에 화학 물질을 이용하여 에폭시(130) 처리하여 결합한다.
또한, 각종 부품류가 조립되는 상기 브라킷(50)은 스크류(90)를 통하여 O 형의 링(110)이 부착된 상기 바디(10)에 결합되어 방수 작용을 돕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클러치 부스터 센서의 결합구조는 구조가 간단해지고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볼트 구멍의 내부로 전선을 삽입시키던 것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에폭시 처리함으로써 방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에 의하면, 불량 발생시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조립 공수 및 부품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전선의 조립에 있어 바디와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하는 동시에 표면을 에폭시 처리함으로써 방수를 철저히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변위를 검출하는 홀 IC를 장착한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고정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브라킷과,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선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유체가 내부로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선과 브라킷 사이를 에폭시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KR2019970016080U 1997-06-27 1997-06-27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56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080U KR200156627Y1 (ko) 1997-06-27 1997-06-27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080U KR200156627Y1 (ko) 1997-06-27 1997-06-27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07U KR19990002507U (ko) 1999-01-25
KR200156627Y1 true KR200156627Y1 (ko) 1999-09-01

Family

ID=1950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080U Expired - Lifetime KR200156627Y1 (ko) 1997-06-27 1997-06-27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6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07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2063B2 (ja) トラクション制御および/または運転力学制御用ブレーキスリップ制御および/または自動ブレーキ管理装置を有する自動車用液圧式ブレーキシステム
KR100294357B1 (ko) 전자유압제어식자동트랜스미션의제어장치
JP4959058B2 (ja) 弁コイル支持体
CN107585153A (zh) 用于集成动力制动设备的致动器总成
US7594452B2 (en)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70261352A1 (en) Sensor unit for determining a rotor position of a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motor, preferably for a clutch actuator of a clutch actuat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US20020166410A1 (en) Vehicle speed sensor mounting structur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H07200983A (ja) 測定値発信器及び該測定値発信器を組み立てる方法
KR20000022784A (ko) 작동 구동자를 가지는 구동 장치
KR102811960B1 (ko) 구동 트레인의 작동을 위한 구동부의 설계 개념
US20060257268A1 (en) Hydraulic pump or hydraulic motor having a rotation speed sensor
KR19990082660A (ko) 자동 전동 장치용 제어 장치
KR200156627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부스터의 센서 결합구조
US5394081A (en) Rotary pulse generator
JP3948078B2 (ja)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3889362B2 (ja) 動力車用の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WO2016136362A1 (ja) モータ装置
JP4135264B2 (ja) 圧力センサの固定構造
JP7490092B2 (ja) 液圧アッセンブリおよび液圧アッセンブリを組み立てる方法
JP2002221529A (ja) 回転センサ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190030322A (ko) 모터의 전원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통합 브레이크 장치
JP2001088552A (ja) パワーウインドウ制御装置
US6445081B1 (en) Lock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vehicles
CN111828623B (zh) 驻车执行机构
KR20030055309A (ko)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05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6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