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6218Y1 - 구이팬 - Google Patents

구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218Y1
KR200156218Y1 KR2019960041705U KR19960041705U KR200156218Y1 KR 200156218 Y1 KR200156218 Y1 KR 200156218Y1 KR 2019960041705 U KR2019960041705 U KR 2019960041705U KR 19960041705 U KR19960041705 U KR 19960041705U KR 200156218 Y1 KR200156218 Y1 KR 200156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plate
support
temperature
roast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172U (ko
Inventor
정경원
Original Assignee
권순신
주식회사코스모전기
정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신, 주식회사코스모전기, 정경원 filed Critical 권순신
Priority to KR2019960041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218Y1/ko
Publication of KR970004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21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고기류를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대부분의 구이판은 가열수단의 온도에 따라 그 표면온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가열수단의 온도를 조절하여 구이판의 표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않으면 고기가 타버리게 되어 효과적인 구이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구이판(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원판(20)의 내부 외곽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21)를 형성하되, 구이판(10)의 하부 둘레에 받침원판(20)의 요입부(21)에 위치되는 다수의 냉각날개편(11)를 형성하여 요입부(21)에 채워진 물을 통해 구이판(10)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구이판(10)이 냉각날개편(11)을 통해 냉각되어 요입부(21) 및 제2 받침원판(30)에 채워진 물의 온도에 접근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고기가 타지 않고 맛있게 구워지게 되어 제품의 상품성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리후에 구이판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되는 등 사후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구이팬
본 고안은 각종 고기류를 효과적으로 구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구이판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기가 타지 않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나 소고기 등의 고기류를 구워먹을 때는 원형이나 장방형의 구이판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 보통인 바, 종래의 대부분의 구이판은 가열수단의 온도에 따라 그 표면온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가열수단의 온도를 조절하여 구이판의 표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않으면 고기가 타버리게 되어 효과적인 구이를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구이판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이판의 하부에 받침원판을 설치하고, 받침원판의 외곽둘레에 마련한 요입부에 물을 채워넣어 가열수단의 복사열 중의 일부를 요입부의 물을 통해 빼앗아 구이판에 전달되는 복사열을 감소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조에 있어서도 받침원판은 가열수단에 작용할 뿐이고, 직접적으로 구이판에 작용하여 구이판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구이판이 과열될 우려가 많게 되고, 그에 따라 고기가 타게 되는 현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가열수단을 통해 가온되는 구이판을 과열됨 없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각종 고기류를 타지 않게 구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팬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의 구이판에 형성된 연소공의 상세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구이팬 10 : 구이판
11 : 냉각날개편 12 : 돌기
13 : 연소공 20 : 받침원판
21 : 요입부 22 : 개구부
23, 24 : 받침단턱 25 : 통공
30 : 제2받침원판 31 : 개구부
32 : 손잡이 40 : 뚜껑
50 : 덮개원판 51 : 물주입구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이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원판의 내부 외곽에 물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를 형성하되, 구이판의 하부 둘레에 받침원판의 요입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냉각날개편을 형성하여 요입부에 채워진 물을 통해 구이판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간다.
즉, 보안은 도1에서 도4까지와 같이 물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21)가 내부 외곽에 형성된 받침원판(20)이 구이판(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이판(1)에 있어서, 상기 받침원판(20)의 하단에 제2받침원판(30)을 설치하고, 상기 상기 구이판(10)의 하단 외곽에 받침원판(20)의 요입부(21)에 위치되는 다수의 냉각날개편(11)을 방사상으로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이판(10)은 솥뚜껑처럼 외곽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무수한 돌기(12)가 형성되고, 각 돌기(12)의 중앙에 연소공(13)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상단 중앙에 원통형의 손잡이(14)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10)이 올려지는 받침원판(20)은 그의 내부 외곽에 형성되는 요입부(21)의 안쪽에 개구부(22)가 마련되는 것으로 , 요입부(21)의 내측 상부에 구이판(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단턱(23)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뚜껑(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단턱(24)이 형성되며, 요입부(21)의 하단에 후술할 제2받침원판(30)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25)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받침원판(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2받침원판(30)은 그의 내부 중앙에 개구부(31)가 마련되고, 개구부(31)의 외측 둘레부위가 받침원판(20)과 접착되며, 그의 외주 양측에 구이판(1) 전체를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2)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제2받침원판(30)의 상단에 링형의 덮개원판(50)을 설치할 수 있는 바, 이 덮개 원판(50)의 내부 일측에는 제2받침원판(30)을 통해 받침원판(20)의 요입부(21)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5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가열수단의 열을 제2받침원판(30)의 개구부(31)와 받침원판(20)의 개구부(22)를 통해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10)의 하단 중앙부에 직접 닿게 하여 구이판(10)의 상단에 올려진 각종 고기류를 구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가스레인지나 그 밖의 가열수단으로부터의 화염 및 열이 제2받침원판(30)의 개구부(31) 및 받침원판(20)의 개구부(22)를 통해 구이판(10)의 바닥면 중앙부로 전달되면 구이판(10)의 상단에 형성된 무수한 돌기(12)마다에 형성된 각 연소공(13)을 통해 연소 2차공기가 공급되며, 구이판(10)의 상단면에 고르게 올려진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은 솥뚜껑의 구이판(1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받침원판(20)의 요입부(21)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덮개원판(50)의 물주입구(51)를 통해 제2받침원판(3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하게 되면 제2받침원판(30)에 채워지는 물이 받침원판(20)의 통공(25)을 통해 받침원판(20)의 요입홈(21)에 채워지게 되며, 요입부(21)에 위치하는 구이판(10)의 냉각날개편(11)이 물에 닿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구이판(10)이 냉각날개편(11)을 통해 냉각되어 요입부(21) 및 제2받침원판(30)에 채워진 물의 온도에 근접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고기가 타지 않고 맛있게 구워지게 된다.
한편 조리중에는 제2받침원판(30)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원판(50)의 물주입구(51)를 통해 받침원판(20)의 요입부(21) 및 제2받침원판(30)의 내부에 조리시 증발되는 물을 수시로 보충할 수 있게 되며, 이 덮개원판(50)도 받침원판(20) 및 제2받침원판(30) 등 주변부품에 의해 대략 섭씨 70~80도 정도로 가열되므로 그 상단 둘레에 구워진 고기를 올려놓게 되면 일정온도로 구워진 고기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항상 먹기에 알맞은 온도로 고기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있어서 받침원판(20)의 내상부에 뚜껑(40)을 결합하여 구이판(10)의 상부를 밀폐하면 조리물에 연기가 배여들게 되어 훈제 특유의 맛을 낼 수 있게 되면, 열손실이 적게 되어 신속한 조리를 할 수 있게 되고,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10)을 통해 기름을 제거하면 서 고기류를 구을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구이판(10)의 표면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고기류를 타지 않게 구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구이판에 형성된 무수한 연소공을 통해 가열수단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구이판의 온도를 일정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되고, 일정온도로 가온된 구이판이 더이상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각종 고기류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타지 않은 상태로 보다 맛있게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구이판에 고기가 달라붙거나 찌꺼기나 남지 않게 되므로 조리후에 구이판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되는 등 사후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요입부(21)가 중앙 개구부(22)의 외곽에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21)의 내측상부에 상기 구이판(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단턱(2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뚜껑(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단턱(24)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21)의 하단에 제2받침원판(30)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25)이 형성되는 제1받침원판(20)과 상기 받침원판(20)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개구부(31)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31)의 외측 둘레부위가 제1받침원판(20)과 접착되는 제2받침원판(30)과 상기 받침원판(20)의 받침단턱(23)의 상부에 설치되며 솥뚜껑처럼 외곽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각을 이용하여 탈지 통로를 형성하는 구이판(10)과 상기 구이판(10)의 하단 외곽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원판(20)의 요입부(21)에 위치되는 다수의 냉각날개편(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원판(20)의 받침단턱(24)의 위에 놓여져 구이판(10)의 상부를 밀폐함으로써 돌기(12)의 연소공(13)으로부터 나오는 연소연기가 조리물에 베어들게 하여 훈제 특유의 맛을 내도록 하는 뚜껑(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원판(30)의 상단에 설치되며, 물주입구(51)가 내부 일측에 마련된 링형의 덮개 원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팬.
KR2019960041705U 1996-11-25 1996-11-25 구이팬 Expired - Lifetime KR200156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705U KR200156218Y1 (ko) 1996-11-25 1996-11-25 구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705U KR200156218Y1 (ko) 1996-11-25 1996-11-25 구이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172U KR970004172U (ko) 1997-02-19
KR200156218Y1 true KR200156218Y1 (ko) 1999-09-01

Family

ID=1947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705U Expired - Lifetime KR200156218Y1 (ko) 1996-11-25 1996-11-25 구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2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861A (ko) * 2002-04-23 2002-07-31 주식회사 이세이브 절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172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73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US5782165A (en) Multi-purpose cooking apparatus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200477614Y1 (ko) 구이용 불판
JPH0576843B2 (ko)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156218Y1 (ko) 구이팬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0482948B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불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CN220588113U (zh) 烹饪装置及热源保护部件
KR200230534Y1 (ko) 직화 구이판
JPS5940915Y2 (ja) 食品焼成装置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100565123B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조리기구
KR20190113168A (ko) 구이팬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212904Y1 (ko) 육류 구이판
KR200181793Y1 (ko) 구이팬
KR200222818Y1 (ko) 바베큐 용기
KR100344180B1 (ko) 고기 조리판
KR200370080Y1 (ko) 고온가스와 수증기의 혼합기를 이용하는 태움 방지고기구이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1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12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112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02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6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