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6012Y1 -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012Y1
KR200156012Y1 KR2019960031502U KR19960031502U KR200156012Y1 KR 200156012 Y1 KR200156012 Y1 KR 200156012Y1 KR 2019960031502 U KR2019960031502 U KR 2019960031502U KR 19960031502 U KR19960031502 U KR 19960031502U KR 200156012 Y1 KR200156012 Y1 KR 200156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use holder
clip
holder
hold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101U (ko
Inventor
박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31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012Y1/ko
Publication of KR19980018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퓨즈홀더장치에 의하면 외부와 노출된 상태의 퓨즈클립(14)의 통전에 의한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또 퓨즈(16)를 교체할 때에 전원을 차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상기 퓨즈(16)를 결합 분리하는데 있어 손으로 잡아서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 결합 분리에 어려운 문제점 등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한 것으로서 메인 회로, 기판(10)에 형성되는 삽입구멍(10a)과 단자삽입구멍(10b)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8a)와 퓨즈 클립단자(18b)가 형성되고 한쪽측면이 개방된 내부에 퓨즈(16)가 끼워지는 퓨즈클립(14)을 갖는 박스형상의 퓨즈홀더(18); 상기 퓨즈홀더(18)의 개방된 측면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퓨즈(16)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퓨즈 고정부분(20a)이 융기되고 상단에 손잡이(20b)가 마련되어 있는 퓨즈 홀더커버(20)로 구성하여 외부와의 노출이 완전히 차단되게 하여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며 또 퓨즈를 교환할 때 전원차단이 필요없이 작업에 임할 수 있는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이시알의 퓨즈홀더 장치
본 고안은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쪽 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퓨즈홀더에 커버를 조립하기만 하면 퓨즈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이시알의 전반적인 작동을 통제하는 메인 회로기판은 메인 샤시 내부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는 덱크 어셈블리가 안착 설치되어 있고 안테나보드 등과 같은 각종 부품 및 회로단자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회로기판의 후방에는 퓨즈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퓨즈홀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퓨즈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할 때 과전압에 의한 브이시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 회로기판(16)의 후방에 한 쌍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퓨즈클립(14)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한쪽에는 상기 퓨즈클립(14)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파워코드(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퓨즈클립(14)은 상부에 원통형의 퓨즈(16)를 탄력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부(14a)가 유선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하부로 단자(18b)가 융기되어 있다. 상기 퓨즈클립(14)의 단자(18b)는 상기 메인 회로기판(10)의 단자삽입구멍(10b)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퓨즈클립(14)에 장착되는 퓨즈(16)는 가느다란 원통형상의 유리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은 도체에 의해 감싸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퓨즈홀더장치는 퓨즈(16)를 장착시킬 때 퓨즈(16)의 도체부(16a)가 퓨즈클립(14)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를 바로잡고 그 상부에서 삽입방식으로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퓨즈클립(14)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퓨즈(16)가 삽입되기 시작하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되다가 상기 퓨즈(16)가 퓨즈클립(14)의 탄성 지지부(14a)내로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어 퓨즈(16)를 고정시킨다.
상기 퓨즈(16)를 퓨즈클립(14)에 장착시킬 때에는 전원을 차단한 후에 작업을 실시하여 통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퓨즈클립(14)은 전원이 연결되는 순간부터 통전이 되고 이 부분은 외부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시 감전의 위험이 있으며 상기 퓨즈클립(14)의 통전부위에 비닐캡 등을 씌워서 통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이런 경우 비닐캡의 결합분리 및 상기 퓨즈(16)의 장착에 어려움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상기 퓨즈(16)를 교환할 때에는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원을 차단한 후에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퓨즈홀더의 한쪽측면에 퓨즈가 끼워진 커버를 닿으면 퓨즈홀더의 퓨즈클립에 커버의 퓨즈가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외부와의 노출이 완전히 차단되게 하여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며 또 퓨즈를 교환할 때 전원차단이 필요없이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퓨즈홀더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3(a)(b)도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홀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회로기판 10a : 삽입구멍
10b : 단자 삽입구멍 12 : 파워코드
14 : 퓨즈클립 14a : 탄성지지부
16 : 퓨즈 16a : 도체부
18 : 퓨즈홀더 18a : 고정부
18b : 클립단자 20 : 퓨즈홀더커버
20a : 퓨즈삽입돌기 20b : 손잡이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메인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삽입구와 단자삽입구멍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퓨즈클립단자가 형성되고 한쪽측면이 개방된 내부에 퓨즈가 끼워지는 퓨즈클립을 갖는 박스형상의 퓨즈홀더; 상기 퓨즈홀더의 개방된 측면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퓨즈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퓨즈고정부분이 융기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퓨즈홀더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3(a)(b)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퓨즈홀더장치는 한쪽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퓨즈클립(14)을 갖으며 외부 하단표면에 고정부(18a)와 퓨즈 클립단자(18b)를 갖는 퓨즈홀더(18)와, 상기 퓨즈홀더(18)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되며 이 결합부분에 퓨즈(16)를 고정할 수 있는 퓨즈삽입돌기(20a)가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20b)가 마련된 퓨즈홀더커버(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퓨즈홀더(18)는 길다란 사각박스형상을 하고 있으며 한쪽측면만이 개방되고 그 이외의 면은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퓨즈홀더(18)의 내부에는 퓨즈클립(14)이 일정한 거리로 떨어진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8a)는 퓨즈홀더(18)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회로기판(10)의 삽입구멍(10a)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로 융기되고 그 끝단부분이 각각 양측으로 융기된 화살표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18a) 이외에도 퓨즈홀더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다양하며 그 예로는 상기 메인 회로기판(10)에 핀 이음이나 나사체결 등을 들 수 있고 또 상기 퓨즈홀더(18)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 양쪽 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겠다.
상기 퓨즈클립단자(18b)는 퓨즈클립(14)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메인 회로기판(10)의 단자삽입구멍(10b)에 삽입되도록 하부로 융기된 가느다란 막대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퓨즈홀더커버(20)의 상단에는 손으로 잡았을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간격의 요철을 갖는 손잡이(2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퓨즈삽입돌기(20a)는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퓨즈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퓨즈(16)를 삽입시켰을 경우 퓨즈(16)의 도체부(16a)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메인 회로기판(10)의 삽입구멍(10a) 위에 퓨즈홀더(18)의 고정부(18a)를 위치시키고 눌러 삽입시킨다. 이때 퓨즈홀더(18)의 고정부(18a)는 삽입구멍(10a)으로 들어가면서 오므라들다가 완전히 삽입되는 시점에서 원상태로 복귀되어 메인 회로기판(10)과 결합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부(18a)의 근처에 형성된 퓨즈클립단자(18b)들도 각각의 단자삽입구멍(10b)으로 삽입되며 이 퓨즈클립단자(18b)는 납땜으로 상기 메인 회로기판(10)과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퓨즈홀더커버(20)의 퓨즈삽입돌기(20a)에 퓨즈(16)를 삽입하되 이때 삽입되는 퓨즈(16)는 양측의 도체부(16a)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퓨즈홀더커버(20)의 상단에 마련된 손잡이(20b)를 잡고 상기 퓨즈홀더(18)의 개방된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퓨즈홀더(18)의 퓨즈클립(14)과 퓨즈홀더커버(20)의 퓨즈(16) 양측 도체부(16a)가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0b)를 수직으로 누르면 퓨즈(16)가 퓨즈클립(14)으로 끼워져 장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퓨즈홀더(18)와 커버(20)와의 사이에는 별다른 결합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퓨즈(16)가 퓨즈클립(14)에 장착됨에 의해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는 종래의 퓨즈홀더장치에서 외부와 노출되어 있어 감전사고의 위험을 갖고 있으며 또한 퓨즈를 교환할 때에 전원을 차단해야 하는 불편함과 또 퓨즈교체의 어려움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통전부분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감전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통전시에도 퓨즈의 교체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또 퓨즈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브이시알의 메인 회로기판(10)상에 설치되는 퓨즈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로기판(10)에 형성되는 삽입구멍(10a)과 단자삽입구멍(10b)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8a)와 퓨즈 클립단자(18b)가 형성되고 한쪽측면이 개방된 내부에 퓨즈(16)가 끼워지는 퓨즈클립(14)을 갖는 박스형상의 퓨즈홀더(18); 상기 퓨즈홀더(18)의 개방된 측면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퓨즈(16)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퓨즈 고정부분(20a)이 융기되고 상단에 손잡이(20b)가 마련되어 있는 퓨즈홀더커버(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의 퓨즈홀더장치.
KR2019960031502U 1996-09-25 1996-09-25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KR200156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502U KR200156012Y1 (ko) 1996-09-25 1996-09-25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502U KR200156012Y1 (ko) 1996-09-25 1996-09-25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101U KR19980018101U (ko) 1998-07-06
KR200156012Y1 true KR200156012Y1 (ko) 1999-09-01

Family

ID=1946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502U KR200156012Y1 (ko) 1996-09-25 1996-09-25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0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1822A (zh) * 2019-04-30 2019-08-23 联想图像(天津)科技有限公司 热熔断器安装结构、热熔断器组件、定影单元及打印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2626A (zh) * 2019-05-11 2020-11-27 阜阳师范学院 一种便于拆装的保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1822A (zh) * 2019-04-30 2019-08-23 联想图像(天津)科技有限公司 热熔断器安装结构、热熔断器组件、定影单元及打印机
CN110161822B (zh) * 2019-04-30 2021-09-10 高德品创(山东)科技有限公司 热熔断器安装结构、热熔断器组件、定影单元及打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101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482B1 (ko) 전기 기능 소자들의 연결을 위한 연결 지지부
US4800358A (en) Fuse
KR960028721A (ko) 카드수납 커넥터용 만능 접지 클립
KR200156012Y1 (ko) 브이시알의 휴즈홀더 장치
KR100664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io 리셉터클 조립체
JPH01100841A (ja) スナップオンヒューズカバー
US4480245A (en) Electric cutout
KR200248172Y1 (ko) 휴대폰 충전기의 단자 고정구조
KR200447915Y1 (ko) 퓨즈를 갖는 릴레이
KR200173819Y1 (ko) 커넥터의 퓨즈설치구조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CA2279442C (en) An in-line switch assembly
KR960002441Y1 (ko) 안전콘센트
KR200402430Y1 (ko) 서지흡수장치를 갖는 전자접촉기
JPH0741948U (ja) ヒューズホルダー
KR200144480Y1 (ko) 와이어 콘넥터의 단자 유동 방지구조
KR200239200Y1 (ko) 보호커버를 구비한 스위치 유니트
KR910001772Y1 (ko) 휴즈, 터미날블록
KR0120266B1 (ko) 캠코더용 ac 어댑터의 바테리 접점
KR0152752B1 (ko) 링크용 커넥터
KR940010906B1 (ko) 평형 퓨우즈의 부착구조
KR200260354Y1 (ko) 전동공구용 트리거 스위치
KR200404084Y1 (ko) 교육용 리드선의 연결구조
JPH06338361A (ja) コネクタ
KR200196965Y1 (ko) 전자 개폐기용 여자코일 어셈블리의 단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9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11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6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