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4629Y1 - 망치의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망치의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629Y1
KR200154629Y1 KR2019960040205U KR19960040205U KR200154629Y1 KR 200154629 Y1 KR200154629 Y1 KR 200154629Y1 KR 2019960040205 U KR2019960040205 U KR 2019960040205U KR 19960040205 U KR19960040205 U KR 19960040205U KR 200154629 Y1 KR200154629 Y1 KR 200154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nail
bag
hammering
center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560U (ko
Inventor
김태철
Original Assignee
김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철 filed Critical 김태철
Priority to KR2019960040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629Y1/ko
Publication of KR970004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62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25D1/04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with provision for withdrawing or holding nails or sp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망치의 구조에 관한분야.
2.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 망치는 무게중심이 타격부쪽에 있지 아니하고 망치중심선과 자루중심선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구성이면서 망치질시 정확성이 떨어지고 힘이 많이 들었으며, 자루삽입이 견고할수 없는 구성이어서 자루와 결합부위가 쉽게 부러지거나 빠지는 경우등 많은 결함이 따랐던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망치를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하여 망치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적은 힘으로도 쉽게 못을 박을수 있으며, 손으로 못을 잡고 망치질하기 힘든 비교적 높은 곳의 못질도 용이하게 하는 망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못을 박거나 빼는 망치로 사용됨.

Description

망치의 개량구조
망치질이 보다 정확하고 쉽게 이루어지면서 적은 힘으로도 못을 보다 쉽고 신속하게 박을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하고, 손이 잘 닿지 않는 비교적 높은곳에도 못을 박기가 용이토록 하여 망치의 신뢰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고안은 망치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종래의 망치구조는 타격부와 못빼는부분이 같은 비율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타격부 보다 못빼는 부분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망치질을를 할 때 망치자체의 무게중심이 자연적으로 타격부에 있지 못하고 못빼는 부분에 있게 되어 못을 박기가 수월하지 못하였을 뿐더러 헛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고 또 못을 박을때 큰 망치에 비하여 수회이상 더 박아야 함으로 힘이 많이 들었던 것이다.
물론, 못을 박을 때 머리가 큰 망치를 사용하면 보다 빨리 박을수도 있지만 이 경우 망치자체의 무게가 제법 나가는 것이어서 들고 사용하기 힘든 폐단이 따르고, 또 타격부분에 망치의 무게중심이 쏠리도록 형성하여도 되지만 이리할 경우 못빼는부분이 상대적으로 짧아져서 박힌 못들을 잡아빼기가 너무 힘들어지는 폐단이 따르기에 어쩔수 없이 못빼는 부분이 타격부 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할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망치는 망치와 자루의 중심선이 수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어 망치질을 할 때 원호상으로 작용하는 팔의 상태를 완전히 무시한 상태이어서 타격부가 못의 머리를 정확하게 타격하기가 곤란한 것이기에 망치질이 매우 힘들었던 것이다.
그리고 망치의 자루삽입공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곳에 목재등으로 된 자루를 끼울 때 자루선단주연부가 깎이면서 삽입되어 견고한 조립이 되니 못하고 이에따라 사용할 때 자루로부터 망치가 잘 빠지거나 자루의 목부분이 꺾여부러지는 폐단도 따랐고 손이닿기 힘든 높이(못을 때려박을수 있는 높이이면서도 망치를 들지 않은 다른 한손으로 못을 잡고 있기 어려운 높이를 말함)에 못질을 할때는 그다지 높지 않은 높이이면서도 받침대를 밟고 올라가 박아야 하는등의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도 따랐던 것이다.
본고안은 위와같은 종래 망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코져 안출한 것으로서, 특히 망치를 인체공학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타격부가 못빼는부분 보다 길게하여 무게중심이 타격부로 쏠리도록 형성하면서도 못빼는부분의 마찰면의 길이 또한 매우 길어지도록 망치중심 하측까지 접지면을 형성시키고, 망치의 중심이 자루 중심보다 2∼5°정도 안쪽에 위치토록 망치의 기울기를 조성하며 타격부 전면이나 또는 못빼는부분 안쪽면에 못취부구조를 형성하여 못을 쥐고 박기 곤란한 정도의 높이에도 망치자체에 손쉽게 못을취부하여 박을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망치에 형성되는 자루삽입공을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자루를 삽입할 때 자루선단부 외주면이 전혀 깍이지 않고 삽입되면서 오히려 다져지게 하여 보다 견고한 구성이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본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망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망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망치 2 : 타격부
3 : 망치중심선 4,4a : 자루삽입공
5,5a : 못㉰는 부분 6 : 접지면
7,7 : 못 8 : 못취부요홈
9,9' : 못머리취부요홈 10 : 자석
11 : 요홈
타격부와 못빼는부분 및 자루삽입공으로 구성된 통상의 망치에 있어서,망치(1)의 타격부(2) 기울기를 망치중심선(3)에서 2∼5°정도 안쪽으로(자루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자루삽입공(4)을 중심으로 하여 타격부(2)의 길이(ℓ)가 못빼는부분(5)의 길이(ℓ')보다 더 길게 함으로써 망치(1)의 무게중심이 타격부(2)에 있도록 형성하며 이상태에서 못빼는부분(5) 외측의 접지면(6)은 자루삽입공(4) 하측 즉, 타격부(2)의 일부까지 연장형성되게 하여 못을 뺄때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타격부(2) 전면에는 크고 작은 못(7)(7′)을 취부할수 있도록 못취부요홈(8)을 형성하되, 상기 못취부요홈(8)에는 크고 작은 못(7)(7′)의 머리를 끼워 지탱할수 있도록 못머리취부요홈(9)(9′)을 형성하고 못을 취부하였을 경우 취부된 못 자체가 떨어지지 못하도록 자석(10)을 삽입고정시켜 구성한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이는 못빼는부분(5a)의 내측면에 못(14)머리를 삽입시킬수 있도록 요홈(11)을 형성하고, 자루투입공(4a)은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자루삽입시 자루선단부 외주면이 다져지면서 삽입됨으로써, 자루고정후(자루삽입공에 자루를 삽입한후에는 자루선단부가 위치한 곳에 에폭시 수지를 충진시켜 고정함)에는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중 자루가 빠지거나 부러지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할수 있게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2는 자루중심선, 13은 경사기준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자루와 망치(1)의 중심선이 수직으로 교차되지 아니하고 망치(1)의 중심선이 약 2∼5°정도 자루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인데다가,타격부(2)가 못빼는부분(5)보다 길어 무게중심이 타격부(2)에 쏠리도록 구성한 것이기에 망치질을 할 때 신체와의 조화를 잘 이루게 되고, 더불어 작은힘으로도 못을 쉽게 박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타격부(2) 전면에 크고 작은 못(7)(7′)을 선택하여 취부할수 있도록 못취부요홈(8)을 형성하고 못취부시 보다 안정적으로 못을 지지할수 있도록 자석(10)과 못머리취부요홈(9)(9′)을 형성하였기에 비교적 높은곳에 못질을 할 때도취부요홈(9)(9′)에 못(7)(7′)을 선택취부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못을 때려박을 수 있는 것이며, 못빼는부분(5)이 종래보다 크게 짧아지기는 하였지만 대신 접지면(6)은 종래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어 있어 못을 빼는데도 매우 수월한 것이다.
본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4도 및 제5도는, 못빼는부분의 내측면에 못머리를 삽입시킬수 있는 요홈(11)을 형성하고 자루삽입공(4a)은 테이퍼지게 형성한 것이기에 비교적 높은 곳의 못질시 못빼는부분(5a)의 요홈(11)에 못을 취부(제4도 참조)한후 망치 방향이 거꾸로 되게 잡은상태에서 벽면에 못을 박은후 못이 벽면에 일단 고정되었을 때 망치를 바로잡고 때려 박을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루삽입공(4a)을 테이퍼지게 형성하였으므로 자루결합시 자루선단부가 자루삽입공(4a)에 억지끼움되는 과정에서 다져지면서 삽입됨으로써 에폭시 수지등으로 마무리 하였을 때 매우 견고하고 튼튼하게 결합고정되어 사용시 자루와 망치의 결합부분이 부려지거나 빠지거나 헐거워지는등의 결함이 일소되는 것이다.
또한 못빼는부분의 경사각도를 종래보다 작게하여 못을 뺄 때 못머리까지 깊이박힌 못을뺄 때 용이토록 함으로써 망치질을 비롯한 못빼는 작업등이 모두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타격부(2)가 못빼는부분(5) 보다 길고 망치중심선(3)이 2∼5° 정도 자루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망치질을 할 때 신체와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망치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더불어 적은 힘으로도 쉽게 못을 박을수 있어 종래 망치에비하여 힘이 매우 적에드는 효과가 따른다.
또한 타격부(2) 전면이나 못빼는부분 내측면에 못을 취부할수 있는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손으로 못을 잡고 박기 어려운 높이의 망치질도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못빼는부분(5)의 길이가 종래보다 짧아도 접지면(6)이 길어져서 못을뺄때 별반어려움이 없고, 자루삽입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등 망치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타격부와 못빼는 부분 및 자루삽입공으로 구성된 통상의 망치에 있어서, 못빼는 부문(5a)의 내측면에 못머리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요홈(1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의 개량구조.
KR2019960040205U 1996-11-12 1996-11-12 망치의 개량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54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205U KR200154629Y1 (ko) 1996-11-12 1996-11-12 망치의 개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205U KR200154629Y1 (ko) 1996-11-12 1996-11-12 망치의 개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60U KR970004560U (ko) 1997-02-19
KR200154629Y1 true KR200154629Y1 (ko) 1999-08-16

Family

ID=1947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205U Expired - Lifetime KR200154629Y1 (ko) 1996-11-12 1996-11-12 망치의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6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60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2034A1 (en) Large golf club head
JP3404048B2 (ja) 改良された打撃具
US5988020A (en) Hammerhead
US4273172A (en) Nail holding hammer head
KR200154629Y1 (ko) 망치의 개량구조
US8109178B2 (en) Side-load nail holding hammer
US3987828A (en) Hammer
US20060048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a handle to hammer head
WO1992004160A1 (en) Hand hammer
US6299136B1 (en) High brow claw hammer head
US6532614B2 (en) Paint scraper with nailset
US4064665A (en) Ice anchoring method and device
US6772657B2 (en) Nail-setting claw hammer head
CN213034547U (zh) 一种工程施工用防伤手铁钉榔头
JP4198395B2 (ja) 釘抜き付きハンマー
US20010029633A1 (en) Hammerhead with nail straightening holes
US20070001089A1 (en) Ultralight Self-Leveling Form Stake
RU2073600C1 (ru) Молоток универсальный
US210041A (en) Improvement in nail-extractors
JPS5813215A (ja) アンカ−ボルト
US5833550A (en) Golf club head
KR200227346Y1 (ko) 망치자루
KR100619262B1 (ko) 전방 뽑기부를 가지는 해머와 해머 헤드, 및 표면으로부터 못을 뽑는 방법
KR890002809Y1 (ko) 못 협지홈이 형성된 장도리
KR100289971B1 (ko) 타격용 공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1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11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12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5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