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4121Y1 -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121Y1
KR200154121Y1 KR2019970023841U KR19970023841U KR200154121Y1 KR 200154121 Y1 KR200154121 Y1 KR 200154121Y1 KR 2019970023841 U KR2019970023841 U KR 2019970023841U KR 19970023841 U KR19970023841 U KR 19970023841U KR 200154121 Y1 KR200154121 Y1 KR 200154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operation mode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472U (ko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3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1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12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는, 압축기와; 제 1 연결관에 의하여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실내측 열교환기와; 제 3 연결관에 의하여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실외측 열교환기; 및 압축기와 제 1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의 사이에서 열교환 매체의 흐름방향을 절환시키는 4-웨이 벨브를 포함하는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에 그 양측이 각각 연결된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양측에 인가되는 열교환 매체의 압력차에 의하여 이동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작동모드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본 고안은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부착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를 표시하도록 된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그 냉난방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중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가 장착되어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열교환 매체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실내기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이와 같은 종래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11)와, 실외측 열교환기(16) 및 캐필러리 튜브(15)가 탑재되어 있는 실외기(110)와, 실내측 열교환기(13)가 탑재되어 있는 실내기(120)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1)의 일측은 제 1 연결관(12)에 의하여 실내측 열교환기(1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11)의 타측은 제 3 연결관(17)에 의하여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관(12)과 제 3 연결관(17)과의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11)와 실외측 열교환기(16) 및 실내측 열교환기(13)와의 사이에서 열교환 매체의 흐름방향을 절환시키기 위한 4-웨이 벨브(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13)와 실외측 열교환기(16)의 타측은 제 2 연결관(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관(14)의 도중에는 캐필러리 튜브(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관(12)과 제 2 연결관(14)의 실외기(110) 입구에는 3-웨이 밸브(19) 및 2-웨이 밸브(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열교환 매체가, 4-웨이 밸브(18)에 의하여, 제 3 연결관(17)을 통하여 실외측 열교환기(16)로 공급되어 응축되고, 이어서, 제 2 연결관(14)의 캐필러리 튜브(15)을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실내측 열교환기(13)로 공급된다.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13)로 공급된 열교환 매체는, 실내측 열교환기(13)의 내부에서 증발되면서 주변의 대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주위를 냉방하게 되며, 이어서, 제 1 연결관(12) 및 3-웨이 밸브(19)를 통하여, 4-웨이 밸브(18)에 의하여, 압축기(11)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열교환 매체가, 4-웨이 밸브(18)에 의하여, 3-웨이 밸브(19) 및 제 1 연결관(12)을 통하여 실내측 열교환기(13)로 바로 공급되며, 상기 열교환 매체는 이 실내측 열교환기(13) 내에서 응축되면서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 실내측 열교환기(13)에 의하여 응축된 열교환 매체는, 제 2 연결관(14)의 캐필러리 튜브(15)을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실외측 열교환기(16)로 공급되며, 이어서,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내부에서 증발된 후, 제 3 연결관(17) 및 4-웨이 밸브(18)를 통하여 압축기(11)로 다시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내기(1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기능표시램프(121)에 의해서만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기(110)쪽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를 알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열교환 매체가, 3-웨이 밸브(19)를 통하여 실내측 열교환기(13)로 바로 공급되며, 따라서, 3-웨이 밸브(19)는 고온의 상태하에 있게 되는 반면에, 3-웨이 밸브(19)는 공기조화기의 설치특성상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쪽에서도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낸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외관구성도.
도 2는 도 1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사이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모드 표시장치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외관구성도.
도 4는 도 3의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사이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압축기 12; 제 1 연결관
13; 실내측 열교환기 16; 실외측 열교환기
17; 제 3 연결관 30; 작동모드 표시수단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기와; 제 1 연결관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실내측 열교환기와; 제 3 연결관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실외측 열교환기 및 상기 압축기와 제 1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의 사이에서 열교환 매체의 흐름방향을 절환시키는 4-웨이 벨브를 포함하는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에 그 양측이 각각 연결된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양측에 인가되는 열교환 매체의 압력차에 의하여 이동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작동모드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11)와, 실외측 열교환기(16)와, 캐필러리 튜브(15) 및 작동모드 표시수단(30)이 탑재되어 있는 실외기(110)와, 실내측 열교환기(13)가 탑재되어 있는 실내기(120)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1)의 일측은 제 1 연결관(12)에 의하여 실내측 열교환기(1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11)의 타측은 제 3 연결관(17)에 의하여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관(12)과 제 3 연결관(17)과의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11)와 실외측 열교환기(16) 및 실내측 열교환기(13)와의 사이에서 열교환 매체의 흐름방향을 절환시키기 위한 4-웨이 벨브(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13)와 실외측 열교환기(16)의 타측은 제 2 연결관(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관(14)의 도중에는 캐필러리 튜브(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관(12)과 제 2 연결관(14)의 실외기(110) 입구에는 3-웨이 밸브(19) 및 2-웨이 밸브(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모드 표시수단(30)은 실린더부재(31)와, 피스톤부재(32) 및 작동모드 표시부재(33)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부재(31)는 제 1 연결관(12) 및 제 3 연결관(17)에 그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부재(32)는 상기 실린더부재(31)의 내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동모드 표시부재(33)는 상기 피스톤부재(32)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부재(31)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재(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작동모드 표시부재(3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표시문구나 또는 경고문구가 문자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열교환 매체가, 4-웨이 밸브(18)에 의하여, 제 3 연결관(17)을 통하여 실외측 열교환기(16)로 공급되어 응축되고, 이어서, 제 2 연결관(14)의 캐필러리 튜브(15)을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실내측 열교환기(13)로 공급된다.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13)로 공급된 열교환 매체는, 실내측 열교환기(13)의 내부에서 증발되면서 주변의 대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주위를 냉방하게 되며, 이어서, 제 1 연결관(12) 및 3-웨이 밸브(19)를 통하여, 4-웨이 밸브(18)에 의하여, 압축기(11)로 다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작동모드 표시수단(30)이 연결된 제 1 연결관(12)과 제 3 연결관(17)의 압력상태는, 압축기(11)의 출구측인 제 3 연결관(17)의 압력이 압축기(11)의 입구측인 제 1 연결관(12)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3 연결관(12, 17)에 그 양측이 각각 연결된 실린더부재(31) 내의 피스톤부재(32)는 제 1 연결관(12) 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32)에 연결된 작동모드 표시부재(32)가 이동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실외기(110)상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열교환 매체가, 4-웨이 밸브(18)에 의하여, 3-웨이 밸브(19) 및 제 1 연결관(12)을 통하여 실내측 열교환기(13)로 바로 공급되며, 상기 열교환 매체는 이 실내측 열교환기(13) 내에서 응축되면서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 실내측 열교환기(13)에 의하여 응축된 열교환 매체는, 제 2 연결관(14)의 캐필러리 튜브(15)을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실외측 열교환기(16)로 공급되며, 이어서,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내부에서 증발된 후, 제 3 연결관(17) 및 4-웨이 밸브(18)를 통하여 압축기(11)로 다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작동모드 표시수단(30)이 연결된 제 1 연결관(12)과 제 3 연결관(17)의 압력상태는, 압축기(11)의 출구측인 제 1 연결관(12)의 압력이 압축기(11)의 입구측인 제 3 연결관(17)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3 연결관(12, 17)에 그 양측이 각각 연결된 실린더부재(31) 내의 피스톤부재(32)는 제 3 연결관(17) 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32)에 연결된 작동모드 표시부재(32)가 이동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실외기(110)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에 의하면,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쪽에서도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압축기와, 제 1 연결관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실내측 열교환기와, 제 3 연결관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있는 실외측 열교환기 및 상기 압축기와 제 1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의 사이에서 열교환 매체의 흐름방향을 절환시키는 4-웨이 벨브를 포함하는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에 그 양측이 각각 연결된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양측에 인가되는 열교환 매체의 압력차에 의하여 이동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에 그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작동모드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KR2019970023841U 1997-08-29 1997-08-29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54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841U KR200154121Y1 (ko) 1997-08-29 1997-08-29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841U KR200154121Y1 (ko) 1997-08-29 1997-08-29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472U KR19990010472U (ko) 1999-03-15
KR200154121Y1 true KR200154121Y1 (ko) 1999-08-02

Family

ID=1950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8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154121Y1 (ko) 1997-08-29 1997-08-29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1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41B1 (ko) * 2006-11-16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오일필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41B1 (ko) * 2006-11-16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오일필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472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15601T1 (de) Kältemittelkreislauf für eine klimaanlage
JPH10339513A (ja) エアコンシステム
KR200154121Y1 (ko)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표시장치
JP3645324B2 (ja) ヒートポンプ方式冷暖房装置
KR100202037B1 (ko) 에어컨의 냉각시스템
JPH0426847Y2 (ko)
CN210004512U (zh) 恒温除湿空调器
JPH045932Y2 (ko)
KR100239560B1 (ko) 공기조화기의 능력보상장치
JP2915076B2 (ja) 空気調和装置
JPH02171562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357893Y1 (ko) 히트펌프형 공조시스템
JPH11182962A (ja) 冷暖房システム
KR200178063Y1 (ko) 순간온수기 겸용 에어콘
JPH10274450A (ja) 空気調和機
KR100307227B1 (ko) 공기조화기의실외팬제어장치
JP2759366B2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冷暖房装置に於ける冷媒系統
JPS587259Y2 (ja) 空気調和機
JPH06337186A (ja) 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装置
KR20230066727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040068790A (ko) 제습용 에어컨 및 제습 방법
KR10024433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13577Y2 (ko)
JPH0722375U (ja) 空気調和機
KR960018510A (ko) 에어콘 열교환기의 열교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8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5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