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3488Y1 -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488Y1
KR200153488Y1 KR2019950037188U KR19950037188U KR200153488Y1 KR 200153488 Y1 KR200153488 Y1 KR 200153488Y1 KR 2019950037188 U KR2019950037188 U KR 2019950037188U KR 19950037188 U KR19950037188 U KR 19950037188U KR 200153488 Y1 KR200153488 Y1 KR 200153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r
oil
timing belt
contact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385U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7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488Y1/ko
Publication of KR970024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3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4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Lubricant storage reservoirs, e.g. reservoirs in addition to a gear sump for collecting lubricant in the upper part of a gear case
    • F16H57/0454Sealings between different partitions of a gearing or to a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밍벨트가 회전할 때 크랭크기어와 아이들러 사이의 거리와 회전수에 의하여 타이밍 벨트가 설정된 한계치의 공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켜 공진발생을 억제하여 아이들러의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항상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하도록 안출한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블럭(7)에 각각 굴대설치된 크랭크기어(1)와 캠기어(2)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에 접촉되어 설정된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유지하면서 진행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아이들러(4)와, 타이밍벨트에 적당한 탄력을 주도록 텐셔너(5)와, 설정된 한계치의 떨림위치에 설치하여 타이밍벨트의 공진발생시 접촉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전자제어부에 연결되는 접촉감지부(6)와, 오일의 공급을 위한 오일유로(7a) 및 그 오일유로(7a)와 연통되게 챔버(7b)가 형성되는 실린더블럭(7)과,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챔버(7b)로 공급되는 오일의 차단을 위하여 실린더블럭(7)에 설치하여 전자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오일유로(7a)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8)와, 아이들러(4)의 축봉(4a)을 일체로 조립하여 공진발생시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블럭(7)의 챔버(7b)내에서 이동되게 설치하여 아이들러(4)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는 피스톤(9)과, 공진의 소멸시 피스톤(9)을 탄력있게 밀어서 아이들러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 주는 탄력부재(10)와, 피스톤(9)의 왕복운동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아이들러(4)와 피스톤(9)사이에 설치되는 오일시일(11)로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밍벨트의 공진억제 작동도.
제2도는 본 고안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종래 타이밍벨트의 연결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기어 2 : 캠기어
3 : 타이밍벨트 4 : 아이들러
5 : 텐셔너 6 : 접촉감지부
7 : 실린더블럭 7a : 오일유로
7b : 챔버 8 : 솔레노이드밸브
9 : 피스톤 10 : 탄력부재
11 : 오일시일 12 : 드레인유로
본 고안은 차량의 아이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밍벨트가 회전할 때 크랭크기어와 아이들러사이의 거리와 회전수에 의하여 타이밍벨트가 설정된 한계치의 공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켜 공진발생을 억제하여 아이들러의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항상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하도록 안출한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엔진구동시 크랭크샤프트의 구동력을 캠샤프트에 전달하고자 할때, 제3도와 같이 크랭크기어(1)와 캠기어(2)를 타이밍벨트(3)로 연결하여, 크랭크기어(1)와 캠기어(2)에 타이밍벨트(3)의 접촉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아이들러(4)를 타이밍벨트(3)에 접촉되게 설치하고, 타이밍벨트(3)에 적당한 탄력을 주도록 텐셔너(5)를 설치하였다.
상기 아이들러(4)는 타이밍벨트(3)의 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폴리로써, 그 타이밍벨트(3)와의 접촉반경(R)이 30보다 크지 않아야 되며, 또한 타이밍벨트(3)와의 접촉각())도 30(임계각)보다 크게 형성되지 않아야 된다.
예컨데, 아이들러(4)의 접촉반경이 작으면 타이밍벨트(3)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구동하는 타이밍벨트(3)가 아이들러(4)와 접촉시 구부러지게 되어 타이밍벨트의 수명이 단축되고, 접촉반경을 크게 하면 아이들러(4)의 반경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아이들러(4)의 중량으로 차체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어 연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이들러(4)의 접촉각이 작으면 타이밍벨트(3)와의 슬립현상으로 마찰에 의한 타이밍벨트(3)와 아이들러(4)의 마모현상이 발생하여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아이들러(4)의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크랭크기어(1)와 아이들러(4) 사이의 거리(L)를 설정된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타이밍벨트(3)가 회전할 때 크랭크기어(1)와 아이들러(4) 사이의 거리(L)와 회전수에 의하여 타이밍벨트(3)에 공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타이밍벨트(3)의 공진발생시 타이밍벨트(3)가 아이들러(4)로 부터 벗어나게 되어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3)가 아이들러(4)로 부터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함에 따라 설정된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항상 유지할 수가 없어 타이밍벨트(3)의 회전방향이 불규칙하며, 이로인해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타이밍벨트가 회전할 때 크랭크기어와 아이들러사이의 거리와 회전수에 의하여 타이밍벨트가 설정된 한계치의 공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켜 공진발생을 억제하여 아이들러의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항상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하고자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린더블럭에 각각 굴대설치된 크랭크기어와 캠기어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에 접촉되어 설정된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유지하면서 진행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아이들러와, 타이밍벨트에 적당한 탄력을 주도록 텐셔너와, 설정된 한계치의 떨림위치에 설치하여 타이밍벨트의 공진발생시 접촉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전자제어부에 연결되는 접촉감지부와, 오일의 공급 및 회수를 위한 오일유로 및 그 오일유로와 연통되게 챔버가 형성되는 실린더블럭과,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챔버로 공급되는 오일의 차단을 위하여 실린더블럭에 설치하여 전자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오일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아이들러의 축봉을 일체로 조립하여 공진발생시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블럭의 챔버내에서 이동되게 설치하여 아이들러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는 피스톤과, 공지의 소멸시 피스톤을 탄력있게 밀어서 아이들러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 주는 탄력부재와,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아이들러와 피스톤사이에 설치되는 오일시일로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를 구성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실린더블럭(7)에 각각 굴대설치된 크랭크기어(1)와 캠기어(2)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에 접촉되어 설정된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유지하면서 진행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아이들러(4)와, 타이밍벨트에 적당한 탄력을 주도록 텐셔너(5)와, 설정된 한계치의 떨림위치에 설치하여 타이밍벨트의 공진발생시 접촉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전자제어부에 연결되는 접촉감지부(6)와, 오일의 공급을 위한 오일유로(7a) 및 그 오일유로(7a)와 연통되게 챔버(7b)가 형성되는 실린더블럭(7)과,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챔버(7b)로 공급되는 오일의 차단을 위하여 실린더블럭(7)에 설치하여 전자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오일유로(7a)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8)와, 아이들러(4)의 축봉(4a)을 일체로 조립하여 공진발생시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블럭(7)의 챔버(7b)내에서 이동되게 설치하여 아이들러(4)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는 피스톤(9)과, 공진의 소멸시 피스톤(9)을 탄력있게 밀어서 아이들러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 주는 탄력부재(10)와, 피스톤(9)의 왕복운동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아이들러(4)와 피스톤(9)사이에 설치되는 오일시일(11)로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접촉감지부(6)는 접촉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하며, 그 이외에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린더블럭(7)의 오일유로(7a)는 솔레노이드밸브(8)에 의하여 차단시 챔버(7b)내의 오일을 유출시키도록 오일유로(7a)와 연통되게 드레인유로(12)를 형성한다.
상기 탄력부재(10)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그 이외에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실린더블럭(7)의 오일유로(7a)에는 유압이 작용하게 되는 데, 솔레노이드밸브(8)가 오일유로(7a)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챔버(7b)내에는 유압이 작용하지 못하고 탄력부재(10)의 탄력만 작용하여 피스톤(9)을 탄력있게 밀어서 제2도와 같이 피스톤(9)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때 아이들러(4)의 위치는 제1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서 이는 타이밍벨트(3)에 공진 발생하지 않아 크랭크기어(1)와 아이들러(4)사이의 거리(L)가 설정된 거리로 유지되도록 한 상태이다.
그런데, 타이밍벨트(3)가 회전할 때 크랭크기어(1)와 아이들러(4)사이의 거리(L)와 회전수에 의하여 타이밍벨트(3)에 공진이 발생하는 경우 타이밍벨트(3)가 아이들러(4)로 부터 벗어나게 되어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설정된 한계치의 떨림위치에 접촉감지부(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타이밍벨트(3)의 공진발생시 타이밍벨트(3)가 접촉감지부(6)에 접촉하게 되며, 접촉감지부(6)는 그 신호를 전자제어부에 송신하게 되고, 전자제어부는 입력된 데이타와 이를 비교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제어부는 솔레노이드밸브(8)에 출력시호를 보내어 오일유로(7a)가 개방되도록 하며, 오일유로(7a)의 개방으로 오일은 챔버(7b)내로 유입되어 피스톤(9)을 밀어주게 되고, 피스톤(9)은 유압에 의하여 밀리면서 탄력부재(10)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아이들러(4)를 도면상 하강시키게 되므로 제1도와 같이 아이들러(4)는 실선에서 가상선위치로 위치이동을 하게 되어 크랭크기어(1)와 아이들러(4) 사이의 거리가 L에서 L'로 변경되며, 아이들러(4)의 위치이동으로 타이밍벨트(3)의 공진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아이들러(4)의 위치가 L에서 L'로 변경된뒤 다시 타이밍 벨트(3)에 공진이 발생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솔레노이드밸트(8)를 작동시켜 오일유로(7a)를 차단시키게 되며, 오일유로(7a)의 차단으로 압축되어 있던 탄력부재(10)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피스톤(9)을 밀어 주게 되므로 피스톤(9)은 공급되었던 오일을 압축하여 오일유로(7a)를 통해 드레인유로(12)로 유출시키게 되고, 피스톤(9)의 원상복귀로 상승하면서 아이들러(4)도 동시에 제1도의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위치이동을 하게 되므로 아이들러(4)는 항상 타이밍벨트(3)와 설정된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유지하면서 공진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즉, 타이밍벨트(3)의 공진발생시 접촉감지부(6)가 이를 감지하여 아이들러(4)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위치이동을 하게 되므로 아이들러(4)는 항상 타이밍벨트(3)와 설정된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유지하면서 공진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타이밍벨트가 회전할 때 크랭크기어와 아이들러 사이의 거리와 회전수에 의하여 타이밍벨트가 설정된 한계치의 공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켜 공진발생을 억제하여 아이들러의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항상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하므로서 타이밍벨트의 소음저감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실린더블럭에 각각 굴대설치된 크랭크기어와 캠기어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에 접촉되어 설정된 접촉반경과 접촉각을 유지하면서 진행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아이들러와, 타이밍벨트에 적당한 탄력을 주도록 텐셔너와, 설정된 한계치의 떨림위치에 설치하여 타이밍벨트의 공진발생시 접촉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전자제어부에 연결되는 접촉감지부와, 오일의 공급 및 회수를 위한 오일유로 및 그 오일유로와 연통되게 챔버가 형성되는 실린더블럭과,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챔버로 공급되는 오일의 차단을 위하여 실린더블럭에 설치하여 전자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오일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아이들러의 축봉을 일체로 조립하여 공진발생시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블럭의 챔버내에서 이동되게 설치하여 아이들러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는 피스톤과, 공지의 소멸시 피스톤을 탄력있게 밀어서 아이들러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 주는 탄력부재와,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아이들러와 피스톤사이에 설치되는 오일시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KR2019950037188U 1995-11-30 1995-11-30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53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188U KR200153488Y1 (ko) 1995-11-30 1995-11-30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188U KR200153488Y1 (ko) 1995-11-30 1995-11-30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385U KR970024385U (ko) 1997-06-20
KR200153488Y1 true KR200153488Y1 (ko) 1999-08-02

Family

ID=1943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188U Expired - Lifetime KR200153488Y1 (ko) 1995-11-30 1995-11-30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4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969B2 (en) 2001-10-06 2008-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motions based on the human nervous system
KR101751881B1 (ko) 2017-04-17 2017-06-28 (주)샤론테크 아이들러 회전감시 센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7056A (zh) * 2022-05-06 2022-08-09 国能联合动力技术(连云港)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齿轮箱自动盘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969B2 (en) 2001-10-06 2008-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motions based on the human nervous system
KR101751881B1 (ko) 2017-04-17 2017-06-28 (주)샤론테크 아이들러 회전감시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385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0447A (en) Autotensioner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a timing belt
US4442806A (en) Valve driving control apparatu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52982A (en) Motion attenuated hydraulic autotensioner
JPH04279705A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
US4466803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98563A (en) Self-contained type automatic belt tensioner
KR200153488Y1 (ko) 차량의 아이들러 위치가변장치
JPH04279706A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H07259516A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
US4911680A (en) Hermetically sealed autotensioner
US6782852B2 (en) Hydraulic actuator for operating an engine cylinder valve
US4522169A (en) Variable cylind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311287Y2 (ko)
KR20040050307A (ko) 차량의 베인형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진각 보상장치
KR19980049393A (ko) 밸브기구
KR100527517B1 (ko) 타이밍 벨트용 오토 텐셔너
KR0163690B1 (ko) 관성 가변형 크랭크샤프트
JPH02120546A (ja) タイミングベルト用オートテンショナー
KR101090711B1 (ko) 자동차용 오토텐셔너 장치
JPH04269310A (ja) 内燃機関の吸排気弁開閉機構
KR19980050231A (ko) 차량의 타이밍 벨트 소음 감소장치
JPS62214207A (ja) 内燃機関の動弁制御装置
KR100589142B1 (ko) 밸런스 샤프트 모듈의 맥동 조절 장치
JPS61149510A (ja) エンジンの弁作動制御装置
JPH0914363A (ja) チェーンアジャ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1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3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5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