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2716Y1 -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716Y1
KR200152716Y1 KR2019970019048U KR19970019048U KR200152716Y1 KR 200152716 Y1 KR200152716 Y1 KR 200152716Y1 KR 2019970019048 U KR2019970019048 U KR 2019970019048U KR 19970019048 U KR19970019048 U KR 19970019048U KR 200152716 Y1 KR200152716 Y1 KR 200152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instrument panel
air freshener
vehicle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693U (ko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70019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1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에 관한 것이며, 인스트루먼트 패널(3)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방향제 수납 공간(11),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19) 결합되어 있고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기구(21)가 형성된 내측캡(13), 및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 주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형성된 가이드 홀(35)에 슬라이싱 식으로 입출 가능하고 상기 내측캡(13)의 외측에서 상기 방향제 수납공간(11)의 입구(17)를 기밀하게 개폐하는 슬라이딩 캡(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가 제공되고, 이로써 승차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방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를 제공할 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기술 분야]
본 고안은 차량의 방항제 수납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각종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구비하는 방향제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밀폐된 공간을 이루는 차량의 실내는, 예를 들어 곰팡이 균의 번식, 각종 음식물의 누출, 가죽 시트의 냄새 등 차량이 가지는 독특한 냄새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냄새(이하, 악취라 한다)가 날 수 있다.
운전자는 이런 악취를 제거하기위한 목적으로 일차적으로 차량의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하지만, 필요에 따라 각종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 성분이나 바람직한 향기를 발하는 방향 성분(이하, 방향제라 한다)을 살포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있다.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향 방식으로서는, 방향제를 함유하고 있는 스프레이를 필요할 때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방식과, 방향제를 함유하고 각종 장식 형상을 가지는 방향제 용기를 차량 실내에 비치하여 은은한 향기가 계속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의 방식은 고압의 가스가 포함된 스프레이 캔을 콘솔 박스나 글로브 박스에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분사하는 것이므로, 일시적으로 지나치게 강력한 향기가 방출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 캔을 차량에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당한 수의 운전자는 방향제 용기를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하여 지속적인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방향제 용기는 하부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다. 그러나, 사고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올려놓은 물건이 승차자의 부상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에어백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 확보하기 위해, 최근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물건을 올려놓기 곤란한 곡선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양면 테이프에 의한 방향제 용기의 무리한 부착은, 약간의 진동에도 방향제 용기가 인스투르먼트 패널에서 이탈될 염려가 있어서 불편하고, 유사시 부상을 자중시키는 위험물로 작용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한 상기한 종래의 방향제 용기 장착 방법이 지니는 안전상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방향제를 구비함에 있어서 승차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방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가 형성되는 위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정면도.
제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의 측단면도.
제3도는 내측캡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향제 수납구 3 : 인스트루먼트 패널
7 : 방향제 11 : 방향제 수납 공간
13 : 내측캡 15 : 슬라이딩 캡(외측캡)
17 : 방향제 수납 공간 입구 21 : 통기구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방향제를 수납할 수 있는 방향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개폐 가능한 캡을 설치한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에 의해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방향제 수납 공간,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의 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인지 결합 되어 있고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내측캡, 및 상기 방향체 수납 공간 주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식으로 입출 가능하고 상기 내측캡의 외측에서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의 입구를 기밀하게 개폐하는 슬라이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가 형성되는 위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의 측단면도이며, 제3도는 내측캡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부(1)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형성되어 있다. 방향제 수납구(1)의 설치 위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설치되는 다른 장비들과 충돌되지 않는 위치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주석 쪽 사이드 벤트(5)의 측부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다른 장치들과 충돌할 염려가 별로 없고 방향제의 방향 성분이 사이드 벤트(5)의 배출 공기에 실려 차량 실내로 잘 분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일체로 형성된 방향제 수납 공간(11), 내측캡(13), 및 외측캡(슬라이딩 캡; 1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향제 수납 공간(11)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을 성형할 때 방향제(7)를 수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3)의 정면쪽(조수석 승차자와 마주보는 쪽)으로 입구(17)가 형성된 오목 공간을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바닥면에는 방향제(7)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12)를 설치하여 방향제(7)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1)에 수납할 수 있는 방향제로서는 항향 물질을 흡수되어 있어방향제 패드, 방향액을 담고 있는 방향제 용기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방향제(7)는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홀더(12)에 유지된다.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에는 내측캡(13)이 개패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캡(13)의 상단은 힌지(19)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내측캡(13)의 하단을 상하로 회동하여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를 개폐할 수 있다.
내측캡(13)은 방향제 수납 공간(11)에 수납된 방향제(7)가 차량 실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방향제(7)로부터의 방향이 차량의 실내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캡으로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다수의 통기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내측캡(13)으로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에 메시 스크린(25)을 부착하여 메시 스크린(25)의 그물눈이 통기구(21)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제 수납 공간(11)에 방향제(7)를 입출할 때에는, 내측캡(13)에 형성된 손잡이(27)를 틀어 올려 내측캡(13)을 개방한다. 상기 내측캡(13)의 하단에는 탄성의 걸림턱(29)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는 걸림홈(31)을 형성하여 내측캡(13)을 패쇄했을 때 폐쇄 상태가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진동에 의해 내측캡(13)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캡(13)의 외측에는 슬라이딩 캡(외측캡; 15)이 장착되어 있다. 본 슬라이딩 캡(15)은 방향제(7)로부터의 방향이 차양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할 때,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를 기밀하게 폐쇄하기 위한 캡이다. 즉, 방향을 원할 때에는 슬라이딩 캡(15)을 개방하여 방향이 내측캡(13)을 통해 방출되게 하고, 방향는 원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딩 캡(15))을 폐쇄하여 방향이 방출되지 못하게 한다.
상기 외측캡(슬라이딩 캡; 15)을 개방하였을 때 이것이 인스트루먼트 패널(3)의 외부로 돌출하여 경우 차량 실내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사고시 위험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외측캡(15)을 슬라이딩 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방향제 수납 공간(11) 주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가이드 홀(35)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홀(35) 내부로 슬라이딩 캡(15)이 입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캡(15)은 다수의 작은 패널(37)를 유동성 있게 연결하여 굴곡될 수 있게 형성하고 하단에 손잡이(39)를 형성한 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손잡이(39)를 밀어 올리면 슬라이딩 캡(15)이 굴곡되면서 가이드 홀(35) 내부로 밀려들어가고, 손잡이(39)를 당겨서 내리면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를 기밀하게 폐쇄한다. 상기 슬라이딩 캡(15)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므로써 방향제의 방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캡(15)의 하단에 립(4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는 홈(43)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캡(15)을 폐쇄했을 때 폐쇄 상태가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진동에 의해 내측캡(13)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캡(15)이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상부로 슬라이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슬라이딩 캡(15)이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하부 또는 양측부로 슬라이딩 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슬라이딩 캡(15)을 단일의 패널로 형성하여 굴곡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에 의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일체로 형성된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에 공기가 통과되는 내측캡(13)을 개폐 가능하게 인지 결합하고, 상기 내측캡(13)의 외측에서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를 기밀하게 슬라이딩 식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딩 캡(15)을 장착한 구조에 따라, 승차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방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스트루먼트 패널(3)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방향제 수납 공간(11),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19) 결합되어 있고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기구(21)가 형성된 내측캡(13), 및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 주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형성된 가이드 홀(35)에 슬라이딩 식으로 입출 가능하고 상기 내측캡(13)의 외측에서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의 입구(17)를 기밀하게 개폐하는 슬라이딩 캡(15)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캡(15)은 다수의 작은 패널(37)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홀(35)의 내외로 굴독되어 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수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캡(13)에는 탄성의 걸림턱(29)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는 걸림홈(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수납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캡(15)에는 립(4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는 홈(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수납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수납 공간(11)에는 방향제(7)를 고정하는 홀더(12)가 형성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수납구.
KR2019970019048U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152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48U KR200152716Y1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48U KR200152716Y1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93U KR19990005693U (ko) 1999-02-18
KR200152716Y1 true KR200152716Y1 (ko) 1999-07-15

Family

ID=1950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048U Expired - Fee Related KR200152716Y1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93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6668A1 (en) Glove compartment
JPH02182536A (ja) 自動車日よけ板の空気清浄剤ボックス
WO1995027634A3 (de) Aufbewahr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regenschirme, zum einbau in kraftfahrzeuge
US7758066B2 (en) Rear pillar garnish assembly
BR9912081A (pt) Componentes de interior de veìculo a motor
CZ139396A3 (en) Air-bag cover for safety system of motor vehicle passengers
KR200152716Y1 (ko) 차량의 방향제 수납구
US20040188986A1 (en) Airbag module door assembly
IT1261833B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anticollisione per gli occupanti di autoveicoli.
US5941604A (en) Shoulder belt deflector with integrated seatback release
US6116677A (en) Seat back cab back trim panel for pick-up truck application with exhauster and child tether provisions
US7523974B2 (en) Motor vehicle with an attachment device for a separating or retaining element
KR200144149Y1 (ko) 자동차용 방향제의 수납케이스
JP3054768B1 (ja) 衝撃反動振り子式チャイルドシート
JPH074814Y2 (ja) 自動車用芳香剤収納容器
JPH0523417Y2 (ko)
KR100488597B1 (ko) 차량의 센터콘솔
KR200141332Y1 (ko)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JPH05294586A (ja) エレベータの換気装置
KR0137438Y1 (ko) 자동차용 우산케이스
KR0118147Y1 (ko) 차량용 간이 소변기 설치구조
KR970001388Y1 (ko) 차량 도어구조
KR950009726B1 (ko) 자동차의 에어백(Air Bag) 수납실용 보조박스
JP2576550Y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08318804A (ja) エアバッグドア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7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