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2695Y1 -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695Y1
KR200152695Y1 KR2019970011784U KR19970011784U KR200152695Y1 KR 200152695 Y1 KR200152695 Y1 KR 200152695Y1 KR 2019970011784 U KR2019970011784 U KR 2019970011784U KR 19970011784 U KR19970011784 U KR 19970011784U KR 200152695 Y1 KR200152695 Y1 KR 200152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food waste
waste
heat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241U (ko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청토환경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청토환경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2019970011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69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2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0/00Waste incin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10Dryin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소각로의 폐열에 의해서 가열된 열매체유가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된 건조기(6)를 경유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충분히 건조된 후에 가연성 쓰레기들과 함께 소각로에서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같이 구성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악취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쓰레기 감량화율도 크게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본 고안은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도록 한후에 일반 가연성 쓰레기와 함께 혼합하여 소각로에서 소각되도록 함에 의해서, 쓰레기의 감량화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서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처리하는 장치가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처리기간이 1∼6개월로서 장기간이 소요되며, 처리시에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뿐만 아니라 속성 발효시에는 쓰레기 잔량에 염분이 많게 되므로 퇴비로 쓸 수 없으며 수분량이 많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는 소각처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방식에 의해 처리하지 않고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건조방식에 의해서 처리하고 있으므로 신속한 처리가 가능토록 하고 있으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가연성 쓰레기와 함께 소각로에서 소각되도록 함으로서 쓰레기 감량화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고 처리시에 악취도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흐름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건조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 연소실 2 : 2차 연소실
3 : 원심력 집진기 4 : 오일저장탱크
5 : 온도조절기 6 : 건조기
7 : 오일펌프 8 : 솔레노이드밸브
9 : 온도센서 10 : 송풍기
11 : 감속기 12 : 교반기
13 : 가열장치 14 : 열회수장치
15 : 연돌 16,17,18,19,20 : 관로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흐름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건조기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1차 연소실(1)과 상기 1차 연소실과 내통되도록 연결된 2차 연소실(2)과 상기 2차 연소실(2)의 상부로부터 연소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로(16)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에는 연돌(15)이 형성되어 있는 원심력 집진기(3)를 사용하여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로(16)를 에워싸도록 설치되는 열회수장치(14)와 상기 열회수장치(14)의 출구로부터 관로(17)에 의하여 연결된 가열장치(13)를 그 내부에 구비하고 감속기(11)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동작하는 교반기(1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연결된 관로(20)는 1차 연소실(1)과 연결되어 있는 건조기(6)와, 상기 가열장치(13)의 출구로부터 관로(18)에 의하여 건조기(6)로부터의 열매체유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그로부터 유출되는 열매체유는 관로(19)에 의하여 2차 연소실(2)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오일저장탱크(4)로 구성된다.
또한 오일저장탱크(4)로부터 2차 연소실(2)로 열매체유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관로(19)의 중간에는 오일펌프(7)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2차 연소실(2)로부터 건조기(6)로 공급되는 열매체유의 지나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로(17)의 중간에 다음과 같은 온도조절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관로(17)로부터 나누어진 일 분기관은 솔레노이드밸브(8)와 온도센서(9)를 경유하여 건조기(6)의 가열장치(13)에 연결되고, 관로(17)로부터의 나머지 분기관은 송풍기(10)를 구비한 온도조절기(5)에 연결되는데 상기 온도조절기(5)로부터의 토출관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와 온도센서(9)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회수장치(14)와 가열장치(13)는 열매체유가 그 내부에서 누설없이 잘 흐를수 있도록 이중 밀폐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1차 연소실(1)에 가연성 쓰레기를 일괄 투입하면 3∼4시간에 걸쳐 소각이 진행되는데, 이때 오일저장탱크(4)로부터 관로(19)를 통해서 열회수장치(14)로 공급된 열매체유는 연소중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다.
이와같이 가열될 멸매체유는 관로(17)에 의해 건조기(6)의 가열장치(13)로 공급되므로 건조기(6)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감속기(11)에 의해 회전력을 공급받는 교반기(12)가 회전하므로 건조기(6)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고르게 섞이면서 충분히 건조될 수 있는 것이며, 건조중 발생되는 악취가스는 관로(20)을 통해서 1차 연소실(1)로 유입되어서 가연성 쓰레기들과 함께 충분히 연소된 후에 원심력 집진기(3)의 연돌(15)을 통해서 대기로 배출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면서도 전혀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관로(17) 상에는 온도조절기(5) 등과 같은 열매체유의 온도 조절수단이 연결되어 있어서, 온도센서(9)로부터 측정된 열매체유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상기 온도조절기(5)에 의하여 건조기(6)에 공급되는 열매체유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도조절기(5)에서 측정된 열매체유의 온도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8)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열회수장치(14)로부터 공급된 열매체유의 대부분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를 통해 건조기(6)로 흐르게 되나, 온도조절기(5)에서 측정된 열매체유의 온도가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8)가 닫히게 되므로 열회수장치(14)로부터 공급된 열매체유는 모두 온도조절기(5)를 경유하여 건조기(6)로 흐르게 되는데, 상기 온도조절기(5)를 경유하는 동안 송풍기(10)에 의해서 열매체유가 냉각되므로 건조기(6)에는 과열되지 않은 상태로 유입되는 것이다.
건조기(6)의 가열장치(13)에 유입될 열매체유는 관로(18)를 경유하여 오일저장탱크(4)로 복귀되며, 오일저장탱크(4)로 복귀된 열매체유는 펌프(7)에 의해서 열회수장치(14)로 다시 공급되므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거치는 동안 건조기(6) 내부에 있던 음식믈 쓰레기는 충분히 건조되어 건조전 중량의 10∼15%로 감량되며, 이와같이 건조된 쓰레기는 가연성 쓰레기들과 함께 1차 연소실(1)에 투입되어 연소되므로 더욱 감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소각로의 폐열에 의해서 가열된 열매체유가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된 건조기(6)를 경유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충분히 건조된 후에 가연성 쓰레기들과 함께 소각로에서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같이 구성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악취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쓰레기 감량화율도 크게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Claims (2)

1차 연소실(1)과 상기 1차 연소실과 내통되도록 연결된 2차 연소실(2)과 상기 2차 연소실(2)의 상부로부터 연소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로(16)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에는 연돌(15)이 형성되어 있는 원심력 집진기(3)를 사용하여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로(16)를 에워싸도록 설치되는 열회수장치(14)와 상기 열회수장치(14)의 출구로부터 관로(17)에 의하여 연결된 가열장치(13)를 그 내부에 구비하고 감속기(11)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동작하는 교반기(1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연결된 관로(20)는 1차 연소실(1)과 연결되어 있는 건조기(6)와, 상기 가열장치(13)의 출구로부터 관로(18)에 의하여 건조기(6)로부터의 열매체유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그로부터 유출되는 열매체유는 관로(19)에 의하여 2차 연소실(2)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오일저장탱크(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1항에 있어서, 관로(17)로부터 나누어진 일 분기관은 솔레노이드밸브(8)와 온도센서(9)를 경유하여 건조기(6)의 가열장치(13)에 연결되고, 관로(17)로부터의 나머지 분기관은 송풍기(10)를 구비한 온도조절기(5)에 연결되는데 상기 온도조절기(5)로부터의 토출관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와 온도센서(9)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970011784U 1997-05-24 1997-05-24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2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784U KR200152695Y1 (ko) 1997-05-24 1997-05-24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784U KR200152695Y1 (ko) 1997-05-24 1997-05-24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41U KR19980067241U (ko) 1998-12-05
KR200152695Y1 true KR200152695Y1 (ko) 1999-07-15

Family

ID=1950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784U KR200152695Y1 (ko) 1997-05-24 1997-05-24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6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97B1 (ko) * 2022-08-01 2023-03-06 주식회사 젯트 해양 폐기물 고온환원 자원화 장치용 해양 폐기물 건조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91B1 (ko) * 1999-04-29 2002-06-12 김재우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자원화 장치
KR102257332B1 (ko) * 2014-05-20 2021-05-31 코웨이 주식회사 정량투입식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97B1 (ko) * 2022-08-01 2023-03-06 주식회사 젯트 해양 폐기물 고온환원 자원화 장치용 해양 폐기물 건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41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3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sewage sludge
US5098286A (en) Regenerative thermal incinerator apparatus
JPS6354973B2 (ko)
US4215637A (en) System for combustion of wet waste materials
NL8020118A (nl) Werkwijze voor het onttrekken van warmte aan mest, rioolslik en ander nat afval door verbranding.
KR200152695Y1 (ko)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3827616A (zh) 材料处理的改进
KR100292122B1 (ko)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의 하수 슬러지 소각장치 및 소각방법
JP2712017B2 (ja) 燃焼系システム及び燃焼炉
JP2019132438A (ja) 紙おむつ乾燥装置及び方法、燃料製造装置及び方法
CN208846436U (zh) 一种污泥干化焚烧热平衡处理系统
US2121662A (en)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and other waste materials
FI108960B (fi) Menetelmä ja sovitelma vaikeasti poltettavien aineiden polttamiseksi
KR100759237B1 (ko) 슬러지 건조시스템
KR0145981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JP4161158B2 (ja) 都市ゴミ乾燥設備における結露除去防止機構並びに結露除去防止方法
JP4470520B2 (ja) 有機物含有汚泥の炭化処理装置
KR10077112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46329B1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JPH10281425A (ja) 処理設備
JPH11201639A (ja) ごみ乾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6190399A (ja) 脱水汚泥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設備
JP3452132B2 (ja) 含水性被処理物の熱処理装置
KR20020048360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속건조방법 및 장치.
JP2000117220A (ja) 廃棄物の炭化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5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