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579Y1 - Tension controller of driving chain of hand rail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 Google Patents
Tension controller of driving chain of hand rail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2579Y1 KR200152579Y1 KR2019970005992U KR19970005992U KR200152579Y1 KR 200152579 Y1 KR200152579 Y1 KR 200152579Y1 KR 2019970005992 U KR2019970005992 U KR 2019970005992U KR 19970005992 U KR19970005992 U KR 19970005992U KR 200152579 Y1 KR200152579 Y1 KR 2001525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tension
- drive chain
- support frame
- sp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20—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 내에 설치된 핸드레일(9)을 구동시켜주는 구동체인(3)이 가동될 때, 상기 구동체인(3)의 맥동현상을 저감함과 아울러 장력을 적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 조절해주기 위한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1)과, 이 지지프레임(11)의 내부를 통과하는 구동체인(3)의 이완부 외측에 각각 인접하는 상·하부 슬라이더(12a)(12b)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12a)가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리프트(13)와, 상기 지지프레임(11) 하단부와 하부 슬라이더(12b) 및 리프트(13)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보울트(14)와, 상기 리프트(13)의 상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12a)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5)과, 이 스프링(15)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13)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15)을 지지하는 와셔(16a)와 로크너트(16)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하부 슬라이더(12a)(12b)의 탄력적인 지지력이 구동체인(3)의 상하에 고르게 작용하므로써 맥동현상 및 진동소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장력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스프링(15)의 압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체인(3)의 구동력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되어, 기기 전체의 수명연장과, 탑승자의 승차감 향상 및 보수관리의 편리성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pulsation phenomenon of the drive chain (3) and to maintain a proper tension when the drive chain (3) for driving the handrail (9) installed in the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A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sliders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loosening part of the support frame 11 and the drive chain 3 passing through the support frame 11. 12a, 12b, a lift 13 for guiding the upper slider 12a to move vertically up and down, a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a lower slider 12b, and a lower end of the lift 13; A bolt 14 for fixing the upper side, a spring 15 installed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lift 13 to support the upper slider 12a, and the tension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15; (13) fastened to the top The spring 15 is composed of a washer 16a and a lock nut 16, and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2a and 12b acts even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drive chain 3 to pulsate. Actively cope with the phenomenon and vibration noise, and if the tension is inappropriate, the pressure of the spring 15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chain 3 can be preserved as it is, thus extending the life of the whole apparatus a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control device of an escalator and a handrail driving chain for moving walkways, which can improve passenger comfort and maintain convenience.
Description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 내에 설치된 핸드레일을 구동시켜주는 체인이 가동될 때, 상기 체인의 맥동현상을 저감함과 아울러 장력을 적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 조절해주기 위한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 전체의 수명연장과, 탑승자의 승차감 향상 및 보수관리의 편리성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o maintain the tension in the appropriate state while reducing the pulsation of the chain when the chain driving the handrail installed in the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control device for an escalator and a handrail driving chain for moving walkways, which can promote the life of the whole device, improve the ride comfort of the occupant, and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는 지하철, 백화점 및 오피스텔 등과 같이 사람의 출입이 잦은 중·대형 건물에 설치되어 단시간 내에 많은 사람을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구조는 일정 궤적을 따라 회동하는 핸드레일과, 승객을 탑승시켜 이송하기 위한 스텝 또는 팰리트와, 상기 핸드레일 및 스텝을 구동시켜주는 기계실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모우터 및 감속기, 구동체인, 구동스프라킷, 구동터미널기어, 종동터미널기어, 구동축 및 터미널레일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동부와, 스텝, 스텝체인, 스텝전륜롤러 및 스텝후륜롤러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이동부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 installed in medium- and large-sized buildings, such as subways, department stores, and officetels, where people move in and out, and as a means for moving many people in a short time, the structure is a handrail that rotates along a certain trajectory. For example, a step or pallet for boarding a passenger and transporting the passenger, and a machine room for driving the handrail and the step can be broadly classified. The machine room includes a drive unit in which a motor and a reducer, a drive chain, a drive sprocket, a drive terminal gear, a driven terminal gear, a drive shaft, and a terminal rail are org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tep, step chain, step front roller, and step rear roller The back is composed of moving parts that are org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동작은 상기 기계실에 있는 모우터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이 감속기로 전달되고, 이 감속기에 결합된 스프라킷의 구동에 의해 구동체인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스프라킷을 작동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동일축선상에 결합된 구동터미널기어는 스텝에 결합된 스텝체인을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스텝은 구동터미널기어와 종동터미널기어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In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and the moving walk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in the machine room is transmitted to the reducer, and the drive chain is powered by the driving of the sprocket coupled to the reducer. Activate the drive sprocket. Subsequently, the drive terminal gear coupled on the same axis as the drive sprocket drives the step chain coupled to the step, and the step circulates between the drive terminal gear and the driven terminal gear.
한편, 상기의 구동체인 및 구동스프라킷을 포함한 체인전동장치는 저속의 큰 동력전달에 적합하고 미끄러짐 없이 일정 속도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진동이나 소음을 일으키기 쉬운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진동 및 소음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체인의 마모시에 더욱 심하게 발생한다. 그 밖에도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외부및 내부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프라킷과 체인의 직진도나 정렬 불량, 피치의 오차 발생및 체인과 스프라킷의 노후로 인한 오차 발생 등으로 인해 부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체인 전동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소음발생 요인 이외에도 더욱 중요한 근본적인 원인이 존재한다. 즉, 구동체인의 장력이 부족하여 중력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므로써 체인 구동시에 상기 구동체인이 진동하면서 스프라킷과 구동체인간의 충돌에 의한 심한 진동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chain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the drive chain and the drive sprocke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uitable for low speed and large power transmission and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ratio without slipping, there is a disadvantage of easily causing vibration or noise, These vibrations and noises are more severe when the chain wears over long periods of use. In addition, vibration and noise may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procket and chain straightness or misalignment caused by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 pitch error, and age of chain and sprocket. Noise may occur due to inaccurate coupling due to error occurrence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noise generation factors mentioned above, the conventional chain transmission has a more important root cause. That is, the deflection caused by gravity due to the lack of tension in the drive chain causes the drive chain to vibrate during chain driving and generates severe vibration noise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drive chain.
상기의 처짐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스프라킷(1) 및 종동스프라킷(2) 사이에 구동체인(3)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체인(3)과 인접하는 소정 위치에 상기 구동체인(3)을 잡아주는 장력조절장치(T)가 설치되어 있었다.In order to eliminate the vibration and noise caused by the deflection, a drive chain 3 is provided between the drive sprocket 1 and the driven sprocket 2, as shown in FIG. 1.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T for holding the drive chain 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djacent to the chain 3 was provided.
상기 장력조절장치(T)는 프레임(미도시) 상에 고정된 브래킷(4)과, 이 브래킷(4)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지지대(5)와, 이 지지대(5) 상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된 한쌍의 보조 스프라킷(6a)(6b)과, 상기 지지대(5)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5)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봉(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보조 스프라킷(6a)(6b) 사이에 구동체인(3)이 설치되도록 한 후, 장력조절봉(7)을 상하로 수동조작하여 상기 지지대(5)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상기 구동체인(3)과 맞물려 있는 보조 스프라킷(6a)(6b)이 상기 구동체인(3)을 적절한 상태로 잡아주게 되어 있다.The tension adjusting device (T) is coupled to the bracket (4) fixed on the frame (not shown), the support (5) hinged to be rotatable to the bracket (4), and rotated on the support (5) A pair of auxiliary sprockets 6a and 6b and a tension adjusting rod 7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5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5, wherein the auxiliary sprockets After the drive chain 3 is installed between the kits 6a and 6b, the tension adjusting rod 7 is manually operated up and dow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5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rive chain 3. The interlocked auxiliary sprockets 6a and 6b hold the drive chain 3 in an appropriate state.
그러나, 종래의 장력조절장치(T)는 한쪽 구동체인(3) 만을 잡아주므로 상기 구동체인(3)의 맥동현상을 해소할 수 없었으며, 상기 구동체인(3)이 두 곳의 곡부를 더 통과하게 되면서 구동력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맥동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nsion adjusting device (T) only holds one driving chain (3), the pulsation phenomenon of the driving chain (3) could not be eliminated, and the driving chain (3) further passes through two curved portions. As well as weakening the driving force, there was a problem that another pulsation occurs.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체인 구동시에 체인 상하에 고른 장력을 유지시켜 주므로써 맥동현상 및 진동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체인의 구동력은 그대로 보존될 수 있도록 된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maintain the even tension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chain when driving the chain to prevent pulsation phenomenon and vibration noise, while maintaining the driving force of the chain as i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sion control device of the handrail drive chain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도 1은 종래의 장력조절장치가 부착된 체인전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in transmission device with a conventional tension control device;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ension control device of the handrail drive chain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Figure 4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에 따른 A-A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according to FIG.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적용된 하부 슬라이더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slider applied to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적용된 하부 슬라이더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a lower slider applied to a tens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적용된 리프트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the lift applied to the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T ; 장력조절장치1 ; 구동스프라킷T; Tension control device 1; Drive sprocket
2 ; 종동스프라킷3 ; 구동체인2 ; Driven sprocket 3; Drive Chain
4 ; 브래킷5 ; 지지대4 ; Bracket5; support fixture
6a, 6b ; 보조 스프라킷7 ; 장력조절봉6a, 6b; Auxiliary sprocket 7; Tension adjusting rod
8 ; 핸드레일풀리9 ; 핸드레일8 ; Handrail pulley9; Handrail
10 ; 텐션벨트 11 ; 지지프레임10; Tension belt 11; Support frame
11a; 슬롯11b; 슬라이딩 구멍11a; Slot 11b; Sliding hole
11c; 가로지지대12a; 상부 슬라이더11c; Transverse support 12a; Upper slider
12b; 하부 슬라이더13 ; 리프트12b; Lower slider 13; lift
13a; 나사구멍13b; 리프트 베이스13a; Screw hole 13b; Lift base
14 ; 보울트15 ; 스프링14; Bolt 15; spring
16 ; 로크너트16a; 와셔16; Locknut 16a; was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 장력조절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의 내부를 통과하는 구동체인의 이완부에 각각 인접하는 상·하부 슬라이더와,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가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리프트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리프트 일단를 고정하기 위한 보울트와, 상기 리프트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 일단 또는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크너트로 구성된 것이다.The tension control device of the escalator and the handrail drive chain for moving walk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djacent to each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loosening portion of the drive chain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upport frame An upper and lower sliders, a lift for guiding the upper and lower sliders to move vertically and vertically, a bolt for fixing on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and lower sliders and one end of the lift, and the lift It is composed of a spring installed on one end or both ends of the outer side for supporting the slider, and a lock nut fastened to one or both ends of the lift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to support the spring.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쪽 하단부에는 상기 보울트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슬롯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이 양쪽 지지프레임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리프트가 통과할 수 있는 슬라이딩 구멍을 형성한 가로지지대가 일체로 결합된 것이다.In addition, slots for adjust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olts are formed in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support having a sliding hole through which the lift can pass in the inner central portions of both support frames. It is integrally combined.
또한, 상기 리프트는 상기 보울트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구멍이 형성된 리프트 베이스의 양쪽 상면에 평행하게 수직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lift is vertically formed parallel to both upper surfaces of the lift base is formed with a screw hole for inserting the bolt.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 장력조절장치(T)는 구동스프라킷(1) 및 종동스프라킷(2) 사이에 구동체인(3)이 설치되고 이 구동체인(3)의 이완부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 2 to 4, the tension control device (T) of the escalator and moving walk handrail drive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sprocket (1) and driven sprocket (2) The driving chain 3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nd the loosening part of this driving chain 3 is installed.
상기 구동스프라킷(1)과 동축선 상에는 핸드레일풀리(8)가 결합되어 그 외주면에 핸드레일(9)을 감고 있고, 그 외부 일측에는 상기 핸드레일(9)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텐션벨트(10)가 가압하고 있다.The handrail pulley 8 is coupled to the drive sprocket 1 on the coaxial line, and the handrail 9 is wound around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ension for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handrail 9 on the outer side thereof. The belt 10 is pressurized.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T)는 외관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1)과, 이 지지프레임(11)의 내부를 통과하는 구동체인(3)의 이완부 외측에 각각 인접하는 상·하부 슬라이더(12a)(12b)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12a)가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리프트(13)와, 상기 지지프레임(11) 하단부와 하부 슬라이더(12b) 및 리프트(13)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보울트(14)와, 상기 리프트(13)의 상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12a)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5)과, 이 스프링(15)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13)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15)을 지지하는 와셔(16a)와 로크너트(16)로 구성되어 있다.Tension adjusting device (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forming the appearance and the outer side of the loosening portion of the drive chain (3) passing through the support frame (11) Lower sliders 12a and 12b, a lift 13 for guiding the upper slider 12a to move vertically up and dow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and a lower slider 12b and lifts. (13) A bolt 14 for fixing the lower end portion, a spring 15 provided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lift 13 to support the upper slider 12a, and a tension of the spring 15 is adjusted. It consists of a washer (16a) and locknut (16) for fastening to the upper end of the lift 13 to support the spring (15).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양쪽 하단부에는 상기 보울트(14)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슬롯(11a)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이 양쪽 지지프레임(11)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리프트(13)가 통과할 수 있는 슬라이딩 구멍(11b)을 형성한 가로지지대(11c)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트(13)는 상기 보울트(14)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구멍(13a)이 형성된 리프트 베이스(13b)의 양쪽 상면에 평행하게 수직형성된 것이다.5 to 9, slots 11a for adjusting fastening positions of the bolts 14 are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support frame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both support frames ( 1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center portion of the 11, the horizontal support (11c) forming a sliding hole (11b) through which the lift 13 can pass, the lift (13) to insert the bolt 14 Vertically parallel to both upper surfaces of the lift base 13b in which the screw holes 13a are formed.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T)는 구동체인(3)의 이완부를 외측에서 탄성지지하도록 되어있다. 즉, 하부 슬라이더(12b)는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 슬라이더(12a)는 리프트(13)를 따라 완충되는 스프링(15)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체인(3)에 무리를 주지 않고 항상 적정한 상태로 장력을 조절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Tension control device (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laxed portion of the drive chain (3) from the outside. That is, since the lower slider 12b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 and the upper slider 12a is supported to be movable by a spring 15 which is buffered along the lift 13, the drive chain ( The tension is always adjusted to the proper state without stressing 3).
또한, 전체적인 장력 상태가 부족하거나 너무 세게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로크너트(16)를 조이거나 풀어주므로써 장력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overall tension state is insufficient or set too hard, the lock nut 16 may be arbitrarily adjusted by tightening or releasing the lock nut 16.
한편, 도면으로 표현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의 일실시예에서 변형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 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other embodiment that can be modified in the above embodiment as follows.
먼저, 상기 하부 슬라이더(12b)를 지지프레임(11) 상에 고정하지 않고 이 하부 슬라이더(12b)에 상기 리프트(13)의 하단부를 관통시킨 후, 그 하단부의 외측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15)을 설치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는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12a)(12b)를 모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조이다.First, the lower slider 12b is pass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lift 13 through the lower slider 12b without being fixed on the support frame 11, and then the spring 15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2a and 12b are elastically supported.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12a)(12b)의 만곡면을 구동체인(3)의 이완부 내측에 닿도록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15)이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상·하부 슬라이더(12a)(12b)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urved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2a, 12b) is installed so as to touch the inside of the loose portion of the drive chain (3),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spring 15 is elastically supported to the outside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sliders 12a and 12b.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xpec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용 핸드레일 구동체인의 장력조절장치는 상·하부 슬라이더(12a)(12b)의 탄력적인 지지력이 구동체인(3)의 상하에 고르게 작용하므로써 맥동현상 및 진동소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장력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로크너트(16)를 풀거나 조이므로써 스프링(15)의 압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체인(3)이 여러 곳의 곡부를 통과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구동력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되어, 기기 전체의 수명연장과, 탑승자의 승차감 향상 및 보수관리의 편리성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tension control device of the escalator and the handrail drive chain for moving wal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2a and 12b evenly acting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riving chain 3 to prevent pulsation and vibration noise. It is possible to cope actively, and if the tension is inadequate, the pressure of the spring 15 can be easily adjusted by loosening or tightening the lock nut 16, and the drive chain 3 does not have to pass through various curved parts. Since the driving force can be preserved as it is,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whole device, improve the ride comfort of the occupant, and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managemen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5992U KR200152579Y1 (en) | 1997-03-27 | 1997-03-27 | Tension controller of driving chain of hand rail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5992U KR200152579Y1 (en) | 1997-03-27 | 1997-03-27 | Tension controller of driving chain of hand rail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1727U KR19980061727U (en) | 1998-11-16 |
KR200152579Y1 true KR200152579Y1 (en) | 1999-07-15 |
Family
ID=1949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05992U Expired - Lifetime KR200152579Y1 (en) | 1997-03-27 | 1997-03-27 | Tension controller of driving chain of hand rail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2579Y1 (en) |
-
1997
- 1997-03-27 KR KR2019970005992U patent/KR200152579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1727U (en) | 199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38799A (en) |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 |
EP2084094A2 (en) | Arrangement in an elevator speed limiter | |
US7165656B2 (en) | Elevator and guide fixing bracket for an elevator | |
JPH07252062A (en) | Door unit of elevator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 |
KR200152579Y1 (en) | Tension controller of driving chain of hand rail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way | |
JP2007223679A (en) | Passenger conveyor | |
JP2005187202A (en) | Conveyer apparatus | |
AU738886B2 (en) | Escalator apparatus | |
JP7547787B2 (en) | Passenger conveyor | |
CN112188989A (en) | Elevator car door device | |
JP7597458B1 (en) | Gearbox | |
KR100246741B1 (en) | Handrail tension adjuster for escalator and moving walk | |
KR0129940Y1 (en) | Chain tensioner | |
JP6499067B2 (en) | Passenger conveyor drive mechanism, passenger conveyor, and belt member adjustment method in passenger conveyor drive mechanism | |
JPH03249092A (en) | Handrail belt driving device | |
JP6946242B2 (en) | Passenger conveyor device | |
KR100358495B1 (en) | Compensation of rail length moving board | |
JP2004115211A (en) | Passenger conveyor | |
KR0117100Y1 (en) | Frame connect equipment velt moving wort | |
KR20010039274A (en) | Belt tension compensation device for elevator | |
KR0134477Y1 (en) | Handrail Drive Tension Device for Escalator | |
KR100369676B1 (en) | Vibration preventing method of elevator | |
KR850002467Y1 (en) | Steed tape tension apparatus for elevator | |
KR19990049920A (en) | Step Chain Noise Canceller on Escalator | |
EP3569557A1 (en) | People conveyor with handrail belt tensioning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32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199703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1999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199904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