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2331Y1 - 덕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덕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331Y1
KR200152331Y1 KR2019950057977U KR19950057977U KR200152331Y1 KR 200152331 Y1 KR200152331 Y1 KR 200152331Y1 KR 2019950057977 U KR2019950057977 U KR 2019950057977U KR 19950057977 U KR19950057977 U KR 19950057977U KR 200152331 Y1 KR200152331 Y1 KR 200152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astening structure
bolt
fixe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7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874U (ko
Inventor
장한주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57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331Y1/ko
Publication of KR970028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33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액체가 누설되지 않는 덕트체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덕트(A)가 제2덕트(B)에 삽입연결되는 덕트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A)의 일측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1)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볼트(17)의 기단에는 개스킷(12)이 부착되고, 상기 제2덕트(B)의 일측에는 상기 제1덕트(A)의 볼트(1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13)의 가장자리에는 클립(15)이 배설되어 너트(17)로써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체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덕트 체결구조
제1도는 종래의 덕트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체결구조에 따른 덕트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덕트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체결구조에 따른 덕트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오목홈 5 : 돌설부
11 : 볼트 12 : 개스킷
13 : 가이드홈 15 : 클립
17 : 너트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덕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및 온도 등에 의한 외부의 환경에 의해 누설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덕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덕트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공기 또는 액체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튜브 또는 채널을 지칭한다.
상기한 덕트는 제조상 그 길이가 제한되므로, 소정의 길이 이상의 덕트를 필요로 할 때에는 부득이 덕트와 덕트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한다.
덕트와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체결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덕트체결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형성하는 제1덕트(A)가 상기 제1덕트(A)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2덕트(B)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덕트(A)의 외주면에는 제2덕트(B)의 외주면에 돌설된 오목홈(3)에 수용되도록 돌설부(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A)를 제2덕트(B)에 삽입하면, 상기 돌설부(5)는 제2덕트(B)의 오목홈(3)에 끼워맞춤되어 좌우 또는 전후로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덕트체결구조는 체결시에 결합력이 약하여 상기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액체가 누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요약]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액체가 누설되지 않는 덕트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덕트(A)가 제2덕트(B)에 삽입연결되는 덕트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A)의 일측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볼트의 기단에는 개스킷이 부착되고, 상기 제2덕트(B)의 일측에는 상기 제1덕트(A)의 볼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의 가장자리에는 클립이 배설되어 너트로써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덕트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덕트체결구조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덕트체결구조는 제1덕트(A)와 제2덕트(B)를 연결하는 덕트체결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을 형성하는 제1덕트(A)가 상기 제1덕트(A)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2덕트(B)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덕트(B)에 삽입되는 제1덕트(A)의 일측에는 제1덕트(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볼트(1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볼트(11)의 기단에는 상기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스킷(12)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2덕트(B)의 일측에는 제1덕트(A)에 고정된 볼트(11)가 수용되도록 U자형의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13)의 가장자리에는 덕트의 결합시에 수용되는 상기 볼트(11)를 가이드하도록 클립(15)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덕트(A)와 제2덕트(B)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덕트(A)를 제2덕트(B)내에 삽입하면, 상기 제1덕트(A)에 고정된 볼트(11)는 제2덕트(B)의 가이드홈(13)에 배설된 클립(15)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상기 돌설된 볼트(11)에 너트(17)를 체결하면 제1덕트(A)와 제2덕트(B)는 강한 결합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덕트체결구조에 의하면, 덕트와 덕트가 강한 결합력으로 연결고정되므로써,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1덕트(A)가 제2덕트(B)에 삽입연결되는 덕트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A)의 일측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1)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볼트(11)의 기단에는 개스킷(12)이 부착되고, 상기 제2덕트(B)의 일측에는 상기 제1덕트(A)의 볼트(1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13)의 가장자리에는 클림(15)이 배설되어 너트(17)로써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체결구조.
KR2019950057977U 1995-12-30 1995-12-30 덕트 체결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52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7977U KR200152331Y1 (ko) 1995-12-30 1995-12-30 덕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7977U KR200152331Y1 (ko) 1995-12-30 1995-12-30 덕트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874U KR970028874U (ko) 1997-07-24
KR200152331Y1 true KR200152331Y1 (ko) 1999-07-15

Family

ID=1944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7977U Expired - Lifetime KR200152331Y1 (ko) 1995-12-30 1995-12-30 덕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3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874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6495A (ko) 다중벽 관 조립체와 공용되는 관 이음매
KR970061678A (ko) 저 삽입 힘 그로메트
DE69825637D1 (de) Dichtring für röhrenförmiges Element
KR940007414A (ko) 파이프 조인트
KR960006181B1 (ko)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KR100533832B1 (ko) 커플러용 보호캡
CA2146317A1 (en) Installing Pipes
JPH05126288A (ja) 管状連結部に強制的に取り付けられるフレキシブルチユーブをクランプするための水密クランプ装置
KR200152331Y1 (ko) 덕트 체결구조
BR0205718A (pt) Válvula injetora de combustìvel para motores de combustão
WO2000005109A3 (de) Befestigung einer rohrplatine
US5964205A (en) Fuel atomizing device
BR0107675A (pt) Conexão vedada para uso com tubos espiralados
RU2001133091A (ru) Шлан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9259672A (ja) グロメット
JPH10205669A (ja) 配管の接続装置
JPH0632553Y2 (ja) 流体管の端末接続具
JPS6334642Y2 (ko)
KR0156362B1 (ko) 자동차의 연료라인 콘넥터 연결구조
JPH0315048Y2 (ko)
KR200232253Y1 (ko) 원터치형 튜브피팅의 실링구조
JPH1082488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構造
JP2002267066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構造
KR200151475Y1 (ko) 호스 이음구조
KR200211151Y1 (ko) 셀프실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3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