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2196Y1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196Y1
KR200152196Y1 KR2019970013563U KR19970013563U KR200152196Y1 KR 200152196 Y1 KR200152196 Y1 KR 200152196Y1 KR 2019970013563 U KR2019970013563 U KR 2019970013563U KR 19970013563 U KR19970013563 U KR 19970013563U KR 200152196 Y1 KR200152196 Y1 KR 200152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plate
main body
pair
wedg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935U (ko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filed Critical 박철웅
Priority to KR2019970013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196Y1/ko
Publication of KR970052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9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19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케이블 고정을 위한 클램프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가이드부(11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탄성수단(120)과, 상기 탄성수단(120)에 의해 작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쐐기지지판(150)과, 상기 쐐기지지판(150)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부(1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쐐기(130A,130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탄성부재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의 구조이므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으며, 날씨 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케이블이 처지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본 고안은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케이블 고정을 위한 클램프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는 일반 가정 내지 공장 등의 수요되는 곳까지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바, 이러한 케이블은 지하에 매설되기도 하지만 통상 지상에 설치된 전주에 지지된다.
이때, 전주는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블은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주에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가 사용된다.
제1도는 종래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덧씌워지는 커버(3)와, 상기 본체(1)와 커버(3)를 고정하는 다수의 U자볼트(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에는 전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핀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상부면에는 케이블(C)이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반원형의 긴 오목홈(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3)의 내측에는 케이블(C)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1)의 오목홈(1b)과 대응하는 소정 깊이의 오목홈(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의 플랜지부(1a)에 코더핀(7)을 삽입하고 상기 코더핀(7)에 스프릿핀(9)을 끼워 본체(1)를 전주에 고정한 다음,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오목홈(1b)에 케이블(C)을 끼우고 그 상부에 커버(3)를 씌운 다음, 재크 또는 기타의 공구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팽팽히 당긴 상태에서 상기 본체(1)와 커버(3)를 결합하는 U자볼트(5)를 너트(11)로 조여 케이블(C)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본체와 커버가 U자볼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U자볼트를 조이기 위한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너트를 견고하게 조이더라도 장시간이 지나면 케이블에 처짐이 발생된다는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즉,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 날씨 등의 영향으로 케이블이 팽창 또는 수축되고, 이에 따라 본체와 커버의 고정력이 저하되어 케이블이 미끄러져 처짐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는 케이블을 더욱 고정하려는 탄성적인 힘이 없이, 정해진 위치에 그대로 고정되어 있는 나사결합방식에 따른 문제점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날씨 또는 계절의 영향에 의해서도 케이블에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케이블 고정 수단인 쐐기의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가이드부
111 : 가이드홈 113 : 가이드레일
120 : 스프링 130A,130B : 쐐기
140 : 지지대 150 : 쐐기지지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케이블이 움직이게 되면 더욱 고정되도록 탄성적인 힘으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원터치 방식으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다는 데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쐐기지지판과, 상기 쐐기지지판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쐐기지지판은 한 쌍의 쐐기와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된 구조로써, 상기 탄성수단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쐐기가 후진된 상태에서 임시 고정되도록 하는 방아쇠 역할을 겸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한 쌍의 쐐기와 쐐기지지판이 동시에 후진하게 되면 상기 후진되는 쐐기지지판에 의해 탄성수단이 압축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쐐기는 본체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서로 점차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상기 쐐기지지판은 상기 한 쌍의 쐐기와 서로 맞물려 탄성수단의 팽창력을 받는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쐐기를 임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을 상기 한 쌍의 쐐기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쐐기와 쐐기지지판의 물림상태를 해제하면 탄성수단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쐐기지지판과 한 쌍의 쐐기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쐐기는 본체의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임이 제어되는 바, 상기 가이드부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한 쌍의 쐐기는 점점 가까이 밀착되면서 케이블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한 쌍의 쐐기가 탄성수단의 팽창력에 의해 점차 조여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 쌍의 쐐기 사이에 삽입된 케이블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더라도 움직임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가이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쐐기로 케이블 고정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본체의 오목홈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쐐기지지판으로 작동부가 구성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와 같이 코더핀과 스플릿핀으로 전주에 고정되는 클램프 본체(100)에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가이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가이드부(110)에는 탄성부재인 스프링(120)을 가이드하도록 반원형의 긴 가이드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11)의 양측에는 한 쌍의 쐐기(130A,130B)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레일(1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120)에는 지지대(140)가 삽입되어 스프링(1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120)을 압축시키도록 그 상측에는 쐐기지지판(150)이 덧씌워진다.
여기서, 상기 쐐기지지판(150)의 선단은 스프링(120)에 맞물리도록 절곡된 걸림턱(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는 랜싱가공으로 반원통형의 가이드돌기(155)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20)을 감싸며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쐐기지지판(150)의 양 날개(151)는 상기 한 쌍의 쐐기(130A,130B)와 맞물리는 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쐐기(130A,130B)에는 각각 한 쌍의 돌기(131)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지지판이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즉,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쐐기(130A,130B)와 상기 쐐기지지판(150)이 본체(100)의 가이드부(110)에서 함께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맞물림과 아울러, 상기 한쌍의 쐐기(130A,130B)가 가변되는 본체(100)의 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돌기(131)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쐐기지지판(150)의 일측 날개(151)와 상기 쐐기(130A)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131)에는 각각 맞물려 임시 고정 가능하도록 단차부(151A,131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쐐기(130A,130B)에는 케이블과 접촉되는 일측면에 각각 톱니모양으로 요철부(1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케이블이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쐐기(130A)에는 쐐기지지판(150)을 매개로 스프링을 압축하는 후진조작이 편리하도록 손잡이(13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쐐기(130A,130B)와 쐐기지지판(150)은 본체(100)의 가이드부(110) 내에서 일체로 연동되는데, 상기 가이드부(110)의 가이드홈(111)에 설치된 스프링(1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쐐기(130A)에 형성된 손잡이(135)를 당겨 후진시키면, 쐐기지지판(150)과 상기 쐐기지지판(150)으로 매개된 쐐기(130B)도 연동하여 후진되는바, 이 후진 작용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쐐기(130A,130B)는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면서 폭이 벌어지게 되며, 상기 쐐기지지판(150)은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53)으로 스프링(120)을 압축시킨다.
이렇게 소정 구간 후진되면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지지판(150)의 일측 날개(151)에 형성된 단차부(151a)는 상기 쐐기(130A)의 돌기(131)에 형성된 단차부(131a)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120)의 팽창력이 작용되어 한 쌍의 쐐기(130A,130B)를 전방으로 밀려하지만, 상기 쐐기지지판(150)의 날개(151)와 쐐기(130A)의 돌기(131)가 맞물려 폭이 좁아지는 가이드부(110)에 걸리게되어 임시 고정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케이블(C)을 한 쌍의 쐐기(130A,130B)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쐐기(130A)에 형성된 손잡이(135)를 조작하여 상기 쐐기지지판(150)의 날개(151)와 쐐기(130A)의 돌기(131)가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쐐기지지판(150)와 한 쌍의 쐐기(130A,130B)는 동시에 전진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쐐기(130A,130B)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결국엔 케이블(C)을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쐐기(130A,130B) 일면에는 톱니모양의 요철부(1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C)이 잡아당기는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지만 처지는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케이블을 전주에 임시 고정한 상태에서 재크 등의 수단으로 더욱 긴장되게 당길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의하면 탄성부재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의 구조이므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씨 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케이블이 처지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가이드부(11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탄성수단(120)과, 상기 탄성수단(120)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쐐기지지판(150)과, 상기 쐐기지지판(150)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부(1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쐐기(130A,130B)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19970013563U 1997-06-07 1997-06-07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Expired - Lifetime KR200152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563U KR200152196Y1 (ko) 1997-06-07 1997-06-07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563U KR200152196Y1 (ko) 1997-06-07 1997-06-07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935U KR970052935U (ko) 1997-09-08
KR200152196Y1 true KR200152196Y1 (ko) 1999-07-15

Family

ID=1950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563U Expired - Lifetime KR200152196Y1 (ko) 1997-06-07 1997-06-07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19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27B1 (ko) 2006-07-04 2008-01-04 박철웅 전력선 연결장치
KR100801906B1 (ko) 2007-05-11 2008-02-12 박귀현 케이블 고정구
KR100867879B1 (ko) * 2000-07-18 2008-11-10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쐐기형 클램프
KR101092529B1 (ko) 2010-05-14 2011-12-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쐐기형 인장클램프 절연 커버
KR101655049B1 (ko)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655050B1 (ko)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20240111999A (ko) 2023-01-11 2024-07-18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단일 쐐기형 인장 클램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879B1 (ko) * 2000-07-18 2008-11-10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쐐기형 클램프
KR100791127B1 (ko) 2006-07-04 2008-01-04 박철웅 전력선 연결장치
KR100801906B1 (ko) 2007-05-11 2008-02-12 박귀현 케이블 고정구
KR101092529B1 (ko) 2010-05-14 2011-12-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쐐기형 인장클램프 절연 커버
KR101655049B1 (ko)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655050B1 (ko)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20240111999A (ko) 2023-01-11 2024-07-18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단일 쐐기형 인장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935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5001B2 (en) Spring assist cable clamps
US4416503A (en) Gripping or locating devices
US6402418B1 (en) Coupling for assembling cable tray unit sections and cable tray unit sections obtained
EP0802580B1 (en) Electrical clip and method
US4183686A (en) Dead end connector
KR20015219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910002051A (ko) 고정수단이 있는 접속기 조립체
KR200257876Y1 (ko) 쐐기형 인장 클램프
US7039988B2 (en) Single jaw wedge dead end
US5340335A (en) Electrical tap connector
KR200229829Y1 (ko) 쐐기형 인장 클램프
US3623687A (en) Insulator top clamp
US5240441A (en) Electrical wire connector
FR2709528B1 (fr) Dispositif de support de câbles ou conduits.
US6537155B2 (en) Counterweight arbor guide system
EP3609029B1 (en) Clamp for a wire of an overhead line and method for tightening a wire of an overhead line
WO1988007282A1 (en) A profiled section joining device
EP1008793A2 (fr) Attache ressort pour la fixation des tubes ou câbles électriques dans le fond d'une rainure réalisée dans le mur, sol ou plafond
KR100791127B1 (ko) 전력선 연결장치
IT202000014110A1 (it) Blocco di giunzione per moduli di blindosbarra
KR200417027Y1 (ko) 전력선 연결장치
KR960000211Y1 (ko) 케이블 고정 클램프
KR102394026B1 (ko) 가변형 후크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활선 작업 공구
KR102079810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60139216A (ko) 금속광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6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