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1604Y1 -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604Y1
KR200151604Y1 KR2019960037862U KR19960037862U KR200151604Y1 KR 200151604 Y1 KR200151604 Y1 KR 200151604Y1 KR 2019960037862 U KR2019960037862 U KR 2019960037862U KR 19960037862 U KR19960037862 U KR 19960037862U KR 200151604 Y1 KR200151604 Y1 KR 200151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crt
inner front
glare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473U (ko
Inventor
류동건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37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6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4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60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9Optical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structurally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9Optical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913Anti-reflection, anti-glare, viewing angle and contrast improving treatments or device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RT의 내측 전방패널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전방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을 감소시킴으로써 눈의 피로를 방지하도록 된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리드(10)와, 전자총(12), 측면 패널(13), 형광막(14) 및, 전방 패널(15)로 구성된 CRT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전방패널(15)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16)이 형성되어 이 외측 전방패널(16)에 의해 내측 전방패널(15)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이 감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A CRT structure for preventing to be dazzling to the eye)
본 고안은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CRT의 내측 전방패널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전방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을 감소시킴으로써 눈의 피로를 방지하도록 된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모니터의 페이스 글라스 내측면에는 화소를 이루기 위한 R, G, B 형광체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도트패턴 또는 스트라이프 패턴상에 도포된 형광막이 도포되게 된다.
이와 같이, CRT의 전방 패널에 형광체가 도포되어 노광대에 장착된 후 일정량의 빛이 조사되어 감광성 물질인 형광체가 보다 견고하게 패널에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패널에 도포된 형광막을 보다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광원이 형광막 전면에 균일하게 장착되어야 하고, 상기 형광막의 R, G, B 패턴은 페이스 글라스의 내주면에 감광체를 칠한 다음 패널이 형성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CRT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RT는 그리드(10)와, 전자총(12), 측면 패널(13), 형광막(14) 및, 전방 패널(1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총(12)으로부터 발사된 전자가 형광막에 충돌되어 빛이 발산되게 되면, 패널을 투과한 빛이 사용자의 눈에 들어오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방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패널(15)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은 대기 상태, 예컨대 공기 상태이고, 우측은 진공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진공 상태의 유전율은 1 이고, 상기 대기 상태의 유전율도 거의 1 로 되게 된다.
상기 전자총(12)으로부터 발사된 실제의 영상 정보는 E1t 이고, E2t 는 상기 전방 패널(15)로 재입력된 후 반사된 영상 정보이며, 이 E2t 영상 정보는 눈의 피로를 발생하는 성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E2t 성분에 의해 모니터 사용자의 눈의 피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CRT의 내측 전방패널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전방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을 감소시킴으로써 눈의 피로를 방지하도록 된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리드와, 전자총, 측면 패널, 형광막 및, 전방 패널로 구성된 CRT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전방패널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이 형성되어 이 외측 전방패널에 의해 내측 전방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이 감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CRT의 내측 전방패널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전방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을 감소시킴으로써 눈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CRT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방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전방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그리드, 12: 전자총,
13: 측면 패널, 14: 형광막,
15: 내측 전방패널, 16: 외측 전방패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색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모니터에 적합한 보드가 있어야 하고, 이 보드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화면 출력장치인 CRT(Cathode Ray Tube)로 전송되며, 상기 색 구현에 관한 데이터, 예컨대 R, G, B 신호, 각 색의 밝기 조절을 위해 색 신호의 강도(intensity)에 관한 신호 등이 전자총에 의해 발사되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화면에 나타나는 모든 색은 빛의 3 원색을 이용하여 표현되게 된다.
그리고, R, B, B 신호를 주사하는 3 개의 전자총이 신호를 받아 들여 그에 해당하는 빛을 발사하게 되면, 그 빛은 수평, 수직 굴절층에 의해 그 빛이 도달할 위치가 조절되어 셔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셔도우 마스크는 CRT 화면 뒤, 즉 형광면 뒤쪽에 있는 것으로 무수히 많은 구멍이 뚫려있는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전자총에서 발사된 빛은 상기 셔도우 마스크의 픽쳐 튜브에 의해 형광물질이 코팅된 브라운에 주사되어 화면상의 모든 픽셀, 예컨대 R, G, B 3 색 도트로 형성된 픽셀을 지정하게 되면 원하는 색상을 재현하게 된다.
한편, VGA 컬러 모니터는 사용 주파수를 기준으로 주파수가 고정되어 있는 VGA 전용과 CGA, EGA, VGA, XGA 등과 원하는 주파수가 모두 지원되는 멀티스캐닝 모니터로 분류되게 된다. 상기 주파수는 화면상에 완전하게 그려지는 형태를 뜻하고, 화면의 깜박임, 눈의 피로 등과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 모니터는 한번에 1 개 라인을 화면상의 이미지로 그리기 위해 3 개의 전자총을 갖추고, 표준 VGA 모델인 640 × 480은 R, G, B 빔에 의해 만들어지는 640 개의 수평 도트와 이 도트들이 모여 1 개 라인을 그리며, 다시 다음 라인을 그리기 위해 되돌아 가는 반복 작업을 통해 한 화면에 480 개의 라인이 그려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CRT는 그리드(10)와, 전자총(12), 측면 패널(13), 형광막(14), 내측 전방패널(15) 및, 외측 전방패널(16)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전방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패널(15, 16)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은 대기 상태, 예컨대 공기 상태이고, 우측은 진공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진공 상태의 유전율은 1 이고, 상기 대기 상태의 유전율도 거의 1 로 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12)으로부터 발사된 실제의 영상 정보는 E1t 이고, E2t 는 상기 내측 전방패널(15)로 재입력된 후 반사된 영상 정보이며, 이 E2t 영상 정보가 눈의 피로를 발생하는 성분이다. 따라서, 상기 E2t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고, 이 E2t 성분은 내측 전방패널(15)과 외측 전방패널(16)에 의해 감쇄되게 된다. 상기 내측 전방패널(15)과 외측 전방패널(16)의 두께는 각각 소정 두께, 예컨대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도 관계 없지만, 유전율이 다른 제품을 사용해야 더욱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개의 내외측 전방패널(15, 16), 예컨대 유리 패널이 형성되지만, 유전율이 서로 다르게 되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성분, 즉 E1t 세기는 거의 감소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단면인 경우에 있어서 눈의 피로를 발생하는 성분, 즉 E2t 은 양면인 경우에 있어서 눈의 피로를 발생하는 성분, 즉 E2t 와의 합보다 크거나 같게 된다. 즉, E2t(단면) ≥ E2t +(양면) 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양면으로 하는 경우 눈의 피로를 발생하는 성분이 상당히 감소되어 눈의 피로를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의 원리는 레이저 원리에서 쉽게 이해 할 수 있는데, 소스신호는 코히런스(coherence) 성분에 의해 감소되지 않고 멀리 전달되지만, 이종 신호는 산란 등의 현상으로 거리에 따라 급격히 소멸되게 된다.
한편,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CRT의 내측 전방패널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전방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을 감소시킴으로써 눈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그리드(10)와, 전자총(12), 측면 패널(13), 형광막(14) 및, 전방 패널(15)로 구성된 CRT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전방패널(15)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외측 전방패널(16)이 형성되어 이 외측 전방패널(16)에 의해 내측 전방패널(15)로부터 방출되는 산란 빛이 감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전방패널(16)은 상기 내측 전방패널(15)과 동일 두께로 형성되면서 다른 유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KR2019960037862U 1996-10-31 1996-10-31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51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862U KR200151604Y1 (ko) 1996-10-31 1996-10-31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862U KR200151604Y1 (ko) 1996-10-31 1996-10-31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73U KR19980024473U (ko) 1998-07-25
KR200151604Y1 true KR200151604Y1 (ko) 1999-07-15

Family

ID=1947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862U Expired - Lifetime KR200151604Y1 (ko) 1996-10-31 1996-10-31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6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73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2555A (ko) 칼라음극선관
KR200151604Y1 (ko) 눈부심 방지용 crt 구조
CA2371218A1 (en) Image projector
US4106866A (en) Image projection system
JPH0429893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DE69114313D1 (de) Elektronenstrahlröhre mit gekrümmtem Bildfenster und Farbbildwiedergabeanordnung.
JPH07225564A (ja) 直視型レーザ管
KR100258051B1 (ko)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H04215237A (ja) 陰極線管および表示装置
KR100340669B1 (ko) 방전가스를 사용하는 발광 표시패널
KR920000757Y1 (ko) 비임 난반사 방지용 브라운관
KR100536693B1 (ko) 광변조기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WO1999041902A3 (en) Video moire reduction
KR960008107B1 (ko) 컬러모니터
ES2134162A1 (es) Aparato de tubo de rayos catodicos del tipo de refrigeracion por liquido.
KR830000762B1 (ko) 투사형(投寫形)브라운관
JPS58206034A (ja) 陰極線管
KR20000045833A (ko) 평면 crt 구조
KR0136517Y1 (ko) 음극선관
CA2049491A1 (en) Projection cathode-ray tube with uniform optical multiple interference film
KR930011783B1 (ko) 광파이버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940005207B1 (ko) 평면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고정장치
JPH0319586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WO2000062555A1 (en) Color component focusing in a rear projection television
JPH0787507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0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