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0793Y1 -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793Y1
KR200150793Y1 KR2019970000835U KR19970000835U KR200150793Y1 KR 200150793 Y1 KR200150793 Y1 KR 200150793Y1 KR 2019970000835 U KR2019970000835 U KR 2019970000835U KR 19970000835 U KR19970000835 U KR 19970000835U KR 200150793 Y1 KR200150793 Y1 KR 200150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button
push bar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778U (ko
Inventor
김문식
Original Assignee
김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식 filed Critical 김문식
Priority to KR2019970000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79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7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1) 내측에 도어(1)를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걸림쇠(2)가 고정브라켓(3)의 힌지축(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1)가 접하는 도어틀(5)에는 상기 걸림쇠(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6a)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어(1)의 측면에 설치된 도어손잡이(7)에는 상기 걸림쇠(2)를 걸림턱(6a)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해제수단(8)이 설치되고, 이 해제수단(8)은 도어손잡이(7) 일측에 스프링(9)을 매개로 버튼(10)이 설치되고, 이 버튼(10)은 후면에 상기 고정브라켓(3)에 설치된 걸림쇠(2)를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누름바(11)가 설치되되, 상기 누름바(11)는 그 선단부가 원뿔(11a)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튼10)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바(11)가 도어(1)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원뿔(11a)단면을 따라 상기 걸림쇠(2)를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리도록 된 구조로 되어, 도어를 닫아주면 별도의 동작이 필요없이 도어를 잠글 수 있고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지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겨주기만 하여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음으로써,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힘이 없는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록 장치
본 고안은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닫이 도어 등에 있어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자동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작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창문이나 도어 등에 사용되는 잠금장치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창문(101)에는 고정편(102)을 설치하고 타측 창문(103)에는 상기 고정편(102)에 선택적으로 걸수 있도록 힌지축(104)을 중심으로 회동걸림편(105)을 설치하여 창문을 잠그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회동걸림편(105)의 손잡이(106)를 힌지축(10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타측 창문(101)의 고정편(102)에 걸어 주도록 되어 있고,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걸림편(105)을 회동시켜 타측 창문(101)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편(102)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창문틀 또는 손잡이를 잡고 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창문을 열 때 먼저 잠금장치인 회동걸림편을 회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후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 등을 잡고 여는 두 번의 동작을 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경우를 살펴보면 도 5에서와 같이 미닫이 도어(107)를 닫은 후 도어(107)와 도어틀(108)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수단(109)을 사용하여 도어(107)를 잠그고, 도어(107)를 열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잠금수단(109)을 해제한 후 도어(107)를 열어야 하므로 역시 두 번의 동작을 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손잡이에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버튼을 설치하여 상기 버튼을 눌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서 동시에 손잡이를 잡아당겨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한 동작만으로도 도어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내측에 도어를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걸림쇠가 고정브라켓의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가 접하는 도어틀에는 상기 걸림쇠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도어손잡이에는 상기 걸림쇠를 걸림턱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해제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수단은 도어손잡이 일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버튼이 설치되고, 이 버튼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걸림쇠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누름바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누름바는 그 선단부가 원뿔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누름바가 도어의 내측으로 전진하면 상기 걸림쇠가 상기 누름바의 원뿔형 단면을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쇠는 고정브라켓에 복귀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누름바가 후퇴함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를 밀어 닫게 되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가 도어틀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자동으로 잠겨지게 되고,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지 도어손잡이에 손을 파지하여 당겨주게 되면 상기 도어손잡이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이 눌려지면서 상기 걸림쇠를 걸림턱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를 잠그고 개방하기 위해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 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걸림쇠
3 : 고정브라켓 4 : 힌지축
5 : 도어틀 6 : 브라켓
6a: 걸림턱 7 : 도어손잡이
8 : 해제수단 9 : 스프링
10: 버튼 11: 누름바
11a: 원뿔 12: 복귀스프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개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닫이 도어(1)에 있어서 도어(1)내측에 도어(1)를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걸림쇠(2)가 고정브라켓(3)의 힌지축(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1)가 접하는 도어틀(5)에는 상기 걸림쇠(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6a)이 형성된 브라켓(6)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어(1)의 측면에 도어(1)를 열고 닫기위해 설치된 도어손잡이(7)에는 상기 걸림쇠(2)를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도어틀(5)의 걸림턱(3)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해제수단(8)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수단(8)은 도어손잡이(7) 일측에 스프링(9)을 매개로 버튼(10)이 설치되고, 이 버튼(10)은 후면에 상기 고정브라켓(3)에 설치된 걸림쇠(2)를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누름바(11)가 설치되되, 상기 누름바(11)는 그 선단부가 원뿔(11a)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튼10)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바(11)가 도어(1)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원뿔(11a)단면을 따라 상기 걸림쇠(2)를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리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쇠(2)는 고정브라켓(3)에 복귀스프링(12)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누름바(11)가 후퇴함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라 미닫이 도어에 사용되는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1) 내측에 도어잠금장치를 설치하고, 도어(1)를 열고 닫기 위해 설치되는 손잡이(7)에는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수단(8)을 장착함으로써, 도어(1)를 밀어 닫게 되면 도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2)가 도어틀(5)의 걸림턱(6a)에 걸리면서 자동으로 잠겨지게 되고, 도어(1)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지 도어손잡이(7)에 손을 파지하여 당겨주게 되면 상기 도어손잡이(7)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10)이 눌려지면서 상기 걸림쇠(2)를 걸림턱(6a)으로부터 걸림해제시켜 도어(1)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1)를 잠그고 개방하기 위해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개방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를 닫게 되면 도어틀(5)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6)의 걸림턱(6a)에 도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2)가 걸리면서 도어(1)가 자동으로 잠겨지게 된다.
즉, 도어(1)를 닫게되면 이 도어(1)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2)가 상기 걸림턱(6a)에 닿으면서 힌지축(4)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올라가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쇠(2)는 이 걸림쇠(2)를 항상 하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12)을 압축하게 된다.
이와같이 걸림쇠(2)가 스프링(12)을 압축하면서 회동된 상태에서 완전히 도어(1)가 닫혀져 도어틀(5)의 걸림턱(6a) 내측으로 걸림쇠(2)가 삽입되게 되면 상기 스프링(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쇠(2)가 하방향으로 회동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걸림쇠(2)가 걸림턱(6a)에 걸리게 되어 도어(1)가 잠겨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잠겨져 있는 도어(1)를 잠금해제시켜 열기위해서는 도어(1)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도어손잡이(7)를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손잡이(7) 일측에는 사람의 손가락이 놓여지는 위치에 상기 걸림쇠(2)를 도어틀(5)의 걸림턱(6a)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해제수단(8)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7)에 손을 파지한 후 도어(1)를 열게 되면 도어(1)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도어(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1)의 일측에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버튼(10)이 설치되고, 이 버튼(10)은 스프링(9)을 매개로 상기 도어(1) 내측의 걸림쇠(2)를 들어올리기 위한 누름바(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버튼(10)을 누르게 되면 스프링(9)을 압축하면서 상기 버튼(10)의 내측에 부착된 누름바(11)를 도어(1)의 내측으로 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바(11)는 그 선단부가 원뿔(11a)형상으로 되어 있는 바, 상기 버튼(10)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바(11)가 전진하게 되고, 이 누름바의 원뿔(11a)단면을 따라 상기 걸림쇠(2)가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2)가 들어올려지게 되면 도어틀(5)의 걸림턱(6a)으로부터 자유롭게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 도어손잡이(7)를 잡고 밀게 되면 도어(1)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도어를 밀어 닫게 되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가 도어틀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자동으로 잠겨지게 되고,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지 도어손잡이에 손을 파지하여 당겨주게 되면 상기 도어손잡이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이 눌려지면서 상기 걸림쇠를 걸림턱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를 잠그고 개방하기 위해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록 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닫아주면 별도의 동작이 필요없이 도어를 잠글 수 있고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지 도어손잡이를 잡아당겨주기만 하여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음으로써,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힘이 없는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도어(1) 내측에 도어(1)를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걸림쇠(2)가 고정브라켓(3)의 힌지축(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1)가 접하는 도어틀(5)에는 상기 걸림쇠(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6a)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어(1)의 측면에 설치된 도어손잡이(7)에는 상기 걸림쇠(2)를 걸림턱(6a)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해제수단(8)이 설치된 구조의 도어 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8)은 도어손잡이(7) 일측에 스프링(9)을 매개로 버튼(10)이 설치되고, 이 버튼(10)은 상기 고정브라켓(3)에 설치된 걸림쇠(2)를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누름바(11)가 설치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11)는 그 선단부가 원뿔(11a)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누름바(11)가 도어(1)의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걸림쇠(2)가 상기 누름바(11)의 원뿔(11a)형 단면을 따라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KR2019970000835U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50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35U KR200150793Y1 (ko)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35U KR200150793Y1 (ko)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778U KR19980056778U (ko) 1998-10-15
KR200150793Y1 true KR200150793Y1 (ko) 1999-07-01

Family

ID=1949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835U Expired - Lifetime KR200150793Y1 (ko) 1997-01-22 1997-01-22 도어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7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81B1 (ko) * 2006-06-26 2007-12-27 오병춘 열림손잡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778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0793Y1 (ko) 도어 록 장치
US7416230B2 (en) Safety lock for lever-type door handles
KR200182736Y1 (ko) 창문의 버튼식 잠금장치
KR100485613B1 (ko) 자동 문잠금과 자동 문잠금해지가 되는 도어록장치
KR200182729Y1 (ko) 창문의 버튼식 잠금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0197936Y1 (ko) 장애자용 도어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0136555Y1 (ko) 미닫이문 자동괘정구
KR910000720Y1 (ko) 전자렌지의 도어 록킹장치
KR200150794Y1 (ko) 도어 록 장치
KR20080040937A (ko) 창문 잠금장치
KR19990024304A (ko) 무회전 도어록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920005377Y1 (ko) 캐비넷문의 괘, 해정장치
KR200212755Y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KR880003822Y1 (ko) 전자렌지의 문 개폐장치
KR890003395Y1 (ko) 손잡이 겸 자물쇠
KR200230858Y1 (ko) 창문 자동 레바 록
KR200185329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146850Y1 (ko) 도어핸들 일체형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200208015Y1 (ko) 현관문에 부설되는 보조키겸용 자동개폐기
KR940006482Y1 (ko) 도어록의 안전장치
KR200368941Y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1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