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9475Y1 -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475Y1
KR200149475Y1 KR2019940004051U KR19940004051U KR200149475Y1 KR 200149475 Y1 KR200149475 Y1 KR 200149475Y1 KR 2019940004051 U KR2019940004051 U KR 2019940004051U KR 19940004051 U KR19940004051 U KR 19940004051U KR 200149475 Y1 KR200149475 Y1 KR 200149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connecting jig
cutting
wire conn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4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890U (ko
Inventor
박남철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2019940004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475Y1/ko
Publication of KR9500268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8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47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커팅기(Wire Cutting Machine)의 와이어 연결치구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작업을 단한번의 시도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와이어 연결치구(26)를 고안한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을 원통형상으로 형성시키되 관통홀(27)의 일측을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킨 인출부(28)를 형성시켜 와이어 커팅기(10)의 커팅용 와이어(18)를 상부가이드(12)에서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을 통과하여 하부가이드(14)로 연결시킬 때, 먼저 공작물(20)을 기준대(16)상에 거치하여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과 하부가이드(14)의 삽입구가 수직상 일치되도록 조정한 후, 상기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 상부에서 와이어 연결치구(26)를 끼운 후 상부가이드(12)에서 공급된 커팅용 와이어(18)를 스타트홀(22)에 끼워진 와이어 연결치구(26)의 관통홀(27)에 끼워서 하부가이드(14)의 삽입구에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고,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와이어 연결치구(26)를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에서 상부로 빼어내어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인출부(28)를 통하여 커팅용 와이어(18)에서 와이어 연결치구(26)를 분리시키게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단한번의 시도로 커팅용 와이어를 하부가이드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커팅용 와이어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와이어 커팅기(Wire-Cutting Machine)의 와이어 연결치구
제1도는 와이어 커팅기의 종래 와이어 연결작업을 도시한 사시도.
제2a도 및 2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연결치구의 사시도.
제3도는 제2b도의 A부를 확대할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이어 커팅기 12 : 상부가이드
14 : 하부가이드 16 : 기준대
18 : 커팅용 와이어 20 : 공작물
22 : 스타트 홀(Start Hole) 26 : 와이어 연결치구
27 : 관통홀 28 : 인출부
29 : 확장부
본 고안은 와이어 커팅기(Wire Cutting Machine)의 와이어 연결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커팅기의 상부가이드에서 공급되는 커팅용 와이어를 공작물의 스타트홀을 통과하여 하부가이드에 연결시킬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연결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커팅기(Wire Cutting Machine)는 공작물을 절단 또는 드릴링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불규칙적인 형상의 구멍 등을 고주파 가공에 의하여 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와이어 커팅기의 가공방법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대(16)상에 공작물(20)을 올려놓고 고정시킨 다음, 상부가이드 (12)와 하부가이드(14) 상에 커팅용 와이어(18)가 가설되어 상부가이드(12)에서 하부가이드(14)로 커팅용 와이어(18)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면서 고주파가 인가되어 공작물(20)을 가공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와이어 커팅기(10)에서 커팅용 와이어(18)를 연결시킬때, 공작물(20)이 없는 상태에서 상부가이드(12)에서 하부가이드(14)에 작업자의 손으로 커팅용 와이어(18)를 연결할때에는 하부가이드(14)가 보이기 때문에 별문제 없이 이의 연결이 가능하지만, 공작물(20)이 기준대(16)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하부가이드(14)가 공작물(20)에 가려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공작물(20)에 천공된 스타트홀(22, 지름 3~4 밀리미터 정도 또는 그 이상)에 커팅용 와이어(18, 지름 0.1~0.25밀리미터)를 끼워 하부가이드(14)에 연결시킬때 커팅용 와이어(18)가 휘어짐과 동시에 흔들리기 때문에 보통 4~5회 정도의 시도를 하여야만 연결시킬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커팅용 와이어의 연결작업시 작업자의 신경이 곤두서게 되고 작업 시간이 지연되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되었으며,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작업을 단한번의 시도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작물의 스타트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고 또한 커팅용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관통홀과 관통홀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인출부를 형성시킨 원통형의 연결치구를 제공하여 상부가이드에서 공작물의 스타트홀을 통과하여 하부가이드에 커팅용 와이어를 연결시킬때 공작물의 스타트 홀에 상기 연결치구를 상부에서 끼워 넣고 커팅용 와이어를 연결치구의 관통홀에 삽입하여 하부가이드로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결이 끝나게 되면 연결치구를 공작물의 스타트홀에서 상부로 빼어내어 연결치구 일측의 인출부를 통하여 커팅용 와이어에서 연결치구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26)는 전체적인 형상을 원통형상으로 형성시키되 관통홀(27)의 일측을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킨 인출부(28)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일단에는 관통홀(27)의 내경을 확장시킨 확장부(29)를 형성시켜 커팅용 와이어(18)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제2a도 및 2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연결치구(26)를 도시한 것으로,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관통홀(27)의 일측은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인출부(28)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제2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연결치구(26)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에 확대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일단에는 관통홀(27)의 내경을 경사지게 확장시킨 확장부(29)를 형성시켜 커팅용 와이어(18)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연결치구(26)는 와이어 커팅기(10)의 커팅용 와이어(18)를 상부가이드(12)에서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을 통과하여 하부가이드(14)로 연결시킬때, 먼저 공작물(20)을 기준대(16)상에 거치하여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과 하부가이드(14)의 삽입구(미도시됨)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조정한 후,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 상부에서 와이어 연결치구(26)를 끼운 후 상부가이드(12)에서 공급된 커팅용 와이어(18)를 스타트홀(22)에 끼워진 와이어 연결치구(26)의 관통홀(27)에 끼워서 하부가이드(14)의 삽입구(미도시됨)에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고,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와이어 연결치구(26)를 공작물(20)의 스타트홀(22)에서 상부로 빼어내어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인출부(28)를 통하여 커팅용 와이어(18)에서 와이어 연결치구(26)를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일단에 확장부(29)가 형성되어 커팅용 와이어(18)를 용이하게 와이어 연결치구(26)의 관통홀(27)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한번의 시도로 커팅용 와이어를 하부가이드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커팅용 와이어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전체적인 형상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와이어 연결치구(26)는 그 내측에 관통홀(27)이 형성되고,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외주면 일측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시켜 인출부(28)를 형성시킨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연결치구(26)의 일단에는 그 내외주면을 확장시킨 확장부(29)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KR2019940004051U 1994-03-03 1994-03-03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Expired - Lifetime KR200149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051U KR200149475Y1 (ko) 1994-03-03 1994-03-03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051U KR200149475Y1 (ko) 1994-03-03 1994-03-03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890U KR950026890U (ko) 1995-10-16
KR200149475Y1 true KR200149475Y1 (ko) 1999-06-15

Family

ID=1937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4051U Expired - Lifetime KR200149475Y1 (ko) 1994-03-03 1994-03-03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47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73A (ko) 2018-07-26 2020-02-05 송재방 와이어 커팅용 지그장치
KR102104039B1 (ko) 2019-12-17 2020-04-23 김영미 가공물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와이어 절단 가공기
KR20210009082A (ko) 2019-07-16 2021-01-26 승영춘 와이어커팅기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피가공물 가공방법
KR102390214B1 (ko) 2021-07-14 2022-04-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커팅 금형장치
KR102390213B1 (ko) 2021-07-14 2022-04-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전가공 금형장치
KR20230033967A (ko) 2021-09-02 2023-03-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가공이 가능한 방전가공 금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73A (ko) 2018-07-26 2020-02-05 송재방 와이어 커팅용 지그장치
KR20210009082A (ko) 2019-07-16 2021-01-26 승영춘 와이어커팅기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피가공물 가공방법
KR102224168B1 (ko) 2019-07-16 2021-03-05 승영춘 와이어커팅기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피가공물 가공방법
KR102104039B1 (ko) 2019-12-17 2020-04-23 김영미 가공물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와이어 절단 가공기
KR102390214B1 (ko) 2021-07-14 2022-04-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커팅 금형장치
KR102390213B1 (ko) 2021-07-14 2022-04-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전가공 금형장치
KR20230033967A (ko) 2021-09-02 2023-03-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가공이 가능한 방전가공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890U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9475Y1 (ko) 와이어 커팅기의 와이어 연결치구
KR920703234A (ko) 복합 공작 기계
DE3483324D1 (de) Vorrichtung zum abkuehlen einer metalldrahtelektrode in einer elektrischen schneiddrahtfunkerosionsbearbeitungsmaschine.
JPH1042417A (ja) 金属箔シールド線の皮剥き装置及び皮剥き方法
EP0446368A4 (en) Machining condition setting method for wire cut discharge machine
KR102224168B1 (ko) 와이어커팅기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피가공물 가공방법
TW297415U (en) Bobbin thread end holding device in a sewing machine
JPS5627736A (en)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method
DE69114951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fangen und Vorbereiten des Fadenendes beim Wiederanspinnen in einer Offenendmaschine.
CN220992894U (zh) 一种便于清理的钻孔机
KR19980016269U (ko) 금형의 피어싱 및 플랜지 밴딩 동시 가공장치
KR100406145B1 (ko) 전선관 커넥터 가공장치
KR19980056529A (ko) 프레스 금형의 피어스 다이 분리용 소켓조립체
KR910008880Y1 (ko) 단자가 매설된 단자판의 연결장치
CN212443620U (zh) 一种冲压件线切割治具
JPS6186135A (ja) ワイヤ放電加工機
KR200289956Y1 (ko) 드릴작업과 동시에 버를 제거하는 드릴공구
JP3030298U (ja) 電線と端子の圧着機
JPH0923525A (ja) 編組み型シールド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端末処理具
KR19980040602U (ko) 피어스 다이(Pierce Die) 분리용 소켓
KR900005364B1 (ko) 구멍입구 면취 가공장치
JPH059772U (ja) レーザー穴明加工装置
KR890005933Y1 (ko) 전자기기의 철판 상면 통과 전선의 지지구조
KR940000061Y1 (ko) 동선(copper wire)커팅 장치
JP3079885U (ja) 簡単糸通し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30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0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3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