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9145Y1 -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 Google Patents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145Y1
KR200149145Y1 KR2019970011869U KR19970011869U KR200149145Y1 KR 200149145 Y1 KR200149145 Y1 KR 200149145Y1 KR 2019970011869 U KR2019970011869 U KR 2019970011869U KR 19970011869 U KR19970011869 U KR 19970011869U KR 200149145 Y1 KR200149145 Y1 KR 200149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installation
main body
pool
eas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756U (ko
Inventor
박옥연
Original Assignee
조주순
주식회사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순, 주식회사타이가 filed Critical 조주순
Priority to KR2019970011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145Y1/ko
Publication of KR970049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14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04H4/0031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with shell type elements
    • E04H4/0037Mono-shel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지(野地)로 간단한 이동을 이루게 하면서 간단하고 용이한 설치를 이루어 인공풀을 제공하여 물놀이나 수영을 즐길 수 있게 하면서 수거작업이 신속하면서 편리하도록 하여 휴대와 설치가 간편하면서 간단 용이토록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설치작업의 불편함과 강도유지의 곤란으로 설치 및 회수의 불편은 물론 사용중 함몰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막(10)의 상단에 일측이 부착된 연결막(14)의 개방부를 통하여 내장되는 부구체(16)가 연결막(14)과 본체막(10)에 부착된 체결수단(12)으로 고정되어 수압으로 부구체가 부상되도록 구성하여 수압에 의여 부구체를 상승시키거나 하강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설치를 이루어 안전한 풀장을 제공하면서 간단하고 용이한 철거로 작업성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보관 및 휴대를 극히 간소화하면서 편리하게 이루어 안전하고 편리한 설치와 회수를 이루면서 이동과 보관이 용이토록 하는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본 고안은 여름철에 야지에서 수영이나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인공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지(野地)로 간단한 이동을 이루게 하면서 간단하고 용이한 설치를 이루어 인공풀을 제공하여 물놀이나 수영을 즐길 수 있게 하면서 수거작없이 신속하면서 편리하도록 하여 휴대와 설치가 간편하면서 간단 용이토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은 대기온도가 상승하여 체온이 올라감에 따라 물놀이를 통하여 체온을 낮추어 더위를 적게 하기 위한 방법중 물놀이아 성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변에 오염된 곳이 많아 물놀이를 즐길 만한 곳이 주변에는 적게 되어 특정한 날(주말이나 휴가철 등)에 여행을 통하지 않고는 물놀이를 즐길 만한 곳이 드물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거지역별로 수영장을 개장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중을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가족이나 소규모단위가 즐길만한 곳에서의 물놀이는 극히 적어 이러한 간이 인공풀장이 필요하게 되어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같이 풀장은 여러 형태로 공급되고 있는데 주로 비닐천막을 소정형태로 재봉하고 이를 땅에 곶아 박은 지주에 걸어 설치하고 그 내부에 물을 채워 풀장을 이루고 있으나 이는 수압에 견디지 못하여 형상이 변형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유출되므로 자주 물을 공급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해 소정단위의 지지부재를 엮어 안전하게 설치되는 풀장에 있어서는 단위부재가 다량으로 준비되고 그 설치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설치 및 회수와 휴대 및 이동에 많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와 이동이 간편하면서 용이한 취급으로 설치는 물론 보관상태를 간편하게 이루어 원하는 장소에서 간단 용이한 설치를 이루어 즐거우면서 안전한 물놀이를 이루게 하는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형상으로 설치되는 인공풀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본체막의 상단에 일측이 부착된 연결막의 개방부를 통하여 내장되는 부구체가 연결막과 본체막에 부착된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 수압으로 부구체가 부상되도록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막은 물이 채워지면 외측으로 타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도록 하고 저면 부위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수단에 의하여 달성되고 있다.
즉, 부구체를 본체의 상단에 일측이 개방되게 부착되고 있는 연결막에 내장되도록 설치하고 연결막과 본체에 부착되어진 체결수단을 결속하여 줌으로처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부구체가 부상되어 소정형상을 얻어 안전한 인공풀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의한 인공풀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풀의 요부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풀의 설치 상태도로써,
(a)는 보관상자에 보관되어 설치장소로 운반된 상태이고,
(b)는 인공풀을 꺼내어 1차 펼치는 상태이고,
(c)는 인공풀을 넓게 펼치는 상태이고,
(d)는 부구를 결합하는 상태이고,
(e)는 물을 수장하여 인공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 본체막 12 : 체결수단
14 : 연결막 16 : 부구체
이하, 첨부된 일 실시예 도면을 참고적으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의한 인공풀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풀의 요부 정단면도이며, 제3a도 내지 제3e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풀의 설치 상태도로써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막(10)의 상단에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연결막(14)이 부착되고 있다.
상기 연결막(14)의 개방부를 통하여 부구체(16)가 내장되고 연결막(14)과 본체막(10)의 소정위치에 상호 대응하도록 체결수단(12)이 부착되어 물을 공급하여서 수압으로 부구체(16)가 부상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막(10)은 물이 채워지면 외측으로 타원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 부위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압에 대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부구체(16)를 국한시키지 않고 설계시 장소와 여건에 따라 합성수지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성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간단하고 용이한 설치를 이루어 안전한 물놀이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 설치 시에는 제3a도에서와 같이 보관상자에 소량의 부피로 접어져 보관시킨 보관상자를 설치장소로 이동시키고 제3b도에서와 같이 접은 순서서의 역순으로 곧게 펴면 제3c동와 같이 전면을 설치장소에 고르게 펼 수 있다.
이어서 준비된 부구체(16)를 제3d도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본체막 (10)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막(14)의 개방부를 통하여 부구체(16)를 내제시킨 후 이 부구체(16)와 본체막(10)의 소정지점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호 대응하는 클립형 체결수단(12)을 상호 결속하게 되면 연결막(14)에 부구체(16)가 안전하게 내장된다.
따라서, 본체막(10)의 개방부를 통하여 급수를 이루게 되면 소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압에 의하여 부구체(16)가 부상되어 본체막(10)은 세워져서 제3e도와 같이 인공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막(10)은 수압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면이 타원형을 이루어서 외부로 밀려나는 수압으로부터 강도유지를 이루게 하고, 상기 본체막(10)의 저면부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형상유지를 이루어 안전한 보존상태를 이루게 함과 동시에 물놀이시 변화되는 수압의 이동을 안전하게 유지시켜 견고함을 이루게 하여 강도유지상태로 즐거운 물놀이를 이루게 한다.
한편, 물놀이가 끝나고 철거시에는 도시를 생략한 배수관을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면 부구체(16)가 하강하여 배수가 완료되면 가라앉게 되므로 상기 설치의 역순으로 접어서 보관상자에 보관하면 간편하고 편리한 휴대 및 이동을 이루게 하면서 안전한 보관을 이루게 하여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부구체를 이용하여 수압에 의하여 상승시키거나 하강하여 신속하고 편리한 설치를 이루어 안전한 풀장을 제공하면서 간단하고 용이한 철거로 작업성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보관 및 휴대를 극히 간소화하면서 편리하게 이루어 안전하고 편리한 설치와 회수를 이루면서 이동과 보관이 용이토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소정형상으로 설치되는 인공풀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본체막(10)의 상단에 일측이 부착된 연결막(14)의 개방부를 통하여 내장되는 부구체(16)가 연결막(14)과 본체막(10)에 부착된 체결수단(12)으로 고정되어 수압으로 부구체가 부상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막(10)은 물이 채워지면 외측으로 타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막(10)은 저면부위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KR2019970011869U 1997-05-26 1997-05-26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49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869U KR200149145Y1 (ko) 1997-05-26 1997-05-26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869U KR200149145Y1 (ko) 1997-05-26 1997-05-26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56U KR970049756U (ko) 1997-08-12
KR200149145Y1 true KR200149145Y1 (ko) 1999-06-15

Family

ID=1950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869U Expired - Lifetime KR200149145Y1 (ko) 1997-05-26 1997-05-26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14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66B1 (ko) * 2012-12-07 2014-03-27 (주)에어박스 간이 풀장의 배수구 구조
KR102409287B1 (ko) * 2021-11-19 2022-06-15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514469B1 (ko) * 2021-12-16 2023-03-29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WO2023090923A1 (ko) * 2021-11-19 2023-05-25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985B1 (ko) * 2021-12-17 2023-03-29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66B1 (ko) * 2012-12-07 2014-03-27 (주)에어박스 간이 풀장의 배수구 구조
KR102409287B1 (ko) * 2021-11-19 2022-06-15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WO2023090923A1 (ko) * 2021-11-19 2023-05-25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514469B1 (ko) * 2021-12-16 2023-03-29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756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10994A (en) Inflatable inclosure
EP0439890A1 (en) System for draining land areas
US4371995A (en) Recreational basin
US5632573A (en) Wall-like retainer segments for retaining liquids
US6493997B2 (en) Portable garage with ballast-containing walls
KR200149145Y1 (ko) 부구를 이용한 인공풀의 구조
US2140978A (en) Swimming pool
AU2004208647A1 (en) Water storage tank
KR101996204B1 (ko)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WO2007060485A1 (en) Inflatable structures and support stands therefor
CA2179701C (en) Anti-frost concrete mould
US6158064A (en) Water level adjustment device
US6851230B2 (en) Padding device from an above-ground pool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installation
ES3019392T3 (en) A building assembly and a method of enabling camping
CN206885290U (zh) 能便捷移动带充气浮筒的水上休闲亭
JPH11336358A (ja) 人工プ−ルの構造
CN217100398U (zh) 浮动建筑及水景公园
KR200250520Y1 (ko) 인공풀
RU7422U1 (ru) Опора моста на вечной мерзлоте
JPH046464Y2 (ko)
KR102834893B1 (ko) 부분적 감금 시스템을 가진 대형 수역들을 위한 국부 난방 시스템
KR19990017579U (ko) 물놀이용기구
KR100491112B1 (ko) 조위차를 이용한 분수시설이 구비된 해안가의 스탠드구조
JPH06288105A (ja) プール
KR20040093883A (ko) 텐트형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5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5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3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