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8505Y1 -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505Y1
KR200148505Y1 KR2019970013950U KR19970013950U KR200148505Y1 KR 200148505 Y1 KR200148505 Y1 KR 200148505Y1 KR 2019970013950 U KR2019970013950 U KR 2019970013950U KR 19970013950 U KR19970013950 U KR 19970013950U KR 200148505 Y1 KR200148505 Y1 KR 200148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bridge
wire rope
drive device
sto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624U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김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2019970013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50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50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대형 주탑을 편리하게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일단이 교량의 주탑 내부의 상단에 고정된 와이어로프와; 주탑 내부의 앙측 면에 상하로 부착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한 주탑 내부를 작업자 또는 화물을 승강시켜 주는 케이지와; 상기한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고정되어 회전하는 릴과; 상기한 릴을 구동시켜 케이지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와; 상기한 케이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한 레일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케이지가 요동하지 않게 해주는 보조 활차와; 주탑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가 상승할 때 상승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를 정지시켜 주는 상한 수단과; 주탑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가 하강할 때 하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를 정지시켜 주는 하한 수단과; 케이지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승강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
본 고안은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장교(斜張橋), 현수교와 같이 교량을 지지해 주는 대형 주탑을 편리하게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장교(斜張橋)는 강물 흐름의 주선(主線)에 대하여 다리의 축선(軸線)이 비스듬하게 이루어진 다리로써, 2차 대전 후에 독일에서 실용화되었다.
사장교는 교각(橋脚)업이 교대(橋臺)만으로 세워지는데, 양쪽에 세워진 탑사이에 케이블을 비스듬하게 걸어 상판을 지탱하게 한다.
이러한 다리는 유속이 빠르거나 수심이 깊은 곳의 400~500m정도의 다리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모양이 보기 좋고 경제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사장교 공법을 이용한 다리로는 서울의 88 올림픽 대교와, 여수의 돌산 대교가 있다.
한편, 사장교는 구조적으로 그 구성 부재중 어떤 한 부분이 취약하거나 변형되면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 활동을 통하여 교량 구성 부재의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그 원인을 추정하고 해결을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만 한다.
교량의 유지 관리는 지속적으로 점검→분석→보수, 보강 및 예방 계획→보수, 보강 및 시설물 설치→점검의 순서로 수행하는데,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기술적이고도 체계적인 관리를 요하는 점검 및 분석의 단계이다. 분석의 단계는 안전도를 판단하고 보수, 보강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써 기술자의 숙련도에 좌우되는 중요한 단계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는 것이 점검의 단계인 것이다. 따라서, 교량 점검의 단계는 교량 유지 보수를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자가 교량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여러 위치에 설치된 각종 센서 등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육안을 통한 직접적인 점검 과정이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기술자가 교량 전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각종 보조 장비를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위치에 접근하거나, 미리 설치된 승강 보조 수단 등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사장교의 양단에 높게 세워진 주탑(主塔)은 그 높이가 보통 60∼70m에 이를 정도로 매우 높은 높이이므로 기술자가 주탑에 보조적으로 설치된 사다리를 이용하여 승강하는 것은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이전에 안전상으로 매우 위험한 작업이므로 다른 승강 수단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 설명한 사장교의 주탑과 같은 상황은 현수교의 주탑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사장교의 주탑과 같은 대형 교각을 이용하는 특수 교량에도 적용하여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의 대형 주탑을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를 승강시켜 주는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형 주탑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교량의 주탑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승강 장치에 있어서, 그 일단이 주탑 내부의 상단에 고정된 와이어로프와; 주탑 내부의 양측 면에 상하로 부착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한 주탑 내부를 작업자 또는 화물을 승강시켜 주는 케이지와; 상기한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고정되어 감겨지는 릴과; 상기한 릴을 구동시켜 케이지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와; 상기한 케이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한 레일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케이지가 요동하지 않게 해주는 보조 활차와; 주탑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가 상승할 때 상승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를 정지시켜 주는 상한 수단과; 주탑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가 하강할 때 하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를 정지시켜 주는 하한 수단과; 케이지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승강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사장교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탑 4 : 케이블
10 : 케이지 20 : 구동 장치
30 : 릴 41 : 보조 와이어로프
42 : 와이어로프 50 : 레일
51 : 활차 60 : 비상 스토퍼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제1도는 사장교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의 구성은 제1도∼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1)을 지탱해 주는 케이블(4)을 지지해 주기 위한 것으로, 상단부분이 서로 결합되게 내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교량의 양단에 구축된 교각(3)위에 설치된 주탑(1) 내부의 상단에 고정된 와이어로프(42)와; 상기한 와이어 로프(42)의 양옆에 상하로 고정된 한 쌍의 보조 와이어로프(47)와; 주탑(1) 내부의 앙측 면에 상하로 부착된 한 쌍의 레일(50)과; 상기한 주탑(1) 내부를 작업자 또는 화물을 승강시켜 주는 케이지(10)와; 상기한 와이어로프(42)의 타단이 고정되어 감겼다 풀리는 릴(30)과; 상기한 릴(30)을 구동시켜 케이지(10)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20)와; 상기한 케이지(10)에 장착되어 상기한 보조 와이어로프(41)에 결합되어 구동 장치(20)의 고장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케이지(10)를 현재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비상 스토퍼(60)와; 상기한 케이지(10)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상기한 레일(50)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케이지(10)가 요동하지 않게 해주는 한 쌍의 보조 활차(51)와; 주탑(10)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17)가 상승할 때 상승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20)를 정치시켜 주는 상한 센서(도면에 미도시 함.)와; 주탑(1)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10)가 하강할 때 하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20)를 정지시켜 주는 하한 센서(도면에 미도시 함.)와; 케이지(10)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20)를 제어하여 승강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도면에 미도시 함.)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상기한 비상 스토퍼(60)는 케이지(10)가 승강하는 도중에 구동 장치(20)등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보조 와이어로프(41)에 밀착되어 케이지(10)를 정지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동 장치(20)에는 제동 장치(도면에 미도시 함.)가 부가되어 있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도중에 임의의 위치에 정지하고자 하면 자동적으로 구동 장치(20)를 정지시켜 케이지(10)를 정지시켜 준다.
한편, 상기한 주탑(10)은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으므로, 그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로프(42)도 마찬가지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케이지(10)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레일(50)에 장착되는 보조 활차(51)는 상부와 하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지(10)를 수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주탑(10)을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케이지(10)에 기술자가 탑승하여 상승하고자 하면,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 장치(20)를 가동시키면 릴(30)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42)가 감겨지므로 케이지(10)가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 이르면 조작 스위치의 정지 스위치를 눌러서 정지하면 된다. 이 때, 케이지(10)를 계속 상승시키면 주탑(10) 상부에 설치된 상한 센서에 의하여 상승 높이를 제한해 준다. 만약 상한 높이를 제한하지 않으면 케이지(10)가 계속 상승하게 되므로 구동 장치(20)에 무리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탑승자가 위험해지게 된다.
케이지(10)를 하강시킬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케이지(10)가 승강할 때 케이지(10)는 와이어로프(42)와 구동 장치(20)에 의하여 승강 작용을 하게 되므로, 케이지(10)는 요동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10)의 양측면에 장착된 보조 활차(51)는 주탑(1)의 양내측면에 부착된 레일(50)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므로 케이지(1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케이지(10)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20)에 고장이 발생하여 승강 작용을 하지 못하거나, 구동 장치(20)와 함께 작동하는 제동 장치 등에 고장이 발생하면, 케이지(10)는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되어 탑승자가 위험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비상 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 정지 수단인 비상 스토퍼(60)는 보조 와이어로프(41)에 순간적으로 걸려서 케이지(10)를 현재 위치에 정지 시켜 준다. 이 비상 스토퍼(60)는 케이지(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즉 천천히 이동할 때에는 작동하지 않지만, 케이지(10)가 갑자기 움직이게 되먼 이를 감지하여 보조 와이어로프(41)에 밀착되어 케이지(10)를 정지시켜 주는 것이다. 이 작용은 자동차의 안전 벨트의 작동 원리와 같다.
위에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는 사장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장교와 같이 대형 주탑을 이용하는 현수교 등에도 같이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는 사장교와 같이 대형 주탑에 의하여 교량의 하중이 지지되는 교량의 주탑을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 또는 화물을 승강시킬 때 안전하게 승강시켜줌으로써,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대형 주탑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교량의 주탑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승강 장치에 있어서, 그 일단이 주탑 내부의 상단에 고정된 와이어로프와; 주탑 내부의 양측 면에 상하로 부착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한 주탑 내부를 작업자 또는 화물을 승강시켜 주는 케이지와; 상기한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고정되어 회전하는 릴과; 상기한 릴을 구동시켜 케이지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와; 상기한 케이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한 레일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케이지가 요동하지 않게 해 주는 보조 활차와; 주탑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가 상승할 때 상승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를 정지시켜 주는 상한 수단과; 주탑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지가 하강할 때 하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 장치를 정지시켜 주는 하한 수단과; 케이지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승강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와이어로프의 양옆에 상하로 연결된 한쌍의 보조 와이어로프와; 상기한 케이지에 장착되어 상기한 보조 와이어로프에 결합되어 구동 장치의 고장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케이지를 현재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비상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승강 장치.
KR2019970013950U 1997-06-11 1997-06-11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48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950U KR200148505Y1 (ko) 1997-06-11 1997-06-11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950U KR200148505Y1 (ko) 1997-06-11 1997-06-11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624U KR19990000624U (ko) 1999-01-15
KR200148505Y1 true KR200148505Y1 (ko) 1999-06-15

Family

ID=1950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950U Expired - Lifetime KR200148505Y1 (ko) 1997-06-11 1997-06-11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62B1 (ko) 2022-12-30 2023-03-06 영신기술 주식회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한 교량 주탑 점검용 곤돌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280B1 (ko) 2020-04-21 2021-10-25 주식회사 경성기업 교량 주탑 내부 리프트 비상용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62B1 (ko) 2022-12-30 2023-03-06 영신기술 주식회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한 교량 주탑 점검용 곤돌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624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71B1 (ko)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KR100619277B1 (ko) 현수교 구조물의 이동식 안전진단장치
JPH04317977A (ja) シャフト装置取付け用エレベータシャフト内で移動可能な組み立て足場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US4050673A (en) Two-masted lifting apparatus
KR102504093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US7228939B1 (en) Platform lift
KR200148505Y1 (ko)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US5074382A (en) Offshore access systems
KR200271701Y1 (ko)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CN2499442Y (zh) 升降式安全出入装置
JP3289560B2 (ja) 歩道橋用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CN108680376B (zh) 多功能电动葫芦试验台
CN214990091U (zh) 一种防曳引钢丝绳脱轨装置
JP2002338156A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の点検装置
CN222665336U (zh) 一种大型设备基础部件安装电动平台
CN214196159U (zh) 一种安全跨越高空临边栏杆的配重式伸缩爬梯
KR200148504Y1 (ko) 교각 유지 보수용 승강 장치
CN102887415A (zh) 电梯
JPH066858B2 (ja) 自動倉庫の保守作業用梯子装置
JP2536801B2 (ja) エレベ―タの保守点検装置
KR830001004Y1 (ko) 선박 기관실용 크레인 설비
KR200191464Y1 (ko) 교량점검용 승강장치
JPS58193876A (ja) 昇降路内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3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