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7281Y1 -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 Google Patents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281Y1
KR200147281Y1 KR2019960026856U KR19960026856U KR200147281Y1 KR 200147281 Y1 KR200147281 Y1 KR 200147281Y1 KR 2019960026856 U KR2019960026856 U KR 2019960026856U KR 19960026856 U KR19960026856 U KR 19960026856U KR 200147281 Y1 KR200147281 Y1 KR 200147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
polarity
synchronization signal
flo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256U (ko
Inventor
나대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26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28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28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를 화면표시하는 경우에, 그 외부의 영상신호에 따른 동기신호의 극성을 판별하기 위한 극성판별신호가 지속적인 출력레벨을 갖도록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스크린화면상에 투사화상을 형성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따른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그 동기신호(SYNC)의 펄스입력시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는 제 1플립플롭(10)과, 상기 동기신호(SYNC)의 신호레벨을 반전시키는 반전소자(12), 상기 반전소자(12)를 통해 반전된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그 동기신호(SYNC)의 펄스입력시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는 제 2플립플롭(14), 상기 제 1플립플롭(10)과 제 2플립플롭(14)으로부터의 출력펄스를 입력받아 논리처리하여 동기펄스가 일정극성을 갖도록 하는 동기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 1논리소자(16) 및, 상기 동기신호(SYNC)와 상기 제 1논리소자(16)로부터의 동기출력신호를 논리처리하여 그 동기신호(SYNC)의 극성에 대응하는 지속적인 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를 발생하는 제 2논리소자(18)를 구비하여 구성되고서, 항상 안정된 극성판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가 생성되도록 하여 극성판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본 고안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대한 정/부극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상표시장치로서는 CRT장치로서 대표되는 직시형 표시장치와 LCD장치로서 대표되는 투사형 표시장치로 대별되고, 그 중 직시형 표시장치인 CRT장치는 형광패널상에 R·G·B 형광점이 형성되어 전자비임이 그 R·G·B형광점에 집광되는 경우 해당하는 형광점이 발광되어 컬러화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지만, 그러한 CRT장치에서는 1픽셀에 대해 R·G·B형광점이 형성되어야만 되므로 화면의 대형화에 제한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도 상승된다.
이에 대해, 투사형 표시장치인 LCD장치에서는 액정의 균일한 배열로부터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액정구동전압으로서 인가하여 편광판에 의해 액정의 배열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화상의 표시를 행하게 되므로 비교적 경량박형화(輕量薄形化)가 가능하게 되지만, 그러한 LCD장치에서는 전체의 입사광량에 대한 투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편광판에 의해 광손실이 증대되는 불리함이 초래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AMA(Actuated mirror array)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이 제안되어 컬러화상을 표시하게 되었는 바, 그 AMA를 사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은 AMA를 1차원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스캐닝 미러(Scanning mirror)를 이용하여 M × 1개의 광속을 선주사시키는 1차원 구조, 또는 M × N개의 광속을 투사시켜 M × N픽셀의 어레이를 갖는 영상을 나타내는 2차원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AMA장치가 제안되어 실용화됨에 따라 텔레비전 또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또는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영상재생기기의 영상신호를 전용모니터가 아닌 AMA프로젝터로 구현시키는 작업이 실시되고 있는 바, 이 경우 대부분의 영상기기(예를 들어, TV,VCR 등)의 동기신호는 부극성(Negative Polarity)이지만, PC의 경우 화면의 모드와 지원되는 비디오카드에 따라 동기의 극성이 다르다.
따라서, AMA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은 입력되는 동기의 극성을 인식하여 신호처리를 위해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기극성으로 변환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즉, 정극성(Positive Polarity) 또는 부극성(Negative Polarity)의 동기신호를 지닌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가 동기분리회로에 입력되면 그 동기분리회로에서의 동작에 의해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로 분리되어 출력되는데, 이때 그 출력되는 동기신호의 극성은 예를 들어 하이펄스기간내의 클럭갯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로부터의 카운팅 결과에 의해 정극성 또는 부극성이 인식된 후, 예를 들어 정극성의 동기신호는 그대로 출력시키고, 부극성의 동기신호는 정극성으로 변환시킨 후 출력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의 극성을 판별하는 자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동기신호에 대한 극성을 판별하기 위한 극성판별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분리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분리된 동기신호를 저항(R1)과 캐패시터(C1)로 이루어진 적분소자에 의해 직류성분으로 적분되어 ADC(2; Analog-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함에 의해 해당 동기신호가 정극성인지 부극성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동기신호의 극성을 판별하기 위한 다른 극성판별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4)를 통해 클럭펄스를 기초로 동기분리된 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동기신호의 정/부극성 여부를 판별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적분소자와 ADC(2)를 이용한 극성판별회로는 동기신호의 극성판별을 위한 회로구성이 복잡하다는 불리함이 있고, 도 2에 도시된 카운터를 이용한 동기신호의 극성판별회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기신호가 그 모드에 따라 주파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클럭펄스에 의한 카운팅동작상에서 에러발생의 가능성이 상존하게 되어 안정된 극성판별동작을 보장할 수 없다는 불리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극성판별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극성판별출력은 입력되는 동기신호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펄스기간을 갖게 됨에 의해 후속의 신호처리수단에서 용이한 극성판별을 이룰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를 화면표시하는 경우에, 그 외부의 영상신호에 따른 동기신호의 극성을 판별하기 위한 극성판별신호가 지속적인 출력레벨을 갖도록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스크린화면상에 투사화상을 형성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따른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그 동기신호의 펄스입력시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는 제 1플립플롭과, 상기 동기신호의 신호레벨을 반전시키는 반전소자, 상기 반전소자를 통해 반전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그 동기신호의 펄스입력시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는 제 2플립플롭, 상기 제 1플립플롭과 제 2플립플롭으로부터의 출력펄스를 입력받아 논리처리하여 동기펄스가 일정극성을 갖도록 하는 동기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 1논리소자 및, 상기 동기신호와 상기 제 1논리소자로부터의 동기출력신호를 논리처리하여 그 동기신호의 극성에 대응하는 지속적인 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를 발생하는 제 2논리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외부의 영상재생기기로부터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의 극성을 판별하는 경우에, 그 극성판별 결과에 따른 신호의 레벨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한 극성판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동기극성 판별회로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동기신호에 대한 극성판별동작을 설명하는 신호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 1플립플롭, 12---인버터,
14---제 2플립플롭, 16---제 1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
18---제 2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를 나타낸 회로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10은 그 T단자가 전원단(Vcc)과 접속되고 그 클럭단자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해당 동기신호(SYNC)의 상승엣지에서 후속의 상승엣지까지 신호레벨을 유지시키고, 후속의 상승엣지에서 다음의 상승엣지까지 신호레벨이 반전되어 유지되는 예컨대 T-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제 1플립플롭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2는 상기 정극성 또는 부극성 상태의 동기신호(SYNC)에 대한 신호레벨을 반전시키는 인버터를 나타내고, 14는 그 T단자가 전원단(Vcc)에 접속되고서 상기 인버터(12)에 의해 반전되는 동기신호(SYNC)를 그 클럭단자에 입력받아 해당 동기신호(SYNC)의 상승엣지에서 후속의 상승엣지까지 신호레벨을 유지시키고, 후속의 상승엣지에서 다음의 상승엣지까지 신호레벨이 반전되어 유지되는 예컨대 T-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제 2플립플롭을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16은 상기 제 1플립플롭(10)으로부터의 출력펄스신호와 상기 제 2플립플롭(14)으로부터의 출력펄스신호를 배타적 논리합처리하여 항상 정극성의 펄스를 갖는 동기출력신호로서 발생하는 제 1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를 나타내고, 18은 상기 동기신호(SYNC)와 제 1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16)로부터의 동기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배타적 논리합처리하여 지속적인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를 발생하는 제 2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텔레비전이나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또는 PC와 같은 외부의 영상재생기기로부터 복합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스크린상에 화상을 재현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따른 동기신호(SYNC)의 극성이 정극성인 경우에, 제 1플립플롭(10)은 상기 정극성의 동기신호(SYNC)의 상승엣지에서 후속의 상승엣지까지 펄스가 유지되도록 하고 그 후속의 상승엣지에서 다음의 상승엣지까지 신호레벨이 반전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게 되는 한편, 제 2플립플롭(14)은 인버터(12)에 의해 신호레벨이 반전된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해당 동기신호(SYNC)의 상승엣지에서 후속의 상승엣지까지 펄스가 유지되도록 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 1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16)는 상기 제 1플립플롭(10)으로부터의 출력펄스와 상기 제 2플립플롭(14)으로부터의 출력펄스를 입력받아 배타적 논리합처리를 수행한 결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극성을 갖는 동기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제 2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18)는 상기 동기신호(SYNC)와 상기 제 1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16)로부터의 동기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배타적 논리합처리한 결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적인 로우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의 극성이 부극성인 경우에, 제 1플립플롭(10)으로부터의 출력펄스와 인버터(12)에 의해 반전된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은 제 2플립플롭(14)으로부터의 출력펄스를 입력받은 제 1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정극성을 갖는 동기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18)는 상기 부극성을 갖는 동기신호(SYNC)와 상기 제 1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16)로부터의 정극성을 갖는 출력펄스신호를 입력받아 배타적 논리합처리하고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적인 하이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외부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대한 극성판별시에 지속적인 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항상 안정된 극성판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가 생성되도록 하여 극성판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스크린화면상에 투사화상을 형성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따른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그 동기신호(SYNC)의 펄스입력시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는 제 1플립플롭(10)과,
    상기 동기신호(SYNC)의 신호레벨을 반전시키는 반전소자(12),
    상기 반전소자(12)를 통해 반전된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아 그 동기신호(SYNC)의 펄스입력시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는 제 2플립플롭(14),
    상기 제 1플립플롭(10)과 제 2플립플롭(14)으로부터의 출력펄스를 입력받아 논리처리하여 동기펄스가 일정극성을 갖도록 하는 동기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 1논리소자(16) 및,
    상기 동기신호(SYNC)와 상기 제 1논리소자(16)로부터의 동기출력신호를 논리처리하여 그 동기신호(SYNC)의 극성에 대응하는 지속적인 레벨을 갖는 극성판별신호를 발생하는 제 2논리소자(18)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논리소자(16)와 제 2논리소자(18)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KR2019960026856U 1996-08-30 1996-08-30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Expired - Lifetime KR200147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856U KR200147281Y1 (ko) 1996-08-30 1996-08-30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856U KR200147281Y1 (ko) 1996-08-30 1996-08-30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256U KR19980013256U (ko) 1998-06-05
KR200147281Y1 true KR200147281Y1 (ko) 1999-06-15

Family

ID=1946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856U Expired - Lifetime KR200147281Y1 (ko) 1996-08-30 1996-08-30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2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256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0721A (en) Video format mode detector
US8040939B2 (en) Picture mode controller for flat panel display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55349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various television system formats
US77196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frame rate without external memory in display system
KR200147281Y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KR100227425B1 (ko) 1픽셀 오차를 제거한 이중화면 표시장치
US20060221200A1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imaging device
KR100188221B1 (ko) 동기극성 변환회로
KR100378359B1 (ko)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JP4019636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S6220478A (ja) 固体撮像装置
JP4535090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3083031B2 (ja) 文字放送装置
KR930009493B1 (ko)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 투사장치
JPH11344960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KR200141097Y1 (ko) 문자 흔들림 방지 회로
KR930009864B1 (ko)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투사장치
KR920009186B1 (ko) 흑백 브라운관을 이용한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장치
JPS594046B2 (ja) ライトペンの視野位置検出装置
JP3302024B2 (ja) スタティクコンバーゼンス回路
JPH05191670A (ja) フィールド・インデックス回路
JP2000115574A (ja) 同期信号極性判別方法、同期信号極性判別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H06164975A (ja) 垂直走査期間変動検出回路
KR20020053703A (ko) 고화소ccd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처리방법
JPH1023291A (ja) ドットクロック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8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3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