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7147Y1 - 화물차의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147Y1
KR200147147Y1 KR2019960051270U KR19960051270U KR200147147Y1 KR 200147147 Y1 KR200147147 Y1 KR 200147147Y1 KR 2019960051270 U KR2019960051270 U KR 2019960051270U KR 19960051270 U KR19960051270 U KR 19960051270U KR 200147147 Y1 KR200147147 Y1 KR 200147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unting support
support member
joined
body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209U (ko
Inventor
권종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1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14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8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14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플로워판넬과 바디마운 팅지지부재 사이에 이들과 양측이 접합되는 보강부재를 덧대어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시킴으로써 시트벨트의 견인시험과 같은 관련법규에 층족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리어어퍼판넬(1)과 이의 하부에 접합된 리어로워판넬(2)사이에 리어플로워센터멤버(3)가 증앙부위의 내측에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를 접합시키고서 일측 선단이 프론트플로워판넬(4)과 접합되면서 하부에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를 매개로 섀시프레임(6)상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화물차의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로워센터멤버(3)의 중앙 내측부위에 접합된 바디마운팅지지부재(5)와 프론트플로워판넬(4)사이에는 선단면(7a)으로부터 연장되어 다소 경사지게 형성된 저면(7b)과, 이 저면(7b)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대향된 측면(7c), 이 측면(7c)의 선단이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플랜지부(7d)를 일체로 갖춘 보강부재(7)가 덧대어진 구조로 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차체구조
본 고안은 화물차의 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론트플로워판넬과 바디마운팅지지부재 사이에 보강부재를 덧대어 시트 벨트앵커의 견인시험시 리어플로워센터멤버가 상방향으로 변형되거나 찢어지는 손상을 입지 않도록 된 화물차의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에서 사람이 승차하는 공간을 통상 캐빈이라 지칭하는데, 이 캐빈(10)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부위에 섀시프레임의 상부에 다수개의 부재를 매개로 장착되어 있는 바, 즉 제2도와 제3도에 각기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10)내의 리어어퍼판넬(1)과 이의 하부에 접합된 리어로워판넬(2)사이에 리어플로워센터멤버(3)가 선단이 프론트플로워판넬(4)과 접합되면서 하부에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를 매개로 섀시프레임(6)상에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화물차에서는 개발시 통상 캐빈(10)내에 마련되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석(가상선으로 도시됨)의 시트벨트에 대한 견인시험을 관련법규에 의거하여 규제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바, 이와 같은 견인시험에서는 상기 프론트플로워판넬(4)상에 고정장착된 시트벨트의 앵커를 견인하는데, 이 견인력에 의해 리어플로워센터멤버(3)와 이에 접합된 프론트플로워판넬(4)이 상방향으로 들려지면서 이의 하부에 접합된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도 함께 찢어지거나 변형되는 구조적인 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론트플로워판넬과 바디마운팅지지부재 사이에 이들과 양측이 접합되는 보강부재를 덧대어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시킴으로써 시트벨트의 견인시험과 같은 관련법규에 충족될 수 있도록 된 화물차의 차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화물차의 후방사시도.
제2도는 도 1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체구조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
제7도와 제8도는 각기 제5도의 D-D선과 E-E선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어퍼판넬 2 : 리어로워판넬
3 : 리어플로워센터멤버 4 : 프론트플로워 판넬
5 : 바디 마운팅 지지부재 6 : 섀시프레임
7 : 보강부재 7a : 선단면
7b : 저면 7c : 측면
7d : 플랜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리어어퍼판넬과 이의 하부에 접합된 리어로워판넬 사이에 리어플로워센터멤버가 증앙부위의 내측에 바디마운팅 지지부재를 접합시키고서 일측 선단이 프론트플로워판넬과 접합되면서 하부에 바디 마운팅지지부재를 매개로 섀시프레임상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화물차의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로워센터멤버의 증앙 내측부위에 접합된 바디다운팅지지부재와 프론트플로워판넬 사이에는 선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다소 경사지게 형성된 저면과, 이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대향된 측면, 이 측면의 선단이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플랜지부를 일체로 갖춘 보강부재가 덧대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체구조의 단면도이며, 제6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이고, 제7도와 제8도는 각기 제5도의 D-D선과 E-E선 단면도들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어퍼판넬(1)과 이의 하부에 접합된 리어로워판넬(2) 사이에 리어플로워센터멤버(3)가 중앙부위의 내측에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를 접합시키고서 일측 선단이 프론트플로워판넬(4)과 접합되면서 하부에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를 매개로 섀시프레임(6)상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화물차의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로워센터멤버(3)의 중앙 내측부위에 접합된 바디마운팅지지부재(5)와 프론트플로워판넬(4)사이에는 보강부재(7)가 덧대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7)는 선단면(7a)으로부터 연장되어 다소 경사지게 형 성된 저면(7b)과, 이 저면(7b)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대향된 측면(7c), 이 측면(7c)의 선단이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플랜지부(7d)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 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7)의 선단면(7a)에는 나사체결용 관통구(7e)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바디마운팅지지부재(5)와 프론트플로워판넬(4)사이에서의 보강부재 (7)의 결합은, 상기 측면(7c)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형성된 플랜지부(7d)가 리어플로워센터멤버(3)과 프론트플로워판넬(4) 및 바디마운팅지지부재(5)에 각기 접합되면서 선단면(7a)은 바디마운팅지지부재(5)와 함께 섀시프레임(6)에 나사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화물차의 차체는, 바디마운팅지지부재(5)와 프론트플로워판넬(4)사이에 접합된 보강부재(7)를 매개로 그 구조적인 강성이 보강되므로, 관련볍규에 의거하여 규제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시트벨트에 대한 견인시험에도 상기 리어플로워센터멤버(3)와 이에 접합된 프론트플로워판넬(4)이 상방향으로 들려지거나 이의 하부에 접합된 바디마운팅지지부재(5)과 함께 찢어지거나 변형되는 취약점이 사라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의 차체구조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플로워판넬과 바디마운팅지지부재 사이에 이들과 양측이 접합되는 보강부재를 덧댐으로써,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이 보강됨은 물론 시트벨트의 견인시험과 같은 관련법규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리어어퍼판넬(1)과 이의 하부에 접합된 리어로워판넬(2) 사이에 리어플로워 센터멤버(3)가 증앙부위의 내측에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를 접합시키고서 일측 선단이 프론트플로워판넬(4)과 접합되면서 하부에 바디마운팅지지부재(5)를 매개로 새시프레임(6)상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화물차의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로워센터멤버(3)의 중앙 내측부위에 접합된 바디마운팅지지부재 (5)와 프론트플로워판넬(4)사이에는 선단면(7a)으로부터 연장되어 다소 경사지게 형성된 저면(7b)과, 이 저면(7b)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대향된 측면(7c), 이 측면(7c)의 선단이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플랜지부(7d)를 일체로 갖춘 보강부재 (7)가 덧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차체구조.
KR2019960051270U 1996-12-19 1996-12-19 화물차의 차체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47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70U KR200147147Y1 (ko) 1996-12-19 1996-12-19 화물차의 차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270U KR200147147Y1 (ko) 1996-12-19 1996-12-19 화물차의 차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209U KR19980038209U (ko) 1998-09-15
KR200147147Y1 true KR200147147Y1 (ko) 1999-06-15

Family

ID=1948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270U Expired - Lifetime KR200147147Y1 (ko) 1996-12-19 1996-12-19 화물차의 차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1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31A (ko) * 2001-08-09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캡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209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58868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0147147Y1 (ko) 화물차의 차체구조
JPS5911979A (ja) タイダウンブラケツトの取付構造
JPH05162594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JP2552046Y2 (ja) 自動車のリヤパネル部補剛構造
KR200155333Y1 (ko) 자동차 차체의 연료 탱크 브라켓
KR100198117B1 (ko) 화물자동차의 캐빈프론트패널
JPS5816447Y2 (ja) シ−トベルト端の取付部構造
KR200224256Y1 (ko) 트럭의 발판부 보강구조
KR960005406Y1 (ko) 자동차의 카울부구조
KR890006020Y1 (ko)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KR200146381Y1 (ko) 트럭의 시트 벨트 연결부 구조
KR200155201Y1 (ko) 자동차의 스포트 바디 체결구조
KR100372718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
KR200235371Y1 (ko) 왜건형 자동차의 화물실 보강 구조
JPH0339323Y2 (ko)
JP200202937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テザーアンカ取付構造
KR20030013731A (ko) 트럭의 캡 마운팅 구조
KR19980042261U (ko) 시트 취부 보강 구조
JPH0439822Y2 (ko)
JPH07172351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9980027197U (ko) 차량용 플로어패널
KR19980042184U (ko) 자동차 차체의 연료 탱크 브라켓
JPH09263268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KR19980036703U (ko) 차량용 플로어 패널 조립체의 프론트 플로어 패널과 센터 플로어 패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3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