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5262Y1 - 프레스금형 - Google Patents

프레스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262Y1
KR200145262Y1 KR2019940000193U KR19940000193U KR200145262Y1 KR 200145262 Y1 KR200145262 Y1 KR 200145262Y1 KR 2019940000193 U KR2019940000193 U KR 2019940000193U KR 19940000193 U KR19940000193 U KR 19940000193U KR 200145262 Y1 KR200145262 Y1 KR 200145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ripper plate
press mold
punch
coil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967U (ko
Inventor
조현성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40000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262Y1/ko
Publication of KR950022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2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프레스금형은,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복원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이 본체에 내장되어 지지봉에 의해 압축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지지봉은 본체에 대해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진퇴하는 경우에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작동시 밸런스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펀치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리 및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금형
제1도는 종래 프레스금형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금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소재를 가공하기 전의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금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하강하여 소재를 가공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 : 프레스금형 10 : 본체
11 : 펀치 12 : 관통공
20 : 스트리퍼 플레이트 30 : 지지봉
40 : 코일스프링 50 : 볼트
본 고안은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는 프레스금형에는, 소재가공시에 소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펀치의 강도를 보호하며 가공된 펀치로부터 이탈시켜 주기 위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둔다. 이러한 프레스금형의 일 예가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에는 소재(6)를 가공하는 펀치(1a)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본체(1)에 대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4)의 중심부에는 본체(1)를 관통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2)에 나사결합되는 스트리퍼볼트(3)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는 코일스프링(4)의 압축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프레스금형(9)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재(6)를 가공하기 위하여 본체(1)와 이 본체(1)에 고정된 펀치(1a)가 하강하게 되는데, 하강하는 도중에 스트리퍼 플레이트(2)가 소재(6)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는 게속 하강하게되고, 스트리퍼 플레이트(2)는 소재(6)에 접촉되어 하강하지 못하고 소재(6)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따라 하강하는 본체(1)와 정지된 스트리퍼 플레이트(2)에 그 양단이 지지된 코일스프링(4)은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지니게 되며, 펀치(1a)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에 대해 돌출되면서 소재(6)를 가공하게 된다. 가공이 완료된 후 본체(1)와 이 본체(1)에 고정된 펀치(1a)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스트리퍼 플레이트(2)는 압축된 코일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본체(1)와 함께 상승하지 않고 소재(6)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승하는 펀치(1a)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에 의해 늘리는 소재(6)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처럼 펀치(1a)가 소재(6)로부터 이탈되고 코일스프링(4)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 후에, 스트리퍼 플레이트(2)는 소재(6)로부터 이탈되면서 본체(1)와 함께 상승하여 다시 소재(6)를 가공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렇나 프레스금형(9)은 스트리퍼 플레이트(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4)의 양단이 각각 본체(1)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에 지지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므로, 조립 및 분리시에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스트리퍼 플레이트(2)가 본체(1)에 대해 진퇴하는 경우에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아 펀치(1a)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분리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진퇴시 밸런스를 우지하여 펀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프레스금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에 소재를 가공하는 펀치가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항하며 소정거리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에 대해 후퇴하면서 가공된 소재로부터 상기 펀치를 이탈시키는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에 대해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프레스금형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과,
일측단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며 타측단부는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봉을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예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금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0)의 일측에는 소재(60)를 가공하기 위한 펀치(11)가 고정되어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펀치(11)에 의해 가공된 소재(60)가 펀치(11)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0)가 본체(10)에 대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4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40)의 하단은 지지봉(3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지지봉(30)의 상단부에는 코일스프링(40)의 압축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31)가 볼트(3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지지봉(30)의 하단부는 본체(10)의 관통공(12)을 관통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20)에 삽입, 고정되는데, 금형의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20)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봉(3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공(33)에 체결되는 볼트(5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프레스금형(90)에 있어서 스트리퍼 플레이트(2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소재(60)를 가공하기 위하여 펀치(11)가 고정된 본체(10)와 이 본체(10)에 대해 소정거리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리퍼 플레이트(20)가 하강하게 된다. 하강하는 도중에 스트리퍼 플레이트(20)의 소재(60)에 접촉하면서 정지하게 되고, 본체(10)는 지지봉(30)에 안내되며 계속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강하는 본체(10)에 내장된 코일스프링(40)은 정지하고 있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0)에 고정된 지지봉(30)에 의해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이 복원력에 의해 스트리퍼 플레이트(20)는 소정의 압력으로 소재(60)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강하는 본체(10)에 고정된 펀치(1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리퍼 플레이트(20)에 대해 돌출되면서 소재(60)를 가공하게 된다. 가공이완료된 후 본체(10)가 지지봉(30)을 따라 안내되며 상승하게 되면, 본체(10)에 고정된 펀치(11)가 스트리퍼 플레이트(20)에 눌려 있는 소재(60)로부터 이탈되어 나오게 된다. 이처럼 펀치(11)가 이탈되고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4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 후에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0)도 본체(10)와 함께 상승하여 다시 소재(60)가공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일스프링(40)의 압축상태에 관계없이 스트리퍼 플레이트(20)는 지지봉(30)에 의해 밸런스를 유지하며 본체(10)에 대해 진퇴하게 되므로 펀치(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형의 수리를 위하여 금형을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프레스금형은,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복원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이 본체에 내장되어 지지봉에 의해 압축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지지봉은 본체에 대해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진퇴하는 경우에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작동시 밸런스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펀치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리 및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에 소재를 가공하는 펀치가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항하며 소정거리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에 대해 후퇴하면서 가공된 소재로부터 상기 펀치를 이탈시키는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에 대해 후퇴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프레스금형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과, 일측단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며 타측단부는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봉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타측단부와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고정은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금형.
KR2019940000193U 1994-01-08 1994-01-08 프레스금형 Expired - Lifetime KR200145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193U KR200145262Y1 (ko) 1994-01-08 1994-01-08 프레스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193U KR200145262Y1 (ko) 1994-01-08 1994-01-08 프레스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967U KR950022967U (ko) 1995-08-21
KR200145262Y1 true KR200145262Y1 (ko) 1999-06-15

Family

ID=1937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193U Expired - Lifetime KR200145262Y1 (ko) 1994-01-08 1994-01-08 프레스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2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756B1 (ko) * 1998-02-12 2006-01-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미소형상 가공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967U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0490B1 (ja) プレス装置
EP1063030A2 (en) Press device
KR200145262Y1 (ko) 프레스금형
KR100209268B1 (ko) 프레스 금형장치
SU1667988A1 (ru) Штамп дл пробивки отверстий в полых издели х
JP2884827B2 (ja) プレス用カム型
JPH07314057A (ja) プレス金型構造
KR101122542B1 (ko) 부스바 가공 펀치 프레스의 소재 누름장치
KR960002415B1 (ko) 분말 성형용 금형
CN215032847U (zh) 一种用于五金冲压加工的缓冲冲压平台
KR890003348Y1 (ko) 가동식 다이를 이용한 밴딩금형
KR900005723Y1 (ko)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KR900007415Y1 (ko) 프레스 금형의 제품 취출장치
CN213826766U (zh) 一种转子生产用冲压床自动保护装置
CN220005611U (zh) 一种防止螺丝因冲击力断裂结构
CN218798491U (zh) 一种机械加工冲压组件
CN220127395U (zh) 一种冲压模具的定位组件
KR900010201Y1 (ko) 파이프의 커팅 및 네킹장치
GB2200313A (en) Pneumatic ejector for pressed components
CN218134348U (zh) 一种浮动式模具
KR870000927Y1 (ko) 성형 프레스의 제품 취출장치
KR100737136B1 (ko) 실린더의 로드 복귀장치
JP2598468B2 (ja) 粉末成形装置
JPS6019776Y2 (ja) 成形金型
KR0135345Y1 (ko) 프레스의 판넬이젝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10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10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2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