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4032Y1 - 반죽기 - Google Patents

반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032Y1
KR200144032Y1 KR2019960025086U KR19960025086U KR200144032Y1 KR 200144032 Y1 KR200144032 Y1 KR 200144032Y1 KR 2019960025086 U KR2019960025086 U KR 2019960025086U KR 19960025086 U KR19960025086 U KR 19960025086U KR 200144032 Y1 KR200144032 Y1 KR 200144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kneading
hopper
opening
nood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232U (ko
Inventor
하복진
Original Assignee
하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복진 filed Critical 하복진
Priority to KR2019960025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032Y1/ko
Publication of KR960033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03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21C1/065Worm or screw mixers, e.g. with consecutive mix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4Dischar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반죽기 분야.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주로 냉면이나 밀면 등 각종 면류를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해 제조의 직전에 반죽을 하는 반죽기에 있어서, 반죽을 행하는 장치를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게 하고, 하부에 결합되는 개폐장치를 짧게 구성하며, 반죽이 완료되면서 인출되는 출구부에 반죽치차를 대향으로 형성하므로서 반죽을 일층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 것임.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프레임(2)의 상측에 호퍼(15)와 반죽통(3)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링크(9)와 레버(8)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간(6)과 반죽스크류(5a)가 설치되어 반죽이 배출구(14)로 배출될 수 있게 한 반죽기(1)에 있어서, 호퍼(15)와 반죽통(3)이 설치되는 프레임(2) 측에는 클립(7, 10)을 각각 착설하고 원터치식으로 분해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고, 개폐간(6)은 짧게 구성하여 배출공(4)을 개폐할 수 있게 하며, 하측의 반죽통(3) 내부에는 압착공(13)이 다수 천설된 압착판(12)을 설치하고, 이의 안쪽에는 대향으로 맞물려 있는 반죽치차(11)를 반죽스크류(5a)에 동축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반죽기 용도.

Description

반죽기
통상 냉면이나 밀면 등의 재료가 되는 분말상의 원료를 일정한 함량으로 반죽을 할 경우는 주로 반죽기의 호퍼 상측에서 밀가루와 일정량의 물을 투입한 후 이를 믹싱한 다음 하부측으로 공급을 하고 이의 내부에서 반죽이 진행됨과 동시에 반죽이 완료되면서 즉시 일측에 설치된 레버를 작동하여 하부에 폐쇄된 개폐간을 작동하므로서 내부에서 완료된 반죽을 하부로 이송하여 전방측에 설치된 2중의 반죽치차로서 이를 커팅과 동시에 완벽한 반죽을 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이러한 기존의 반죽기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반죽기의 경우는 프레임과 상측의 호퍼와 반죽통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죽을 완료한 후 내부에 끼인 반죽물을 제거하기가 어려워 청소작업이 용이치 못하고, 또한 호퍼와 반죽통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도중 고장이 발생할 경우는 내부를 분해할 수 없으므로 전문적인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는 이를 수리하거나 보수 또는 교체를 할 수가 없으므로 전문적인 기술자가 이를 조작함에 따라 인력의 소요가 과도하고, 설치 시공이 매우 어려운 등의 문제점도 수반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상측에서 일차적으로 믹싱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를 하부의 반죽통측으로 보낼 경우는 하부의 개폐판을 개방하게 되명 개폐판의 중앙측에 형성된 배출공과 상측의 배출공이 일치할 경우에만 반죽이 이송되므로 각 배출공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작동이 어려워 믹싱이 완료된 반죽이 하부의 반죽통측으로 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반죽의 효율성이 크게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 이외에도 기준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반죽기의 경우는 내부에서 반죽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를 배출할 경우 배출구측에 회전커터가 설치되어 배출되어 나오는 반죽을 커팅하면서 재차 반죽을 마무리하게 되나, 이러한 경우 역시 반죽이 완료되었다고는 하지만 약간의 미반죽 상태의 경우가 가끔씩 발생하기 때문에 커팅을 하면서 반죽을 하게 되므로 단순히 커팅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어 반죽을 충분히 행할 수 없어서 최종적으로 배출되어 나오는 반죽에는 일부 미반죽 상태로 배출되는 경우가 갖았으며, 특히 필요한 양만큼의 반죽을 절단할 수 있는 커팅장치가 부재하여 반죽을 완료한 후 일일이 필요한 양만큼의 반죽을 분할하여야 하므로 반죽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하여 이의 효과적인 개선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반죽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의 반죽기를 이루는 상측의 호퍼와 반죽통을 원터치식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도중 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하거나 청소를 요할 경우는 외측의 개폐수단인 클립을 이용하여 원터치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작동이 매우 용이하여 전문적인 숙련을 요하지 않고 다만 일반적인 녹즙기의 구조와 같이 원터치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고, 특히 호퍼와 반죽통의 중앙을 분리하는 내부에 개폐간을 내장하되, 이는 기존의 경우와 같이 각 배출공을 일치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내부로 밀어넣으면 밀폐가 되고, 단순히 당기면 배출공이 개방되어 호퍼 내의 원료가 하부의 반죽통측으로 용이하게 공급되어 반죽을 할 수 있게 하며, 마지막으로 완료된 반죽이 배출되기 직전에 대향으로 회전하는 반죽치차를 설치하므로서 종전의 경우와 같이 단순히 믹싱의 개념과는 달리 트위스트로 비틀면서 반죽을 할 수 있게 하고, 특히 마지막의 배출구에는 광센서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광센서를 설치하여 반죽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시기에 필요한 양만큼의 반죽을 자동으로 커팅하여 일일이 필요한 양을 저울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므로서 종전에 비해 월등한 반죽의 효율성을 부가하여 각종 냉면이나 밀면 등의 반죽을 하기 위한 제면기용 반죽기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적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도에 대한 작용 표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반죽통 내부에 결합되는 반죽스크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죽기 2 : 프레임
3 : 반죽통 4 : 배출공
5, 5a : 반죽스크류 6 : 개폐간
7 : 클립 8 : 레버
9 : 링크 10 : 클립
11 : 반죽치차 12 : 압착판
13 : 압착공 14 : 배출구
15 : 호퍼 16 : 받침대
17 : 장공 18 : 광센서
19 : 솔레노이드 20 : 커터
21 : 핸들 22 : 조절봉
제1도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프레임(2)의 상측에 호퍼(15)와 반죽통(3)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링크(9)와 레버(8)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간(6)과 반죽스크류(5a)가 설치되어 완료된 반죽이 배출구(14)로 배출될 수 있게 한 통상의 반죽기(1)에 있어서, 호퍼(15)와 반죽통(3)의 프레임(2)측에는 클립(7, 10)을 각각 착설하여 원터치식으로 분해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고, 하측의 반죽통(3) 내부에는 압착공(13)이 다수 천설된 압착판(12)을 설치하며, 이의 안쪽에는 대향으로 맞물려 있는 반죽치차(11)를 반죽스크류(5a)와 동축상으로 설치하여 반죽 스크류(5a)가 회전하므로서 반죽통(3)의 내부에서 완료된 반죽이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받침대(16)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장공(17)을 천설하여 하부측에는 핸들(21)로서 작동할 수 있는 조절봉(22)을 설치하고, 이에는 광센서(18)를 설치하여 핸들(21)을 작동하므로서 광센서(18)를 이동가능하게 하며, 배출구(14)의 입구측에는 솔레노이드(19)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커터(20)를 설치하여 반죽이 완료되어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어 나오는 시점에 광센서(18)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19)를 작동하므로서 커터(20)에 의해 반죽이 설정된 양만큼씩 절단되어 배출되어 구성한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호퍼(15) 내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반죽스크류(5)를 평면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반죽스크류(5)가 중앙을 기점으로 내향으로 형성되어 반죽이 몰리면서 원할한 배합과 반죽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는 호퍼(15)에서 섞임이 완료된 원료가 반죽통(3)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 배출공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로 냉면이나 밀면 등 각종 면류를 제조함에 있어서, 면류의 제조직전에 원료가 되는 반죽을 하기 위한 반죽기(1)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에 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반죽을 함에 있어서는 먼저 호퍼(15)의 내부에 밀가루와 일정량의 물을 투입한 다음 전원을 가하면 호퍼(15)의 내부에서 믹싱이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이 믹싱이 완료되면 전방에 있는 레버(8)를 작동하면 링크(9)의 작동에 의해 내부의 개폐간(6)이 개방이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반죽이 배출공(4)을 통해 하부의 반죽통(3)측으로 투입이 된다.
이와 같이 미완성된 반죽이 반죽통(3) 측으로 투입되면 반죽통(3)의 내부에 설치된 반죽스크류(5a)에 의해 반죽이 되면서 외측으로 나가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을 함에 있어서는 압착공(13)이 다수 천설된 압착판(12)에 의해 반죽이 촉진되면서 배출구(14)측으로 완료된 반죽이 최종 배출되어 각종의 냉면이나 밀면 등 원하는 면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반죽이나 제면을 행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함에 있어서, 호퍼(15)와 반죽통(3)을 임의로 분해 결합할 수 있게 하여 반죽의 도중 고장이 발생하거나 내부의 청소가 필요할 경우는 간단한 동작으로 원터치식으로 분해 결합할 수 있게 하므로서 반죽기(1)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한 것으로, 먼저, 호퍼(15)와 반죽통(3)의 분해 결합할 시에는 호퍼(15)와 반죽통(3)의 외측에 각각 착설된 클립(7, 10)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를 개방하면 각각의 호퍼(15)와 반죽통(3)은 프레임(2)으로부터 임의로 분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완료되면 내부의 구성부품의 수리나 교환 및 보수를 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반죽의 작업중 내부에 끼어 있는 이물질이나 미배출된 반죽을 인출할 수가 있으므로 반죽기(1)의 내부는 항상 청결하고 깨끗하게 유지되므로 반죽기(1)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함은 물론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하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아 같은 방식으로 분해하여 내부를 청소하거나 부품의 수리 및 보수를 행하고 다음으로 이를 상호 결합할 시에는 역시 내부의 부품을 먼저 조립한 다음 상하측에 각각 결합된 클립(7, 10)을 이용하여 원터치식으로 간편히 결합을 하면 반죽기(1)의 조립이 완료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15)의 내부에 원료를 투입한 다음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반죽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능 이외에도 반죽통(3) 측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개폐간(6)을 종전과 같이 배출공을 천설하여 각각의 배출공(4)을 일치시키므로서 반죽이 하부의 반죽통(3) 측으로 공급되게 구성하지 않고, 다만 개폐간(6)을 내측으로 밀거나 당기므로서 내부에 천설된 배출공(4)이 개폐될 수 있게 하여 반죽의 진행도중 일일이 각각의 배출공(4)의 위치를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이는 단순히 밀어넣거나 당겨내면 배출공(4)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반죽의 능률성을 일층 보장함은 물론 작동이 매우 용이하여 전문적인 작동법의 숙지를 하지 않고도 손쉽게 반죽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능률성이 일층 개선되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매우 용이해지는 잇점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반죽이 완료되는 맨 마지막 배출구(14)의 인접한 내측에 반죽치차(11)를 설치하여 각각의 반죽스크류(5a)와 동축상에서 대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므로서 반죽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반죽치차(11)의 접지력과 회전력에 의해 짓이겨지면서 반죽이 최종 완료되어 배출구(14)를 통해 배출이 되어 상기의 설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종 배출되는 반죽은 제면을 할시에 매우 양질의 면류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5도는 본 고안의 호퍼(15) 내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반죽스크류(5)를 평면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반죽스크류(5)가 중앙을 기점으로 내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죽의 도중 중앙으로 몰리면서 원할한 배합과 반죽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반죽이 완료되어 배출구(14)쪽으로 배출될 시 배출구(14)의 입구에는 솔레노이드(19)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커터(20)가 설치되고 받침대(16)에는 장공(17)을 천설하여 핸들(21)에 의해 조절가능한 조절봉(22) 상에는 광센서(1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반죽이 완료되어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시점에 장공(17)측에 노출된 광센서(18)에 빛을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광센서(18)가 작동을 하여 솔레노이드(19)의 커터(20)를 순차적으로 돌출시키게 되어 반죽이 절단되는 것이다.
이때 장공(17)의 내부측 조절봉(22)에 결합된 광센서(18)는 외측의 핸들(21)을 조작하므로서 광센서(18)의 설치거리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즉 이 경우는 반죽이 필요한 양만큼씩 절단되게 한 것인바, 가령 5인분씩의 반죽을 필요로 할 경우는 핸들(21)을 조절하여 조절봉(22)을 작동하므로서 5인분의 반죽이 될 만큼의 위치에 광센서(18)를 위치시킨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죽을 하게 되면 이를 배출하는 시점에서 일단 배출구(14)측으로 반죽이 배출되어 광센서(18)의 설정거리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19)가 작동하여 커터(20)를 순간적으로 돌출하여 커팅을 하게 되므로 결국은 필요한 반죽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반죽기의 구조를 개량하므로서 반죽기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하거나 내부를 청소할 시에는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기술이 없이도 누구나 용이하게 분해하여 원하는 청소나 수리를 할 수 있게 되어 반죽기의 사용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내부에 결합되는 개폐간은 기종의 경우와 같이 각각의 배출공을 일치시켜서 반죽을 공급하지 않고 다만 일정길이로 밀거나 당기므로서 배출공을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조작의 용이성을 크게 개선하고, 특히 마지막의 반죽 배출구의 내부에는 이중으로 반죽치차를 설치하므로서 반죽을 최종 배출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반죽치차의 회전력에 의해 짓이기므로서 매우 양호한 상태의 반죽을 배출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제면의 직전 실시하는 반죽기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주로 냉면이나 밀면 등 각종 면류를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해 제조의 직전에 반죽을 하는 반죽기에 있어서, 반죽을 행하는 장치를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게 하고, 하부에 결합되는 개폐장치를 짧게 구성하며, 반죽이 완료되면서 인출되는 출구부에 반죽치차를 대향으로 형성하므로서 반죽을 일층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3)

  1. 프레임(2)의 상측에 호퍼(15)와 반죽통(3)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링크(9)와 레버(8)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간(6)과 반죽스크류(5a)가 설치되어 반죽이 배출구(14)로 배출될 수 있게 한 반죽기(1)에 있어서, 호퍼(15)와 반죽통(3)이 설치되는 프레임(2) 측에는 클립(7, 10)을 각각 착설하여 원터치식으로 분해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고, 개폐간(6)은 짧게 구성하여 배출공(4)을 개폐할 수 있게 하며, 하측의 반죽통(3) 내부에는 압착공(13)이 다수 천설된 압착판(12)을 설치하고, 이의 안쪽에는 대향으로 맞물려 있는 반죽치차(11)를 반죽스크류(5a)에 동축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16)에는 장공(17)을 천설하여 하부측에는 핸들(21)로서 작동할 수 있는 조절봉(22)을 설치하고, 이에는 광센서(18)를 결합하여 핸들(21)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하며, 배출구(14)의 입구측에는 솔레노이드(19)와 커터(20)를 설치하여 배출구(14)를 통해 나오는 시점에 광센서(18)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19)를 작동하므로서 커터(20)에 의해 반죽이 절단되어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죽기.
  3. 제1항에 있어서, 호퍼(15) 내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반죽스크류(5)는 중앙을 기점으로 내향으로 형성되어 반죽이 몰리면서 원활한 배합과 반죽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KR2019960025086U 1996-08-16 1996-08-16 반죽기 Expired - Lifetime KR200144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86U KR200144032Y1 (ko) 1996-08-16 1996-08-16 반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86U KR200144032Y1 (ko) 1996-08-16 1996-08-16 반죽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32U KR960033232U (ko) 1996-11-19
KR200144032Y1 true KR200144032Y1 (ko) 1999-06-15

Family

ID=1946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086U Expired - Lifetime KR200144032Y1 (ko) 1996-08-16 1996-08-16 반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14U (ko) * 2020-07-17 2022-01-25 차동한 반죽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14U (ko) * 2020-07-17 2022-01-25 차동한 반죽 장치
KR200496088Y1 (ko) 2020-07-17 2022-10-31 차동한 반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32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9582A (en) Pasta-making machine
US10098356B2 (en) Household noodle maker
US5486100A (en) Pasta maker with dual kneading blades
CN111359473A (zh) 一种胶原蛋白原料挤压搅拌装置及提取方法
KR200144032Y1 (ko) 반죽기
CN113117626A (zh) 一种用于海洋生物多肽提取液的快速浓缩装置
CN107569098A (zh) 一种馒头生产线
KR20200092569A (ko) 반죽기
CN105325483A (zh) 双转轴和面装置
KR100517686B1 (ko) 떡 제조방법 및 장치
CN105325479A (zh) 多级均匀和面装置
CN107019009A (zh) 一种方便快捷型和面机
KR200213578Y1 (ko) 반죽기가 부착된 제면기
KR200441568Y1 (ko) 반죽기용 반죽 스크류의 구조
KR200477452Y1 (ko) 건면 파지 반죽장치
KR200166774Y1 (ko) 반죽기
CN106106597B (zh) 一种揉面机
KR200441563Y1 (ko) 냉면 반죽기
US3677523A (en) Rebound pug mill
KR20000017767A (ko) 제면기
CN217287944U (zh) 一种板材生产用配料装置
KR100494260B1 (ko) 다용도 국수제조기
CN110915837B (zh) 适用于工厂连续化生产的戗面工艺设备
KR20140002877U (ko) 반죽 절단용 컷팅 판이 구비된 반죽 장치
CN220044714U (zh) 乾隆八珍糕特色糕点制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8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8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1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