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2688Y1 - 전원 분배 콘넥터 - Google Patents

전원 분배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688Y1
KR200142688Y1 KR2019970000504U KR19970000504U KR200142688Y1 KR 200142688 Y1 KR200142688 Y1 KR 200142688Y1 KR 2019970000504 U KR2019970000504 U KR 2019970000504U KR 19970000504 U KR19970000504 U KR 19970000504U KR 200142688 Y1 KR200142688 Y1 KR 200142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s
connection terminals
lead
connector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500U (ko
Inventor
지상철
Original Assignee
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철 filed Critical 지상철
Priority to KR201997000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68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6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01R9/18Fastening by means of screw or n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1Observation aide, e.g. transparent material, window in housing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번의 인입선 겨함에 의해 여러개이 인출선에 전원을 공급해 주도록 하고 인입선 연결을 최소화하여 접촉저항을 줄여 주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인입선(2)이 고정나사(5)(5')(5)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접속단자(4)(4')(4)와 인출선(8)(8')(8)이 고정나사(7)(7')(7)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접속단자(6)(6')(6)를 갖춘 콘넥터(1)에 있어서, E자형의 연결판(10)을 접속단자(4)(4')(4)하부로부터 접속단자(6)(6')(6)하부에 위치되게 밀어 넣은 후 고정나사(5)(5')(5)(7)(7')(7)가 접속단자(4)(4')(4)(6)(6')(6)를 관통하여 연결판(10)에 결합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며 연결판(10)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면 접속단자(6)(6')(6)에 결합된 인출선(8)(8')(8)에는 인입선(2)의 전원이 동일하게 분배되어 공급되게 된다.

Description

전원 분배 콘넥터
본 고안은 하나의 인입선으로부터 여러개의 인출선으로 전원을 분배시키는 전원분배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전선 연결작업을 간략화시키고 확실한 접속을 보장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인입전원을 여러곳의 출력전원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콘넥터(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5)를 풀러 접속단자(4)하부에 인입선(2)을 끼우고 인출선(8)도 고정나사(7)를 풀어 접속단자(6)에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접속단자(4)(6)는 내부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되어 있어 인입선(2)으로 인가된 전원이 인출선(8)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접속단자(4)와 접속단자(4')(4)와는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어 있어 인입선(2)을 접속단자(4')(4)에 직접 결합시키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4)와 접속단자(4')사이, 또는 접속단자(4')와 접속단자(4)사이에 인출선(3)(3')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주어야만 각각의 접속단자(4)(4')(4)에 인입선(2)의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또다른 인입선(2')의 연결방식도 상기와 동일하며 인출선(8)(8')(8)은 각각의 접속단자(6)(6')(6)에 개별적으로 접속시킨 후 인출선(8)(9)을 하나의 동력전원으로 사용하고 인충선(8')(9')과 인출선(8)(9)을 또다른 동력전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기존방식에서는 인입선(2)을 접속단자(4)(4')(4)에 각각 결합시킬 때 인출선(3)(3')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인출선(3)(3')의 결합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되고 또한 접속단자(4)(4')(4)와 인출선(3)(3')과의 접촉저항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한 번의 인입선 결합에 의해 여러개의 인출선에 전원을 공급해 주도록 하고 인입선연결을 최소화하여 접촉저항을 줄여 주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E자형의 연결판을 구비하여 연결판을 콘넥터의 인입선측 접속단자 하부로부터 관통하여 인출선 측 접속단자 하부에 위치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는것으로 인입선을 하나의 접속단자에 결합시키면 연결판에 전원이 공급되어 인출선 쪽의 3개 접속단자에 겨랗ㅂ된 3개의 인출선에 모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E자형의 연결판은 인출선 갯수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1은 기존의 콘넥터 사용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콘넥터의 일부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콘넥터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콘넥터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콘넥터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넥터 2,2': 인입선
4,4'4, 6,6'6: 접속단자 5,5'5, 7,7'7: 고정나사
8,8'8: 인출선 10: 연결판
12: 인식판 13: 보호창
본 고안은인입선(2)이 (5)(5')(5)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접속단자(4)(4')(4)와 인출선(8)(8')(8)이 고정나사(7)(7')(7)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접속단자(6)(6')(6)를 갖춘 콘넥터(1)에 있어서 E자형의 연결판(10)을 접속단자(4)(4')(4) 하부로부터 접속단자(6)(6')(6)하부에 위치되게 밀어 놓은 후 고정나사 (5)(5')(5) (7)(7')(7)가 접속단자 (4)(4')(4)(6)(6')(6)를 관통하여 연결판(10)에 결합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며 연결판(10)의 결합에 의해 접속단자(4)(4')(4)중 어느하나에 인입선(2)이 결합되면 접속단자(6)(6')(6)에 결합된 인출선(8)(8')(8)에는 인입선(2)의 전원이 동일하게 분배되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연결판(10)은 하나의 인입선에서 몇 개의 인출선과 연결시키느냐에 따라 그 형태가 ㄷ형, E형, ㅌ형 등 여러가지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인입선 측 접속단자(4)(4')(4)와 인출선 측 접속단자(6)(6')(6)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면 된다.
그리고 콘넥터(1)의 내측 중앙 양측에는 걸림돌기(11)(11')를 형성시켜 걸림돌기(11)(11')하부로 인식판(12)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인식판(12)은 탄성을 갖고 휘어져 결합되고 이탈되게 되며 인식판(12)에는 인출선(8)(8')(8)(9)(9')(9)의 번호 등을 기재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한다.
콘넥터(1)에는 걸림날개(15)를 형성시켜 보호창(13)의 삽입날개(1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보호창(13)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외부에서 콘넥터(1)내부확인이 가능하고 전기적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인입선(2)은 고정나사(5)(5')(5)중 어느하나의 고정나사(5)를 풀어 접속단자(4)하부에 위치시킨 후 고정나사(5)를 조이면 인입선(2)은 접속단자(4)에 의해 연결판(10)에 밀착 고정된다.
인입선(2)이 결합되면 연결판(10)구조에의해 접속단자(4)(4')(4)(6)(6')(6)에 모두 인입선(2)의 전원이 공급되게 되며 상기 접속단자(6)(6')(6)에 인출선(8)(8')(8)을 결합시킬 경우 인입선(2)의 전원이 인출선(8)(8')(8)으로 분배되어 공급된다.
이경우 기존과 비교하여 볼 때 인출선(3)(3')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인출선(3)(3')연결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연결판(10)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전기적 접촉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콘넥터(1)에 연결된 인출선(8)(8')(8)(9)(9')(9)의 사용편의를 위하여 인식판(12)에 숫자 또는 부호를 표시한 후 걸림돌기(11)(11')에 상기 인식판(12)을 끼워주도록 한다.
인식판(12)은 필요에 의해 숫자 또는 부호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걸림돌기(11)(11')에 끼워주는 동작에 의해 간단히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콘넥터(1)의 외측에는 투명 보호창(13)을 끼워주어 외부로부터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외부에서 인출선(8)(8')(8)(9)(9')(9)의 결합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인입선의 전원을 여러개의 인출선으로 분배시킬 때 한 번의 인입선 연결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일체형 연결판의 사용으로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인입선(2)이 결합되는 다수의 접속단자(4)(4')(4)를 구비하고 인출선(8)(8')(8)이 결합되는 다수의 접속단자(6)(6')(6)를 구비한 콘넥터(1)에 있어서,
    E자형의 연결판(10)을 인입선(2)이 결합되는 접속단자(4)(4')(4)하부로 밀어 넣어 인출선(8)(8')(8)이 결합되는 접속단자(6)(6')(6)하부에 위치되게 밀어 넣은 후 고정나사(5)(5')(5)(7)(7')(7)가 접속단자(4)(4')(4)(6)(6')(6)를 관통하여 연결판(10)에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 콘넥터.
  2. 청구항 1에서, 연결판(10)은 인입선(2)측 접속단자(4)(4')(4)와 인출선(8)(8')(8)측 접속단자(6)(6')(6)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 콘넥터.
KR2019970000504U 1997-01-16 1997-01-16 전원 분배 콘넥터 Expired - Lifetime KR200142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504U KR200142688Y1 (ko) 1997-01-16 1997-01-16 전원 분배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504U KR200142688Y1 (ko) 1997-01-16 1997-01-16 전원 분배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500U KR19980056500U (ko) 1998-10-15
KR200142688Y1 true KR200142688Y1 (ko) 1999-06-01

Family

ID=1949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504U Expired - Lifetime KR200142688Y1 (ko) 1997-01-16 1997-01-16 전원 분배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6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80B1 (ko) * 2005-08-19 2007-06-04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500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7927A (en) Method of mounting circuit component to a circuit board
JP3238405B2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またはセンサを接続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
US6273587B1 (en) Light strip power block
JPS5924513B2 (ja) 電気器具の固定並びに配線装置
JPH076810A (ja) 電源コネクタ
US20170170576A1 (en) Light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RU2467440C2 (ru) Модульный разъе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SE0100562L (ko)
JP3751352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0142688Y1 (ko) 전원 분배 콘넥터
GB8607249D0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59610084D1 (de) Reihenklemme mit Stromschiene
US539725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terminal therefor
PL337747A1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CN210016058U (zh) 灯带连接器以及相应的灯带组件
EP1128495A3 (en) Wedge-base lamp fitting structure
SI0871263T1 (en) Adaptor, Bus bar and coupling arrangement
GB2266810A (en) Multi socket outlet assembly
MY109441A (en) Sleeve for insulating solderless terminal
CN217280631U (zh) 一种带有电源走线防护罩壳的塑壳断路器
CN220017263U (zh) 一种能够实现不同方向出线的快速拼接硬灯条
US6616472B2 (en) Electric coupler for electric facilities
KR0130257Y1 (ko)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KR940005274Y1 (ko) 전기 플러그
KR960007308Y1 (ko) Pcb용 터미널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1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1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