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1444Y1 -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444Y1
KR200141444Y1 KR2019960058976U KR19960058976U KR200141444Y1 KR 200141444 Y1 KR200141444 Y1 KR 200141444Y1 KR 2019960058976 U KR2019960058976 U KR 2019960058976U KR 19960058976 U KR19960058976 U KR 19960058976U KR 200141444 Y1 KR200141444 Y1 KR 200141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humidification
water
microcomput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834U (ko
Inventor
강길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8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4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44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콘용 가습장치의 가습량 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콘의 설정풍량에 따른 강,중,약 운전에 대응하여 가습장치 역시 능동적으로 강,중,약 가습토출 되도록 한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에 있어서,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저항(R2-R6)및 트랜지스터(Q1-Q3)로 이루어진 가습량조절부(24)를 더 구성하여 에어콘의 설정풍량에 대응되게 가습량조절부(24)가 강,중,약중 어느 하나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본 고안은 응축수를 이용한 에어콘용 가습장치의 가습량 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콘의 설정풍량에 따른 강,중,약 운전에 대응하여 가습장치 역시 능동적으로 강,중,약 가습토출 되도록 한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조절과 기화조절을 기계적으로 행하여 냉매가스를 압축-응축-팽창-증발의 4과정을 연속적으로 이루면서 실내를 냉방시키는 에어콘에 있어 증발기로 유입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는 증발기의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액체냉매가 기체냉매로 변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는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의 응축 결로현상으로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에어콘의 가동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증발기의 표면을 타고 떨어져 증발접시에 고이게 되어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외부로 넘쳐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증발접시에 고인 응축수가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증발접시로부터 배출호스를 인출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하거나, 지하실과 같이 낮은 위치에 설치할 경우에도 별도의 물받이를 구비하여 배출호스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처리하여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응축수 처리장치는 구조는 간단하나, 응축수의 처리가 번거럽고, 특히 배출되는 응축수가 기기주변 건물의 벽이나 바닥으로 흘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결함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자는 응축수를 기체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즉,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필터에 의해 정수하며, 정수된 물에 함유된 세균을 발열수단으로 제거하고, 멸균된 상태의 정수물을 진동자에 의해 무화시켜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 에어콘의 응축수를 이용한 가습장치를 개발하여 동일자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가습장치에 있어서, 에어콘의 운전조건에 따라 적적히 가습량이 조절되는 장치가 미흡하여 이에대한 대책이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어콘 가동시 에어콘의 설정풍량에 따른 강,중,약 운전에 대응하여 가습장치 역시 능동적으로 강,중,약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가습장치의 효율성이 일층 증대된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수를 이용한 가습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에어콘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일 예를 보인 상세회로도,
도 4는 도 3의 제어 수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 : 증발기 6 : 접시
7 : 정수통 8 : 가열통
9 : 가습부 10 : 토출부
11 : 필터 20 : 마이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지의 에어콘에 증발기의 표면을 통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접시와, 상기 접시에 집수된 응축수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이 1차적으로 저장되는 정수통과, 상기 정수통의 만수위시 플롯트스위치의 접점 변경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에서의 만수위 입력시 밸브 및 히터의 온 제어를 명령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정수통의 밸브를 개방하는 밸브구동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히터를 가열하는 히터구동부와, 밸브 개방에 의해 정수된 물이 집수됨과 아울러, 적소에 설치된 히터의 가열로 물속에 함유되는 세균을 멸균시키는 가열통과, 상기 가열통에서 멸균된 물을 초음파 진동하여 무화하는 가습부와, 상기 가습부에서 무화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시킨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저항 및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가습량조절부를 더 구성하여 에어콘의 설정풍량에 대응되게 가습량조절부가 강,중,약중 어느 하나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수를 이용한 가습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에어콘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일 예를 보인 상세회로도, 도 4는 도 3의 제어 수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실내기 본체(1)의 상부에 토출구(2)가 구비되고 이와 이격되는 하부에 흡입구(3)가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토출구(2)의 내측에는 실내팬(4)이 내설되고 그 하부 즉, 흡입구(3)의 내측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증발기(5)가 설치되며, 그 하단의 직하부에는 증발기(5)로 떨어지는 응축수(8)을 고이게 하는 접시(6)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가습장치는 상기 접시(6)의 일측 저부로 다공망을 갖는 필터(11)를 통해 정수통(7)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정수통(7) 내부로 통상의 플롯트스위치(FS)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마이컴(20)과 연결된다.
또, 상기 정수통(7) 하부로 발열선이 수회 권선된 히터(HT)가 구비된 가열통(8)이 설치되되, 가열통(8) 상단부와 상기 정수통(7)의 하부를 솔레노이드 밸브(SV1)가 내설된 유입관을 통해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 상기 가열통(8)에서 멸균된 물을 초음파 진동하는 진동자(TD)가 설치된 가습부(9)와, 상기 가습부(9)의 직상부로 설치되어 무화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10)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2 및 3은 본 고안 에어콘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제어 블록도 및 상세 회로도로서, 에어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입력단(I1) 및 출력단(PO1-PO5)이 구비되어 본 고안 가습장치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20)과, 풀업저항(R1) 및 플롯트스위치(FS)로 구성되어 수위에 따른 스위치 단속신호를 상기 마이컴(20)의 입력단(I1)으로 입력하여 정수통(8)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21)와, 마이컴(20)의 제어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1)와 반전된 신호로 도통되는 릴레이(RY1)로 구성되어 릴레이(RY1)의 단속신호로 솔레노이드 밸브(SV1)를 개폐시켜 정수통(7)내의 물을 가열통(8)으로 인도하는 밸브구동부(22)와,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2)와 반전된 신호로 도통되는 릴레이(RY2)로 구성되어 릴레이(RY2)의 단속신호로 히터(HT)를 온시켜 가열통(8)을 가열하는 히터구동부(23)와, 가열통에서 멸균된 물을 초음파 진동 무화하는 가습회로부(25)와,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저항(R2-R6 ) 및 트랜지스터(Q1-Q3)로 이루어진 가습량조절부(24)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D1-D2는 서지흡수용 다이오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4를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인가후 시작스위치에 의해(S1) 통상의 에어콘 운전이 시작되면 실내팬 및 냉매사이클의 가동으로 흡입구를 통해 증발기(5)쪽으로 강제 흡입된 실내공기는 증발기(5)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토출구(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냉방운전이 진행된다(S2). 이렇게 동작되는 냉방운전은 실내온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강,중,약 운전이 이루어지며, 이 강,중,약 설정 동작을 이후의 가습동작을 위한 최적조건으로 파악하여 미리 세트한다(S3-S6).
한편, 냉방운전으로 증발기(5)에서는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의 응축결로현상으로 응축수가 발생되어 증발기(5) 하부의 경사면을 따라 접시(6)내로 떨어져 고이게 된다.
이와같이 응축수가 고이게 되면 접시(6)와 연통되게 설치된 다공망을 가진 필터(11)를 통해 응축수의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지고 걸러진 물이 정수통(7)으로 집수된다. 이렇게 차츰 집수된 정수된 물은 계속적인 냉방가동으로 인해 그 수위가 점점 차오르게 되고 마침내는 플롯트스위치(FS)의 만수위 접점변경 위치까지 오르면(S7) 본 고안 가습장치의 가동이 진행된다(S7).
즉, 플롯트스위치(FS)의 온으로 풀업저항(R1)과 연결된 전압(Vcc)이 접지측으로 흘러 로우레벨전위가 마이컴(20)에 입력되며, 상기 마이컴(20)은 출력단(PO1)으로 밸브 개방신호인 즉,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인버터(I1)에 의해 반전된 로우신호로 릴레이(RY1)를 온시켜 솔레노이드 밸브(SV1)를 개방함으로써(S8) 정수통(7)에 집수된 정수된 물이 가열통(8)으로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출력단(PO2)도 동일한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인버터(I2)에 의해 반전된 로우신호로 히터(HT)를 온시켜 가열통(8)을 적정 온도까지 끌어올려 정수속에 함유된 세균을 제거케 한다(S9).
이러한 동작을 통해 멸균된 물은 유입관을 통해 가습부(9)로 공급되며 가습부(9)에서는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물을 빠르게 무화시키고, 이 무화된 기체는 토출부(1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단계S3-S6에서 세트한 조건을 확인하되, 약조건(S4)으로 세트되어 있으면 마이컴(20)은 가습량조절부(24)의 출력단(PO5)으로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켜 저항(R5,R6)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이 가습회로부(25)로 인가되게 함으로서, 약 운전으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
상기한 조건이 중으로 세트되어 있으면(S6) 마이컴(20)은 가습량조절부(24)의 출력단(PO4)으로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켜 저항(R5)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이 가습회로부(25)로 인가되게 함으로서, 중 운전으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
상기한 조건이 강으로 세트되어 있으면(S5) 마이컴(20)은 가습량조절부(25)의 출력단(PO3)으로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전전압이 즉시 가습회로부(25)로 인가되게 함으로서, 강 운전으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필터에 의해 정수하며, 정수된 물에 함유된 세균을 발열수단으로 제거하고, 멸균된 상태의 정수물을 진동자에 의해 무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인체에 무해한 상태 기체로 생성하여 외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응축수 제거를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응축수로 인한 기기 주변의 오염 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 가습장치가 부가된 에어콘에 능동적으로 가습을 진행하는 장치를 부가함으로서, 더욱 효율적인 가습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

  1. 공지의 에어콘에 증발기의 표면을 통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접시(6)와, 상기 접시(6)에 집수된 응축수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1)와, 상기 필터(11)를 통해 정수된 물이 1차적으로 저장되는 정수통(7)과, 상기 정수통의 만수위시 플롯트스위치(FS)의 접점 변경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수위감지부(21)와, 상기 수위감지부(21)에서의 만수위 입력시 밸브 및 히터의 온 제어를 명령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 정수통의 밸브를 개방하는 밸브구동부(22)와,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 히터를 가열하는 히터구동부(23)와, 밸브 개방에 의해 정수된 물이 집수됨과 아울러, 적소에 설치된 히터의 가열로 물속에 함유되는 세균을 멸균시키는 가열통(8)과, 상기 가열통(8)에서 멸균된 물을 초음파 진동하여 무화하는 가습부(9)와, 상기 가습부(9)에서 무화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10)를 포함시킨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저항(R2-R6)및 트랜지스터(Q1-Q3)로 이루어진 가습량조절부(24)를 더 구성하여 에어콘의 설정풍량에 대응되게 가습량조절부(24)가 강,중,약중 어느 하나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KR2019960058976U 1996-12-27 1996-12-27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Expired - Lifetime KR200141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76U KR200141444Y1 (ko) 1996-12-27 1996-12-27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76U KR200141444Y1 (ko) 1996-12-27 1996-12-27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34U KR19980045834U (ko) 1998-09-25
KR200141444Y1 true KR200141444Y1 (ko) 1999-05-15

Family

ID=1948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976U Expired - Lifetime KR200141444Y1 (ko) 1996-12-27 1996-12-27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3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007A (en) Cold/hot water dispenser having an expansion tank for water overflow
WO2019091422A1 (zh) 基于蒸汽冷凝吸附原理的空气净化器及具有其的空调设备
JP2919711B2 (ja)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KR101276044B1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JP2003185229A (ja) 空調機の凝縮水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方法
WO1995005563A1 (fr) Dispositif d'amenee d'eau a des fins d'humidification et climatiseur utilisant un tel dispositif
JP3364576B2 (ja) 除加湿装置
CN107074595B (zh) 水处理装置及加湿装置
KR200141444Y1 (ko) 에어콘용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회로
KR100329929B1 (ko) 가습 겸용 공기 조화기
KR100187066B1 (ko) 에어콘의 응축수를 이용한 가습장치
JPH02176327A (ja) 空調機の凝縮水の処理方法
CN211833967U (zh) 一种带有加湿器的管线机和饮水机
KR19980045852U (ko) 에어콘용 가습기의 안전회로
KR200299995Y1 (ko) 제습 공조장치
KR200421625Y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100466434B1 (ko)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200235682Y1 (ko)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20040018847A (ko) 무균 청정 가습기
CN113915702B (zh) 加湿装置的控制方法及加湿装置
KR102519111B1 (ko) 저온 증발식 폐수 처리장치
JP2002317971A (ja) 空気調和装置
JPS6240250Y2 (ko)
KR100216474B1 (ko) 에어컨의 응결수 누수 방지장치
JPS6236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