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0959Y1 - 농약살포기 - Google Patents

농약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959Y1
KR200140959Y1 KR2019960028292U KR19960028292U KR200140959Y1 KR 200140959 Y1 KR200140959 Y1 KR 200140959Y1 KR 2019960028292 U KR2019960028292 U KR 2019960028292U KR 19960028292 U KR19960028292 U KR 19960028292U KR 200140959 Y1 KR200140959 Y1 KR 200140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spray
pipe
spray pip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086U (ko
Inventor
정응익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2019960028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959Y1/ko
Publication of KR19980015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9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3Bulk fertiliser or grain handling in the field or on the fa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의 상부를 형성하는 가로지지대와 나란하게 세로지지대의 아래에 일정간격으로 살포관이 위치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 살포관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하고, 살포관의 양측 외주면에는 분사범위가 겹쳐지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을 설치하여서,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농약의 종류 및 작물에 농약이 살포되는 위치에 따라 살포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한 후 농약을 살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농약의 살포각도가 살포관을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위아래로 소정의 분사각을 가지면서 분무되어, 재배작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농약을 고르게 살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포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농약살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농약살포기
본 고안은 농약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사노즐이 구비된 살포관을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하고, 이 살포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면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배작물에 농약을 고르게 살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약살포에 따른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농약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용작물이나 계절을 달리하여 조기에 수확을 얻고자 하는 작물은 비닐하우스 등을 이용하여 재배하게 된다.
이러한 비닐하우스(100)에는 그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배하는 작물이 병충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제시설 등 여러가지 보조시설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이러한 방제시설 중에서 농약살포기는 재배작물 및 농약의 종류에 따라 작물에 살포하는 위치를 달리하게 된다.
기존의 농약살포기는, 첨부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00)의 상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가로지지대(120)와 나란하게 놓여지면서 세로지지대(110)의 아랫쪽에 살포관(20)이 일체 설치되고, 이 살포관(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분사노즐(21)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100)의 수직지지대(130)에도 상술한 것과 같이 분사노즐(21)이 구비된 상기 살포관(20)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재배작물의 측면부위까지 골고루 농약살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살포관(20)의 중간 위치에는 이 살포관(20)에 농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수단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때의 상기 공급수단은 도 2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내부 용적을 갖는 농약탱크(24)와, 이 농약탱크(24)로부터 농약을 상기 살포관(20)까지 공급하여 주는 연결관(22)을 포함하는 펌프(23)로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농약살포기는 살포관이 비닐하우스의 세로지지대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농약이 작물의 잎사귀 위에만 살포되게 되어, 잎사귀의 아랫면에까지 살포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농약을 사용하거나 다른 장비를 이용하여 별도로 살포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상부를 형성하는 가로지지대와 나란하게 세로지지대의 아래에 일정간격으로 살포관이 위치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 살포관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하고, 살포관의 양측 외주면에는 분사범위가 겹쳐지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을 설치하여서,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농약의 종류 및 작물에 농약이 살포되는 위치에 따라 살포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한 후 농약을 살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농약의 살포각도가 살포관을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위아래로 소정의 분사각을 가지면서 분무되어, 재배작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농약을 고르게 살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포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농약살포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농약살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드럼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사노즐의 분사각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모터 11 : 구동축
12 : 와이어드럼 13 : 와이어
14 : 끼움구멍 15 : 절개부
16 : 지지브라켓 18 : 체결구멍
19 : 고정구멍 20 : 살포관
21 : 분사노즐 22 : 연결관
23 : 펌프 24 : 농약탱크
25 : 공급관 26 : 고무호스
27 : 공기압축기 28 : 보조관
29a,29b : 밸브 100 : 비닐하우스
110 : 세로지지대 111 : 지지롤러
120 : 가로지지대 130 : 수직지지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동축(11)과, 이 구동축(11)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드럼(12)과, 상기 구동축(11)을 직접 돌려주는 구동모터(10)와, 한쪽 끝은 상기 각각의 와이어드럼(12)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은 세로지지대(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롤러(111)에 걸쳐지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드리워져 살포관(20)에 연결되는 와이어(13)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양쪽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분사노즐(21)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13)의 한쪽 끝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살포관(20)과, 이 살포관(20)으로 농약을 공급해주는 고무호스(26), 공급관(25), 연결관(22), 펌프(23), 농약탱크(24)를 포함하는 분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와이어드럼(12)은 중앙에 끼움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주상에는 3면이 절개되어 수직으로 굽혀진 절개부(15)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원판이 서로 조합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끼움구멍(14)과 절개부(15) 사이에는 다수의 체결구멍(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구멍(14)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1)은 상기 살포관(20)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약 15°정도의 분사각을 가지면서 분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비닐하우스를, 110은 세로지지대를, 111은 지지롤러를, 120은 가로지지대를, 130은 수직지지대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구동모터(10)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일정길이의 구동축(11)에 상기 세로지지대(110)의 아랫쪽으로 드리워진 와이어(13)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한 구동수단과, 이와 같이 드리워진 상기 와이어(13)의 한쪽 끝에 고정되는 살포관(20)을 포함하는 분무수단으로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살포관(2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한 후 상기 펌프(23)로부터 공급된 농약이 상기 살포관(20)에 설치된 분사노즐(21)을 통하여 살포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구동모터를 나타낸다.
상기 구동모터(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로 이루어진 모터를 이용하게 되며, 이 구동모터(10)는 상기 가로지지대(120)와 나란하게 비닐하우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0)의 축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동축(11)이 상기 가로지지대(120)와 나란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11은 구동축을 나타낸다.
상기 구동축(11)은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전체 길이는 상기 가로지지대(120)의 길이보다 다소 작게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10)는 아래쪽에 있는 가로지지대(120)의 한쪽 끝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11)은 구동모터(10)의 축에 연결되면서 그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11)은 전체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비닐하우스(100)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30)에 지지브라켓(16)을 설치하여서, 이 지지브라켓(16)에 구비된 베어링의 지지를 받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닐하우스(100)의 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그만큼 구동축(11)의 길이도 긴 것을 사용해야 하는데, 구동축(11)의 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회전시 비틀림 모우멘트를 많이 받아 파손될 우려가 높게 되므로 이때에는 구동모터(10)를 2개 구비하고 구동축(11)도 반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구동축(11)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와이어드럼(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2는 와이어드럼을 나타낸다.
상기 와이어드럼(12)은, 첨부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끼움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주상에는 3면이 절개되어 수직으로 굽혀진 절개부(15)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원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15)는 상술한 원주상의 원호와 동일한 크기로 절개성형되어서 이 2개의 원판을 하나로 조합하는 경우 하나의 띠편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끼움구멍(14)은 여기에 끼워지는 구동축(11)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끼움구멍(14)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드럼(12)은 상술한 2개의 원판이 서로 조합되어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하나의 원판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15) 사이에 다른 원판의 절개부(15)가 끼워지도록 조합되어서 하나의 와이어드럼(12)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판에는 상기 끼움구멍(14)과 절개부(15) 사이에 체결구멍(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구멍(18)은 상기 하나의 살포관(20)을 여러개의 와이어(13)를 이용하여 잡아 당기는 경우 이 와이어(13)의 갯수에 따라 여러개의 와이어드럼(12)을 일체로 연접 고정시키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여러개가 하나로 조합된 와이어드럼(12)은 상기 세로지지대(110)에 대해 직각으로 놓여지는 상기 살포관(20)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갯수만큼 상기 구동축(11)에 융착고정시켜서 이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원판에 형성된 절개부(15)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고정구멍(19)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구멍(19)에는 상기 와이어(13)의 한쪽 끝이 걸려져 고정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13)는 한쪽 끝이 상기 와이어드럼(12)에 고정되어서 상기 구동축(11)의 회전으로 감기거나 풀림가능하게 되며, 이때 반대쪽 끝은 상기 세로지지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그 아랫쪽으로 드리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세로지지대(110)에는 상기 와이어(13)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롤러(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롤러(111)는 이미 공지된 것과 같이 상기 와이어(13)의 숫자만큼 롤러의 갯수를 조합하여 만든 것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롤러(111)는 낱개로 이루어진 롤러가 하나 또는 그 이상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그 조합되는 갯수는 상기 세로지지대(110)와 가로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살포관(20)의 갯수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살포관(20)은 상기 비닐하우스(100)의 폭 방향을 따라 1개 이상 상기 가로지지대(120)와 나란하게 설치하여서 이용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각 살포관(20)은 동시에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와이어(13)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상기 가로지지대(120)와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대(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3개의 살포관(20)을 배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세로지지대(110)에는 상기 구동모터(10)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살포관(20)의 윗쪽으로부터 1개, 2개와 3개씩 조합된 상기 지지롤러(111)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드럼(12)에 일측이 고정된 3개의 와이어(13)는 다른 일단이 상기 각 지지롤러(111)에 걸쳐져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세로지지대(110)의 아랫쪽으로 드리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와이어(13)는 한쪽 끝이 상기 와이어드럼(12)에 동시에 감기거나 풀리게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 끝은 상기 지지롤러(111)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세로지지대(110)에 대해 수직으로 드리워져 상기 살포관(20)의 윗쪽에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드럼(12)과 살포관(20) 사이에 연결되는 각각의 와이어(13)는 그 길이를 모두 같게 하여 살포관(2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수단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된 농약을 살포시켜 주는 분무수단의 높이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작물에 농약이 골고루 살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무수단은 상기 와이어(13)의 한쪽 끝에 고정되어서 상하로 움직이는 살포관(20)과, 이 살포관(20)에 소정의 압력으로 농약을 공급해주는 연결관(22), 펌프(23) 등을 포함하는 공급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20은 살포관을 나타낸다.
상기 살포관(2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단은 밀폐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살포관(20)의 양측 외주면에는 통상적으로 농약살포에 이용되는 분사노즐(21)이 연통가능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각 분사노즐(21) 간의 거리는 살포되는 반경을 고려하여서 분무된 농약이 서로 겹쳐지는 부위가 없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사노즐(21)은 상기 살포관(20)이 이루는 평면 즉,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포관(20)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수평면으로부터 위 아래로 약 7.5°씩 전체 15°정도의 분사각으로 농약을 살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물의 잎사귀 윗면과 아랫면에 골고루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살포관(20)은 상기 세로지지대(110)의 아랫쪽에서 상기 가로지지대(120)와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각 살포관(20)의 거리도 상기 분사노즐(21)이 설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분무된 농약이 서로 겹쳐지는 범위가 없게 그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3)의 한쪽 끝에 고정된 살포관(20)으로는 공급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갖는 농약이 공급되고, 이곳에서 분사노즐(21)을 통해 살포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수단은 일정량의 농약을 저장 및 분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펌프(23)를 포함하는 농약탱크(24)와, 상기 비닐하우스(100)의 양쪽 가로지지대(120)에 설치되어서 각각의 살포관(20)에 농약을 공급해주는 공급관(25)과, 이러한 각 구성품들이 연통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관(22) 및 고무호스(26)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부호 25는 공급관을 나타낸다.
상기 공급관(25)은 상기 살포관(20)과 같은 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약이 공급되는 한쪽은 연결관(22)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막혀있다.
즉, 상기 공급관(25)의 앞쪽에는 상기 펌프(23)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22)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공급관(25)과 상기 살포관(20) 사이에는 고무호스(26)가 연결되어 있어서, 공급관(25)으로 공급된 농약이 고무호스(26)를 통해 각각의 살포관(20)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무호스(26)의 길이는 상하로 움직이는 살포관(20)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 공급관(25)과 살포관(20) 사이의 거리보다 다소 길게 하여 농약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연결관(22)에는 각 연결관(22)과 공급관(25) 및 살포관(20)에 잔여 농약이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관(28)을 이용하여 공기압축기(27)를 연결함으로써, 농약살포가 끝난 후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잔여 농약을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22)과 보조관(28)에는 각각 밸브(29a),(29b)를 설치하여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잔여 농약을 제거하거나 농약살포를 하는 경우 공기와 농약이 섞이거나 반대쪽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게 된다.
즉, 농약을 살포하는 경우에는 보조관(28)에 있는 밸브(29b)를 잠근상태에서 상기 연결관(22)에 있는 밸브(29a)를 열어 농약이 상기 보조관(28)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게 되며, 잔여 농약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상기 연결관(22)의 밸브(29a)를 잠그고 상기 보조관(28)의 밸브(29b)를 열어서 공기가 상기 펌프(23)로 들어 가서 작동장애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농약살포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농약살포기는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살포관(20)이 상기 세로지지대(110)의 바로 아래에 놓여지도록 최대한 높게 위치되게 되며, 상기 와이어(13)는 와이어드럼(20)에 최대한 감겨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의 농약살포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농약의 종류와 이 농약이 재배작물이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살포해야 하는 것인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맞도록 상기 살포관(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살포관(20)의 높이조절은 상기 구동모터(10)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와이어(13)가 감기거나 풀린 정도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0)를 어느 한방향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축(11)이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13)를 와이어드럼(12)에 감거나 풀게 되며, 이 와이어(13)가 감기거나 풀리는 정도에 따라 상기 살포관(20)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살포관의 높이를 결정하게 되면 이 살포관에 농약을 공급하여서 살포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23)를 구동하기 전에 상기 연결관(22)의 밸브(29a)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관(28)의 밸브(29b)를 닫아 농약이 상기 보조관(28)을 따라 상기 공기압축기(27)로 흘러 들어가 작동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각 밸브(29a),(29b)의 개폐상태가 결정되면 상기 펌프(23)를 구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농약탱크(24)로부터 농약이 연결관(22)을 따라 상기 공급관(25)으로 보내지게 되고, 이 공급관(25)으로 보내진 농약은 다시 상기 고무호스(26)를 따라 각각의 살포관(20)으로 보내져 분사노즐(21)을 통하여 재배작물에 살포된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농약살포가 끝나게 되면, 상기 살포관(20)과 연결관(22) 및 공급관(25)에 남아 있는 잔여 농약을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잔여 농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연결관(22)의 밸브(29a)는 잠그면서 상기 보조관(28)의 밸브(29b)를 열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기압축기(27)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압축기(27)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관(22)과 공급관(25)을 거쳐서 다시 살포관(20)의 분사노즐(21)을 통해 분사되므로 관 내부의 잔여 농약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잔여 농약이 완전히 제거된 상기 살포관(20)은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구동모터(10)를 이용하여 상기 세로지지대(110)가 있는 윗쪽으로 끌어 올려 놓음으로써, 방제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위아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살포관을 이용하여 방제작업을 함으로써, 농약의 종류, 살포하는 위치, 작물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방제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동축(11)과, 이 구동축(11)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드럼(12)과, 상기 구동축(11)을 직접 돌려주는 구동모터(10)와, 한쪽 끝은 상기 각각의 와이어드럼(12)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은 세로지지대(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롤러(111)에 걸쳐지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드리워져 살포관(20)에 연결되는 와이어(13)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양쪽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분사노즐(21)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13)의 한쪽 끝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살포관(20)과, 이 살포관(20)으로 농약을 공급해주는 고무호스(26), 공급관(25), 연결관(22), 펌프(23), 농약탱크(24)를 포함하는 분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드럼(12)은 중앙에 끼움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주상에는 3면이 절개되어 수직으로 굽혀진 절개부(15)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원판이 서로 조합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14)과 절개부(15) 사이에는 다수의 체결구멍(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14)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1)은 상기 살포관(20)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약 15°정도의 분사각을 가지면서 분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살포기.
KR2019960028292U 1996-09-05 1996-09-05 농약살포기 KR200140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92U KR200140959Y1 (ko) 1996-09-05 1996-09-05 농약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92U KR200140959Y1 (ko) 1996-09-05 1996-09-05 농약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86U KR19980015086U (ko) 1998-06-25
KR200140959Y1 true KR200140959Y1 (ko) 1999-03-20

Family

ID=1946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292U KR200140959Y1 (ko) 1996-09-05 1996-09-05 농약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9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30B1 (ko) * 2004-11-25 2006-11-23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자가상승식 분무살포장치
RU2780840C2 (ru) * 2021-02-02 2022-10-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И.И. Иванова"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угла наклона факелов распыла форсунок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опрыскивателя при его перемещении по полю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44B1 (ko) * 2012-07-23 2014-04-08 장용규 농약 살포장치
KR102096026B1 (ko) * 2018-09-17 2020-04-01 주식회사 동부그린테크 승강분무식 무인방제시스템
KR102025591B1 (ko) 2019-05-15 2019-09-26 김종목 캡모자
CN114788467B (zh) * 2022-05-11 2024-03-15 塔里木大学 一种便于调配的棉花脱叶用农药喷洒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30B1 (ko) * 2004-11-25 2006-11-23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자가상승식 분무살포장치
RU2780840C2 (ru) * 2021-02-02 2022-10-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И.И. Иванова"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угла наклона факелов распыла форсунок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опрыскивателя при его перемещении по пол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86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163A (en) Center pivot irrigaton system drop stabilizer
KR101951750B1 (ko) 이동식 포그 방제 시스템
KR20170003083U (ko) 농작물 방제장치
KR200140959Y1 (ko) 농약살포기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0484036Y1 (ko) 다목적 약액 분사기
US6138928A (en) Center pivot suspension distribution system
KR200489668Y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US20140261734A1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spensing or purging fluids
EP1553816B1 (en) Method of removing warm and/or moist air from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greenhouse
KR102571232B1 (ko) 비닐하우스 농약 살포용 운반구
KR20040106032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무전원 무인 방제방법및 그 장치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0254029Y1 (ko) 온실의 자동방제장치
KR20170062317A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기 구동 시스템
US20070221758A1 (en) Precision irrigato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427778B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JP2582740B2 (ja) 園芸用ハウスにおける薬液等の散布装置
US5630551A (en) In-ground reciprocating sprinkler
KR200260778Y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20090059741A (ko) 호스권취기
KR101712719B1 (ko) 물 분배기
KR200254908Y1 (ko) 비닐하우스용 스프링클러 장치
JP7403890B1 (ja) 散布装置
KR102492589B1 (ko) 이류체 분사노즐을 이용한 하우스용 포터블 약액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9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7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