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12514A -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재배베드 - Google Patents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재배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514A
KR20010112514A KR1020000030908A KR20000030908A KR20010112514A KR 20010112514 A KR20010112514 A KR 20010112514A KR 1020000030908 A KR1020000030908 A KR 1020000030908A KR 20000030908 A KR20000030908 A KR 20000030908A KR 20010112514 A KR20010112514 A KR 2001011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fare
bone
mass production
se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이성돈
Original Assignee
박기주
대상하이디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대상하이디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00003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2514A/ko
Publication of KR2001011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감자(種薯;종서) 생산에 있어서 지하부 생육환경 및 광조절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우량 씨감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재배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서(씨감자) 생산에 있어서 괴경의 피목비대 감소 및 수확후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배중에 광을 공급하고 복지와 뿌리를 분리한 후, 관리하여 우량 씨감자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씨감자 생산과정은 우선 생장점 배양 및 바이러스 검정을 거쳐 대량 증식된 우량 경삽묘를 얻는 단계, 본 발명의 베드재배상에 우량경삽묘를 정식하는 단계, 양액을 공급하여 지상부를 생육시키는 단계, 광공급을 통하여 지하부의 복지 및 뿌리를 분리하는 단계, 광공급을 차단하고 2-3차 복지를 유도하여 괴경형성처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복지에서 착생되는 괴경을 일정한 크기로 비대시키는 단계, 부분수확을 통하여 균일한 우량한 씨감자를 수확하는 단계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씨감자의 피목비대 감소 및 수확후 저장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 재배 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 재배베드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virus-free seed potatoes using photo control and A culture container thereof}
본 발명은 씨감자(種薯;종서) 생산에 있어서 지하부 광환경을 이용한 고품질의 우량 씨감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생산재배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양액재배 방식의 종서생산에 있어서 괴경의 피목비대 및 수확후 저장성 저하, 종서의 품질저하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고품질의 씨감자를 생산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생육중에 베드의 지하부에 광(光)을 공급하므로써 복지와 뿌리의 생리적 차이를 이용하여 복지와 뿌리를 분리 재배하는 방식으로 괴경의 피목비대의 감소 및 수확후 저장성 저하 방지, 발아율 양호 등 광(光)조절에 의한 고품질의 우량 씨감자 대량 생산방법 및 재배 베드에 관한 것이다.
감자는 가지과에 속하며, 괴경에 의한 영양번식을 주로하는 작물로써 영양번식의 과정에서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퇴화현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수확량이 감소하는 작물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식물체 중 바이러스 감염밀도가 거의 없는 생장점 부위를 채취한후, 조직배양 증식 단계를 거치며, 배양단계를 거친 줄기 및 괴경을 상토 및 토양에서 6∼8회의 채종과정을 거친 후 종서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상토 및 토양재배를 통한 상위단계 종서 채종의 경우, 단위 생산량이 낮기 때문에 여러 단계의 채종과정을 거쳐야 하는 실정이었다. 이를 단축하기 위하여 생산수량이 높은 양액재배에 의한 소괴경 생산방법이 일부 이용되어지고 있다. 기본 종서의 생산방법별 특징을 비교하여 다음의 표 1에 나타냈다.
표 1. 기본종서 생산방법별 비교
구 분 토양재배 상토재배 담액경 양액재배 분무경 양액재배
기초종자 인공씨감자 인공씨감자경삽묘조직배양묘 경삽묘조직배양묘 경삽묘조직배양묘
시설비용 적음 보통 많음 많음
주당 이용가능종서 생산량(5g 이상) 4개 4.5개 6개 15개
연작피해 있다 보통 없다 없다
품질 토양전염병 좋음 피목비대심함 피목비대
소독방법 윤작, 가스 훈증소독 약제소독 약제소독
피목비대 없다 없다 심하다 약간
종서생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1996-36908호(양액재배에 의한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는 조직배양법에 의해 발근묘를 얻고 이를 경화시켜 무병의 양액재배묘를 얻고, 무병의 양액 재배묘를 물속에서 기포발생기에 의해 산소를 공급하면서 배양하여 뿌리를 발생시켜 양액베드의 저면에 물흘림 방식으로 불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감자괴경 형성기에 생장조절제를 저농도로 첨가하여 괴경형성을 촉진시키는 방법이지만, 괴경과 뿌리가 혼재되어 균일한 크기의 씨감자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고 괴경의 숨구멍(lenticel)이 부풀게 되어(피목비대), 씨감자의 품질이 떨어져 수확후 저장성 저하, 파종후 발아율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양액을 분무하여 공급하는 방식, 양액 공급량을 조절하는 방식 등의 양액재배에 의한 씨감자 생산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 지고 있으나 피목비대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획기적인 대안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양액을 분무 공급하는 방법에서 양액이 과잉 공급될 경우, 베드 저면으로 흐르는 양액에 괴경이 닿았을 때 피목비대 현상은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1999년 5월, 대상 하이디어(주) 시험결과).
표 2. 분무방식 양액재배에서 피목비대 발생빈도
구 분 발생개수 발생빈도
피목비대 증상 뚜렷 59개 19.7%
피목비대 증상 약간 216개 72.0%
피목비대 증상 없음 25개 8.3%
300개 100%
또한 한국특허공개 1999-62343호(감자복지유도 및 양분전류에 의한 씨감자 대량 생산방법)는 절단된 감자줄기를 증식용 액체배지에서 계대배양하여 급속 대량증식시키고 이식하여 육묘에 햇빛을 쪼이고 야간에 저온처리하여 발생된 복지에 수분공급을 중단하면 양분이 지하부의 복지부위로 이동되면서 복지가 비대한 씨감자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한국특허공고 1992-1196호(페트리디쉬를 사용한 새로운 배양기법에 의한 무병 우량 인공씨감자의 제조방법)는 식물조직배양기술에 의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무병주 씨감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은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이 다른 것 들이다.
감자 지하부는 양·수분을 흡수하는 뿌리부위와 괴경착생을 유발하는 복지부위로 구분되는데 기존의 씨감자 생산방식에 있어서는 뿌리와 복지를 혼재시킨 상태에서 생육 및 재배관리를 하였으며, 복지의 포복성을 이용하여 분리시켜낼수는 있으나 포복성에 의해 분리되지않은 부분은 수작업으로 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감자 지하부에 있는 복지를 뿌리와 생리적 차이를 보이는 복지의 굴광성을 이용하여 복지외 뿌리를 완전히 분리 시켰으며, 분리시킨 후 복지의 포복성을 이용하여 관리하기 쉬운 방향으로 유도하고 감자를 착생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종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생산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자재배에서 감자복지의 굴광성 및 포복성을 이용하여 감자 지하부의 복지와 뿌리를 분리하여 우량무병종서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으로써, 첫째; 본 방식으로 단위생산 수량을 높일수 있는 방안을 구명하고, 둘째; 감자 지하부의 복지와 뿌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광을 이용한 효율적인 분리 방안을 확립하고, 셋째; 타 양액재배에서 나타나는 괴경의 피목비대현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종서의 품질을 높이고, 넷째; 괴경형성기 및 괴경비대기 이후 복지의 갈변·흑변 현상과 같은 생리적 현상을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다섯째; 양액재배시 발아율 저하와 같은 씨감자의 생리적 활력 저하를 방지하는 데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는데 특히 적합한 씨감자 재배용 베드 즉 감자의 복지 및 뿌리가 생육하는 지하부 환경을 제공함에 있어 빛의 공급이 가능하며 복지와 뿌리를 분리하여 수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씨감자 재배용 베드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 방법을 구현하 는 씨감자 생산 시스템에 적용되는 장치 배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 베드의 사시도 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 베드의 절단 및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 베드의 단면도 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 5의 절단 및 분해 사시도 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씨감자 재배용 베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식구 2 : 뿌리골 3, 3' : 양액 공급노즐
4, 4' : 복지골 5, 5' : 광공급구 6, 6' : 덮개
7, 7' : 복지 받침대 8 : 베드 상판 9, 9' : 둥근 경사면
11, 11' : 격벽
B : 씨감자 재배용 베드 P : 양액 공급 및 순환 파이프 V : 벨브
PM : 펌프 L : 양액통 T : 양액공급타이머
r : 뿌리 s : 복지 e : 괴경(씨감자)
본 발명의 지하부 광환경 조절을 이용한 우량씨감자 대량 생산 방법에 의한 생산 단계는 우량 경삽묘 확보단계, 경삽묘를 본 발명의 씨감자 재배용 베드위에 정식 및 양액공급하는 단계, 광공급을 통한 지하부 복지와 뿌리의 분리하는 단계, 광공급차단 및 2,3차 복지 유도단계, 괴경형성 처리단계, 부분수확을 통한 균일종서 생산단계로 구성된다.
공지의 방법으로 생장점배양·바이러스 검정을 거쳐 대량 증식된 우량 경삽묘를 확보한 후, 정식구에 감자 경삽묘 뿌리를 뿌리골 방향으로 꼽는다. 정식된 감자 경삽묘가 정상적으로 발근한 후 괴경형성 직전까지 노즐을 이용하여 뿌리골 방향으로 양액을 분무시켜 지상부의 영양생장을 유도하며, 광공급 구에서 광을 유입시켜 뿌리는 뿌리골 방향으로 복지는 복지골 방향으로 분리시킨다.
괴경착생 이후 부터는 뿌리골에 양액을 흐르게 하며 복지골에 분리된 복지의마디마디에 괴경을 착생하여 비대시킨다. 정식부터 괴경착생기 까지는 양액을 분무시키고 괴경 비대기부터는 뿌리 배수골에 양액이 흐르도록하며, 1주일 간격으로 5분정도 복지에 분무하여 복지의 수분 부족을 방지한다.
1차 복지 분리후 유입시켰던 광을 차단하여 2차 및 3차 복지를 분리시킨다.
비대기간 동안 차단했던 광을 재유입하여 비대된 괴경을 녹화시킬 수도 있으며, 7일 내지 15일 주기를 기준하여 부분수확을 한다.
한편 양액재배를 위한 구역배치도로서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 토마토 등 과채류 양액재배 시설 구조와 비교할 경우, 재베 베드 및 양액공급밸브의 위치 및 밸브 수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재배하우스는 1구역을 도 1과 같이 70평 ∼ 150평으로 설정하여 재배하며, 양액공급실의 경우에는 양액온도조절장치, 양액소독장치, 공급펌프와 타이머 및 공급배수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 생산방법에 의하여 씨감자를 생산하기 위한 씨감자 생산 시스템에 적용되는 장치 배치의 개략적 평면도를 도 1에 도시하였고, 도 2은 본 발명의 광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생산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 가장 적합한 씨감자 재배용 베드의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씨감자 재배용 베드의 부분 절단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씨감자 재배용 베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씨감자 재배용 베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및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씨감자 재배용 베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량씨감자 생산방법이 적용되는 씨감자 재배용 베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액통(L), 양액공급타이머(T),강제순환 펌프(PM)과 함께 양액이 흐르는 도관으로 된 양액공급 및 순환 파이프(P)에 의해 연결 연통하여 배관되어 양액이 각 베드(B)에 공급되고 순환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씨감자 재배용 베드는 도 2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통상의 긴 상자형을 이루고 있어 내부가 밀폐된 구조를 하여 경삽묘의 뿌리 및 복지에 지하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베드의 내부는 두 개의 긴 공간으로 구획되어 뿌리골(2)와 복지골(4)로 나뉘어 있는데 격벽(11)에 의하여 분리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뿌리골(2)의 바닥면의 높이는 복지골(4)의 바닥면 높이보다 높게하고 복지골(4)의 폭은 뿌리골(2)의 폭보다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뿌리골(2)에서 뿌리와 분리된 복지가 복지골(4) 방향으로 생장하기 용이하도록 격벽(11)의 뿌리골(2) 쪽 면을 둥근 경사면(9)을 형성하고 있다.
베드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기 상판은 판상체로 형성되어 베드의 내부공간인 뿌리골(2)와 복지골(4)의 상부측을 외부와 격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각의 상당한 넓이의 개방구와 비교적 작은 넓이의 둥근 정식구(1)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구는 같은 넓이와 크기로된 덮개(6)이 형성된다. 이 덮개(6)는 복지 상부를 덮었다가 괴경이 비대되면 이 덮개(6)을 열고 수확시 사용되는 것이다.
개방구와 정식구(1)는 상판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정식구(1)는 개개의 정식구(1)가 인접하는 정식구(1)와 약간 엇갈리어 지그 재그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구는 베드의 내부공간인 복지골(4)의 상측에 형성되고정식구(1)는 베드의 내부공간 뿌리골(2) 위에 형성된다.
이같은 개방구 및 덮개(6)는 재배용 베드를 덮거나 복지골(4)에서 성장된 괴경이 비대되면 수확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정식구(1)는 경삽묘를 정식하는 구멍으로 바람직하게는 지름1.5㎝∼2.0㎝의 크기가 적당하다.
뿌리골(2)와 복지골(4)을 구획하는 상기 격벽(11)은 뿌리골(2)와 복지골(4)의 타측 각 외벽 보다 높이를 낮게 형성하므로서 상기 정식구(1)의 경삽묘에서 생장한 복지가 복지골(4) 방향으로 생장하기 용이하게 한다.
상기 뿌리골(2)은 성장하는 경삽묘의 뿌리를 수용하여 뿌리가 양액 흡수를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위한 공간으로 재배용 베드의 외부에 설치된 양액통(L)과 배관되어 양액공급 및 순환 파이프(P)가 배관되어 펌프에 의하여 양액이 공급 순환되고 양액이 뿌리골(2)내에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양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그 바닥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200∼1/100의 구배를 갖게하여 뿌리골(2)에 양액이 담액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뿌리골의 가로방향의 전후면 벽에 양액공급 및 순환파이프가 밸브와 함께 형성되며, 뿌리골(2)의 높이는 정식되는 경삽묘의 크기에 비례하여야 한다.
상기 복지골(4)은 상기 뿌리골(2) 보다는 큰 공간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뿌리골(2)와 같은 방법으로 구배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뿌리골(2)와 복지골(4)은 상측으로 개방되어 상판에 의하여 밀폐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뿌리골(2)가 형성된 베드의 길고 넓은 측면은 완전한 판상체로 뿌리골(2)의 내부가 밀폐되게 형성된 반면 복지골(4)이 형성된 베드의 길고 넓은 측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을 광공급구(5)라 칭하기로 한다. 이 광공급구(5)은 복지골(4)에 자연광 등 빛이 투입되도록 하는 구멍으로 복지골(4)에 빛이 투입되어 후술하는 상판의 정식구(1)에 정식된 경삽묘에서 성장한 뿌리와 복지가 분리되어 생장하도록 유도되어 뿌리는 뿌리골(2) 방향으로 복지는 복지골(4)방향으로 생장하게 하기 위해 빛이 들어가도록 설치해 놓은 구멍으로, 가능한 복지골의 외측벽의 상부쪽에 형성하여 그늘이 적게 만들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복지골(4)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노즐(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노즐(3)은 재배용 베드의 외부에 설치된 양액통(L)과 배관되어 펌프에 의하여 경삽묘에서 생장된 복지와 괴경(씨감자)에 양액을 분무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복지골(4)냉에 배관된 양액공급 및 순환 파이프(P)상에 복수개의 노즐(3)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양액분무공급시 이용되며 분무각도는 30~60°로 하고 노즐(3)과 노즐(3) 간격은 40~50㎝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양액이 복지골(4)에서 분사되어 복지골(4)에서 생장하는 복지와 씨감자에 충분하게 영양이 공급되게 한다.
복지골(4)의 바닥면에 부상체(浮上體)로된 판상의 복지받침대(7)가 형성되는데 이는 노즐(3)에의하여 분무되어 복지골(4)의 바닥면에 괴인 양액에 침지되지 않도록 복지 및 괴경을 받쳐주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복지골(4)에 공급된 흐르는 양액이 복지골(4)에 있는 경우 복지골(4)의 복지에서 생장한 씨감자(괴경)이 양액에 침지되면 씨감자(괴경)의 피목비대가 우려되기에 양액과 씨감자(괴경)을 격리할 필요성이 있는데, 부상체의 재질로된 판상의 복지받침대(7)로 하여금 그 기능을 담당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씨감자 재배용 베드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도 5∼도 7에 도시하고 있는데 , 하나의 뿌리골(2)을 중심으로 양측에 격벽(11,11')으로 분리되어 두 개의 복지골(4, 4')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 베드의 상판에 형성된 정식구(1)에 정식된 경삽묘에서 새장한 복지가 양측의 복지골(4, 4')로 나뉘어 생장하도록 하여 씨감자(괴경)의 생산량을 증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복지골(4, 4')이 형성되고 두 개의 격벽(11, 11')이 형성되며 각각의 복지골(4, 4')에는 각각 노즐(3, 3')과 복지받침대(7, 7')가 형성되고 각 복지골(4, 4')의 길고 넓은 외측벽은 베드의 외측벽을 형성하여 각각에 광공급구(5, 5')가 형성된다. 따라서 뿌리골(2)의 길고 넓은 측벽은 상기 두 격벽(11, 11')으로만 형성되는 것이다.그리고 뿌리골(2)을 향한 격벽면(11, 11')에는 각각 경사면(9, 9')이 형성되어 뿌리골(2)에 있는 1차복지가 양 복지골(4, 4')로 생장하여가기 용이하게 한다.
이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씨감자 재배용 베드는 본 발명에 따른 우량 씨감자 생산 방법을 실시하기에 특히 적합한 구조로서 베드의 상판에 있는 정식구(1)에 경삽묘를 삽입 정식하고 양액을 뿌리골(2) 등에 있는 노즐(3)에의하여 공급하면 경삽묘의 하부측에서 뿌리와 복지가 생장하는데 생장된 복지는 주광성(走光性)의 성질을 가지므로 복지골(4)의 광공급구(5)에서 투입된 빛을 좇아 복지골( 4)로 향하게되어 복지골(4)로 유도되고 반면에 뿌리는 주지성(走地性)의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빛이 투입되지 않는 뿌리골(2)로 향하게되어 뿌리와 복지의 분리가 일어나게된다. 그리고 복지 분리 이후 양액공급 방식을 전환하여 양액이 공급되는 공급밸브(V)에서 뿌리골(2)로 흘러보내거나 점적 공급한다. 양액공급 노즐(3)은 뿌리가 뿌리골(2)에 닿을 단계까지 양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복지골(4)은 복지관리공간으로 종래의 방법에 의한 양액재배에서는 정식∼수확 전기간 양액이 분무되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베드에서는 정식∼뿌리활착기 까지만 양액이 분무되고, 뿌리가 활착되어 뿌리골(2) 바닥에 닿으면 분무 방식에서 담액방식으로 전환된다. 또한 정식되는 경삽묘의 초장이 길 경우 정식기∼수확기까지 담액공급만으로도 가능하다.
<실시예>
1. 우량 경삽묘의 확보
공지의 방법으로 생장점배양·바이러스 검정을 거쳐 무병주를 선발한 후 대량증식된 7㎝∼12㎝ 크기의 감자 우량 경삽묘를 확보한다.
2. 베드 피복 비닐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흑색비닐로 완전 암처리하던 베드 멀칭 비닐류를 투명비닐과 비교하였던 바, 복지수와 착생괴경수에 있어서는 흑색비닐이 유리하나,뿌리와 분리되어진 복지의 총개체수는 투명비닐이 더 많았다.
표3. 피복비닐 처리비교
◇ 조사주수 : 흑색비닐 투명비닐 각10공
조 사 내 용 처 리
흑 색 비 닐 투 명 비 닐
초 장 17.4㎝ 18.3㎝
근 장 14.3㎝ 13.7㎝
복 지 수 33개 29개
복지분리수 12개 14개
1차복지 분리율 36.4% 48.3%
착생 괴경수 48개 46개
3. 정식
우량 감자 경삽묘를 재배 베드위의 타공구멍에 정식한 후 뿌리를 뿌리골 방향으로 꼽고 감자 생육에 적당하도록 양액을 지하에서 다음 3가지 방식으로 분무 또는 수경처리한다.
4. 양액공급 방식Ⅰ
본 발명에서 주로 이용한 공급 방법으로 분무기간과 담액기간을 별도 관리하여 복지 분리후 뿌리만 담액처리함으로써 괴경의 피목비대를 줄인다
생육단계 발근기 활착기 복지분리기 괴경형성기 괴경비대기 수확기
공급방법 분무 분무 분무 담액 담액 담액
5. 양액공급 방식Ⅱ
분무기간과 점적기간을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복지 분리후 뿌리부위에만 점적처리하여 괴경의 피목비대를 줄인다.
생육단계 발근기 활착기 복지분리기 괴경형성기 괴경비대기 수확기
공급방법 분무 분무 분무 점적 점적 점적
6. 양액공급 방식Ⅲ
생육 전기간 양액 담액처리하되 복지분리기에 복지를 분리하여 복지는 담액되지 않게함으로써 복지 분리후 뿌리부위에만 담액처리하여 괴경의 피목비대를 줄인다.
생육단계 발근기 활착기 복지분리기 괴경형성기 괴경비대기 수확기
공급방법 담액 담액 담액 담액 담액 담액
7. 광 공급 및 복지, 뿌리의 분리
정식직후 30∼45일까지 재배베드 측면의 지하부에서 10∼500Lux의 광을 처리하여 복지와 뿌리를 분리시킨다.
정식→발근→복지분리→괴경형성 까지 노즐은 뿌리골 방향으로 양액을 분무시켜 감자를 재배하며 광공급 구멍에서 광을 유입시켜 뿌리는 뿌리골 방향으로 복지는 복지골 방향으로 분리시킨다. 따라서 뿌리골에서 뿌리와 분리된 복지가 복지골 방향으로 생장하기 용이하도록 격벽의 뿌리골 쪽 면을 둥근 경사면을 형성하고, 광공급구의 위치를 최대한 베드 상향으로 처리하여 뿌리골 안쪽의 그림자 형성을 최소화하며, 정식하는 경삽묘의 크기를 너무 크지 않게 하여 복지가 나올수 있는 마디부분이 뿌리골에 눕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경삽묘의 크기(길이)는 재배용 베드의 높이 등 재배용 베드의 규모에 비례하여 그 길이를 선정하도록 한다.
8. 2차 복지 유도
광처리로 녹색 1차복지를 분리한 후, 지하부 암처리로 2차복지를 유도한다. 비록 괴경형성시기가 백색 복지에 비해 3일∼7일(겨울재배 : 3∼4일, 봄재배 : 5일∼7일) 늦게 나타나지만 급격한 환경 변화에 강하며, 종래의 백색복지에 비해 내병성이 향상되고 수분 과·부족시에도 흑변·갈변현상을 줄일 수 있다.
표4. 복지분리 상황
광도 1차복지 분리 2차복지 분리
1차복지분리율 1차복지분리 1차복지굵기 2차복지분리 2차복지굵기
무처리 65% 17일 0.32㎝ 1일 0.22㎝
100lux 89% 11일 0.40㎝ 3일 0.20㎝
300lux 92% 9일 0.42㎝ 3일 0.21㎝
500lux 93% 9일 0.44㎝ 5일 0.19㎝
9. 일장에 따른 복지·뿌리 분리율
일장에 따른 1차 복지 분리율은 다음의 표 5와 같다.
표 5. 일장에 따른 복지 분리율
일 장 조사시기 복지 분리율
약 10시간 1 월 약 60%
약 14시간 5 월 약 90%
※ 제주기상청에서 발표한 일장을 기준(1월1일 일출 07:38, 일몰 17:36, 일장 9시간 58분, 2월1일 일출 07:31, 일몰 18:04, 일장 10시간 33분, 5월16일 일출 05:32, 일몰 19:29, 일장 14시간 01분)임.
10. 광처리 및 암처리시기
괴경형성기 이후에는 뿌리골에만 양액이 흐르게 하며 복지골에는 분리된 복지의 마디 마디에 괴경을 착생하게 하여 비대시키고, 암처리 상황에서 괴경형성 처리하여 뿌리골(배수골)의 괴경 착생빈도를 최소화한다. 다음의 표 6과 같이 괴경착생기 까지는 양액을 분무시키며 괴경비대기 부터는 배수골에만 양액을 공급시켜 1차 복지를 분리한 후, 유입시켰던 광을 차단하여 2ㆍ3차 복지를 분리한다.
표 6. 광처리 및 암처리시기
구분 광처리 암처리
생육단계 1차 복지 분리기 2,3차 복지 분리기괴경형성 처리괴경 착생기괴경 비대기
기간 정식∼40일 45일∼수확
11. 종서의 수확
분리된 복지에서 착생되는 괴경을 5∼10g의 크기로 비대시켜 본 발명의 복지 공간 상부의 베드 덮개를 열어 부분수확하여 균일한 우량씨감자를 대량 생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재배(대상하이디어(주) 2000년 5월 통계)한 우량씨감자를 크기별로 수량을 표 7에 나타냈다.
표 7. 생산수량
(1평, 60주/평)
크기별 수량
5 미만 5∼9 10∼19 20∼29 30이상 합계 5g 이상
1,114 664 275 47 0 2,100개 986개
주당 수량 35개/주 16.4개/주
12. 피목비대 발생빈도 비교
본 발명의 방법으로 100개의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실험을 통하여 피목비대가 획기적으로 감소된 우량씨감자 종묘(대상하이디어(주) 2000년 5월 통계)를 표 8에 나타냈다.
표 8. 피목비대 발생빈도 비교
구분 분무경 본 발명
피목비대 증상 뚜렷 19.7% 7.2%
피목비대 증상 약간 72.0% 11.9%
피목비대 증상 없음 8.3% 80.9%
본 발명은 우선 생산수량이 높고, 복지와 뿌리의 분리를 통해 감자 지하부를 각각의 특성에 맞게 관리할수 있어 우량종자 생산에 유리하며, 생산되는 괴경의 피목비대를 획기적으로 감소 시킬수 있고, 광 공급과정에서 복지의 녹화를 통해 복지의 병충해 저항성을 강화시킬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재배과정에서 욕광된 완숙종서를 생산할수 있으며, 품질저하의 주 요인인 괴경 표피의 수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4)

  1. 생장점 배양 및 바이러스 배양 검정을 거쳐 대량 증식된 우량 경삽묘를 재배 베드위에 정식 한 후 양액을 공급하면서 광공급을 통한 지하부 복지 및 뿌리를 분리 재배하는 단계와, 광공급을 차단하고 2-3차 복지를 유도하여 괴경형성처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복지에서 착생되는 괴경을 일정한 크기로 비대시켜 부분적으로 수확하여 우량한 씨감자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우량 경삽묘를 재배 베드위의 관통구멍인 정식구에 정식한 후 감자에 양액을 분무 또는 수경 처리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광 공급은 감자재배 베드의 측면에서 광을 공급하여 복지와 뿌리를 분리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광공급은 10∼500Lux의 범위로 재배 베드에 광을 쪼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광공급은 정식한 후 30일∼45일인 복지분리기까지 하며, 광공급 차단은 정식후 45일에서 2,3차 복지분리기, 괴경형성 처리기, 괴경착생기 및 괴경비대기를 거쳐 수확기까지 암처리하여 복지골의 괴경착생을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정식하는 경삽묘의 길이는 재배용 베드의 크기에 비례하여 선택되는 것으로 복지가 형성되는 마디부분이 뿌리골에 눕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광공급 차단용 멀칭 비닐은 흑색비닐 또는 흑백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복지 분리율을 높이기 위하여 복지분리기에 일장을 10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양액공급은 발근기와 활착기 및 복지분리기에는 분무처리하고, 괴경형성와 괴경비대 및 수확기에는 담액 또는 점적처리시켜 괴경의 피목비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양액공급을 생육 전기간 동안 뿌리골에 담액처리하는 식으로 제 9항과 양액공급 방식을 달리하며, 별도로 복지분리를 유도시켜 괴경의 피목비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재배 베드는 대략 직육면체의 통상의 긴 상자형을 이루며, 성장하는 뿌리를 수용하여 뿌리가 양액 흡수를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뿌리골(2)과 유도된 복지를 수용하는 복지골(4)이 격벽(11)에 의하여 분리 형성되고, 복지골(4)내에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양액공급 파이브(P)상에 복수개의 노즐(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지골(4)의 외측벽의 상측부에 빛이 복지골(4)내로 입사될 수 있는 광공급구(5)가 형성되고, 뿌리골(2)과 복지골(4)의 상부측을 상판(8)으로 덮어 복지골(4)과 뿌리골(2)의 지하부 환경 조절이 가능하도록하며, 뿌리골(2)의 상부측 상판에 경삽묘를 삽입할 수 있는 정식구(1)가 형성되고, 복지골(4)의 상부측 상판(8)에 사각의 개방구가 형성되고 개방구에 재배용 베드를 덮거나 괴경이 비대되면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6)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져형성된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 베드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뿌리골(2)을 중심으로 양측에 격벽(11, 11')으로분리되어 두 개의 복지골(4, 4')이 각각 형성되고, 정식구(1)는 상판(8)의 중앙에 형성되고, 각 복지골(4, 4')의 외벽에 각각 광공급구(5, 5')가 형성되고, 상판(8)의 정식구(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개구부와 덮개(6, 6')가 각각 형성된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 베드
  13. 제 11항에 있어서, 복지골(4)에는 분무되어 축적된 양액에 침지되지 않도록 복지 및 괴경을 받쳐주는 부상체(부상체(浮上體)로 된 판상의 복지받침대(7)가 형성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 베드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뿌리골(2)에서 뿌리와 분리된 복지가 복지골(4) (4') 방향으로 생장하기 용이하도록 격벽(11)(11')의 뿌리골(2) 쪽 면을 둥근 경사면(9)(9')을 형성하도록 한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 대량생산용 재배 베드
KR1020000030908A 2000-06-05 2000-06-05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재배베드 KR20010112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08A KR20010112514A (ko) 2000-06-05 2000-06-05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재배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08A KR20010112514A (ko) 2000-06-05 2000-06-05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재배베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375U Division KR200210824Y1 (ko) 2000-06-09 2000-06-09 광(光)조절이 가능한 씨감자 재배용 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514A true KR20010112514A (ko) 2001-12-20

Family

ID=1967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08A KR20010112514A (ko) 2000-06-05 2000-06-05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재배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251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37B1 (ko) * 2002-02-06 2004-03-22 괴산군 양액재배법을 이용한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
KR100596194B1 (ko) * 2005-12-28 2006-07-04 괴산군 씨감자묘 정식기
KR100620307B1 (ko) * 2005-10-24 2006-09-13 괴산군 씨감자 묘 생산 재배장치
KR100673601B1 (ko) * 2006-04-05 2007-01-24 괴산군 씨감자의 생산방법
KR101456629B1 (ko) * 2013-01-11 2014-11-04 (주)이그린글로벌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WO2016024836A1 (ko) * 2014-08-13 2016-02-18 김수만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
CN108849176A (zh) * 2018-06-08 2018-11-23 贵州环山农业资源开发有限公司 一种油茶与红薯的套种方法
KR20210129782A (ko) 2020-04-20 2021-10-29 에코트주식회사 기능성 작물 재배장치
KR102319452B1 (ko) * 2021-03-19 2021-11-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 비트로 미니씨감자의 생산을 위한 배양 용기 및 식물체 조직배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726A (ja) * 1989-12-19 1991-08-21 Tabai Espec Corp 植物の養液栽培方法および装置
KR920001196A (ko) * 1990-06-29 1992-01-30 오까다 모도 초음파 영상검사장치
KR0137877B1 (ko) * 1995-04-20 1998-04-25 김광희 양액재배에 의한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
KR19990062343A (ko) * 1997-12-24 1999-07-26 허일범 감자복지유도 및 양분전류에 의한 씨감자 대량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726A (ja) * 1989-12-19 1991-08-21 Tabai Espec Corp 植物の養液栽培方法および装置
KR920001196A (ko) * 1990-06-29 1992-01-30 오까다 모도 초음파 영상검사장치
KR0137877B1 (ko) * 1995-04-20 1998-04-25 김광희 양액재배에 의한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
KR19990062343A (ko) * 1997-12-24 1999-07-26 허일범 감자복지유도 및 양분전류에 의한 씨감자 대량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시험연구보고서, pp.474-480, 1998) *
(연구보고서, page:55-60, page:104-110, page:145-178참조) *
기내환경개선에 의한 양액재배용 감자 양질묘 생산연구 (volumn:40-1, 1999)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37B1 (ko) * 2002-02-06 2004-03-22 괴산군 양액재배법을 이용한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
KR100620307B1 (ko) * 2005-10-24 2006-09-13 괴산군 씨감자 묘 생산 재배장치
KR100596194B1 (ko) * 2005-12-28 2006-07-04 괴산군 씨감자묘 정식기
KR100673601B1 (ko) * 2006-04-05 2007-01-24 괴산군 씨감자의 생산방법
KR101456629B1 (ko) * 2013-01-11 2014-11-04 (주)이그린글로벌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WO2016024836A1 (ko) * 2014-08-13 2016-02-18 김수만 씨감자의 대량 생산방법
CN108849176A (zh) * 2018-06-08 2018-11-23 贵州环山农业资源开发有限公司 一种油茶与红薯的套种方法
KR20210129782A (ko) 2020-04-20 2021-10-29 에코트주식회사 기능성 작물 재배장치
KR102319452B1 (ko) * 2021-03-19 2021-11-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 비트로 미니씨감자의 생산을 위한 배양 용기 및 식물체 조직배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8547B (zh) 霍山石斛试管苗的架空栽培方法
CN103597996B (zh) 一种大黄快速育苗方法
CN106305193A (zh) 一种种植架以及利用该种植架进行铁皮石斛栽培的栽培工艺
CN103283454B (zh) 一种丘陵山区樱花的栽培方法
CN105993870A (zh) 一种有机番茄的无土种植方法
CN105746323A (zh) 一种有机西葫芦的无土栽培方法
CN106258755A (zh) 一种红橡树林下套种白芨的种植方法
CN107801543A (zh) 黑老虎的种植方法
CN103875386A (zh) 一种栀子花稻田穴盘无土扦插育苗方法
Hernández et al. Cultivation systems
CN102754560A (zh) 优质滁菊穴盘扦插育苗的方法
CN104798682A (zh) 一种苦瓜育种栽培方法
CN109566317A (zh) 一种天麻的栽培方法
CN107409670A (zh) 一种烟草漂浮育苗拔株膜下移栽方法
CN105746148A (zh) 一种太湖莼菜的早熟栽培方法
KR20010112514A (ko) 광(光)조절에 의한 우량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및재배베드
CN115104495A (zh) 一种设施长豇豆高产高效减施农药栽培方法
CN108293543A (zh) 一种优质无公害蓝莓立体栽培技术
CN111357574A (zh) 箭叶淫羊藿的高产种植方法
CN111406585B (zh) 一种药用紫苏精细化栽培方法
CN107711028B (zh) 一种悬挂槽式基质栽培系统及方法
KR102495487B1 (ko) 포자를 이용한 고비의 번식 및 종묘의 대량 생산 방법
CN109845597A (zh) 一种提高辣椒抗寒性的种植方法
KR100570833B1 (ko) 씨감자 묘의 대량생산방법
KR20060019335A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5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