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10487A - 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 Google Patents

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487A
KR20010110487A KR1020017012617A KR20017012617A KR20010110487A KR 20010110487 A KR20010110487 A KR 20010110487A KR 1020017012617 A KR1020017012617 A KR 1020017012617A KR 20017012617 A KR20017012617 A KR 20017012617A KR 20010110487 A KR20010110487 A KR 20010110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ct
rotation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리탈로아르토
Original Assignee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Publication of KR2001011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48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MCT)는 데이터 프로세서 및 데이터 프로세서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 디스플레이 하위-시스템 및 수동 디스플레이 제어 하위-시스템을 포함하고, 수동 디스플레이 제어 하위-시스템은 소정 축 주위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감지축(sensitive axis, SA)을 가지는 가속도계인데, 가속도계는 감지축 주위로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계는 감지된 회전에 응답하여 시각 디스플레이 하위-시스템에 의하여 표시된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출현을 변경한다. 또한, 가속도계는 감지된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표시된 정보들을 통하여 스크롤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processor and a user interface coupled to the data processor.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visual display sub-system and a manual display control sub-system, the manual display control sub-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about a predetermined axis. . In a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device is an accelerometer having a sensitive axis (SA), which can sense acceleration around the sensing axis. The accelerometer changes the appearance of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visual display subsystem in response to the sensed rotation. In addition, the accelerometer may scroll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as direction and speed as a function of the sensed rotation.

Description

이동 무선전화기의 입력 장치들로 사용되는 가속도계 및 선택 키(들){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 (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장치의 중요한 측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조작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게 하는 것은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MCT)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하고, 저장하고, 독출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MCT)는 조작자에게 이동 통신 단말기(MCT)가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단문 전송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응용프로그램과 같은)에 접근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복수의 메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MCT)는 전화번호 및 이름은 물론 사용자가 전화하는 상대방에 대한 다른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전화 번호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MCT)와 상호작용 하는 능력을 더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s an important aspect of the device. The user interface allows the opera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to make or receive calls, as well as to access, store, read and modify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can provide an operator with access to various application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can execute (e.g., short message service applications). A plurality of predefined menus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may store a phone book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name, as well as other access information about the other party to which the user calls. Therefore, it can be appreciated that it is desirable to facilitate the ability of a user to interact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많은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MCT)에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MCT)와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활성화되는 복수 개의 키들 또는 버튼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눌려지면 사용자가 메뉴 리스트 또는 전화 번호부 리스트를 통하여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다른 키는 특정 메뉴 아이템 또는 전화 번호부 목록을 선택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또다른 키들이 제공되어 영숫자(알파벳 및 숫자) 및 다른 문자들을 입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Many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CT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or buttons that are manually activated to allow a user to interac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For example, there may be one or more keys that, when pressed, allow the user to scroll through a menu list or phone book list. The other key can then be activated to select a particular menu item or phone book list. Further keys may be provided and used to enter alphanumeric characters (alphabet and numbers) and other characters.

이러한 절차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다양한 쓰임새에 더욱 적합할 수 있지만, 어떤 사용 환경에서는 정보를 입력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저장된 기능 및 정보에 접근하는 상이한 그리고 더욱 간편한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While these procedures may be better suited for the various uses of a mobile terminal (MCT), in some usage environments it is desirable to provide different and easier techniques for entering information and accessing stored functions and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CT). It may be desirab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전화기 및 개인용 통신기(personal communicators)를 포함하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무선 전화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handheld wireless telephones, including cellular telephones and personal communicators, and more particularly to user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의 전술된 바와 같은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정독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The above described feature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upon rea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are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는 가속도계를 적어도 하나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ncorporating at least one accelerometer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상면도이며, 가속도계의 제 1 및 제 2 감지축의 방향을 나타낸다.FIG. 2 is a top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of FIG. 1 and shows the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axes of the accelerometer.

도 3a, 3b 및 3c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측면도이며 제 1 중립 평면(도 3a)을 따라서 정렬된 이동 통신 단말기(MCT), 제 1 중립 평면을 벗어나 제 1 감지축 주위로 양의 방향으로 회전된 이동 통신 단말기(도 3b) 및 제 1 중립 평면을 벗어나 제 1 감지축 주위로 음의 방향으로 회전된 이동 통신 단말기(도 3c)를 도시한다.3A, 3B and 3C are side view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shown in FIG. 2 and aligned along a first neutral plane (FIG. 3A), a first sensing axis deviating from the first neutral plane. 3 show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 3B) rotated in a positive direction around 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 3C) rotated in a negative direction about a first sensing axis out of the first neutral plane.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말단도이며, 제 2 중립 평면을 벗어나 제 2 감지축 주위로 양의 방향으로 회전된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도시한다.FIG. 4 is an end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of FIG. 2, sh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rotated in a positive direction about the second sensing axis out of the second neutral plane.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 및 장점은, 3차원 공간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된 기능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확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and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nded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that allows a user to enter information and access stored functions by changing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o provide.

본 발명의 더 나아간 목적 및 장점은 3차원 공간 내의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방향의 변화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accelerometer)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를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and advantage of the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incorporating at least one accelerometer or equivalent device that provides input to a user interfac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orien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t provides a terminal (M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3차원 공간 내의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방향의 변화에 응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MCT)가 스크롤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를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and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orporate at least one accelerometer or equivalent device for ca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to perform scrolling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본 발명의 더 나아간 목적 및 장점은 3차원 공간 내의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방향의 변화에 응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MCT)가 알파벳 및 다른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를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and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t least one accelerometer or equivalent device ca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to input alphabets and other character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that incorporat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 및 장치들에 의하여 전술된 문제점들 및 다른 문제점들이 극복되고 본 발명의 목적들이 실현된다.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re overcome by the methods and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alized.

이동 통신 단말기(MCT)는 데이터 프로세서 및 데이터 프로세서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 디스플레이 하위-시스템 및 수동 디스플레이 제어 하위-시스템을 포함하고, 수동 디스플레이 제어 하위-시스템은 소정 축 주위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감지축(sensitive axis, SA)을 가지는 가속도계인데, 가속도계는 감지축 주위로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장예에서, 이러한 가속도는 중력에 기인한다. 데이터 프로세서는 감지된 회전에 응답하여 시각 디스플레이 하위-시스템에 의하여 표시된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출현(appearance)을 가속도계의 출력에 응답하여 변경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processor and a user interface coupled to the data processor.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visual display sub-system and a manual display control sub-system, the manual display control sub-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about a predetermined axis. . In a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device is an accelerometer having a sensitive axis (SA), which can sense acceleration around the sensing axi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is acceleration is due to gravity. The data processor changes at least one appearance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visual display sub-system in response to the sensed rota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accelerometer.

예를 들면, 데이터 프로세서는 가속도계의 출력에 응답하여 감지된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표시된 정보들을 통하여 스크롤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processor may scroll through the displayed information as a direction and speed as a function of sensed rota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accelerometer.

더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으로 조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데이터 프로세서는 스위치의 출력에 응답하여 표시된 정보의 출현의 변경을 종결시킨다.Moreover,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manually operated switch, wherein the data processor terminates the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switch.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서는 가속도계의 출력에 응답하여 감지된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정보의 표시된 아이템들을 통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스위치의 출력을 감지하면 커서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의 아이템을 선택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ata processor moves the cursor through the displayed items of information in a direction and speed that is a function of the sensed rota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accelerometer. Select the item.

본 발명의 예시적 방법에 따르면, (a) 세계적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양방향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 (b) 정보의 적어도 한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고 정보의 상기 적어도 한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시각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소정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 (d)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e) 감지된 상기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동일한 페이지 또는 연속적인 페이지들을 통하여 스크롤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스크롤 단계를 종결하는 단계들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작동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a) establishing a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a glob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b) downloading at least one page of information and presenting the at least one page of information to a visual display to a user; (c) 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about a predetermined axis; (d) detecting the rotation; (e) scrolling through the same page or successive pages in the direction and speed as a function of the sensed rotation, and (f) terminating the scrolling step upon detect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A process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28)를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LCD와 같은 시각 디스플레이(14)에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기(microprocessor control unit, MCU)와 같은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키패드(16)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키패드(16)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키(Select Key, SK)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른 키들에는 영숫자 키들, 소프트 키들, 전원 온/오프 키 등과 같은 것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런것들은 이런 타입의 장치들에는 통상적인 것이다. MCU(12), 디스플레이(14) 및 키패드(16)를 결합하면 MCT(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제공된다. 메모리(MEM, 12A)는 MCU(12)를 위한 오퍼레이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와 다른 데이터 및 상수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12A)는 사용자에 의하여 과거에 입력된 복수 개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orporating at least one accelerometer 28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data processor such as a microprocessor control unit (MCU) coupled to a visual display 14 such as an LCD and receives input from the keypad 16. It is assumed that the keypad 16 includes at least one select key SK,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Other keys may include such as alphanumeric keys, soft keys, power on / off keys, etc., which are typical for devices of this type. Combining MCU 12, display 14 and keypad 16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of MCT 10. The memory MEM 12A not only stores an operating program for the MCU 12 but also stores data and constants different from data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the memory 12A may store telephone book data representing a plurality of names and telephone numbers input in the past by the user.

또한, MCT(10)는 바람직한 기저대역 및 오디오 기능을 실장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타입의 장치(18)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송수신기(20)는 양방향으로 DSP(18)에 연결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2)에 연결된다. 송수신기(20) 및 안테나(22)를 이용하여, MCT(10)는 원거리 송수신기들과 양방향 통신 링크를 설립할 수 있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스피커(24)(또는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26)은 전형적으로 DSP(18)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음성 전화를 걸거나 받을수 있도록 한다.The MCT 10 may also include a device 18 of typ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at implements the desired baseband and audio functions. The radio frequency (RF) transceiver 20 is connected to the DSP 18 in both directions, and also to at least one antenna 22. Using the transceiver 20 and the antenna 22, the MCT 10 may establish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link with the remote transceivers and access a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 Speaker 24 (or earphone) and microphone 26 are typically coupled to DSP 18 to allow a user to make or receive voice calls.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MCT(10)는 또한 감지축(SA1)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계(ACC, 28)를 포함하는데, 가속도계는 감지축 주위로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장예에서, 이러한 가속도들은 중력에 기인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 1 가속도계(28)의 감지축(SA1)에 대하여 상이하게(예를 들어, 직교하도록) 정렬되는 감지축(SA2)을 가지도록 제 2 가속도계(30)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MCT(10)는 각 감지축 주위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CT 10 also includes at least one accelerometer (ACC) 28 having a sensing axis SA1, which may sense acceleration around the sensing axi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se accelerations are due to gravity. As described later herein, the second accelerometer 30 further has a sensing axis SA2 that is aligned differently (eg, orthogonally) relative to the sensing axis SA1 of the first accelerometer 28. May be provided. In this way, the MCT 10 may sense acceleration around each sensing axis.

도 2는 MCT(10)의 상면도이며, 두 감지축들의 예시적 방향 뿐만 아니라, 도 3 및 도 4의 바라보는 방향들을 나타낸다.FIG. 2 is a top view of the MCT 10 and shows the viewing directions of FIGS. 3 and 4 as well as the exemplary directions of the two sensing axes.

도 3a, 3b 및 3c는 도 2에 도시된 MCT(10)의 측면도이며, 도 3a에서, 제 1 중립 평면(NP1)을 따라서 정렬된 MCT(10)이 제 1 중립 평면을 벗어나 제 1 감지축 주위로 양의 방향으로 회전된 것(도 3b) 및 제 1 중립 평면을 벗어나 제 1 감지축 주위로 음의 방향으로 회전된 것(도 3c)을 도시한다. 도 4는 MCT(10)의 말단도이며, 제 2 중립 평면(NP2)을 벗어나 제 2 감지축 주위로 양의 방향으로 회전된 MCT(10)를 도시한다.3A, 3B, and 3C are side views of the MCT 10 shown in FIG. 2, in which the MCT 10 aligned along the first neutral plane NP1 deviates from the first neutral plane and out of the first sensing plane. It is shown rotated in a positive direction around (FIG. 3B) and rotated in a negative direction around the first sensing axis out of the first neutral plane (FIG. 3C). 4 is an end view of the MCT 10 and shows the MCT 10 rotated in a positive direction about the second sensing axis out of the second neutral plane NP2.

제 1 중립 평면(NP1)은 제 1 가속도계(28)가 중력에 기인한 가속도를 경험하지 않아서, 이상적으로는 MCU(12)에 출력을 제공하지 않거나 0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결정된다. 실무에서, 제 1 중립 평면(및 그에 따른 MCT(10)의 경우 내의 제 1 가속도계의 방향)은 MCT(10)가 연직 방향(local normal)에 대하여 용이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어, MCT(10)가 사용 중 손에 쥐어지도록 설계되었다고 가정하면, 제 1 중립 평면은 연직 방향(LN)에 대하여 45도 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어서, MCT(10)이 제 1 감지축(SA1) 주위에서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속도계(28)는 중력의 힘에 기인한 가속도를 감지하여 출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회전의 강도는 도 3b 및 3c에서 각도(A)에 의하여 표시되는데, 가속도계(28)의 출력 신호를 비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회전 방향은 출력 신호의 부호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립 평면 내에 위치되었을 경우 가속도계(28)의 출력은 어떤 값(X)을 가질 수 있고, 중립 평면 내를향한 또는 밖으로 벗어나는 후속 회전이 이에 상응하는 값(X)의 증가 또는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The first neutral plane NP1 is determined such that the first accelerometer 28 does not experienc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ideally providing no output to the MCU 12 or providing an output representing zero acceleration. In practice, the first neutral plane (and thus the direction of the first accelerometer in the case of the MCT 10) is determined such that the MCT 10 is located in an eas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cal normal.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MCT 10 is designed to be held in hand during use, the first neutral plane may be rotated b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LN. Subsequently, when the MCT 10 is rotated in the positive direction or the negative direction about the first sensing axis SA1, the accelerometer 28 detects the acceleration due to the force of gravity and generates an output. The intensity of this rotation is indicated by the angle A in FIGS. 3B and 3C, which proportional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ometer 28,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indicated by the sign of the output signal. Alternatively, the output of accelerometer 28 may have a value X when positioned in the neutral plane, and subsequent rotations towards or out of the neutral plane may cause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corresponding value X. Can cause.

동일한 사실이 도 4에 도시된 회전에도 적용되는데, 도 4에서 제 2 중립 평면(NP2) 내를 향한 또는 밖으로 벗어나는 제 2 감지축(SA2) 주위의 회전 강도(각도(B)로 표현되는)가 제 2 가속도계(30)로 부터의 비례적인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The same applies to the rotation shown in FIG. 4, where the rotational intensity (expressed in degrees B) around the second sensing axis SA2 towards or out of the second neutral plane NP2 in FIG. Generate a proportional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accelerometer 30.

또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도 1의 MCU(12)는 가속도계(28)(만약 가속도계(30)가 제공된다면 이를 포함)의 출력을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호로서 해석하고 동일한 기법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정보의 스크롤 방향을 제어하는데 채택한다. 바람직하지만, 한정적이지 않은 실시예에서, 스크롤 속도 역시 동일하게 제어된다. 이러한 스크롤은 연속하여 "전화번호부", 후에 "메세지", 후에 "설정", 후에 "보안 옵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의 명칭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도(A)의 강도가 크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양 또는 음의 부호로), 스크롤 속도는 비례적인 방법으로 증가되도록 야기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CU 12 of FIG. 1 interprets the output of accelerometer 28 (including if accelerometer 30 is provided) as an input user interface signal and displays the same technique as display 14. Adopt to control the scrolling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In a preferred but non-limiting embodiment, the scroll speed is equally controlled. This scrolling can be used to display the names of various applications in succession such as "Phonebook", later "Message", later "Setting", later "Security Options" and the like. Since the intensity of the angle A is made large (with a positive or negative sign), the scroll speed can be caused to increase in a proportional manner.

스크롤 동안에, 선택 키(Select Key, SK)가 눌려지면, MCU(12)는 이 신호를 해석하여 MCT(10)의 현 방향에 관계없이 스크롤 동작을 종결한다. 즉, 가속도계(28)의 출력 신호는 간단히 무시되거나, 가속도계(28)에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만약 선택 키가 풀리면, 스크롤 동작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During the scrolling, if the Select Key SK is pressed, the MCU 12 interprets this signal to terminate the scrolling operation regardless of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MCT 10. That is,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ometer 28 may be simply ignored or the energy supply to the accelerometer 28 may be stopped to save power. If the selection key is released, the scrolling operation can be resumed.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전화번호부)에서 스크롤 하는 관점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설명되었지만, 전화번호부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저장된 이름 및 전화번호 목록을 통하여 원하는 목록이 발견될 때까지 스크롤 하기 위하여 스크롤 기능이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선택 키를 다시 누르면, 이것은 현재 표시된 전화번호 목록이 선택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 자동적으로 현재 표시된 전화번호부 목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교시는 바람직한 MCT(10)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하여 및 선택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스크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terms of scrolling in the desired application (e.g., phonebook), the scrolling function for selecting a phonebook application and then scrolling through the list of stored names and numbers until the desired list is found This can be used again. When the selection key is pressed again, this is interpreted to indicate that the list of currently displayed telephone numbers is selected and automatically dials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telephone directory list. Therefore,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elect the preferred MCT 10 application and to scroll through the selected application.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표시된 다른 타입의 정보들을 통하여 스크롤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CT(10)가 인터넷과 같은 세계적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로그 온 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된 월드 와이드 웹(WWW) 페이지를 통하여 스크롤하고, 원하는 페이지에서 정지하며 표시된 원하는 페이지를 통하여 스크롤하는데 가속기(28)가 사용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scroll through other types of information displayed. For example, assume that MCT 10 is used to log on to a glob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accelerator 28 can then be used to scroll through the World Wide Web (WWW) page displayed by the user, stop at the desired page, and scroll through the desired page displayed.

제 2(선택적) 가속도계(30)는 다른 방법으로 커서(14A, 도 2 참조)와 같은 지시자를 표시된 영숫자 문자들(예를 들어, "AaBaCaDa...")의 행을 통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움직이는데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방향은 커서(14A)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각도(B)의 강도의 함수인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일 수 있다. 현재 행의 마지막에 다다르면, 커서(14A)는 다음 행으로 넘어갈 수 있다. 커서(14A)가 원하는 문자 상에 위치되면, 선택 키를 누르는 동작이 그 지시된 문자를 선택하라는 신호로 해석되어 문자가 키패드(16) 상에서 상응하는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입력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 문자를 배경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메시지 작문 응용 프로그램 또는 전화번호부 응용프로그램)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영숫자 문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되면, 제 1 가속도계(28)의 출력이 행에서 행으로 커서(14A)를 움직이도록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3차원 공간 내의 MCT(10)의 단순한 조작이 커서(14A)를 디스플레이(14)에서 움직이는데 충분하다.The second (optional) accelerometer 30 alternatively moves from left to right through a row of alphanumeric characters (e.g., "AaBaCaDa ...") indicated by an indicator, such as cursor 14A (see Figure 2). It can be adopted to move from right to left. For example, the direction shown in FIG. 4 may be the case where the cursor 14A moves at a speed that is a function of the intensity of the angle B in a manner from left to right. When the end of the current line is reached, the cursor 14A can move on to the next line. When the cursor 14A is positioned on the desired character,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select key is interpreted as a signal to select the indicated character so that the character is input in the same way as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keypad 16. The text can be entered into a background application (eg, a message writing application or a phonebook application). When used in this type of alphanumeric character input mode, the output of the first accelerometer 28 may be adapted to move the cursor 14A from row to row. In this way, simple manipulation of the MCT 10 in three-dimensional space is sufficient to move the cursor 14A on the display 14.

선택키(SK)는 개별 및 전용 키패드 키일 필요가 없고, 가속도계(28 및/또는 30)를 동작할 때 그 기능이 다시 정의되는 이미 존재하는 키(예를 들어, 소프트 키)일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Note that the selection key SK need not be a separate and dedicated keypad key, but may be an existing key (e.g. soft key) whose function is redefined when operating the accelerometers 28 and / or 30. shall.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교시에 의하여 단순하고 혼란스럽지 않으며, 스크롤 화살표 키들 및 그와 같은 키들의 요구되는 숫자가 감소되거나 아예 필요치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is simple and not confusing, and that the required number of scroll arrow keys and such keys is reduced or not needed at all.

또한, MCT(10)는 사용자가 가속도계(28 및/또는 30)를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키패드 키들 및 표시된 정보를 통하여 스크롤 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MCT 10 has the ability to scroll through conventional keypad keys and displayed information and enter information in a conventional manner, for use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use the accelerometers 28 and / or 30.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또한, 연직 방향(LN)에 대한 제 1 중립 평면(NP1)의 각도는 고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도 이해되어야 한다. 즉, MCT(10)에 측정(calibration) 응용 프로그램 및 과정을 제공하여, 이것들을 통하여 사용자가 측정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실행하며, MCT(10)를 제 1 감지축(SA1)(또는 제 2 감지축(SA2)) 주위에 바람직한 각도로 위치시키고 SK 또는 다른 키를 눌러서 MCU(12)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교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에 응답하여, MCU(12)는 관련된 가속도계(28 또는 30)의 현재 출력을 독출하고, 이 값을 메모리(12A) 내에 "영(zero)" 값으로 저장하는데, 이 값은 원하는 중립 평면 및 연직 방향 간의 각도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면, 계속하여 MCT(10)를 회전시키는 것은, 이 영 값에 대하여 참조된다.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angle of the first neutral plane NP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LN need not be fixed. That is, by providing a measurement application and process to the MCT 10, the user selects and executes the measurement application through these, and the MCT 10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axis SA1 (or the second sensing).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ocate at a desired angle around axis SA2) and to be able to send a signal to MCU 12 by pressing SK or another key. In response, MCU 12 reads the current output of associated accelerometer 28 or 30 and stores this value in memory 12A as a “zero” value, which is the desired neutral plane and vertical. The angl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s is shown. Then, continuing to rotate the MCT 10 is referred to about this zero value.

MCT(10)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 뿐 아니라, 3차원 공간에서 MCT(10)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계(28 및 30)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교시는 가속도계를 사용하는 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어떤 기준 축 또는 평면에 대한 MCT(10)의 운동 또는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장치들이 채택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oregoing has described the use of accelerometers 28 and 30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MCT 10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MCT 10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using an accelerometer. It is not limited to. In general, a device or devices capable of sensing the movement or rotation of the MCT 10 about any reference axis or plane may be employed.

더 나아가, MCU(12)는 감지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가속도계(28 및 30) 모두에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28)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파일을 통하여 스크롤할 때, 가속도계(30)에는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거나, 또는 감소된 전력 소비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면, 만약 키 입력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가속도계(28)에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거나, 감소된 전력 소비 모드에서 동작되고 가속도계(30)에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Furthermore, MCU 12 may be used to not energize one or both accelerometers 28 and 30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detector. For example, when scrolling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or data file using accelerometer 28, accelerometer 30 may be powered off or may operate in a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Then, if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ing a key input is selected, energy supply to the accelerometer 28 may be stopped, or operated in a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and energy may be supplied to the accelerometer 30.

그러므로, 비록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형태상 변화 및 세부적인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Therefo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Claims (13)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정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out a predetermined axis;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Detecting the rotation; And 감지된 상기 회전에 응답하여 조작자의 시각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Changing the operator's visual display in response to the sensed rotation.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정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out a predetermined axis; 상기 회전의 방향 및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Sensing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rotation; And 감지된 상기 방향 및 강도에 응답하여 조작자의 시각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Changing the operator's visual display in response to the sensed direction and intensity.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정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out a predetermined axis;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the rotation; 감지된 상기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표시된 정보를 통하여 스크롤하는 단계; 및Scrolling through the displayed information in a direction and speed as a function of the sensed rotation; And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스크롤 단계를 종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Terminating the scrolling step upon detect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a user.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정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out a predetermined axis;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Detecting the rotation; And 시각 디스플레이를 작동하여 감지된 상기 회전의 함수인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Operating a visual display to move the cursor in a direction that is a function of the sensed rotation.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정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out a predetermined axis;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the rotation; 시각 디스플레이를 작동하여 감지된 상기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표시된 정보의 아이템들을 통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Operating a visual display to move the cursor through the items of displayed information in a direction and speed as a function of the sensed rotation; And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Selecting an item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ursor upon sens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이동 통신 단말기(MCT)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데이터 프로세서; 및Data processor; And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시각 디스플레이 하위-시스템 및 수동 디스플레이 제어 하위-시스템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A user interface coupled to the data processor, the user interface including a visual display sub-system and a manual display control sub-system, 상기 수동 디스플레이 제어 하위-시스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MCT)의 소정 축 주위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며,The passive display control sub-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device for detecting rotation about an axi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감지된 상기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시각 디스플레이 하위 시스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출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출력에 응답하여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said data processor changes at least one appearance of information displayed by said visual display subsystem in response to said sensed rotation in response to an output of said at least one de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상기 출력에 응답하여 감지된 상기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표시된 정보를 통하여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or scrolls through information displayed in a direction and speed that is a function of the rotation sens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at least one de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The user inte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manual operation switch,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정보의 출현을 변경하는 것을 종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or terminates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switch.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상기 출력에 응답하여 감지된 상기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표시된 정보의 아이템들을 통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said data processor moves a cursor through items of information indicated in direction and speed as a function of said rotation detected in response to said output of said at least one devic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The user inte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manual operation switch,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커서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or selects an item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ursor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switch.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중립 평면을 측정(calibrating)하며, 상기 중립 평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or measures a neutral plane of the at least one device in response to an input from a user, and stores data indicative of the neutral plane in a memory.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를 감소된 전원 소비 조작 모드로 설정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or is operable to set the device to a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of operation.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세계적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양방향 무선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Establishing a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a glob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정보의 적어도 한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고 정보의 상기 적어도 한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시각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Downloading at least one page of information and presenting the at least one page of information to a visual display to a user;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MCT)를 소정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Rot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CT) about a predetermined axis;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the rotation; 감지된 상기 회전의 함수인 방향 및 속도로 동일한 페이지 또는 연속적인 페이지들을 통하여 스크롤하는 단계; 및Scrolling through the same page or consecutive pages in a direction and speed as a function of the sensed rotation; And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스크롤 단계를 종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Terminating the scrolling step upon detect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KR1020017012617A 2000-01-31 2001-01-31 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KR2001011048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525800A 2000-01-31 2000-01-31
US09/495,258 2000-01-31
PCT/US2001/003107 WO2001056256A2 (en) 2000-01-31 2001-01-31 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487A true KR20010110487A (en) 2001-12-13

Family

ID=2396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617A KR20010110487A (en) 2000-01-31 2001-01-31 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08686A2 (en)
JP (1) JP2003521168A (en)
KR (1) KR20010110487A (en)
AU (1) AU2001231253A1 (en)
WO (1) WO2001056256A2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74A (en)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electric device easy to select menu and input charactor
KR100582349B1 (en) * 2002-12-12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by movement in a terminal
KR100621401B1 (en) * 2004-03-31 200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rotation state and searching stored information
KR100725185B1 (en) * 2005-12-20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save work contents of portable terminal
KR100749205B1 (en) * 2005-12-27 2007-08-1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User Interfacing Method of Portable Digital Device and its Portable Digital Device
KR101082132B1 (en) * 2005-06-29 2011-1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a method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8306B2 (en) 2000-10-02 2010-03-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AU2002251001A1 (en) * 2001-02-28 2002-09-12 Jurgen Beckmann Input device, especially for a mobile telephone
EP1298893A3 (en) * 2001-09-26 2008-07-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display
GB2421668B (en) * 2002-06-24 200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age position detection
KR100920665B1 (en) * 2002-10-31 2009-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ccelera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in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O2004082248A1 (en) * 2003-03-11 2004-09-23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Configurable control of a mobile device by means of movement patterns
ATE336040T1 (en) * 2003-04-28 2006-09-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CROLL SPEED
US7263380B2 (en) 2003-04-28 2007-08-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device for scrolling speed control
DE10341580A1 (en) * 2003-09-09 2005-03-31 Siemens Ag Input device for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1497195B1 (en) 2004-03-01 2015-02-27 애플 인크.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DE102004013415B4 (en) * 2004-03-18 2011-12-08 Disetronic Licensing Ag Rotatable display of a medical, pharmaceutical or cosmetic device
DE102005020289A1 (en) * 2005-04-30 2006-11-09 Cornelius Kabus Telephone, in particular mobile telephone
KR100554484B1 (en) * 2005-05-1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gesture recognition 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KR100666048B1 (en) 2005-05-20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measuring reference slope and measuring method of reference slope using same
DK1806643T3 (en) 2006-01-06 2014-12-08 Drnc Holdings Inc Method of introducing commands and / or character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n inclination sensor
US20090017880A1 (en) * 2007-07-13 2009-01-15 Joseph Kyle Moore Electronic level applic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725118B2 (en) 2009-03-31 2014-05-1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affiliat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a communication group using an affiliation motion
KR101099135B1 (en) 2009-08-24 2011-12-27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shortened function on a mobile phone
DE102010029720A1 (en) * 2010-06-07 2011-12-08 Robert Bosch Gmbh Mobile apparatus e.g. mobile telephone, for reproducing e.g. music and/or video, has sensor designed as angular rate sensor, and control device controlling reproduction of information on apparatus as function of detected rotating movement
US9779225B2 (en) 2015-04-08 2017-10-03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ccess to secure features of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754A (en) * 1993-08-24 1995-03-10 Hitachi Ltd Smal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6624824B1 (en) * 1996-04-30 2003-09-23 Sun Microsystems, Inc. Tilt-scrolling on the sunpad
JPH1049290A (en) * 1996-08-05 1998-02-20 Sony Corp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GB9620464D0 (en) * 1996-10-01 1996-11-20 Philips Electronics Nv Hand held image display device
JP3338777B2 (en) * 1998-04-22 2002-10-28 日本電気株式会社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74A (en)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electric device easy to select menu and input charactor
KR100582349B1 (en) * 2002-12-12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by movement in a terminal
KR100621401B1 (en) * 2004-03-31 200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rotation state and searching stored information
US7369872B2 (en) 2004-03-31 2008-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searching data based on rotation degree and a method thereof
KR101082132B1 (en) * 2005-06-29 2011-1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a method the same
KR100725185B1 (en) * 2005-12-20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save work contents of portable terminal
KR100749205B1 (en) * 2005-12-27 2007-08-1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User Interfacing Method of Portable Digital Device and its Portable Digit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8686A2 (en) 2002-05-29
JP2003521168A (en) 2003-07-08
WO2001056256A2 (en) 2001-08-02
WO2001056256A3 (en) 2002-03-14
AU2001231253A1 (en)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0487A (en) 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US1052111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in a plurality of areas of a display
KR101012300B1 (en) User interfac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EP26867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n application when unl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EP2132622B1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US9891805B2 (en) Mobi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control program and method
US8302004B2 (en) Method of displaying menu items and related touch screen device
WO201410403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00069842A (en) Electronic apparatus implement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JP2010530109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data entry via a touch screen
JP2010536082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data entry using offset connection elements
US20130235088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0033413A (en) Display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354841B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Input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1093409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0100498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uristically configuring softkey functions for a reduced number of softkeys
KR100413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JP5033616B2 (en) Electronics
CN113608655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3065295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20047195A (en) Controlling method for changing screen based on a input signal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569078B1 (en) Track wheel with reduced space requirements
WO2004088488A2 (en) An electronic device with cursor control
KR10118633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rotary key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46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key i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