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08868A -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868A
KR20010108868A KR1020000029852A KR20000029852A KR20010108868A KR 20010108868 A KR20010108868 A KR 20010108868A KR 1020000029852 A KR1020000029852 A KR 1020000029852A KR 20000029852 A KR20000029852 A KR 20000029852A KR 20010108868 A KR20010108868 A KR 20010108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connection
network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dae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2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8868A/ko
Publication of KR2001010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04L69/162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involving adaptations of sockets base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관리시스템이 전송장비와의 소켓 연결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전송장비에서 전송되는 사건보고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비정상적인 연결상태를 정상적인 연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서버측에서 소켓을 열고 대기하다가 연결요구가 들어오면 클라이언트측과 연결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수행 후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사건이 발생되지 않으면, 연결여부를 확인하고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사건이 발생하면,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사건보고를 수행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및 제4 단계에서 각각 연결되지 않았으면 소켓을 닫고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여, TCP/IP 소켓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전송장비에 의한 사건발생보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소켓의 비정상 작동시 전송장비와 망관리시스템간의 연결을 복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Method for connection deactivating of transmission system in network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망관리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과 전송장비(Transmission System)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동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관리시스템에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전송장비에서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사건보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관리시스템은 원격에서 전송장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게 된다. 이때 전송장비에서 발생되는 사건은 망관리시스템에 신뢰성있게 보고되어야 하며,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대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망관리시스템과 전송장비간의 데이터 통신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소켓을 통한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구조에 의해 수행된다. TCP/IP 소켓의 연결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전송장비에의 명령처리를 위한 명령처리 소켓연결이고, 다른 하나는 전송장비의 사건발생시 사건보고를 위한 사건처리 소켓연결이다.
이하, TNMS와 같은 망관리시스템과 WDCS-800과 같은 전송장비간의 소켓연결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일반적인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비 연동기능의 블록구성도이고,도2a는 도1에서 명령처리 연동기능의 블록상세도이며, 도2b는 도1에서 사건보고 연동기능의 블록상세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비 연동기능은, 서버측에 명령처리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11) 및 서버측의 사건발생을 보고받는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12)을 구비하여 통신망을 관리하는 망관리시스템(10)과; 클라이언트측의 명령처리 요구에 따라 명령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명령처리 데몬(21)과 클라이언트측으로 사건발생을 보고하는 서버 사건처리 데몬(22) 및 각 기능부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장비감시 데몬(23)을 구비하여 상기 망관리시스템(10)과 연동되는 전송장비(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망관리시스템(10)과 전송장비(20)간의 명령처리 및 사건처리 연결에 있어서, 망관리시스템(10)의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Daemon)(11)과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12)이 클라이언트가 되고, 전송장비(20)측의 서버 명령처리 데몬(21)과 서버 사건처리 데몬(22)이 서버가 된다. 즉, 서버로써 기능하는 전송장비(20)는 클라이언트인 망관리시스템(10) 측의 관리요구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소켓연결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망관리시스템(10)이 전송장비(2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관리정보를 주고 받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11)과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12)이 기동되어 전송장비(20)의 서버 명령처리 데몬(21)과 서버 사건처리 데몬(22)으로의 연결을 각각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11)이 전송장비의 서버 명령처리 데몬(21)에의 연결을 요구하게 되면, 서버 명령처리 데몬(21)이 연결확인신호를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11)으로 출력함으로써 소켓연결이 수행된다.
이때 데이터의 전달에는 TCP/IP 소켓연결이 이용되며, 전송장비의 서버 명령처리 데몬(21)은 대기상태(Idle,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으로부터 명령을 받기 위해 소켓에의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소켓에 대한 시스템 호출은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읽기명령으로 수행된다. 상기 읽기명령은 클라이언트가 비정상적인 연결상태이면 오류신호(Error)를 반환하게 되므로, 오류신호 반환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전송장비의 서버 명령처리 데몬은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데몬과의 연결상태가 비동기화(연결해제 등의 연결장애상황)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망관리시스템의 명령수행 요구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소켓연결이 수행되면, 서버 명령처리 데몬(21)은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11)으로부터의 명령처리요구를 받아 명령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명령처리의 결과를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11)으로 전달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11)의 명령처리 요구에 따른 동작이 완료되면, 클라이언트/서버 연결이 해제된다.
또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장비의 서버 사건처리 데몬(22)은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12)과의 연결을 위해 미리 사건처리 소켓을 열고 대기하게 된다.
그러면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12)이 연결을 요구하여 연결이 수행되고, 전송장비의 서버 사건처리 데몬(22)은 장비내에서 발생하는 비동기화된 사건을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12)으로 보고하게 된다. 이때 서버 사건처리 데몬(22)이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12)으로 보고하는 사건발생은 장비감시 데몬(23)에 의해 감지되어 서버 사건처리 데몬(22)으로 전송된 것이다.
이하, 종래기술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연결복원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3은 종래기술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연결복원방법은, 서버측에서 소켓을 열고 대기하다가 연결요구가 들어오면 클라이언트측과 연결되는 제1 단계(ST11~ST13)와; 상기 제1 단계(ST11~ST13) 수행 후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2 단계(ST14)와; 상기 제2 단계(ST14)에서 사건이 발생하면,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사건보고를 수행하는 제3 단계(ST15~ST17)와; 상기 제3 단계(ST15~ST17)에서 연결되지 않았으면, 소켓을 닫고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제4 단계(ST18)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ST11~ST13)에서 망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은 전송장비의 서버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 사건발생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기 위하여 소켓을 열게 된다(ST11). 상기 소켓열기는 읽을 데이터의 발생시까지 계속 대기하는 블로킹모드(Blocking Mode)로 수행된다.
소켓이 열리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 연결요구가 입력될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ST12). 그래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 연결요구가 입력되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연결을 확인시키는 신호를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 출력하게 된다(ST13).
제1 단계(ST11~ST13)에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 연결된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제2 단계(ST14)에서 장비감시 데몬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건발생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어서 제3 단계(ST15~ST17)에서는 사건발생이 확인되지 않으면, 즉 전송장비에 사건이 발생되지 않아 장비감시 데몬으로부터의 사건발생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적절한 지연시간이 지난 후(ST15) 다시 사건발생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전송장비에 사건이 발생하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 연결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T16). 상기 단계(ST16)에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이 확인되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에 사건발생을 보고하게 된다(ST17).
제3 단계(ST15~ST17)에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되면(ST16), 제4 단계(ST18)에서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위해 열었던 소켓을 닫고 제1 단계(ST11~ST13)로 복귀하여 새로운 소켓을 열고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버 사건처리 데몬에 의한 전송장비의 사건발생 보고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이 서버 명령처리 데몬으로 적절한 명령을 내림으로써 전송장비의 사건발생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기술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은, 전송장비와 망관리시스템이 연결되면 전송장비에서 사건발생을 여부를 확인하며, 사건발생시 망관리시스템과의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여 망관리시스템으로 사건발생을 보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종래기술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은, 서버 사건처리 데몬이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 연결되기 위하여 소켓을 열 때 블로킹모드로 열기 때문에 소켓 연결상태에 대한 확인은 소켓에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즉, 데이터 쓰기호출)에만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임의시간 동안 전송장비에서 발생되는 사건이 없는 경우에는 전송장비의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의 소켓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소켓에 연결을 재설정하고자 시도하는 경우, 전송장비에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송장비의 서버 사건처리 데몬에서 응답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망관리시스템과 전송장비간 연동에 있어서, 망관리시스템이 전송장비와의 소켓 연결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전송장비에서 전송되는 사건보고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비정상적인 연결상태를 정상적인 연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은, 서버측에서 소켓을 열고 대기하다가 연결요구가 들어오면 클라이언트측과 연결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수행 후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사건이 발생되지 않으면, 연결여부를 확인하고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사건이 발생하면,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사건보고를 수행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및 제4 단계에서 각각 연결되지 않았으면, 소켓을 닫고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비 연동기능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a는 도1에서 명령처리시 연동기능의 블록상세도이고,
도2b는 도1에서 사건보고시 연동기능의 블록상세도이고,
도3은 종래기술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의 흐름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망관리시스템 11 : 클라이언트 명령처리 데몬
12 :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 20 : 전송장비
21 : 서버 명령처리 데몬 22 : 서버 사건처리 데몬
23 : 장비감시 데몬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버측에서 소켓을 열고 대기하다가 연결요구가 들어오면 클라이언트측과 연결되는 제1 단계(ST21~ST23)와; 상기 제1 단계(ST21~ST23) 수행 후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2 단계(ST24)와; 상기 제2 단계(ST24)에서 사건이 발생되지 않으면, 연결여부를 확인하고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3 단계(ST25~ST26)와; 상기 제2 단계(ST24)에서 사건이 발생하면,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사건보고를 수행하는 제4 단계(ST27~ST28)와; 상기 제3 단계(ST25~ST26) 및 제4 단계(ST27~ST28)에서 각각 연결되지 않았으면, 소켓을 닫고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제5 단계(ST29)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ST21~ST23)에서 망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은 전송장비의 서버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 사건발생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기 위하여 소켓을 열게 된다(ST21).
상기 소켓열기가 종래기술과 같이 블로킹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읽기동작에서 읽을 대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계속 대기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이 데이터를 송출하지 않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은 사건처리연결 소켓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전송장비내 서버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 데이터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송장비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사건처리 소켓으로부터 아무런 데이터도 읽을 수 없게 되어 오류신호(Error)를 반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닉스 시스템이 반환하는 오류신호 값은 '-1'이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비블로킹모드(Nonblocking Mode)로 소켓열기를 수행하여 읽을 대상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를 읽게 되지만, 읽을 대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류신호를 반환하게 된다. 상기 반환되는 오류신호는 유닉스 시스템의 경우 '0'이 된다.
그래서 소켓이 열리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의 연결요구를 기다리게 된다(ST22). 그래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 연결요구가 입력되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연결을 확인시키는 신호를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 출력하게 된다(ST23).
이와 같이 제1 단계(ST21~ST23)에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 연결된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제2 단계(ST24)에서 장비감시 데몬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건발생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제2 단계(ST24)에서 사건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3 단계(ST25~ST26)에서 서버 사건처리 데몬이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T25). 그래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않음이 확인되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일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 사건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복귀하게 된다(ST26).
상기 제2 단계(ST24)에서 사건발생이 확인되면, 제4 단계(ST27~ST28)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T27). 그래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전송장비에서 발생한 사건을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 보고하게 된다(ST28).
그리고 서버 사건처리 데몬과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간 연결이 유지되지 않는 두 가지 경우를 구분하면, 하나는 사건발생 없이 연결불량상태인 경우이고(ST25), 다른 하나는 사건발생 상태에서 연결불량인 경우이다(ST27).
즉,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이 연결을 해제하거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이 동작을 종료한 경우, 전송장비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사건처리 소켓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없게 되고 오류신호 '0'을 반환하게 되므로 서버 사건처리 데몬이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상태를 알수 있는 것이다.
상기 두 가지 경우와 같이 연결불량상태이면, 제5 단계(ST29)에서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위해 열었던 소켓을 닫고 제1 단계(ST21~ST23)로 복귀하여 새로운 소켓을 열고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전송장비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은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의 영향없이 소켓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블로킹 모드로 접속되어 있는 소켓으로부터 데이터를 읽게 된다.
따라서 사건처리 소켓을 통한 읽기호출(Read System Call)이 오류신호인 '0'을 반환하는 경우 소켓이 정상동작하지 않는 것이므로, 전송장비내 서버 사건처리데몬은 열려있는 사건처리 소켓을 닫고 망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으로부터의 연결요구를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송장비와 망관리시스템이 비블로킹 모드로 연결되면 서버 사건처리 데몬이 전송장치내 사건발생여부를 확인하게 되고, 전송장치에 사건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사건처리 소켓의 연결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사건발생을 망관리시스템으로 보고할 경로를 유지하며, 상기 사건처리 소켓의 연결상태가 불량하게 되면 열린 소켓을 닫고 새로운 소켓을 열어 사건발생보고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은, 전송장비와 망광리시스템의 사건처리 데몬이 TCP/IP 소켓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전송장비에 의한 사건발생보고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망관리시스템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망관리시스템내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의 비정상적인 동작시에는 전송장비내 서버 사건처리 데몬과의 연결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클라이언트 사건처리 데몬의 비정상 동작에 대한 대책이 없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망관리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서버측에서 소켓을 열고 대기하다가 연결요구가 들어오면 클라이언트측과 연결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수행 후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사건이 발생되지 않으면, 연결여부를 확인하고 사건발생을 감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사건이 발생하면,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사건보고를 수행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및 제4 단계에서 각각 연결되지 않았으면, 소켓을 닫고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KR1020000029852A 2000-06-01 2000-06-01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KR20010108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52A KR20010108868A (ko) 2000-06-01 2000-06-01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52A KR20010108868A (ko) 2000-06-01 2000-06-01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868A true KR20010108868A (ko) 2001-12-08

Family

ID=4585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852A KR20010108868A (ko) 2000-06-01 2000-06-01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88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20A (ko) * 2002-06-25 2004-01-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망 운용방법 및 시스템
KR100560752B1 (ko) * 2004-07-21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켓 연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켓 연결 상태 체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20A (ko) * 2002-06-25 2004-01-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망 운용방법 및 시스템
KR100560752B1 (ko) * 2004-07-21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켓 연결 관리 시스템 및 그 소켓 연결 상태 체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4512B1 (en) Automatic notification of connection or system failure in asynchronous multi-tiered system by monitoring connection status using connection objects
KR100575497B1 (ko) 내고장성 컴퓨터 시스템
EP041694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ailover between redundant network interface modules
US20070180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rroring data
JP4166939B2 (ja) 能動的故障検出
US200602942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server overload
US6002665A (en) Technique for realizing fault-tolerant ISDN PBX
JP3176548B2 (ja) Atm交換局における回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20010108868A (ko) 망관리시스템의 전송장치 연동 복원방법
JP3870174B2 (ja) 遠隔的にアクセス可能な資源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
US5583986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uplex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signalling message exchange no. 1 system
KR100336499B1 (ko)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간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20030128663A1 (en) Redundant network controller management system
KR100241557B1 (ko) 이중화 네트워크의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KR950006564B1 (ko) 전후단 이중화(2×2) 구조에서 서비스 데이타 백업/복구 방법
JPH09160875A (ja) マルチエージェント相互バックアップ方式
KR100191678B1 (ko) 통신망 이중화를 위한 통신망 검사방법
KR20000039970A (ko)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 적용된 지능망 서비스제어 시스템의랜 이중화 방법
JP2804876B2 (ja) 多重系装置を含む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通信方法
KR19990050461A (ko) 고 가용성 시스템의 오류 처리방법
KR960004714B1 (ko) 지능망 서비스 데이타 검증/복구 방법
JP3786702B2 (ja) エラー統計データの読み出し方法
KR0137641B1 (ko) 신호 중계 교환기의 메세지 우회 전송방법
KR10029905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제어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JPH10107792A (ja) サーバ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