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06020A -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 Google Patents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020A
KR20010106020A KR1020000027267A KR20000027267A KR20010106020A KR 20010106020 A KR20010106020 A KR 20010106020A KR 1020000027267 A KR1020000027267 A KR 1020000027267A KR 20000027267 A KR20000027267 A KR 20000027267A KR 20010106020 A KR20010106020 A KR 2001010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onlin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eac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김기대
(주) 마이프랜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대, (주) 마이프랜드넷 filed Critical 김기대
Priority to KR102000002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6020A/en
Publication of KR2001010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020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4단계의 학습과정을 필히 거치도록 함으로써 학습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nhancing the learning efficiency by going through the four-step learning process online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인터넷)상에서의 4단계학습 과정 즉 온라인을 이용한 예습 및 학습준비 과정과 화상 및 전자 칠판등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과정, 그리고 온라인을 이용한 재복습 및 시험테스트 확인과정과 온라인에 의거한 재교육 등의 과정을 필히 거치도록 함으로써 학생과 선생간의 친밀감과 일체감을 확보하면서도 학습과 관련된 시간소요를 최소화하고, 또한 교육참여의 필연성을 유도하면서도 교육의 질적 수준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한, 전자교재를 이용한 4단계의 학습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ur-step learning process on the Internet (internet), that is, preparatory and preparatory courses using online, online lessons using images and electronic blackboards, and online reexamination and test test confirmation processes and online In order to ensure the closeness and unity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hile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learning, and to induc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is greatly improved. Provides four levels of learning using textbooks.

Description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Four step online learning method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본 발명은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On-line)의 4단계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인터넷)상의 4단계 학습과정, 즉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교재의 예습 및 학습준비 과정과 화상 및 전자칠판등을 이용한 온라인수업과정, 그리고 온라인을 이용한 재복습 및 시험테스트 확인과정과 온라인에 의거한 재교육 과정을 거치면서 그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r-step learning method of on-line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In particular, a four-step learning process on online (internet)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at is, preparation and learning process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using online. It is about maximizing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online course using online image and electronic board, the review of online review and test test, and the retraining course based on online.

주지된 바와같이, 종래 오프라인에서의 교육방법은 선생과 학생이 직접 만나 대화까지 하면서 일정한 공간에서 수업하므로 수업만족도가 배가 될뿐만 아니라 친밀감 및 일체감까지 강하게 생겨나지만 운영상의 경비과다와 시간의 과다 소요, 직원관리와 학생모집의 애로 등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As is well-known, the conventional offline teaching method meets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n person and teaches in a certain space, so that the class satisfaction is not only doubled but also a strong feeling of intimacy and unity occurs, but it requires excessive operational expenses and excessive time,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ies in staff management and recruitment.

한편, 종래 온라인에서의 교육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터넷기술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교육정보를 서비스 함으로써 시간 및 경비절감과 같은 장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교육효과의 감소 및 참여의 필연성 부족으로 인해 교육의 질적 수준이 현저히 낮아 지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online education method provides advantages such as time and cost savings by providing online education information using Internet technology as shown in FIG. 1, but this reduce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he inevitability of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 quality of education is significantly lowered.

즉 종래의 온라인 학습법은 표준화된 교육자료를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정보 서비스제공자가 일방적으로 구축하여 모든 교육 이용자가 동일한 내용의 자료를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러한 일방적 주입식 학습방법으로는 실제교육과의 괴리감이 많이 발생하여 대부분의 온라인 학습 모델이 학습효과를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기에 이용률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online learning method is designed to unilaterally construct standardized educational materials by th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using the Internet, so that all educational users use the same contents. The usage rate is rapidly decreasing because most online learning models do not achieve the learning effect due to many occurrences.

따라서 온라인을 단순하게만 이용하고 있는 교육모델이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이용자가 급감하자 이용자를 확보하는 수단으로 도 2에서 보듯이 학원및 학교등의 현실적인 교육기관들을 결합하여 상기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애를 쓰고 있으나, 이 또한 학습 자료의 준비등은 온라인만의 모델과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정보 서비스제공자가 일방적으로 구축하여 주입식으로 교육 이용자에게 강요하므로 학습효과의 감소및 현장교육과의 괴리감 등이 상당하여 이용률이 급감하고 있는 형편인 것이다. 즉 온라인을 이용한 종래의 학습법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이에 대한 또다른 대안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정보서비스 제공자가 기존학원 및 학교등을 프랜차이즈 형태로 묶은 뒤 일반교재(Off-line상의 현실사회에서 판매되고 있는 책형태의 실물교재를 말함)를 판매하고는 일방적으로 해당교재의 내용을 인터넷상에 올려놓은 것에 불과하다보니 이 역시 실제교육 과의 괴리감 등으로 이용률이 급감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결국 이러한 학습모델의 실패는 기존의 교육현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상업적·미시적 차원에서 접근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 된다.Therefore, when the education model that uses only online is rapidly dropped due to the above reason, as shown in Fig. 2, as a means of securing the user, it is possible to combine realistic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academy and school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In addition, the preparation of learning materials, like the online-only model, is unilaterally constructed by th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using the Internet and forced to the educational users by injecting method, which reduces the learning effect and the difference from the field education. The utilization rate is falling sharply. That is,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using online does not have an effect. As another alternative, the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using the Internet binds the existing institute and school in the form of a franchise as shown in FIG. It is a book type physical textbook that is sold in the real world on-line),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have been posted on the Internet unilaterally. There is a situation. After all, the failure of such learning model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existing educational field properly and simply approached from the commercial and micro leve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온라인에서의 4단계 학습과정, 즉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교재의 예습 및 학습준비과정과 화상 및 전자 칠판 등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과정, 그리고 온라인을 이용한 재복습및 시험테스트 확인과정과 온라인에 의거한 재교육과정을 거치면서 학생과 선생간의 친밀감과 일체감을 확보하면서도 교육참여의 필연성을 유도하면서 교육의 질적 수준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particular, a four-step learning process in online, mainly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at is, preparation and learning process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using online, images and electronic boards, etc. The quality of education is greatly improved by inducing the inevitability of education participation while securing intimacy and unity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online course through the online course, the review and test test through the online course, and the retraining course based on the online course. The purpose is to make it happen.

도 1은 종래 온라인을 이용한 학습의 흐름도.1 is a flow diagram of learning using conventional online.

도 2는 또다른 종래의 학습 흐름도.2 is another conventional learning flow ch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학습 흐름도.3 is an online learning flow diagr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구축상태도.4 is an intranet construction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상태 흐름도.5 is a learning state flow diagr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학습방법은,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상의 과목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중앙센터에 인트라넷을 구축하고, 기히 구축된 인트라넷을 통해 학습에 필요한 전자교재 자료를 공유하면서 교사와 학생간의 4단계 학습이 온라인 상에서 연속 이어지도록 하되,Four levels of learn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re continued online by building an intranet at the Learning Center to enable online learning of subjects centered on electronic textbooks, and sharing electronic materials required for learning through the established intranet. To lose,

1차 온라인에서는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학습과목의 예습 및 학습준비를 실행하고,In the first online, students prepare for and prepare for learning subjects bas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2차 온라인에서는 1차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진 전자교재의 예습과 학습준비를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화상교육(전자칠판 수업포함)을 진행하며,In the 2nd online, video education (including electronic blackboard classes) of subjects to be studied is conducted through preparation and learning preparation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made through the 1st online.

3차 온라인에서는 2차온라인을 통해 실시된 화상교육수업의 핵심내용을 시험문제화 하여 인트라넷에 등록하고, 학생은 상기 시험문제에 응시하여 자신의 이해력을 검증토록 하고,In the 3rd online, the core contents of the video education class conducted through the 2nd online are questioned and registered in the intranet, and the students take the test questions to verify their understanding.

4차 온라인에서는 상기 3차 온라인상에서 진행된 사이버(cyber)시험을 통해 검증된 학생개개인의 이해력을 판단하여 이해력이 부족한 과목에 대한 재복습과 재교육이 또다시 온라인상의 재수업에 의해 진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the fourth online, judging the understanding of each student verified through the cyber test conducted in the third online, re-reviewing and re-education for subjects with insufficient understanding are carried out again by online re-learning. It is to be done.

그리고 본 발명에서 거론되고 있는 전자교재란 책형태의 실물교재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전자적으로 1권의 책을 완성한 뒤 이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인트라넷에 등록한 각 과목별 학습교재 및 학습문제지 등을 말하는 바, 따라서 본 발명에서 거론되고 있는 전자교재 내용속에는 문자내용 외에 문장화된 내용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각종의 사진 및 실물형태등이 동영상형태로 게재되어 있어 하나의 내용만이 판에 박힌듯이 게재되어 있는 실물교재와는 차원이 다른 교재라 할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교재는 입·출력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discu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udy textbook and a problem paper for each subject registered on the intranet through the Internet after completing one book electronically by making a database of the contents of a physical teaching material in the form of a book. Therefore, in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discu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hotographs and real forms showing three-dimensionally sentenced contents in addition to the text contents are posted in the form of a video, and only one contents is posted as if embedded in a plate. It is different from the textbook. In additi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can be input and output.

이와같이 본 발명은 학습정보를 갖고 있는 교육정보 제공자의 일방통행식이 아니라 학습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을 인터넷을 통해 적절히 연결하되,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온라인(인터넷)상의 학습 진행을 원활하게 하면서 학생관리 또한 철저히 하여 그 교육적효과를 극대화함과 아울러 이에 필요한 학습도구를 실시간으로제공 하려는데 그 특징이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one-way ceremony of educational information provider having learning information, but connects the teacher and the student, which is the subject of learning, through the Internet, and facilitates the online learning process bas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e management is also thoroughly conducted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learning tools in real time.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As shown in Figure 3 to 5, the present invention,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학습자료의 데이타베이스화를 이루면서 그 공유가 가능하게끔 인트라넷(11)을 구축한 학습중앙센터(10), 온라인의 가상사회에서 실제적인 화상강의를 진행하면서 상기 학습중앙센터(10)와 전자교재 자료의 공유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이용자들에게 전자교재와 관련된 각종의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다수의 가상 단위학교 교사그룹(20), 상기 교사그룹(20)으로 부터 받은 전자교재의 학습자료를 통해 예·복습 및 사이버시험을 치룸과 아울러 학습중앙센터(10)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또다른 전자교재의 학습정보를 얻을수 있는 다수의 이용자학생그룹(30)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The Learning Central Center (10), which has established an intranet (11) so that sharing can be achieved while making a database of learning materials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nd conducting actual video lectures in an online virtual society. E-teaching materials received from the teacher group (20), a plurality of virtual unit school teacher group (20) that provides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o users online through the sharing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preliminary, review and cyber tests, and throug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Center (10), a plurality of user student groups (30), which can obtain learning information of another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suitable for themselves, are organically connected. Is done.

그리고 상기 학습중앙센터(10)는 다수의 가상 단위학교 교사들이 추가한 전자교재의 내용외에 교육현장의 각종 학습정보(과목별 전자교재 강의안,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시험문제,성적향상사례등)를 취합한 후 이를 데이타베이스화하여 상호 공유가 가능한 인트라넷(11)을 구축토록 하는 바, 예를 들어 각 교사들이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하여 독창적인 시험문제를 출제하면 출제문제내용 및 출제문제에 대한 난이도가 바로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으로 전송되면서 출제내용과 난이도가 각 과목별로 데이터 베이스화되고, 이를 다시 각 교사들이 재공유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학생의 실력에 맞는 난이도 문제별로 전국의 가상 단위학교교사들이 또다시 손쉽게 출제할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dded by a plurality of virtual unit school teachers, the learning central center 10 provides various types of learning information on the field of educati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for each subject, test questions centering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sexual improvement cases, etc.) And then build an intranet (11) that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by making it a database. For example, if each teacher creates an original test question centered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the content of the ques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Is transmitted to the intranet 11 of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and the content of the questions and the difficulty are databased for each subject, and each teacher is re-shared to the virtual difficulty of each country by difficulty level suitable for each student's ability. Teachers of the unit school play a role that makes it easy to make a question again.

또한 학습중앙센터(10)는 회원으로 등록된 가상 단위학교 교사에게 사이버(cyber)상에서 각 교사(20)들이 담당하고 있는 학생(30)들에 대한 화상강의 및 관리학습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인트라넷(11)이라는 학습도구를 통해 전자교재의 교안제작에 필요한 툴(tool)및 각종의 참고용 학습자료를 상기 교사(20)들에게 제공하기도 하고, 또 교사(20)들로 부터 취합된 전자교재의 강의자료와 문제은행 및 학습에 필요한 각종 자료들을 재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化 한후 이를 다시 교사(20)와 학생(30)들에게 재차 제공하는 자료제공자의 역할과 장소 제공자로서의 역활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provides a virtual unit school teacher registered as a member with a video lecture and management learning space for students 30 in charge of each teacher 20 on a cyber, and an intranet. (11) through the teaching tool (e) provides tools (tool) and various reference learning material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o the teachers (20), and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teachers (20) It reorganizes the database of lecture materials, question banks, and other materials necessary for learning, makes a database, and then plays the role of a provider and place provider of the data provided again to teachers (20) and students (30).

다시말해 학습중앙센터(10)는 국어,수학,영어 등의 학습과목에 대한 기초적인 교재를 전자화 함과 아울러 이러한 각과목의 전자 교재들을 여러 종류 발간 한 상태에서(여기서 말하는 여러종류의 전자교재란 예를들어 하나의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가상의 출판사 여러곳에서 발간 한것을 말함) 이것을 기본으로 전국의 각 가상 단위학교 교사(20)들이 해당 과목마다 자기 취향에 맞는 종류의 전자교재를 인트라넷(11)을 통해 선택한 뒤 해당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학습강의안를 만들거나 시험문제들을 출제하게 되면 (이것이 곧 자기가 담당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제공될 내용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이 곧바로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 실시간 형태로 전송되면서 출제내용과 난이도 등이 각 과목별로 데이타베이스화 되고, 이를 다시 각 교사들이 재공유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국의 가상 단위학교 교사들이 질높은 강의 준비 및 시험문제들을 출제할수 있는 순환과정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교재는 학습 중앙센터(10)에서 각 과목마다 기초적인 내용정도가 담겨져 있는 전자교재 외에, 휼륭하게 편집된 여러종류의 전자교재들을 각교사(20)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지만 교사(20)단독 또는 여러명의 교사(20)가 공동으로 집필한 전자교재 까지도 제공 될수 있다. 또한 기초적인 내용 정도가 실려 있는 전자교재에 대해서는 각 교사들이 나름대로의 학습교육안을 작성해서 전자교재의 내용을 보충토록 하며, 덧붙여 아무리 휼륭하게 편집된 전자교재가 있다하더라도 각 교사(20)들의 학습 강의안 만큼은 별도로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In other words, the Center for Learning (10) electronicizes basic textbooks on subjects such as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nd publishes various types of electronic textbooks for each subject (the term of the various kinds of electronic textbooks referred to here). For example, based on a single mathematics course, published by various fictitious publishers. Based on this, teachers in each of the virtual unit schools in the country (20) have an intranet (11). If you make a study syllabus based on the electronic textbook or make a test question (this will be provided to students in charge), these contents will be directly As it is transmitted to the intranet 11 in a real time form,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and the difficulty are databased for each subject, and each teacher is again This can reshare virtual Unit School teachers nationwide are questions that can cycle the high quality teaching and exam preparation by allowing it to be formed.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may provide various kinds of excellently edited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o each teacher 20 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containing the basic contents of each subject in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A single or electronic textbook co-written by several teachers 2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for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ontaining the basic contents, each teacher writes his own learning education plan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nd in addition, even if there are excellently edited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e teaching lectures of each teacher (20) In principle, it should be written separately.

한편, 학습중앙센터(10)에서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다수의 온라인교사(20) 즉, 다수의 가상 단위학교 교사(20)들을 모집및 채용한다. 이때 학습중앙센터(10)에 모집되거나 채용된 다수의 온라인교사(20)는 온라인을 통한 담당제 학습이 가능하도록 가상의 단위학교 및 개인별 교사 아이디(ID)를 부여받고,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recruits and recruits a plurality of online teachers 20, that is, a plurality of virtual unit school teachers 20, so that online four-step learning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is easily performed. At this time, a number of online teachers 20 recruited or recruited to the learning center 10 are given a virtual unit school and individual teacher ID (ID) to enable the learning of the system through online,

상기 온라인교사(20)로 부터 직접 지도를 받는 학생(30)들도 가상 단위학교의 담임교사(20) 및 각과목 담당교사(20)와 함께 온라인상에서의 실제학습을 위한 개인별 학생 ID를 부여받도록 하므로서, 전자교재를 이용한 4단계 학습의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다.The students 30 who are directly guided by the online teacher 20 also receive individual student IDs for actual learning online with the homeroom teacher 20 and each subject teacher 20 of the virtual unit school. Thus, complete the four-step learning system construction using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즉, 상기 학습중앙센터(10)는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온라인상의 4단계 학습이 원활하게 진행될수 있도록 온라인상의 학습관리를 담당할 가상 단위학교의 담당제교사 및 각과목 담당교사를 모집하거나 이들을 채용한 후 이를 그룹화(20)하는한편, 모집 및 채용된 온라인교사 (20)들로부터 받은 전자교재 내용 및 각종의 학습자료들을 인트라넷(11)을 통해 데이타베이스화하고, 더불어 모집 또는 채용된 온라인교사(20)와 학생(30)들에게 온라인 상에서의 4단계학습이 가능하도록 각 개인별로 ID를 부여한다.That is,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recruits or hires a teacher in charge of the virtual unit school and each subject teacher who will be in charge of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o that the online four-step learning centering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can proceed smoothly. After the grouping (20),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received from the recruited and recruited online teachers (20)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are databased through the intranet (11), and the recruited or recruited online teachers (20). ) And students (30) are given an ID for each individual to enable four-step learning online.

여기서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는 학생(30)이 접속하는 접속하는 영역과 교사(20)가 접속할수 있는 영역 및 학습중앙센터(10)의 관리자가 접속 할수 있는 영역으로 구분함이 바람직하다. 즉, 교사(20)와 학생(30)에 따라 각기 다른 ID를 부여하므로서, 사이버상에서 교사가 접속할수 있는 영역과 학생이 접속할수 있는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다.Here,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is divided into an area to which the student 30 is connected, an area to which the teacher 20 can access, and an area to which the administrator of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can access. This is preferred. That is, by assigning different IDs according to the teacher 20 and the student 30,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area that the teacher can access from the area that the student can access in cyberspace.

그리고 상기 교사그룹(20)은 교사 자신들이 선택한 전자교재들을 중심으로 하여 직접 온라인수업을 진행하면서 그 수업진도에 맞는 전자교재자료 및 각종의 학습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인트라넷(11)에 등록한 뒤, 교사자신이 직접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에게 전송함으로써 온라인에서의 학습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학습자료가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을 통해 타교사들과 함께 공유(경우에 따라서는 제 3의 다수 학생들까지 포함함)토록 함으로써 참신 하면서도 교육효과가 높은, 각종의 학습자료들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The teacher group 20 registers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class progress on the intranet 11 through the Internet while directly conducting online classes centering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selected by the teachers themselves. The learning materials can be smoothly carried out online by sending them to students who are directly taught by the teacher, while the learning materials are shared with other teachers through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10. Including a third large number of students), it is easy to obtain a variety of novel and highly effective learning materials.

그리고 학생(30)은 교사(20)로 부터 인트라넷(11)상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전자교재 중 담당교사가 선택한 전자교재의 학습자료 및 담당교사(20)의 학습강의안 등을 인터넷을 통해 전송받아 예습 및 학습준비를 한 뒤, 사이버상의 가상 단위학교에 등교하여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진도를 원만하게 소화해 낼수 있도록하고, 더불어 사이버시험 및 재교육 과정까지 이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학생자신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타교사들의 학습정보를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을 통해 얻으면서 이를 담당교사 및 타학교의 담당과목교사에게 온라인으로 직접 질문하고 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학습의 효과 및 친밀감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udent 30 transmits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selected by the teacher in charge and the learning syllabus of the teacher 20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registered on the intranet 11 from the teacher 20 through the Internet. After preparing and preparing for study, students can attend the cyber unit school in cyber to smoothly process the progress of online learning, and also to carry out the cyber test and re-education process, and have no direct connection with the student. The teacher's learning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intranet (11) of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ask and answer the teachers and the subject teachers of other schools online,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and intimacy of field trips. Make sure

또한, 학생은 교사가 채택한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학습을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학생 스스로가 자기취향 및 실력에 맞는 전자교재를 채택 할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 학생은 해당 전자교재를 강의하고 있거나 강의하고자 하는 가상 단위학교에 입학하여 가상학교 활동을 하면 된다(이 밖에도 실력이 없거나 품행이 방정하지 못하면 가상의 해당 단위학교로부터 퇴학 당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학생그룹(30)은 사이버(cyber) 교실현장을 통해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도 각 과목교사 별로 특화된 학습정보를 실제사회(Off-line사회)의 학습현장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 습득할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할것이다.In addition, students should study based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dopted by the teacher. However, students can adopt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at suit their own tastes and abilities. You can enter the virtual unit school and perform the virtual school activity. (In addition, if you do not have good or bad behavior, you may be expelled from the virtual unit school.) Therefore, the student group 30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 cyber classroom and can learn the specialized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teacher online without being bound to the learning site of the real society (off-line society). It has advantages.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사와 학생을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적절히 연결하여 온라인에서의 학습 진행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그 교육적효과를 극대화하려는데 필요한 학습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려는데 그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feature to provide a learning program necessary for maximizing the educational effect while smoothly progressing online learning by appropriately connecting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중앙센터(10)에 구축된 인트라넷(11)을 통해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각 과목별 교사의 학습정보를 전부 또는 부분별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특화된 전자교재의 학습정보를 학생 및 수강생들에게 체계적으로 제공할수 있고, 더불어 어느 한 사람의 교사가 만들어 제공하던 창의적인 학습내용 및 문제들을 서로 공유할수 있으며, 이로써 각 과목별 교사 입장에서 볼때 자신이 강조하고자 하는 학습과목(예: 국어, 영어, 과학, 체육, 음악 등의 어느 한 과목)을 채택된 전자교재를 통해 확실하게 특화하여 제공할수 있게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specialized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by sharing the learning information of each subject centered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by the whole or part through the intranet (11) built in the learning center (10) Can be systematically provided to students and students, and can share the creative learning contents and problems that were made and provided by any one teac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ecialized course for Korean language, English, science, physical education, music, etc.).

또한, 학생 입장에서는 인트라넷(11)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전자교재의 학습내용 중 상당수준의 특화된 정보들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얻을수 있게 된다.In addition,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a significant level of specialized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to be obtained through the intranet 11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이를 첨부된 도 3,4,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4 and 5 as follows.

먼저, 온라인 상의 각 교육기관(가상 단위학교로서 지역별 또는 가상예술학교 등으로 구분한 가상 단위학교의 교육기관을 말함)에 속해있는 담당과목 교사(이하 A교사라 지칭한다)가 자신이 담당한 학년 및 해당 학급별로 정규 온라인상의 수업수준에 맞는 전자교재를 먼저 선택(예를들어 가상 과학고등학교의 전자 수학교재와 가상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자 수학교재는 서로 달리 선택되어져야 할것임)한 후 선택된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수업진도에 맞는 예습자료 및 학습준비자료(담당교사의 학습강의안)를 온라인(인터넷)을 통해 학습중앙센터(10)에 등록한다.First, the subjects in charge of the subje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acher A) belonging to each online educational institution (virtual unit school, which refers 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virtual unit school divided into regional or virtual art schools). And e-learning materials that meet the level of regular online classes for each class (for example, e-learning materials for virtual science high school and e-learning materials for virtual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and then select the e-learning materials selected. The preparatory materials and study preparation materials (teacher's learning syllabus) suitable for the class progress are registered in the learning center (10) through online (internet).

그러면 상기 A교사가 등록한 해당 전자교재의 학습정보는 자동으로 학습중앙센터(10)의 인터라넷(11)으로 집계된뒤, 분류 및 가공된다.Then,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registered by the teacher A is automatically aggregated into the inter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and then classified and processed.

여기서 상기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는 A교사와 관련이 없는 과목이나 다른 가상 단위학교의 교사(B,C,D 교사 등)들이 제공하는 전자교재의 학습정보도 함께 가공되어 저장된다.In this case,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10 is processed and stored together with learning information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provided by subjects not related to teacher A or teachers of other virtual unit schools (B, C, D teachers, etc.). do.

따라서 학습중앙센터(10)에서는 각 교사들(A,B,C,D 등)이 제공하는 전자교재의 학습정보를 인트라넷(11)에 데이타베이스형태로 구축을 하고, 상기 각 교사들은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 구축되어 있는 해당 전자교재의 학습자료들을 공유하여 이를 이용하거나(A는 B의 자료를, B는 A의 자료를 이용) 재가공하여 사용하며, 이는 다시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으로 집결되므로 상기 전자교재의 학습자료는 끊임없는 재생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provided by each teacher (A, B, C, D, etc.)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database in the intranet 11, and each of the teachers is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share and use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built on the intranet (11) (A is using B's material, B is using A's material) or reprocessing, which is again used as a learning center Since it is gathered into the intranet 11 of (10),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is to repeat the process of continuous reproduction.

그리고 각 학급별 또는 과목별 학생은 온라인에 의한 정규 교육수업전에 온라인(인터넷)을 통하여 해당 전자교재에 대한 예습 및 학습준비(해당 과목교사의 강의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미리 출력 토록 함)를 하여 정규 온라인상의 교육 수업내용을 사전에 인지하고 준비할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tudents in each class or subject prepare and prepare for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rough online (internet) prior to the regular education class online (by printing the contents of the subject teacher's lecture on the Internet in advance). You will be able to recognize and prepare the content of your online education lessons in advance.

즉, 학생은 자신의 수업진도에 맞추어 일차적으로 자신의 담당교사가 선택한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준비한 학습강의안 자료를 인지한 뒤, 온라인에서 진행할 전자교재의 학습내용을 미리 예습하는 한편, 다수의 교사가 준비한 자료중 자신에게 적합한 전자교재의 학습자료를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을 통해 선택,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의 질적 효과를 높일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udent recognizes the teaching syllabus materials prepared by the teacher in charge of his / her own teach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his / her class, and prepares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to be conducted onlin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qualitative effect of learning by selecting and using the learning material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suitable for oneself among the prepared materials through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더불어 자신이 속한 학반의 온라인수업이 온라인상의 재복습 및 재교육과 병행되므로 자신의 담임교사 외에 타학교의 담당교사에게도 온라인으로 직접 질문하고 답할수 있게 되는 바, 이로써 학생입장에서는 다양한 전자교재의 학습정보를 접하고 취합하면서 자신의 학업 성취도를 보다 높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의 학습 친밀감을 보다 증대시킬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online class of their class is combined with the online re-examination and re-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directly ask and answer questions from their own teachers as well as teachers in other schools. You will not only improve your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crease your online learning intimacy.

한편, 교사는 당일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온라인수업을 진행하면서 사전에 온라인으로 배포한 학습강의안 중 서론부분을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 뒤 핵심내용(본론)에 초점을 둠으로써 심도 있는 강의를 진행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교실에서의 실제학습을 통해 교사는 당일 수업의 핵심내용을 시험문제화 하여 이를 다시 인트라넷에 등록하고 재교육기준 등도 온라인을 통해 인트라넷(11)에 등록하는 바, 이로써 학생은 상기 인트라넷에 등록되어 있는 시험문제를 온라인을 통해 응시하여 복습 및 자신의 이해력을 검증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can conduct an in-depth lecture by focusing on the core contents (main body) after briefly explaining or omitting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study lectures distributed online in advance while conducting online lessons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on the day. In addition, through the actual learning in the virtual classroom, the teacher questions the core content of the class on the day and registers it on the intranet again, and re-education standards are also registered on the intranet 11 online. Thus, the student registers on the intranet. By taking the exam questions online, you will be able to review and verify your understanding.

즉 교사는 온라인수업의 핵심내용을 시험문제화 할 때 교사 스스로가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직접 작성하거나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을 통해 타교사가 작성한 출제자료를 취득한 후 재가공 내지 그대로 출제토록 하되, 각 문제마다 핵심이론과 함정등을 상세히 등록토록 하고, 또 학생들이 시험을 치룬후에는 정답과 핵심이론 및 함정등을 오픈하되, 틀린문제에 대하여 학생 개개인의 견해를 온라인을 통해 들은 후 교사의 답변을 통해 1차적인 재교육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학생(30) 개개인 별로는 시험문제에 대한 정오표가 차곡차곡 이력화 됨과 아울러 교사(20)의 입장에서는 학생 개개인에 대한 학습지도 방향이 쉽게 가늠되므로 해당 학생에 맞는 맞춤교육이 이루어 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teacher questions the core contents of the online class, the teacher himself writes himself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or acquires the materials written by other teachers through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10). Encourage students to register key theories and pitfalls in detail for each problem, and open the correct answers, key theories and pitfalls after students take the test. The teacher's response ensures that primary reeducation occurs. In this case, the errata for the test questions is recorded on a per-historic basis for each student (30), and the direction of instruction for the student (20) can be easily measur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teacher (20). .

그리고 예를 들어 어떤 가상 단위학교의 국어과목 교사가 A학급의 학습을 교실에서 진행한후 온라인 시험을 치루고, 그 시험 결과 나타나는 A학급의 시험성적을 토대로 하여 A학급 전체 또는 A학급의 소수학생들을 상대로 온라인상의 재교육수업을 실시 하기도 하겠지만 다른 날 진행될 B학급의 학습진행 방향 및 학습정도까지도 재가늠 할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 Korean-language teacher at a virtual unit school conducts an online test after conducting classroom A learning in a classroom, and based on the results of class A's test results, Even though they may conduct online re-education classes, they can re-evaluate the learning progress and degree of learning of class B, which will be conducted on another day.

또한 상기 사이버시험의 검증된 자료에 의거하여 시험성적이 낮은학생에게는 온라인으로 재교육이 필요하다라는 메세지를 통보할수 있으며, 또 이러한 메세지 통보에 따라 교사는 재교육자의 명단을 출력하여 각 학생별로 이해력이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각 학생별로 재교육을 실시하거나, 컴퓨터의 채점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이해력이 부족한 공통부분에 대하여는 전체 재교육을 실시하여 학습의 이해력을 증진시키며, 반면에 학생입장에서는 재교육을 통한 복습으로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충분히 해결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ased on the verified data of the cyber test, students with low test scores may be notified of the need for re-education online, and according to the message, the teacher outputs a list of re-educators and each student lacks understanding ability. Re-education is carried out for each student by grasping the part and re-education for each student, or by re-educating the entire part of the common part that the student's grasp is poor. It will be enough to solve the shortcomings.

한편, 각 교사들로부터 채택된 전자교재의 각 단원에 대한 학습내용 및 출제문제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은 학습중앙센터(10)는 이러한 자료들을 인트라넷(11)을 통해 데이타베이스화하게 되는데, 상기 학습중앙센터(10)에서는 인트라넷(11)에 기히 구축되어 있는 자료외에 각 교사들이 동일 전자교재에 대해 서로 다르게 기안한 학습강의안과 출제 문제들을 선별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provided with materials on the content and questions of the lessons for each unit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dopted by each teacher to make these materials through the intranet (11) database, the learning center In the center 10, in addition to the data already established in the intranet 11, each teacher functions to select and store different learning syllabus and question items for the sam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그리고 다양하게 제시될 학습 강의안들은 각 교사마다 자기 제자들에게 직접 가르칠 내용(도 3의 학습진도용에 해당)이 들어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각 교사의 학습 강의안(학습교육안)이 인트라넷(11)을 통해 타 교사들에게도 늘 제공되고 있으며, 또 가상의 타 단위학교 학생들까지도 직접 배우고 있는 교사아닌 제 3의 교사가 작성한 학습교육안을 언제든지 직접 인트라넷(11)을 통해 살펴 볼수 있게 된다(도 3의 참고용에 해당).In addition, each of the various teaching syllabuses to be presented includes contents to be taught directly to the disciples of each teache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of FIG. 3), and the teaching syllabus of each teacher is the intranet (11). Through the Intranet (11) can always be seen through the intranet (11) is always provided to other teachers, and even a third-party teacher, not even a teacher who is learning directly to other virtual school students directly. For dragons).

또한, 각 교사의 학습교육안 및 출제문제 등은 월별 또는 해마다 다르게 제시 될 것이므로 이러한 내용들이 상호 중복 되지 않도록 해당 단원 및 출제 문제마다 고유번호를 지정하여 학과목별 중복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In addition, each teacher's learning education plan and questions will be presented differently each month or year, so that the unique numbers are assigned to each unit and question so that they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duplicate problems for each subject do not occur.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학습교육안 및 출제문제등이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 저장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That is, as described above, looking at how the learning curriculum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nd questions, etc. are stored in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일단, 학습교육안과 출제되는 문제에 따라 일련번호를 부여하도록하되, 학습교육안 및 문제영역은 각 학습교육안 및 문제의 유형과 난이도에 따라 정해지는데 유형은 학과목의 단원별 또는 한 단원내에서도 그 유형을 세분화하여 학습영역 내지문제영역을 정할수 있도록 하였다.First, serial numbers should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and questions to be asked, but the learning curriculum and problem area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and difficulty of each learning curriculum and problem. By subdividing,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learning area or problem area.

이와같이 구축된 인트라넷(11)의 학습교육안(학생들이 배워야 할 학습내용이라고도 할수 있음) 및 출제 문제등에 대해서는 분류코드가 주어지는데 가령, 시험출제 문제영역 중 어떤 문제에 대해 2000/03/ME1/EN/C5P/07/555/D5라는 분류부호가 주어졌다면 2000 : 2000년, 03 : 3월, ME1 : 중학교 1학년 과정, EN : 영어과목, C5P(C는 사이버, P는 출판사의 영어약자): 가상5의 출판사(저자포함)가 발행한 98년도의 전자교재, 07 :7단원, 555 : 7단원에서 출제된 555번째 문제, D5 : 난이도가 가장 낮은 5등급 문제 라는 의미로 해석한다는 것이다.The classification code is given to the learning education plan (also referred to as the content that students should learn) and the questions of the intranet 11 thus constructed, for example, 2000/03 / ME1 / EN / C5P / 07/555 / D5, if given classification code 2000: 2000, 03: March, ME1: 1st year of middle school, EN: English course, C5P (C is cyber, P is abbreviation of publisher): It is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555th questi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98 Electronic Textbook, 07: 7, 555: 7, published by Virtual 5's publisher (including the authors), and D5: Level 5 problem with the lowest difficulty.

따라서 어느 한 학교의 영어교사가 Y이라는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어떤 문제를 출제하면, 상기 방법과 같이 분류코드가 부여되면서 동시에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 자동입력되어 지고 또 지정된 자료방에 입력된 문제들은 또 다시 출제된 문제들을 보고 싶어 하는 각 교사들에게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when an English teacher questions a question centering on a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called Y, the classification code is given as described above, and is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center 10 and the designated data room. The questions entered in the above are provided to each teacher who wants to see the questions again.

그리고 문제와 풀이는 문제영역 내지 문제유형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어 저장되며, 일단 구분되어 저장된 문제들은 교사 또는 학생들의 능력 내지 취향에 맞도록 제공되므로 교사의 질적향상 및 학생들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And problems and solutions are further divided and stored according to problem areas or problem types, and problems that are classified once and stored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ability or taste of the teacher or students, thereby improving teacher quality and improving student learning efficiency. .

또한 학습중앙센터(10)에서는 자가학습기능, 예를 들어 자기 반에서 50등 하는 학생이 30등 수준의 영어 20문제를 받아 시험을 치른 후 합격했을시 차후 부터는 30등 수준의 문제가 계속 제공되겠지만, 불합격 했을 경우에는 틀린문제에 대한 원인을 상세히 분석한 뒤 어떠한 부분 내지 단원이 취약하므로 이를 보완하라는 메세지를 학생에게 통보하는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반대로 학생이 교사에게 취약부분에 대한 진단 등을 요구하는 프로그램도 갖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enter of learning (10), if a student who is 50th in his class, for example, receives 20 tests of English in 30th class and takes the test, he will continue to be provided with 30th level problems from now on. In the case of failure, the program has a program that analyzes the cause of the wrong problem in detail, and then informs the student of the message that the part or unit is vulnerable. I have a program.

여기서 상기한 교사와 학생간의 온라인 통교는 일반적으로 실시간 메시지 전달 프로그램인 마이윙 프로그램(My wing program)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교사는 상기 마이윙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되어져 오는 메세지를 통해 학생의 학습인지도는 물론, 그 이해력을 즉각적 이면서도 제대로 파악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the onlin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s generally preferred to use the My wing program, which is a real-time message transmission program, and the teacher may also be a student's learning through the messages delivered through the My Wing program. Of course, the understanding will be immediately and correctly understood.

더불어, 상기 학습중앙센터(10)에 등록·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자교재의 학습교육안(학습강의안)및 출제 문제 가운데 일부의 내용 만큼은 학생의 열람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reading of the student as much as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education plan (learning lecture) and question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learning center (1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교사들이 제출한 전자교재의 학습교육안 및 문제들을 학습중앙센터(10)에서 데이터베이스화 하므로서, 각 교사(20)들은 다양한 학습교육안 및 문제은행식의 시험자료를 통해 자료의 호환성과 문제의 선택폭을 최대화 할수 있으며, 학생(30)입장에서는 다양한 학습내용과 문제들을 접하면서 자신의 실력향상에 도움이되는 학습내용과 시험문제들을 단계별 또는 집중적으로 접할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자교재를 이용하고 있는 주된 주체로서 가상의 단위학교 교사(20)및 각 단위학교에 소속된 학생(30)들을 상정하여 설명하였는데, 사실 교사와 학생을 구분할 필요없이 가상의 사회라 하더라도 소속된 단체가 있을 경우에는 학습관리가 좀더 효율적 이라는 관점에서 가상 단위학교를 상정했을 따름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소속 단체별로 행해지는 집체교육 외에도 가상공간에서의 개인과외교사 및 방문교사를 통한 개별교육, 즉 인트라넷(11)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을 행하되, 개인과외교사와 학생간의 1:1 수업(소수인원을 상대로 한 개인 과외수업도 가능) 또는 학습문제지 등과 같은 전자교재를 미리 학생들에게 판매한 후, 이러한 전자교재를 구입한 학생들을 상대로 개별 내지 소수인원 별로 그룹화 한 상태에서 해당 방문교사가 사전에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전자교재에 대한 예습자료 및 학습준비자료를 전송하고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며, 사이버시험 및 온라인상의 재교육과정을 밟을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teacher (20) through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and question bank-type test data, by making a database of the learning curriculum and problem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submitted by each teacher in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You can maximize the compatibility of the material and the choice of the problem, and students (30) can access a variety of learning content and problems, step by step or intensively to learn the content and test questions to help them improve their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suming a virtual unit school teacher 20 and students belonging to each unit school as the main subject using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in fact, virtual society without th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Even if there is an affiliated organization, a virtual unit school is assumed in view of more efficient learning managemen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llective training carried out for each affiliated group, individual lessons through virtual tutoring and visiting teachers in the virtual space, that is, online classes are conducted mainly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registered in the intranet (11). E-learning materials such as 1: 1 classes between students (possibly for private tutoring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s) or learning questionnaires are sold to students in advance, and students who have purchased these e-learning materials are grouped by individual or by small groups. The visiting teacher can send the preparation materials and study preparation materials for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Internet in advance, conduct online classes, and take cyber tests and online retraining courses.

이러한 본 발명의 학습법을 단계별로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The 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1단계: 전자교재 중심의 예습 및 학습준비 단계(On-line상의 수업 준비과정)온라인상의 각 단위학교에서 담당과목교사가 자신이 담당한 해당학년 및 온라인상의 각 단위학교에서 담당과목 교사가 자신이 담당한 해당학년 및 학급별로 온라인교실현장의 수업진도에 맞는 전자교재 중심의 예습자료 및 학습 준비자료를 인터넷(온라인)을 통해 학습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 등록하여 놓으면, 해당학급별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 전에 온라인을 통해 예습 및 학습준비를 하여 정규 온라인의 수업내용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를 준비 하게 되는데, 이때 학생들은 교사가 정리해 놓은 학습강의안 자료를 곧바로 인쇄할수도 있으므로 온라인 학습시에도 굳이 필기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다. Step 1: Preparation and learning preparation centered on electronic textbooks (On-line class preparation course) In each unit school on-line , the subject teacher in his / her own grade and online unit school If you register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preparatory materials and study preparation materials that are suitable for the class progress in the online classrooms by registering them in the intranet (11) of the Learning Center (10) through the Internet (online), Each student prepares and prepares online before the online class to recognize the contents of the regular online class in advance and prepares them. At this time, students can print the syllabus prepared by the teacher immediately. There is no need to take notes.

2단계: 가상교실의 현장수업단계(On-line 상의 교육수업 과정)Step 2: On-line training course of the virtual classroom (Online training course)

교사는 당일 전자교재를 펼쳐놓고 온라인을 통한 가상교실에서의 화상수업을 실시간 형태로 진행하면서 온라인상으로 사전에 배포한 학습준비 자료의 내용중 서론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줄이고 대신 핵심내용(주로 본론)에 초점을 두어 심도있는 강의를 진행한다.Teachers unfolded electronic textbooks on the day and conducted video lessons in online virtual classrooms in real-time form, omitting or briefly reducing the introduction of pre-distributed learning preparation materials online. Focus on teaching in depth.

물론, 이때 직접 질문하기도 하고 재미있는 비유를 들어가며 학생의 이해도를 높이도록 하는데 주력하며, 아울러 힘겨운 공부를 고비때마다 수월하게 넘어갈수 있는 지혜까지 제공 되기도 한다.Of course, at this time, they ask questions directly, enter into interesting analogies, and focus on improv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y can provide wisdom to easily pass difficult studies every time.

그리고 사전에 정해진 온라인 수업시간에 가상 단위학교의 담임교사 및 각 담당과목의 교사들은 자기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각 학생들의 출결상황(학생의 컴퓨터에 화상카메라가 있을 경우에는 화면출석 점검이 가능하며, 화상 카메라가 없을 경우에는 문자출석, 즉 문자 채팅을 통해 출석 여부를 가늠 할수 있음)을 살펴보고 결석한 학생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수업내용을 녹화한뒤, 이를 결석학생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온라인 수업시간에 출석한 학생들은 즉석질문이 가능한 반면에 결석학생에게는 재녹화 방영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이라할것이다.In the pre-determined online class, the homeroom teacher of the virtual unit school and the teachers in each subject area can check the attendance of each student through the screen of their computer (if the student's computer has an image camera, the screen attendance can be checked. If you do not have a video camera, text attendance, that is, you can determine whether you are attending by text chat), and if you have a student who is absent, record the class contents and provide it to the student who is absent. In addition, it i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students who attend an online class can have instant questions while re-recording can be broadcast to students who are absent.

3단계: 테스트 단계(On-line을 이용한 복습 및 시험테스트 확인과정)Step 3: Test Steps (Review and Examination Test Using Online)

교사는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수업의 핵심내용을 시험문제화 하여 인터넷을 통해 학습 중앙센터(10)의 인트라넷(11)에 등록하고 재교육기준 등의 재시험 관련 정보 등을 온라인을 통해 인트라넷(11)에 등록한다.Teachers test the core contents of online lessons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register on the intranet 11 of the central learning center 10 through the Internet, and re-test information such as re-education standards through the intranet 11 Register at

반면에 학생은 상기 온라인시험에 응시하여 당일의 온라인 수업내용(또는 전날의 온라인 수업 내용)을 복습함과 아울러 자신의 이해력을 검증토록 한다. 그 다음 시험결과에 따라 재교육 대상자에게는 온라인상으로 재교육 대상자임을 통보토록 한다. 또한 담당교사는 틀린 문제를 학생에게 통보하고 이 문제에 대한 핵심이론과 함정에 대해 시험 마감 후 학생에게 제공되며, 학생은 자신이 왜 틀렸는지에 대한 질문과 이에 대한 교사의 답변이 또 다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됨과 동시에 상기 문제에 대한 이력서가 되어 살아있는 해설이 되며, 따라서 학생에 대한 1차 재교육이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students take the online test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online class of the day (or the contents of the online class of the previous day) and to verify their understanding. Then,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retraining subject should be notified online of the retraining target. In addition, the teacher will notify the student of the wrong problem and provide the student with the core theory and pitfalls of the problem after the test closes. The student will again build a database of questions about why they were wrong and the teacher's answers to the problem. At the same time, it becomes a living commentary on the above problem, so that the primary retraining of the student is done online.

이러한 3단계에서 필요한 기능으로서는 정답 체크기능,학생의 의견기회 제공기능, 재교육 명단 확인기능, 재교육자에게 대한 온라인 통보기능 등이라 할수 있다.Functions required in these three stages can be referred to as a function for checking the correct answer, providing a student's opinion opportunity, checking the retraining list, and providing online notification to retrainers.

4단계:재교육단계(On-line에 의거한 재교육 수업과정)Step 4: Retraining (On-line Retraining Course)

교사는 재교육자의 명단을 출력하여 각 학생별로 이해력이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각 학생별 또는 소수 집단별로 채택된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온라인상의 재교육을 실시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이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재교육을 실시 할수도 있으며 반면에 학생은 재교육을 통한 재복습으로 부족한 학습 부분을 해결토록 한다.The teacher prints out the list of retrainers, identifies the lack of understanding for each student, and conducts online retraining based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dopted for each student or minority group. Teachers can retrain the entire class for the areas where students have a common lack of understanding, while the students have to remedy the areas of lack of learning through retraining.

결국 본 발명의 핵심 요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On-line)상의 학습법을 유효 적절하게, 그리고 매우 균형있게 결합시킨 4단계의 학습과정에 있다 할 것이며, 바로 이러한 4단계의 핵심과정을 거치게 될 경우에는 어느누구라도 학습효과가 배가 될뿐 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능력에 맞는 맞춤교육을 실현 시킬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ore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 four-step learning process that combines on-line learning methods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as described above. If you go through the core course of the course, anyone will be able to double the learning effect and realize the customized education that suits each student's ability.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학습 방법은 교사와 학생의 참여 범위가 확산 될수록 더욱 세밀하고 정치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방법이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an education method in which more detailed and political education is achieved as the range of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s expanded.

지금까지 설명한 바를 중심으로 본발명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ocusing on what has been described so fa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공부하기 때문에 교재 내용이 충실하여 학습효과를 상승시킬수 있다. 즉, 전자교재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을 동영상등을 통해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설명 할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이해력이 그 만큼 높아 질뿐만 아니라 업그레이드 된 최신의 내용을 수시로 추가,삭제,변경할수 있기 때문에 전자교재의 내용이 보다 더 충실해져서 학생들의 이해력을 더욱 배가 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study focuses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materials can be enhanced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In other words, becaus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an be shown and explain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video, students' understanding will not only increase that much, but also the latest updated contents can be added, deleted, or changed from time to time. The content is more substantial, which can double the students' understanding.

둘째; 불필요한 학습시간을 절약할수 있다. 즉,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예습 및 학습준비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정규 온라인의 교실 수업시간에 필요한 준비를 미리 하므로 정규 수업시간에는 수업 준비등에 소요되는 학습시간을 크게 절감(예:필기시간 등)할수 있게 된다.second; Save unnecessary learning time. In other words, students prepare in advance for the online classroom lessons through preparation and learning preparation courses centered on electronic textbooks, thus greatly reducing the learning time required for class preparation during regular class hours (eg writing time, etc.). You can do it.

셋째; 강의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다. 즉,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예습 및 학습준비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정규 온라인의 교실 수업시간에 필요한 준비를 미리 하므로 정규 수업시간에는 서론부분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 뒤, 바로 핵심학습 포인트인 본론에 대하여 심도 있는 수업을 진행하므로 강의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수 있게 된다.third; You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lecture. In other words, students prepare in advance for the online classroom lessons through preparation and learning preparation courses centered on electronic textbooks. Therefore, the introduction part is omitted or briefly explained in the regular class hours. In-depth classes will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넷째; 학생의 학습효과를 재상승시킬수 있다. 즉, 온라인의 수업내용을 온라인 상의 재복습단계와 재교육 단계를 통하여 예·복습 및 시험등으로 학습효과를 지원하므로 학습효과의 재상승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fourth; Can reinforce student learning. In other words, online learning contents are supported through pre-review and re-education on-line, so that the learning effect is naturally increased.

다섯째; 교사와 학생의 친밀감등이 증가할수 있다. 즉, 가상 단위학교의 담당교사등과 학생이 온라인을 통하여 서로 긴밀히 연결되므로 교사와 학생간의 친밀감과 일체감이 강화되는 것이다.fifth; Intimac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an increase. In other words,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the virtual unit school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line so that the intimacy and unity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s strengthened.

여섯째; 학생개개인의 학습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수 있다. 즉, 당일 학습에 대한 개별학생의 이해 정도를 온라인 시험으로 실시간 확인하므로 학생개개인의 학습효과를 교사가 효과적으로 파악할수 있는 것이다.Sixth; You can check the learning effect of each student in real time. In other words, since the individua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ay's learning is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online test, the teacher can effectively grasp the learning effect of each student.

일곱째; 재교육을 통한 학습효과의 재상승을 나타낼수 있다. 즉, 온라인으로확인한 학생별 학습 이해도에 따라 개인별 재교육이 실시되므로 확실한 학습효과를 도모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Seventh; Re-education can show a rise in learning effect. In other words, re-education is carried out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online learning, so that a certain learning effect can be achieved.

여덟째; 교사가 추후에 동일내용 강의시 중점 학습내용의 조기파악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어느 한반의 학생들에게 온라인수업을 하고 온라인시험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이 가장 이해가 부족한 부분을 즉시 파악하여 다음 수업을 진행할 다른 학반의 학생들에게 이를 보완하면서 이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강의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Eighth; It is possible for the teacher to grasp the core learning content later in the same lecture. In other words, for example, students who took an online class and conducted an online test for a class have an immediate grasp of the most incomprehensible part of the class and supplement it with other class students who are going to the next class. You will be able to lecture.

아홉째; 전자교재의 장점인 자료전달의 신속성과 정확성 외에도 자연스런 온라인의 4단계 연결학습으로 학습효과의 용이성과 친밀성 등이 잘 조화되므로 종래와는 다른 학습효과가 도모 될수 있다.Ninth; In addition to the speed and accuracy of data transfer, which is an advantage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natural online four-stage connected learning is well harmonized with ease and intimacy.

열째; 전자교재를 이용하게 되면 실물교재의 경우와는 달리 책재고가 아예 없게된다. 즉 실물교재의 경우에는 엄청난 양의 책재고가 발생하여 책폐기 문제 또한 심각 할 뿐만 아니라 엄청난 국가 자산의 낭비가 있게 되나 전자교재를 채택·사용할 경우에는 기존 출판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인 책폐기 등의 문제가 완전 사라지게 된다.Tenth; When using electronic textbooks, there is no book inventory at all unlike real textbook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real textbooks, a huge amount of book inventory is generated, and the problem of waste disposal is not only serious but also waste of enormous national assets.However, when adopting and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problems such as book waste, which is a chronic problem of the existing publishing industry, Will disappear completely.

열한째: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게 되면, 수정판이 신속하게 이루질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학습교재비용 또한 전혀 들지 않게 되며, 또한 언제든지 전자교재 내용을 출력하여 책자화 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Eleventh: If the learning process is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e revised version is not only made quickly, but the additional learning teaching costs are not incurred at all, and the contents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an be printed and printed at any time.

열두째;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학습을 행하게 되면, 학생들이 책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되며, 오프라인상에서 행해지는 실물교재의 운송 및 보관에 따른,부가적인 비용이 전혀 없게되어 국가경제 발전에도 도움이 될뿐 아니라 전자교재를 이용하한 4단계 학습방법을 진행하게 되면 엄청난 학습 효과를 이룰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할것이다.Twelfth; If students focus on electronic textbooks, students will not have to carry books, and there will be no additional costs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physical textbooks offline, which will help the national economy. If you proceed with the four-step learning method using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ere will be a dramatic effect that can achieve tremendous learning effec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과정, 즉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한 예습 및 학습준비과정과 화상과 전자 칠판등을 이용한 온라인수업과정, 그리고 온라인을 이용한 재복습 및 시험테스트 확인과정과 온라인에 의거한 재교육 과정을 거치면서, 학생과 선생간의 친밀감과 일체감을 확보하면서도 전자교재 채택으로 인한 운영상의 경비 절감 및 학습과 관련된 시간소요를 최소화하고, 더불어 교육참여의 필연성을 유도하면서도 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등 교육과 관련된 전방위적인 교육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유용함이 존재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four-step learning process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at is, preparation and learning preparation courses centering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online lessons using images and electronic blackboards, and re-examination using online and Through the test test confirmation process and online re-education process, the intimacy and unity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secured while minimizing the operational expenses and learning time caused by the adoption of electronic materials, and inducing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is useful to maximize the omnidirectional educational effects related to education,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laims (8)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온라인상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중앙센터에 별단의 인트라넷을 구축하고, 기히 구축된 인트라넷을 통해 학습에 필요한 전자교재 자료를 공유하면서 교사와 학생간의 4단계 학습이 온라인상에서 연속 이어지도록 하되,Four levels of learn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re continued online by establishing a separate intranet at the Learning Central Center to enable online learning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nd shar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necessary for learning through the established intranet. To lose, 1단계의 온라인을 통해서는 교사가 채택한 전자교재의 학습교육안등을 상기 인트라넷에 등록하고, 학생은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학습 과목의 예습 및 학습준비를 실행하는 단계;Registering the educational teaching plan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dopted by the teacher in the intranet through the first stage online, and the student executing the preparation and learning preparation of the learning subject centered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2단계로 진행되는 온라인상의 가상교실 수업에서는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교실수업을 진행하는 단계;In the virtual classroom class that is conducted in two stages, the actual classroom class is centered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3단계의 온라인을 통해서는 상기 온라인 수업 내용을 또다시 온라인을 통해 재복습 시킴과 동시에 이를 시험문제화 하여 학생들에게 사이버 시험을 치루게 함으로써 학생의 학습 이해도를 측정하는 단계;In the third step online, re-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online class online again and at the same time as a test question to make students take a cyber test to measur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4단계의 온라인을 통해서는 온라인상으로 진행된 사이버시험을 통해 검증된 각 개별 학생의 이해력을 가늠한뒤 이해력이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는 온라인상의 재수업을 통한 재복습과 재교육을 실시하는 단계로 진행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In the four stages of online education, each individual student verified by the online cyber test was evaluated, and in the ca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re-review and retraining through online re-classes is carried out. Four-step online learning method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트라넷을 통해 전자교재의 교안 제작에 필요한 툴(Tool) 및 각종의 참고용 학습 자료를 교사에게 제공하고, 각 교사들이 작성한 학습 교육안과 출제문제 및 기타 학습자료들을 상기 인트라넷에 데이터베이스化 한후,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를 또다시 교사와 학생에게 제공하는 학습중앙센터;와Provide the teacher with the tools and various reference learning materials necessary for making teaching materials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intranet, and input the database after the database of the teaching curriculum, questions and other learning materials prepared by the teachers. A learning center for providing teachers and students with a database once again; and 각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면서 그 수업진도에 맞는 전자교재의 학습강의안자료를 인트라넷상에 사전 등록하여 학생들에게 전송함으로써 온라인의 학습진행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인트라넷의 등록 자료를 다수의 교사들과 공유하여 강의의 질을 높이면서도 학습의 중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교사그룹; 및As each teacher conducts the online class,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in advance are registered on the intranet and sent to the students to facilitate the online learning process. Teacher groups to sha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lectures while avoiding duplication of learning; And 교사그룹으로 부터 받은 전자교재의 학습자료를 중심으로 예·복습 및 사이버 시험 등을 치룸으로써 온라인상의 학습진도를 원만하게 따라 가도록 함과 아울러 타 교사의 전자교재 학습정보를 학습중앙센터의 인트라넷을 통해 얻으면서도 여러교사에게 온라인상으로 직접 질문하고 답하는 것이 가능한 학생그룹; 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Students will be able to follow the progress of online learning smoothly by conducting preliminary, review, and cyber tests based on the learning materials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received from the teacher group, and the learning materials of other teachers through the intranet of the learning center. A group of students who are able to obtain and direct questions and answers directly to multiple teachers online; Four-step learning method of online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각과목별 전자교재는 학습중앙센터 또는 교사가 제공하도록 하되, 전자교재의 채택만큼은 담당교사외에 학생도 가능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for each subject is to be provided by the central learning center or teacher, but the adoption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is possible for students besides the teacher in charge, the online four-step learning method using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전자교재를 중심으로한 예습 및 학습준비 과정은,The preparatory and study preparation courses focusing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가상의 각단위학교에 소속된 담당과목 교사가 담당 학년 및 해당 학급별로 수업진도에 맞는 전자교재의 예습자료 및 각종의 학습준비자료를 온라인을 통해 학습중앙센터의 인트라넷에 등록하고,The subject teachers belonging to each virtual school register the preparatory material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nd the various preparation materials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class progress by the grade level and the corresponding class online on the intranet of the learning center. 온라인으로 등록된 전자교재의 예습자료 및 각종의 학습준비자료를 통해 학생이 예습과 학습준비를 하여 정규 온라인상의 가상 교실수업 내용을 사전에 인지하고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Online learning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students prepare and prepare for learning through the preparation materials and learning preparation materials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registered online. Step Learn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온라인에서의 가상 교실수업 과정은,The virtual classroom course online is 교사가 당일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하여 온라인수업을 진행하면서 온라인으로 사전 배포한 학습준비내용 중 핵심내용에 초점을 두어 심도 있는 강의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On-line four-step learning method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in-depth lecture focusing on the core contents of pre-distributed learning preparation contents online while the teacher conducts online lessons centered on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on the day.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온라인에서의 재복습 및 시험문제 테스트 과정은,The online retake and exam test process 온라인상의 가상 교실수업에서 진행된 전자교재의 핵심내용을 교사가 시험문제화함과 아울러 시험결과에 대한 재교육기준 등을 학습중앙센터의 인트라넷에 등록하고,The teacher questions the core contents of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conducted in the virtual classroom class online and registers re-education standards for the test results on the Intranet of the Central Learning Center. 온라인으로 전송된 재복습 내용 및 상기 시험문제에 학생이 응시하여 복습및 자신의 이해력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학습중앙센터에서 채점한 후 재교육자 명단을 작성하고 이를 온라인을 통해 교사와 학생에게 재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온라인의 4단계 학습방법.Students review the contents of the re-review and the test questions sent online, verify the review and their understanding, score the results at the Central Learning Center, create a list of re-educators, and re-send them to teachers and students online. Characterized in that, online learning step 4 us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온라인에서의 재교육 과정은,The retraining course online is 학습중앙센터로 부터 전송되어져 오는 시험결과에 따라 교사가 재교육자 명단을 출력하여 각 학생별로 이해력이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각 학생별 또는 소수의 학생집단 별로 온라인에서의 재교육이 실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4단계 학습방법.According to the test result sent from the learning center, the teacher prints out the list of retrainers to identify the lack of understanding for each student, and retrains online for each student or a small number of student groups. Four-step learn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가상의 각 단위학교 교사 외에 개인과외교사 및 방문교사들도 전자교재를 중심으로 개개인의 학생들과 연계하여 4단계의 학습과정을 단계적으로 밟아 나갈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재를 이용한 4단계 학습방법.In addition to the virtual school teachers, individual tutors and visiting teachers can follow the four-step learning process step by step in connection with individual students centered on the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Way.
KR1020000027267A 2000-05-20 2000-05-20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Ceased KR200101060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267A KR20010106020A (en) 2000-05-20 2000-05-20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267A KR20010106020A (en) 2000-05-20 2000-05-20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020A true KR20010106020A (en) 2001-11-29

Family

ID=1966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267A Ceased KR20010106020A (en) 2000-05-20 2000-05-20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602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79B1 (en) * 2006-12-15 2009-04-03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Exhaust gas purging catalys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exhaust gas purging cataly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79B1 (en) * 2006-12-15 2009-04-03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Exhaust gas purging catalys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exhaust gas purging cataly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dez et al. Computer-based technology and learning: Evolving uses and expectations.
Balli et al. Preservice teachers' field experiences with technology
Kanter Fundamental concepts of problem-based learning for the new facilitator
Wilcox et al. Best Practice Goes Online.
KR20010106820A (en)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with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Mustikasari Developing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need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for madrasah English teachers
Cheruiyot Effect of computer assisted teaching strategy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in biology in public secondary schools in Baringo County, Kenya
Nobel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the acquisi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science vocabulary words for seventh grad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or low achievement
Shambaugh The cognitive potentials of visual constructions
KR20010106020A (en)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electronic teaching material
Doomaa et al. Development of MATH-erials for teaching numeracy in early childhood
KR20010104890A (en)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internet
Wetzel et al. An evaluation of technology integration in methods courses
Kivuva et al. Computer assisted learning and its effect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chemistry, Case of Makueni County, Kenya
Shana A Pilo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 CD-ROM Vis-À-Vis Traditional Print-Based Technology in Teaching Fourth-Grade Children
Abbott Interactive Pedagogical Techniques: Effective Teaching Tools In Varied Learning Modalities
Depka Designing assessment for mathematics
Rebollo et al. The crux of mobile learning: Key aspects in teaching with mobile devices
Steen Analyzing the impact of Web-based geometry applets on first grade students
Sorensen Guided inquiry in Stage 4 history: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 librarians and classroom teachers
Gort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in the education of ELLs
Haruna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Some Selected Secondary Schools in Kebbi State
Salim EFFECTS OF IMPROVISED TEACHING MATERIAL ON SECONDARY SCHOOL BIOLOGY STUDENTS ACHIEVEMENT IN NIGER STATE
KR20010103236A (en) On-line and off-line of combination with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Hillis The effects of using a learning profile assessment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for fourth and fifth grade mathematics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