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05881A -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881A
KR20010105881A KR1020000026928A KR20000026928A KR20010105881A KR 20010105881 A KR20010105881 A KR 20010105881A KR 1020000026928 A KR1020000026928 A KR 1020000026928A KR 20000026928 A KR20000026928 A KR 20000026928A KR 20010105881 A KR20010105881 A KR 2001010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ase
lock bar
lock
bu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원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102000002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5881A/ko
Publication of KR2001010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88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동 키이의 키이 뭉치를 스티어링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도록 고안되어 여러 가지 방식의 스티어링 칼럼에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동 키이를 삽입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키이 뭉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키이 장치에 있어서, 스티리어링 샤프트 및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측에 설치된 재킷에 설치되고 록킹 홈이 형성된 록 슬리브와, 록 슬리브와 대향되는 위치에 재킷의 외면에 설치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이동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를 잠금 및 해제시키게 되는 록 바와, 케이스 내부의 록 바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록 바를 당기는 전자석과, 케이스 내면 및 록 바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록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일단은 전자석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를 관통하여 케이스 외부에 설치된 키이 뭉치에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키이 뭉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Separable type ignition key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동 키이의키이 뭉치를 스티어링 칼럼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도록 고안되어 여러 가지 방식의 스티어링 칼럼에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은 운전을 위한 핸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조향장치의 일부를 이룬다. 스티어링 칼럼은 조향장치와 연결된 샤프트와 이를 감싸는 재킷으로 이루어져 있고, 운전자가 시동 키이를 뽑아 차량을 주차시키는 경우에는 핸들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록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키이 장치는 스티어링 칼럼의 샤프트의 내부에 록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그 록 장치의 내부에는 키이 뭉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키이 뭉치는 사용자의 키이 동작에 따라 록 장치를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로서, 그 키이 뭉치가 스티어링 칼럼의 샤프트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키이 장치는 키이 뭉치가 스티어링 칼럼의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이 동작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몸을 앞으로 굽혀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키이 장치는 키이 뭉치가 스티어링 칼럼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레이크 틸트 타입(rake tilt type)의 스티어링 칼럼의 경우에는 키이 뭉치는 I.P. 패널에 위치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티어링을 구속하기 위한 록 바가 전자석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고 이 전자석은 와이어를 통하여 키이 뭉치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키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핸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크 틸트 타입의 스티어링 칼럼의 경우에도 키이 뭉치의 위치를 I.P. 패널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샤프트 2 : 재킷
3 : 록 슬리브 3a : 록킹 홈
4 : 케이스 5 : 록 바
6 : 스프링 7 : 전자석
8 : 와이어 9 : 키이 뭉치
10 : 키이
본 발명은 시동 키이를 삽입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키이 뭉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키이 장치에 있어서,
스티리어링 샤프트 및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측에 설치된 재킷에 설치되고 잠금홈이 형성된 록 슬리브와, 상기 록 슬리브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재킷의 외면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잠금 및 해제시키게 되는 록 바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록 바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록 바를 당기는 전자석과, 상기 케이스 내면 및 상기 록 바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록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일단은 상기 전자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에 설치된 상기 키이 뭉치에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에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1)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를 감싸는 재킷(2)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에 고정되고 록킹 홈(3a)이 형성된 록 슬리브(3)와, 상기 재킷(2)의 외면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케이스(4)와, 상기 케이스(4)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키이(10) 동작에 따라 전후진됨으로써 상기 록 슬리브(3)의 록킹 홈(3a)에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가 구속되도록 하는 록 바(5)와, 상기 케이스(4) 내부 상기 록 바(5)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류가 통하는 경우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록 바(5)를 끝어 당김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1)의 구속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전자석(7)과, 상기 케이스(4) 내면과 상기 록 바(5) 사이에 설치되어 항상 상기 록 슬리브(3) 쪽으로 인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6)과, 일단은 상기 전자석(7)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4)를 관통하여 상기 키이 뭉치(9)에 연결된 와이어(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이 뭉치(9)는 상기 와이어(8)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 즉, 시동 키이(10)가 잠금 위치에 있거나 시동 키이(10)를 상기 키이 뭉치(9)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상기 전자석(7)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전자석(7)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록 바(5)는 상기 스프링(6)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록 슬리브(3) 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록 바(5)의 끝단이 상기 록 슬리브(3)의 록킹 홈(3a)에 걸리게 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키이(10)를 상기 키이 뭉치(9)에 넣고, 시동을 걸거나 잠금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8)를 통하여 상기 전자석(7)에 전원이 인가되게 되어 상기 전자석(7)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전자석(7)이 동작하게 되면, 그 인력에 따라 상기 록 바(5)가 상기 전자석(7) 쪽으로 끌어 당겨지도록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록 바의 끝단은 상기 록 슬리브(3)의 록킹 홈(3a)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의 구속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는 키이 뭉치(9)가 잠금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석(7)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전류의 공급 통로가 와이어(8)이기 때문에 키이 뭉치(9)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

  1. 시동 키이를 삽입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키이 뭉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키이 장치에 있어서,
    스티리어링 샤프트 및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측에 설치된 재킷에 설치되고 록킹 홈이 형성된 록 슬리브와, 상기 록 슬리브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재킷의 외면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잠금 및 해제시키게 되는 록 바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록 바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록 바를 당기는 전자석과, 상기 케이스 내면 및 상기 록 바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록 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일단은 상기 전자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에 설치된 상기 키이 뭉치에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KR1020000026928A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Ceased KR20010105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928A KR20010105881A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928A KR20010105881A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881A true KR20010105881A (ko) 2001-11-29

Family

ID=1966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928A Ceased KR20010105881A (ko) 2000-05-19 2000-05-19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588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657U (ko) * 1995-12-30 1997-07-29 차량용 키 록
JPH1067331A (ja) * 1996-08-28 1998-03-10 Honda Motor Co Ltd ケーブル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9980047809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차량의 키 실린더 마운팅구조
KR19980056997U (ko) * 1997-01-27 1998-10-15 김무 회동 가능한 시동키 박스
KR200143658Y1 (ko) * 1994-08-16 1999-06-15 정몽규 차량도난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658Y1 (ko) * 1994-08-16 1999-06-15 정몽규 차량도난 방지장치
KR970039657U (ko) * 1995-12-30 1997-07-29 차량용 키 록
JPH1067331A (ja) * 1996-08-28 1998-03-10 Honda Motor Co Ltd ケーブル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9980047809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차량의 키 실린더 마운팅구조
KR19980056997U (ko) * 1997-01-27 1998-10-15 김무 회동 가능한 시동키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59B1 (ko) 차량 보안을 위한 전자 키 구조
EP1647457A1 (en) Steering lock apparatus
EP1174314A3 (en) Electric vehicle steering lock
KR20010105881A (ko) 자동차용 분리형 키이 장치
JP4355075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盗難防止装置
EP3239026A1 (en) Vehicle
JP488184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695724B2 (ja) ハンドル
JP427487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6040535A (en) Starter switch, in particular ignition starter switch for motor vehicle
KR100383937B1 (ko) 자동차의 조향잠금장치
EP0636523A1 (en) Steering lock device
JP3324524B2 (ja) 車載用音響機器の盗難防止機構
KR100399120B1 (ko) 자동차의 보조 핸들
KR0159997B1 (ko) 차량 도난방지용 핸드파킹레버
KR200145835Y1 (ko) 자동차 도난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잠금장치
KR200155423Y1 (ko) 조향 핸들용 삽입식 어시스트 레버구조
KR200162526Y1 (ko) 사이드 브레이크와 연결된 버클
RU21263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локировки откидной спинки сидень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19980060307A (ko) 운전자 승·하차시 시트의 자동 이동장치
KR100635995B1 (ko) 수동해제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9980043328U (ko) 자동차의 키 부속물 받침장치
KR200149807Y1 (ko) 자동차의 주차 유도장치
JP2005007948A (ja) ペダル装置のクレビス取付け構造およびクレビス取付け方法
KR100410761B1 (ko)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5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