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01929A - 영상기록장치, 영상기록방법 및 영상레이트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영상기록장치, 영상기록방법 및 영상레이트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29A
KR20010101929A KR1020017009733A KR20017009733A KR20010101929A KR 20010101929 A KR20010101929 A KR 20010101929A KR 1020017009733 A KR1020017009733 A KR 1020017009733A KR 20017009733 A KR20017009733 A KR 20017009733A KR 20010101929 A KR20010101929 A KR 20010101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character
record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타하시마사키
나카무라가즈히코
와타나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 H04N9/896Time-base error compensation using a digital memory with independent write-in and read-out clock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차례로 수신하는 ADC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문자정보 추출부와,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군의 일부의 영상정보를 생략 또는 중복하여 상기 영상정보의 수신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영상기록 제어부와, 추출한 문자정보를 상기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문자정보 기록제어부와, 출력된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문자정보를 각각 수신한 순서로 대응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며, 문자정보 기록제어부는 소정 조건하에서 추출된 문자정보의 값이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널값인 경우는 당해 문자정보를 상기 출력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키고, 다음 문자정보를 문자정보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출력의 대상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기록장치, 영상기록방법 및 영상레이트 조정장치{VIDEO RECORDER, VIDEO RECORDING METHOD, AND VIDEO RATE REGULATOR}
종래부터 TV 방송 및 비디오 레코더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프레임단위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차례로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DVD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장치로서, 타임 베이스 콜렉터(이하, "TBC"라 한다)를 내장하는 영상기록장치가 있다.
통상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경우, 비디오 입력신호의 수신주파수와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타이밍을 규정하는 클록주파수(이하, "표준주파수"라 한다)와는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에 동기시켜, 이 영상기록장치에 내장되는 메모리에 영상신호를 기입하고, 상술한 표준주파수에 동기시켜 이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기록을 행하면 이 메모리에 있어서의 데이터 유입유출량이 불균형하게 되어 메모리의 언더플로우 및 오버플로우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TBC는 계속적으로 기록이 행해지도록 상술한 메모리에 있어서의 언더플로우 및 오버플로우의 발생상황을 감시하여, 표준주파수에 의해 규정된 영상신호의 기록속도와 변동할 수 있는 수신주파수에 의해 정해지는 영상신호의 입력속도의 차를 흡수하기 위한 처리, 요컨대, 영상신호를 영상프레임단위로 추가하고 또는 정선하는 처리를 행하여, 메모리에서의 데이터량의 수지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준주파수에 대하여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가 높은 경우, 메모리로의 데이터 유입량이 유출량을 상회하기 때문에 TBC는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를 메모리로부터 스킵하고 출력하며, 또한 표준주파수에 대하여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가 낮은 경우, 메모리로의 데이터 유입량이 유출량을 하회하기 때문에 한번 출력한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를 다시 출력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영상신호를 영상 프레임단위로 추가하고 또는 정선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중의 각 프레임은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영상신호는 영상표시를 위한 영상정보와 문자표시를 위한 문자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중에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에는 영상신호의 메모리로의 기입 및 판독에 있어서의 각 영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영상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알파벳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후술하는 문자정보에 부여된 알파벳은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2종류의 문자정보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를 나타내고, 대문자 및 소문자는 각각 상술한 2종류의 문자정보에 대응되어 있다.
도면 중의 각 프레임 내의 「/」로 구분된 위쪽은, 표준주파수에 대하여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가 높은 경우(t1< to, to= 1 / 표준주파수)에서의 영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로 구분된 아래쪽은, 표준주파수에 대하여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가 낮은 경우(t2> to)에서의 영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좌우의 방향이 시간축이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시간이 진행하여, 각 프레임에서의 상기 시간축에 대응하는 기준선은 각 프레임의 좌단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TBC에 의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가 상술한 표준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 한, 결국은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유입유출량이 불균형이 되어 메모리의 오버플로우 및 언더플로우가 생긴다.
그래서 TBC는 메모리의 오버플로우에 대해서는 도면중의 X1에 있어서,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D」는 스킵하고, 다음 영상신호「E」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또 언더플로우에 대해서는 도면중 X2에 있어서, 1프레임분의 영상신호「A」를 2회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메모리에 있어서의 오버플로우 및 언더플로우를 피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귀가 안 들리는 사람이 방송프로그램이나 비디오 등을 즐길 수있도록 배우의 더빙이나 나레이션, 효과음 등을 그대로 자막으로 표시하는 클로즈드 캡션이라는 자막표시기술이 개발되어, 자막표시를 위한 문자정보를 영상신호에 다중함으로서 영상에 동기한 자막을 표시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클로즈드 캡션 이외에도 일기예보, 시각정보 및 주가정보 등의 정보를 영상신호에 다중함으로써 이들 정보를 표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클로즈드 캡션과 함께 실용화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영상정보만이 포함되는 통상의 영상신호 내에 더욱 상술한 클로즈드 캡션 등의 문자정보가 포함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이 문자정보는 영상신호의 라인 21 내, 즉 영상의 표시에 이용되지 않은 수직귀선기간에 다중되어 있다.
또 이들 문자정보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영상신호에 다중된 문자정보를 디코드하고, 화면상에 표시시키는 디코더가 필요하고, 문자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의 여부는 시청자의 선택에 맡겨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는 29.97msec 정도의 시각정보이고,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의 누락이나 중복이 있더라도, 시각적으로 위화감을 수반하는 일은 없지만, TBC에 의해 영상신호를 영상 프레임단위로 추가하고 또는 정선하는 처리를 문자정보에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하면, 문자정보는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및 특수문자코드 등의 문자코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클로즈드 캡션용의 문자정보로서 문자「A, B」,「C, D」,「E, F」,「G, H」,「I, J」,····를 나타내는 문자정보가 순차 도래하더라도, 표준주파수에 대하여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A, B」, 「C, D」,「E, F」,「I, J」····로 기록되고, 또한 표준주파수에 대하여 영상신호의 수신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 「A, B」,「A, B」,「C, D」,「E, F」,····로 기록되어, 문자의 누락, 중복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 의미가 통하지 않는 정보로서 기록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클로즈드 캡션 등의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신호의 기록에 따라 상기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영상신호를 TBC에 의해 영상프레임단위로 추가 또는 정선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영상기록장치(1)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문자정보가 다중되어 있는 라인 21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레임단위의 영상신호와 제 1 문자정보와 제 2 문자정보와의 관계, 이들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와 패리티 비트와의 관계 및 문자코드열과 패킷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영상기록 제어부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6은 문자정보 기록제어부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7은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하여, 노멀처리 및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하여,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제 1 문자정보, 즉 클로즈드 캡션용의 문자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기록부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1은 부호화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논리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의 라인 21 스위치를 항상 유효하게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한 경우에 있어서의 TBC 문자정보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한 경우의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행하고, 기록부에 기록된 문자정보를 영상과 함께 재생하여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영상기록장치를 제품에 적용한 경우의 외관도의 일례이다.
도 18은 메모리에 문자정보가 저장되기 이전에 상술한 노멀처리,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 헤더 파기처리 및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문자정보 기록제어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TBC을 개재하여 기록하는 경우라도 문자정보를 가능한 한 충실하게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 및 영상기록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영상기록장치로부터 기록매체를 제거한 구성이며, 상기 기록을 달성하기 위한 기록용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레이트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영상기록장치는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차례로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군의 일부의 영상정보를 생략 또는 중복하고, 상기 영상정보의 수신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주기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과, 추출한 문자정보를 상기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문자정보 출력수단과, 출력된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문자정보를 각각 수신한 순서로 대응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소정 조건 하에서 추출된 문자정보의 값이 널(null)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널값인 경우에는 당해 문자정보를 상기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다음 문자정보를 문자정보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출력의 대상으로 하는 제외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영상기록방법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차례로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군의 일부의 영상정보를 생략 또는 중복하여 상기 영상정보의 수신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와, 추출한 문자정보를 상기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문자정보 출력단계와, 출력된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문자정보를 각각 수신한 순서로 대응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와, 소정 조건 하에서 추출된 문자정보의 값이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널값인 경우에는 해당 문자정보를 상기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제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조건이 버퍼링의 오버플로우가 발생 직전이 되었다고 하면, 이로 인하여 무효의 문자정보가 출력대상에서 제외되고 다음 문자정보가 문자정보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출력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버퍼링의 오버플로우가 경감된다.
또한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버퍼와,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문자정보를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버퍼 내의 데이터량을 검출하는 데이터량 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조건은 상기 버퍼 내의 데이터량이 제 1 임계값 이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버퍼에 저장된 순서로문자정보를 판독한 후에 상기 출력을 실시하고, 상기 제외수단은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에 의한 상기 판독이 행해진 문자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외를 실시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버퍼의 데이터량이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데이터처리상 무효의 문자정보가 출력대상에서 제외되어, 상기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경감된다.
또한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값이 널값인 널정보를 생성하는 널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버퍼의 데이터량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널정보를 상기 문자정보 대신에 상기 출력을 실시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상기 버퍼의 데이터량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도 널값을 갖는 문자정보가 출력수단에서 출력되어 문자정보의 출력이 도중에서 끊기는 일이 회피된다.
또 상기 기록매체는 DVD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덧붙여서 문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정보도 차례로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또한 당해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포함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포함정보의 내용에 관계없이 기록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여, 1개의 VOB(Video Object)에 상기 기록을 실시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상기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영상정보 내의 문자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의 플래그가 있음으로서 1개의 VOB에 기록되고,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한 상기 플래그는 라인 2l 스위치라고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영상정보 내에 문자정보가 있는 것으로 하여 라인 21 스위치가 출력되고, 1개의 VOB에 기록이 실시되어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문자정보의 값은 클로즈드 캡션으로서 이용되는 문자코드라고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소정의 조건이 버퍼링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려는 상황이라면, 이것에 의해 무효의 클로즈드 캡션용 데이터가 출력대상으로부터 제외되고, 재생시의 문자표시에 지장없게 상기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경감된다.
또 상기 기록매체는 DVD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덧붙여서 문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정보도 차례로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또한 당해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포함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포함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이고, 또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무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되는 영상정보에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이고, 또 상기 플래그가 변화하는 전후에 있어서, 상기 기록을 실시하기 위한 VOB를 다른 VOB로 한다고 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상기 영상정보 내의 문자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의 플래그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별도의 VOB로서 상기 기록이 실시되고,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플래그는 라인 21 스위치로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라인 21 스위치의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별도의 VOB로서 상기 기록이 실시되고,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기록매체는 DVD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덧붙여서 문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정보도 차례로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또한 당해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포함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포함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출력을 개시한 시점에서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하는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여하고, 또한 상기 출력을 개시한 시점에서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무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할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여하여, 1개의 VOB에 상기 기록을 실시하고, 상기 출력개시후의 상기 포함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의 여하에 관계없이 당해 플래그를 유지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출력을 개시한 시점에서의 상기 포함정보가 모든 기록에 있어서의 상기 영상정보 내의 문자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DVD 레코딩 규격의 플래그를 결정하고, 1개의 VOB에 기록이 실시되기 때문에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플래그는 라인 21 스위치라고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출력을 개시한 시점에서의 상기 포함정보가, 모든 기록에 있어서의 라인 21 스위치의 출력을 결정하고, 1개의 VOB에 기록이 실시되기 때문에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수신한 상기 문자정보의 열은 패킷 헤더를 갖는 패킷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문자정보의 값이 상기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외수단은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이 제 1 임계값보다 큰 값인 제 3 임계값을 넘은 경우, 문자정보 출력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문자정보의 값이 상기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것이면, 당해 문자정보를 포함하며, 당해 문자정보로부터 소정주기후까지 버퍼링된 문자정보의 열을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이 제 3 임계값을 넘은 경우, 당해 문자정보를 포함하며, 당해 문자정보로부터 소정주기후까지 버퍼링된 문자정보의 열을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버퍼링의 오버플로우가 경감된다.
또 상기 문자정보는 자(自)데이터의 하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하자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문자정보 출력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문자정보로부터 상기 하자정보를 취득하여, 하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자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하자정보를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로 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시에는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가 출력되고,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당해 하자정보를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로 함에 따라, 당해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문자정보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한 후,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시에는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가 출력되어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소정의 값은 검은 사각을 나타내는 문자코드의 값이라고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문자정보의 값을 검은 사각을 나타내는 문자코드의 값으로 한 후에,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시에 있어서는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가 출력되고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문자정보는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자정보는 상기 패리티 비트에 의해 나타내는 정오(正誤)정보이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판단수단에 의해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패리티 비트를 정상인 패리티 비트로 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한다고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패리티 비트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시에는 이 패리티 비트를 정상인 패리티 비트로 하여 문자정보가 출력된다.
또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당해 하자정보를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로 함에 따라, 당해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의 값을 널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문자정보의 값을 널값으로 한 후,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시에는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가 출력되어,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서로 다른 복수의 단어를 기억하고 있는 단어기억수단과, 상기 하자판단수단에 의해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문자정보의 전후에서 수신된 다른 문자정보의 값으로부터 얻어지는 문자를 기초로, 하나의 단어를 구성한다고 생각되는 문자열을 추출하여, 당해 문자열에 대응하는 단어를 상기 단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단어로부터 검색하고, 하자가 있는 문자정보의 값이 나타내는 문자부분이 옳다고 생각되는 문자를 취득하여 문자코드의 값으로 변환하는 문자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문자정보의 값을 상기 문자취득수단에 의해 얻어진 값으로 치환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문자정보의 값이 옳다고 생각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코드의 값으로 치환되고,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가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고, DVD 레코딩 규격이 준수된다.
또 상기 문자취득수단은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상기 문자정보의 전후에서 수신된 다른 문자정보의 값으로부터 얻어지는 문자에 있어서, 알파벳 이외의 문자가 나타나기 직전까지를 같은 하나의 단어의 범위로 하여 상기 문자열의 상기 추출을 실시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오류가 있는 문자를 포함하는 단어가 추출되고, 오류가 있는 문자에 대한 옳다고 생각되는 문자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영상레이트 조정장치는 문자정보와 영상을 차례로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접수된 영상군으로부터 일부의 영상을 생략하고, 남은 각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과, 소정 조건하에서 상기 접수된 문자정보가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문자정보 판정수단과, 상기 접수된 문자정보군 중 상기 문자정보 판정수단에 의해 널값이 아니라고 판정된 문자정보 각각을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각 영상에 대하여 각각 접수된 순서로 1 대 1로 대응하여 일정속도로 출력하는 문자정보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조건이 버퍼링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기 직전이었다고 한다면, 이것에 의해 무효의 문자정보가 출력대상에서 제외되고, 다음 문자정보가 문자정보 출력수단에서 상기 출력의 대상으로 되기 때문에 버퍼링의 오버플로우가 경감된다.
<영상기록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영상기록장치(1)의 기능블록도이다.
영상기록장치(1)는 클로즈드 캡션 등의 문자정보 및 일기예보 등의 클로즈드 캡션 이외의 문자정보와 영상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가 다중된 아날로그의 영상신호를 차례로 수신하고,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를 영상신호로부터 발생시킨 출력클록에 의존하지 않고 영상기록장치 고유의 내부기준 클록에 의거하여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장치로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00)와, 영상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하는 영상기록 제어부(101)와, 영상신호로부터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문자정보 추출부(102)와, 문자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하는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와, PLL(Phase Locked Loop)(104)과, 일정 주파수의 클록을 생성하는 클록생성부(105)와,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의 저장처인 기록부(106)와, LPF(Low Pass Filter)(107)로 이루어진다.
ADC(100)는 A/D 변환기로서, 영상정보, 클로즈드 캡션 등의 문자정보 및 동기신호가 다중되어 있는 TV 방송국 등으로부터 보내진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방식의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장치로부터 수취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기록 제어부(101) 및 문자정보 추출부(102)에 출력한다.
이 문자정보는 영상신호 내의 라인 21, 즉 수직귀선기간에 다중되어 있다.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 1 필드 및 제 2 필드의 각 라인 21에는 각각 2문자분의 문자정보를 저장하는 16비트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갖는다.
도 3은 문자정보가 다중되어 있는 제 1 필드의 라인 21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이하, "제 1 문자정보"라 한다)는 클로즈드 캡션에만 이용되는 문자코드와 패리티 비트로 이루어지고, 제 2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정보(이하, "제 2 문자정보"라 한다)는 클로즈드 캡션 이외의 정보로서, 예컨대 일기예보를 자막표시하기 위한 문자코드와 패리티 비트 또는 영상정보에 의해 얻어지는 영상장면이 폭력적인 것을 포함하는 경우에, 일정 연령 이상에게만 시청을 허가하기 위한, 즉 V칩 대응을 위한 제어용 문자코드와 패리티 비트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패리티 비트는 동일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코드의 정오판정용 비트이다.
제 1 문자정보 및 제 2 문자정보는 이들 문자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전송용 패킷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패킷은 헤더, 페이로드 및 푸터로 이루어진다.
도 4는 프레임단위의 영상정보와 제 1 문자정보 및 제 2 문자정보와의 관계 및 이들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 즉 문자코드와 상술한 패킷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풍선이 갈라지는 영상장면을 나타내는 영상정보와 함께 문자정보가 다중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고, 이 문자정보로서, 하나는 풍선이 갈라지는 장면과 함께「BANG ! ···」을 표시하기 위한 클로즈드 캡션용 제 1 문자정보와, 클로즈드 캡션과는 별도의 시간정보「10:12:31」등의 제 2 문자정보가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황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클로즈드 캡션에 있어서 표시해야 할 문자열「BANG !····」의「N」을 나타내는 제 1 문자정보는 그 후에 표시해야 할「G」를 나타내는 제 1 문자정보와 함께 영상신호의 2프레임째의 제 1 영역 내에 다중되어 있다.
예를 들면 「N」을 나타내는 문자정보는 8비트의 데이터로 구성되고, 그 중 의 1비트는 패리티 체크에 이용되는 비트이고, 다른 7비트에는 「N」을 나타내는ASCII, 즉「4e」가 나타나 있다.
결국 제 1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문자정보는 표시되는 문자로서는 2문자분에 상당하는 데이터량이고, 그 중 1문자분의 영역은 ASCII 및 특수문자코드 등에 의해 문자를 저장하는 7비트영역과 패리티 체크를 위해 사용하는 1비트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예컨대 상술한 7비트의 영역에 저장되는 ASCII 코드를 연결하면 1개의 패킷을 구성하고, 상술한 「N」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이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문자 데이터의 일부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문자정보에 대해서도 문자로 환산하여 2문자분에 상당하는 크기이고, 그 중 1문자분의 영역은 ASCII 등에 의해 문자를 저장하는 7비트 영역과 패리티 체크를 위해 사용하는 1비트영역으로 이루어지지만, 제 2 영역은 반드시 문자표시를 위한 문자코드가 저장되어 있다고는 한정하지 않고, V칩 대응 등의 제어용 문자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PLL(l04)은 아날로그의 상기 영상신호에 다중되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일정한 주기의 펄스열로 이루어지는 입력클록을 발생하고, 영상기록 제어부(101),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 클록생성부(105)에 출력한다.
클록생성부(105)는 입력클록을 PLL(l04)로부터 수취하고 입력클록이 고정주파수의 내부기준클록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입력클록과 주파수 및 위상을 동기시켜 내부기준클록을 발생하고, 영상기록제어부(101), 문자정보 기록제어부 (103), 클록생성부(105), 기록부(106)에 출력한다.
또 클록생성부(105)는 입력클록과 고정주파수의 내부기준클록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클록과는 비동기로 고정주파수로 지터가 없는 내부기준 클록을 발생하고, 영상기록 제어부(101),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 클록생성부(105), 기록부(106)에 출력한다.
영상기록 제어부(101)는 영상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데이터의 출납의 타이밍과 출납하는 데이터의 선정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회로로 이루어지고, ADC(100)로부터 수취한 영상정보를 영상 l프레임단위로 PLL(l04)로부터 출력되는 입력클록의 펄스에 동기시켜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고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영상정보의 판독에 대해서는 영상기록 제어부(101)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영상정보를 판독할 때의 판독하는 수 및 판독타이밍을 결정하면서, 내부기준클록의 펄스에 동기시켜 영상 1프레임단위로 판독하여 기록부(106)에 출력한다.
문자정보 추출부(102)는 ADC(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화된 영상신호에 다중되어 있는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 중의 문자정보, 즉 라인 21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문자정보 및 제 2 문자정보만을 추출하고,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로 출력한다.
LPF(l07)는 로우패스필터로서, 영상신호 내의 수직동기신호 등의 저주파성분을 분리한다.
또 이 신호는 영상기록 제어부(101)에 있어서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의 선두의 정보를 수취한 것을 판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는 CPU 및 DRAM, ROM 등의 기록매체로 이루어지고, 문자정보 추출부(102)로부터 수취한 문자정보를 PLL(l04)로부터 얻어지는 입력클록의 펄스에 동기시켜 문자정보를 상기 DRAM에 기입하면서 클록생성부(105)로부터 얻어지는 내부기준클록의 펄스입력의 타이밍으로 연속적으로 문자정보를 기록부(106)에 출력한다.
도 5는 영상기록 제어부(101)의 기능블록도이다.
영상기록 제어부(101)는 기입회로(200)와, 메모리(201)와, 판독회로(202)와, 기입 레지스터(203)와, 카운트 가산회로(204, 207)와, 포인터 비교부(205)와, 판독 레지스터(206)로 이루어진다.
기입회로(200)는 ADC(100)로부터 수취한 영상정보를 기입 레지스터(203)로부터 지정된 메모리 내부의 어드레스로 기입한다.
메모리(201)는 SDRAM 등의 메모리이고, 2프레임의 영상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16MB 정도의 용량을 갖는다.
또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는 1화면분의 정지화상을 29.97msec 동안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판독회로(202)는 판독레지스터(206)로부터 지정된 메모리(201) 내부의 어드레스로부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부(106)로 출력한다.
기입 레지스터(203)는 메모리(201)의 기입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레지스터회로로서, 기억된 값이 갱신될 때마다 기억된 값을 기입회로(200) 및 포인터 비교부(205)에 대하여 출력한다.
카운트 가산회로(204)는 PLL(l04)로부터 수취한 입력클록의 펄스입력의 타이밍으로, 기입 레지스터(203)에 기억된 값에 1가산하여, 수치를 갱신하는 회로이다.
판독 레지스터(206)는 메모리(201)의 판독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레지스터회로로서, 포인터 비교부(205)로부터 지시를 받으면 기억된 값을 판독회로(202) 및 포인터 비교부(205)에 대하여 출력한다.
카운트 가산회로(207)는 클록생성부(105)로부터 수취한 내부기준클록의 펄스입력의 타이밍으로 판독 레지스터(206)에 기억된 값에 1을 가산하여, 수치를 갱신하는 회로이다.
포인터 비교부(205)는 기입 레지스터의 값과 판독 레지스터(206)의 값을 비교하면서, 판독 레지스터(206)의 값을 재기입함으로써 메모리(201)로의 기입 및 판독 어드레스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요컨대 메모리(20l)를 링 버퍼로서 사용하기 위한 판독 어드레스의 제어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한 영상기록장치의 전원투입시에 있어서, 최초에 메모리(201) 내부의 데이터가 클리어되고, 기입 레지스터(203) 내의 어드레스값이 카운트 업되면 각각의 어드레스에 차례로 데이터가 기억된다.
전원투입후 처음으로 메모리에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에 상당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LPF(l07)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판정하면 판독 레지스터(206)의 카운트 업을 개시한다. 이 때 메모리의 반의 영역에 기입이 수료되어 기입 어드레스값과 판독 어드레스값의 차는 풀 어드레스값의 1/2로 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내부기준클록에 대하여, 입력클록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는, 단위시간당 메모리(201)로의 데이터 기입량이 판독량을 상회하기 때문에 어떤 시점에서의 메모리 내의 기입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값(이하, "기입 어드레스"라 한다)과 메모리 내의 판독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값(이하, "판독 어드레스"라 한다)의 차가 점차로 확산된다.
그리고 그 상태가 계속되면 아직 판독이 완료되지 않은 데이터에 다른 데이터를 겹쳐쓰기 위해 2프레임의 화상이 혼재된 프레임이 판독되어 영상으로서 부적합하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의 선두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LPF(107)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판정하였을 때, 기입 어드레스값과 판독 어드레스값의 차가 풀 어드레스값에 대하여 70%를 넘는 경우에는 이 때의 기입 어드레스의 값이 후에 판독 어드레스의 값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판독 레지스터(206)의 값에 메모리(201)의 풀 어드레스값의 반의 값을 가산하고,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를 스킵한다(이하, "스킵"이라 한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X1부분에 있어서, 영상정보「D」는 메모리로부터 판독되지 않고 파기되어 있고, 상술한 스킵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스킵은 입력클록의 주파수가 영상기록장치의 내부기준 클록의 주파수보다 큰 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한, 거의 정기적으로 반복되지만, 스킵되는 영상정보는 정지화상을 29.97msec 동안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고, 소실하더라도 시각적으로 문제는 없다.
한편, 내부기준 클록의 주파수에 대하여, 입력클록의 주파수가 낮은 경우는 단위시간당 메모리(201)로의 데이터 기입량이 판독량을 하회하기 때문에 기입 어드레스값과 판독 어드레스값의 차가 점차로 줄어들어 그 상태로는 드디어 메모리(201) 내의 데이터를 모두 판독하고, 언더플로우를 야기한다.
이러한 경우,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의 선두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LPF(107)로부터의 영상신호에서 판정한 시점에서, 기입 어드레스값과 판독 어드레스값의 차가 풀 어드레스값에 대하여 20%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이 시점의 기입 어드레스의 값이 판독 어드레스의 값으로서 사용되었을 때 판독 레지스터(206)의 값에, 메모리 (201)의 풀 어드레스값의 반의 값을 감산하고, 최근에 판독한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를 다시 판독한다(이하, "2회읽기"라 한다).
예컨대,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는 X2부분에 있어서, 영상정보「A」는 한번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후에 다시 판독되고, 상술한 2회읽기가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영상정보의 2회읽기는 입력클록의 주파수가 내부기준 클록의 주파수보다 낮은 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한, 거의 정기적으로 반복되지만, 2회읽기가 이루어진 영상정보는 정지화상을 29.97msec 동안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중복되어도 시각적으로 문제는 없다.
도 6은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의 기능블록도이다.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는 기입부(300), 메모리(301), 판독제어부(302), 판독부(303), 정보체크부(304), 정보가공부(305), NULL생성부(306) 및 기록출력부(307)로 이루어진다.
기입부(300)는 PLL(l04)로부터 수취한 입력클록의 펄스입력의 타이밍에서 문자정보 추출부(102)로부터 얻어지는 문자정보를 메모리(301)에 기입하고, 기입한 것을 판독제어부(302)에 출력한다.
메모리(301)는 큐에 등록하여 선입선출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DRAM 등의 기록매체이고, 1프레임에 다중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10프레임분 기억할 수 있는 40바이트의 용량을 갖고, 제 1 문자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기억영역(이하, "제 1 기억영역"이라 한다) 및 제 2 문자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기억영역(이하, "제 2 기억영역"이라 한다)을 갖는다.
또 메모리(301)는 판독제어부(302)로부터의 조회에 의해, 그 시점에서의 제 1 기억영역 및 제 2 기억영역 각각에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판독제어부(302)에 출력한다.
판독부(303)는 판독제어부(302)에 지시된 타이밍에서 메모리(301)로부터 1프레임분의 제 1 문자정보 및 제 2 문자정보 각각을 16비트단위, 즉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단위로 판독하고, 정보체크부(304)에 출력한다.
판독제어부(302)는 CPU 및 RAM 및 ROM 등의 기록매체로 이루어지고, 메모리 (301)로부터 문자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부(106)에 연속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독제어부(302)는 클록생성부(105)로부터 얻어지는 내부기준클록의 펄스입력의 타이밍에서 메모리(301)의 제 1 기억영역 및 제 2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을 취득하여, 각각의 기억영역에 대하여 1프레임분(16비트)의 문자정보의 데이터량(이하, "기준 데이터량"이라 한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메모리(301)의 메모리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 같으면, 후술하는 노멀처리를 실시하고, 메모리(301)의 메모리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 미만이면 후술하는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를 실시하고, 또한 메모리(301)의 메모리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을 넘으면 후술하는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를 실시한다.
문자정보에 대하여 실시하는 노멀처리,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 및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를 총칭하여, 이하, TBC 문자정보제어라 한다.
계속해서, 이 TBC 문자정보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독제어부(302)는, 메모리(301)에 대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조회하여 메모리 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 같은 경우에는 노멀처리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독제어부(302)는 클록생성부(105)로부터 얻어지는 입력펄스의 타이밍에서 메모리(301)의 제 1 기억영역 및 제 2 기억영역 각각의 사용량을 메모리(301)에 조회한다.
그리고 메모리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 같은 경우에는 판독제어부(302)는 그 영역에 기억되고, 최선의 순위로 큐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판독하도록 판독부(303)에 지시하고, 그 결과 메모리(301)로부터 판독되고, 정보체크부(304)를 개재하여 기록출력부(307)에 수수되는 문자정보를 상기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하는 시점에서 출력하도록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
요컨대, 판독제어부(302)는 제 1 문자정보 및 제 2 문자정보 각각에 TBC 문자정보제어를 실시한다.
또 메모리(301)에 대한 조회 결과,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 미만인 경우, 판독제어부(302)는 그 영역에 저장되어야 할 문자정보, 예컨대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 미만이면, 제 1 문자정보에 대하여 판독제어부(302)는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독제어부(302)는 메모리(301)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 미만인 경우, NULL 생성부(306)에 대하여, 데이터처리상 의미를 갖지 않은 무효의 문자코드, 즉 널값이 나타난 문자코드를 구성하는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지시를 행하고, 그 결과, 생성되는 문자정보(이하, "생성문자정보"라 한다)를 기록출력부(307)에 대하여, 상기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하는 시점에서 기록부(106)에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도 7은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하여, 노멀처리 및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판독제어부(302)는 클록생성부(105)로부터 얻어지는 입력펄스의 타이밍에서 메모리(301)에 대하여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을 조회하면 도면 중에서의 제 1회째의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에 있어서는,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 동일해지기 때문에 노멀처리에 의해 판독부(303)에, 문자「A」및「B」를 나타내는 문자정보를 메모리(301)로부터 판독하게 하고, 이들 문자정보를 상기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하는 시점에서 출력하도록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
그리고 판독제어부(302)에 의한 제 2 회째의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에 있어서는 메모리 사용량이 0, 즉 기준 데이터량 미만으로, 다음에 도래해야 할 문자「C」 및 「D」는 메모리(301)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판독제어부(302)는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를 실시하고, NULL 생성부(306)에 1프레임분의 생성문자정보를 생성시켜, 이 생성문자정보를 상기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하는 시점에서 기록부(106)에 출력하도록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
다음에 도래하는 「C」 및 「D」를 나타내는 문자정보, 그 다음에 도래하는 「E」 및 「F」를 나타내는 문자정보에 대해서는 판독제어부(302)는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 동일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노멀처리를 실시한다.
또 이러한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가 빈번히 실시되는 상황으로서, 영상신호 중에 문자정보가 다중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계속해서,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301)에 대한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 결과,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을 넘는 경우에는 그 영역에 저장되어야 할 문자정보, 예컨대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을 넘은 경우, 제 1 문자정보에 대하여 판독제어부(302)는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독제어부(302)는 메모리(301)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을 넘는 것을 확인하면 판독부(303)에 대하여, 이 문자정보의 판독을 지시한다.
그 결과, 문자정보는 판독부(303)에 의해 메모리(301)로부터 판독되고 정보체크부(304)에 출력된다.
그리고, 이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이 아니라는 취지가 정보체크부(304)로부터 통지된 경우, 판독제어부(302)는 이 문자정보를 다음 상기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하는 시점에서 출력하도록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
한편, 이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이라는 취지가 정보체크부(304)로부터 통지된 경우, 판독제어부(302)는 정보체크부(304)에 지시하여 이 문자정보를 파기시키고, 즉시 메모리(103)에 대하여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를 행하고, 노멀처리 또는 상술한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를 실시한다.
요컨대, 판독제어부(302)는 널값의 문자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자정보 대신 메모리(301)에 있어서 이 문자정보의 다음에 큐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기록출력부(307)로부터의 출력대상으로 한다.
단 메모리(301)에 있어서 다음에 큐등록되어 있는 상술한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이고, 또 이 문자정보를 판독하기 직전에 메모리(301)의 메모리 사용량이 여전히 기준 데이터량을 초과하면, 판독제어부(302)는 다시 그 다음에 큐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기록출력부(307)로부터의 출력대상으로 한다.
도 8은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하여,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판독제어부(302)는 클록생성부(105)로부터 얻어지는 펄스의 타이밍에서, 메모리(301)에 대하여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을 조회하면 도면 중에서의 제 1 회째의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에 있어서는,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같으므로 상술한 노멀처리를 실시하게 되고, 판독부(303)에 문자 「a」 및 「b」를 나타내는 문자정보를 메모리(301)로부터 판독시키고, 이들 문자정보를 상기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하는 시점에서 출력하도록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
그리고, 제 2 회째의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에 있어서는,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보다도 커지므로 판독제어부(302)는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에 의해 판독부(303)에 지시하여 메모리(301)로부터 제 1 문자정보를 판독시킨다.
그 결과, 판독된 문자정보는 정보체크부(304)에 출력된다.
이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은 널값이기 때문에 정보체크부(304)로부터 널값이라는 취지가 통지되므로 판독제어부(302)는 정보체크부(304)에 이 문자정보를 파기시키고, 즉시 메모리(301)에 대하여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를 행하면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 동일해지기 때문에 노멀처리를 실시하게 되고, 「c」 및 「d」를 나타내는 문자정보를 메모리(301)로부터 판독시키고, 상기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하는 시점에서 기록부(106)에 출력하도록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
나중에 메모리(301)에 저장되는 문자정보「NULL」및「NULL」,「e」및「f」에 대해서는 메모리(301)에 대한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의 조회에 있어서,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데이터량과 같기 때문에 상술한 노멀처리를 실시한다.
요컨대, 메모리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과 동일해지는 경우에는 널값의 문자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자정보가 도래하더라도 노멀처리에서는 파기되지 않고 그대로 기록출력부(307)에 출력된다.
또 1프레임의 문자정보로서, 8비트의 데이터가 2개 존재하지만, 널값의 문자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자정보가 도래하는 경우, 그 대부분은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 즉 8비트의 데이터량을 갖는 2개의 문자정보 각각에 널값의 문자코드가 저장되어 도래한다.
이 때문에,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에 의한 문자정보의 파기는 1프레임단위의 데이터량, 즉 16비트단위로 실시된다.
그런데, 메모리(30l)의 사용량이 기준 데이터량을 넘고, 또 메모리(301)에 큐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이 아닌 것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판독제어부(302)에 의해 상술한 제어를 실시한 결과, 메모리의 사용량은 점점 증가하고, 결국은 오버플로우가 되어 메모리(301)에 큐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의 일부는 겹쳐쓰기에 의해 소실된다.
이러한 사태가 생기기 전에 상술한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를 보완하는 헤더파기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복수의 제 1 문자정보, 즉 클로즈드 캡션용 문자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상술한 겹쳐쓰기에 의해 소실된 문자정보가 패킷의 푸터였던 경우에는 헤더와 페이로드만 존재하는 패킷이 발생하고, 이대로 기록부(106)에 기록되면 클로즈드 캡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코더는 재생시에 이 패킷을 디코드하지 못하고 에러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소실된 문자정보가 패킷의 헤더였던 경우에는 페이로드와 푸터만 존재하는 패킷이 발생하지만, 이대로 기록부(106)에 기록되더라도 상기 디코더는 재생시에 이 패킷을 무시할 수 있는 성질이 있다. 요컨대, 이 패킷의 데이터가 누락되는 이외에는 문자정보의 디코드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판독제어부(302)는 메모리(301)의 사용량이 어떤 임계값을 넘은 경우, 판독부(303)에 의해 메모리(301)로부터 판독한 문자정보가 패킷의 헤더인지의 여부를 정보체크부(304)에 판단시켜, 헤더이면 당해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 이후의 48비트분, 즉 3프레임분의 데이터를 판독부(303)에 의해 메모리(301)에서 판독시켜 파기하는 처리, 즉 헤더파기처리를 실시한다.
상술한 임계값은 제 1 문자정보 및 제 2 문자정보에 대하여 각각 5프레임분의 메모리 사용량, 즉 80비트로 설정되어 있다.
또 메모리의 사용량이 상술한 임계값을 넘은 경우라도 판독부(303)에 의해 메모리(301)로부터 판독된 문자정보가 정보체크부(304)에 의해 이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 문자정보를 파기하는 처리를 우선하여 실시한다.
이와 같이, 판독제어부(302)는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 내의 각 기능부에 지시하여, 메모리(301)로부터 문자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부(106)에 연속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TBC 문자정보제어를 실시한다.
정보체크부(304)는 CPU 및 ROM 등의 기록매체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에 따라 판독부(303)로부터 수취한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을 참조하여 이 값이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널값이면 그 취지를 판독제어부(302) 및 정보가공부(305)에 통지한다.
또 정보체크부(304)는 상술한 헤더파기처리에 따라, 판독부(303)로부터 수취한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을 참조하여, 이 값이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값이면 그 취지를 판독제어부(302)에 통지하고, 이 문자정보를 파기한다.
이러한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을 참조하여, 널값 또는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이하, 구문해석이라고 한다.
그런데, DVD 규격에 있어서 노이즈 등의 원인에 의해 오류가 생긴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오류가 생긴 데이터를 정정하여 기록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정보체크부(304)는 노멀처리 및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의 실시의 결과, 기록출력부(307)로부터의 출력의 대상이 된 문자정보에 대하여 패리티 체크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체크부(304)는 판독부(303)로부터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 즉 각각 16비트의 화면표시에서의 2문자분의 데이터량을 갖는 문자정보를 수취하고, 판독제어부(302)에 의한 노멀처리 및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의 실시에 의해 파기되지 않고 기록출력부(307)로의 출력대상이 된 문자정보에 대하여 8비트의 데이터의 단위, 즉 1문자분의 단위로 상술한 패리티체크를 실시한다.
1문자분의 문자정보는 도 4의 중앙의 도면에 나타낸 구성으로 되어 있고, 1비트의 패리티 비트와 7비트의 데이터(ASCII 등)로 이루어진다.
정보체크부(304)는 이들 8비트중 「1」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가 홀수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7비트의 데이터에는 오류가 생긴 것이라고 판단하여, 문자정보에 오류가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 및 정보가공부(305)에 출력하고, 또 오류가 있는 그 문자정보(이하, "정정요 문자정보"라 한다)를 정보가공부(305)에 출력한다.
또 문자정보의 패리티체크를 실시하여,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정보체크부(304)는 그 문자정보(이하, "정상문자정보"라 한다)를 기록출력부(307)에 출력한다.
정보가공부(305)는 정보체크부(304)로부터 수취한 문자정보 및 패리티 체크의 결과로부터 그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 및 패리티 비트의 정정을 실시하고, 정정후의 문자정보(이하, "정정후 문자정보"라 한다)를 기록출력부(307)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을 검은 사각(이하, "솔리드 블록"이라 한다)을 나타내는 ASCII의 값「7f」로 치환하여 정상인 패리티 비트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체크부(304) 및 정보가공부(305)에 의해 실시되는 DVD 레코딩 규격에 준거하여 행해지는 패리티 비트를 정정하기 위한 처리를 이하 패리티 정상화처리라 한다.
NULL 생성부(306)는 판독제어부(302)로부터의 생성지시에 의해 1프레임분의 널값의 문자코드로 구성되는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문자정보로서 기록출력부 (307)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ULL 생성부(306)는 1프레임분의 생성문자정보로서 문자코드의 값을 널값을 나타내는 문자코드, 즉 ASCII(7비트)의 값「00」이라고 한 것에 패리티 비트(1비트)를 붙인 8비트 데이터를 2개 생성한다.
기록출력부(307)는 판독제어부(302)로부터 지시된 정상문자정보, 정정후 문자정보 및 생성문자정보중 어느 하나의 문자정보를, 클록생성부(105)로부터 얻어지는 내부기준 클록의 펄스입력의 타이밍에서 연속적으로 기록부(106)에 출력한다.
도 10은 기록부(106)의 기능블록도이다.
기록부(106)는 부호화 다중화부(800)와 기입부(801)와 기록매체(802)로 이루어진다.
부호화 다중화부(800)는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로부터 문자정보를 수취하고, 또한 영상기록 제어부(101)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취하고, 수취한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를 DVD 레코딩 규격에 따라 부호화하여 다중화한 것(이하, "DVD 데이터"라 한다)을 기입부(801)에 출력한다.
기입부(801)는 상술한 DVD 데이터를 DVD에 기입한다.
도 11은 부호화 다중화부(8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논리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의 VOB(Video Object)는 하나의 TV 프로그램 등의영상정보 및 음성데이터의 기록단위이고, 그 중의 0.4∼1초에 상당하는 영상정보 및 음성데이터 단위가 VOBU(Video Object Unit)라 불린다.
이 VOBU에는 재생시에 확보해야 할 버퍼의 사이즈 및 전송레이트 등의 정보가 저장된 2킬로바이트의 데이터량을 갖는 1개의 내비팩과,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비디오팩과, 본 발명과 관계없기 때문에 기술하지 않고 있는 음성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팩의 세트가 복수 저장되어 있다.
1개의 VOBU는 1개 또는 2개의 GOP(Group of Picture)로 구성되고, 또한 이 GOP는 타임코드 등을 저장하는 GOP 헤더, 사용자 데이터의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한 확장 & 사용자 데이터영역, I픽처, P픽처, B픽처로 이루어지고, 이들 픽처는 15프레임분의 화상데이터에 상당한다.
부호화 다중화부(800)는 15프레임분의 제 1 문자정보 및 제 2 문자정보를 GOP 내의 상술한 확장 & 사용자 데이터영역에 저장한다.
그런데, DVD 레코딩 규격에서는 1개의 기록단위인 VOB에서 문자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변경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문자정보중의 하나인 클로즈드 캡션에 대응한 프로그램의 본편과 클로즈드 캡션에 대응하지 않은 CM 등이 혼재하는 경우라도, 이들을 1개의 VOB로서 DVD에 기록하고자 하면 본편 및 CM의 모두에서 문자정보가 있는 것으로서 플래그를 세우거나 또는 본편 및 CM의 모두에서 문자정보가 없는 것으로서 플래그를 세우는 것 중 어느 하나에만 DVD 레코딩 규격을 만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호화 다중화부(800)에 의해 문자정보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변경점에서 VOB를 분할하여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를 기록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 VOB의 수는 1디스크 중 99개까지라는 제약이 있어 쉽게 VOB의 수를 늘릴 수 없다.
따라서 부호화 다중화부(800)는 영상신호 내의 라인(2l)의 신호가 문자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의 문자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즉 라인 21 스위치를 항상 유효하게 한 상태에서 DVD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12는 상술한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의 라인 21 스위치를 항상 유효하게 기록하기 위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문자정보의 유무, 즉 라인 21 내의 데이터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즉 DVD 레코딩 규격의 라인 21 스위치가 문자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문자정보있음을 나타내는 「1」로 되어 있다.
또 영상신호 중에 문자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인 21 스위치를 항상 유효하게 하더라도, 판독제어부(302)에 의한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에 의해 생성문자정보가 생성되기 때문에 부호화 다중화부(800)에 있어서는, 널값의 문자정보가 항상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영상기록장치(1)에 있어서의 각부의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 영상기록장치(1)에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한 경우의 TBC 문자정보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판독제어부(302)는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여 (단계 S500), 펄스입력이 있을 때까지 처리를 기다려 펄스입력의 타이밍에서 메모리(301)에 대하여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을 조회하고 메모리 사용량을 취득하고(단계 S501),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량, 즉 16비트의 데이터량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02),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양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를 실시하고(단계 S503),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량 이상인 경우, 판독제어부(302)는 판독부(303)에 메모리로부터 1프레임분, 즉 16비트의 제 1 문자정보의 판독을 지시한다(단계 S504).
이 지시에 의해 판독부(303)는 메모리(301)로부터 제 1 문자정보를 판독하여 정보체크부(304)에 출력한다.
정보체크부(304)는 수취한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을 참조하고, 그 값이 널값,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값 또는 그 이외의 값인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구문해석을 실시하고(단계 S505), 그 결과를 판독제어부(302) 및 정보가공부(305)에 통지한다.
계속해서 판독제어부(302)는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양, 즉 16비트의 데이터량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06),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양과 같은 경우, 후술하는패리티 정상화처리를 실시하고(단계 S507),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양과 같지 않은 경우, 즉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양 이상인 경우, 판독제어부(302)는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를 실시하게 되고, 정보체크부(304)로부터 통지된 구문해석의 결과를 참조하여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08),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이면, 정보체크부(304)에 그 제 1 문자정보의 파기를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의해 정보체크부(304)는 그 제 1 문자정보를 파기한다(단계 S509).
그리고 판독제어부(302)는 즉시 메모리(30l)에 대하여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을 조회하고, 메모리 사용량을 취득하는 단계 S501로 되돌아가고, 이후의 단계에 의거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통지된 구문해석의 결과가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널값 이외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판독제어부(302)는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5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양, 즉 80비트의 데이터량을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10),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5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양을 넘지 않는다면 후술하는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실시하고(단계 S507),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 1 기억영역의 메모리 사용량이 5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량을 초과하면, 판독제어부(302)는 통지된 구문해석의 결과가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패킷의 선두인 것을 나타내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11),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패킷의 선두 이외를 나타내는 경우, 후술하는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실시하고(단계 S507),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또 통지된 구문해석의 결과가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패킷의 선두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판독제어부(302)는 정보체크부(304)에 그 제 1 문자정보의 파기를 지시하고, 또 메모리(301) 내의 이 제 1 문자정보의 직후에 큐등록되어 있는 2프레임분의 제 1 문자정보에 대하여 판독부(303)에 판독을 지시하고, 그 결과 메모리(301)로부터 판독부(303)로, 판독부(303)로부터 정보체크부 (304)로 수수된 2프레임분의 제 1 문자정보를 파기하는 지시를 정보체크부(304)에 대하여 행한다(단계 S512).
요컨대, 헤더파기처리가 실시되고, 이것에 의해 정보체크부(304)에 있어서 패킷의 선두인 것을 나타내는 값의 문자코드로 이루어지는 제 1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연속하는 3프레임분의 제 1 문자정보가 파기된다.
이상의 처리는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한 경우의 TBC 문자정보제어를 설명한 것이지만, 제 2 문자정보에 대해서도 같은 처리가 되고, 그 경우 제 1 문자정보는 제 2 문자정보에, 또한 제 1 기억영역은 제 2 기억영역에 다시 판독된다.
도 14는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판독제어부(302)는 NULL 생성부(306)에 대하여 널값의 문자코드를 구성하는 문자정보, 즉 생성문자정보를 생성하는 지시를 행한다(단계 S525).
그 결과, NULL 생성부(306)로부터 생성문자정보가 생성되어, 기록출력부 (307)에 출력된다.
판독제어부(302)는 이 기록출력부(307)에 생성된 생성문자정보의 출력을 지시한다(단계 S526).
그리고, 기록출력부(307)는 단계 S500에 있어서 유무를 판정한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록부(106)에 출력하고(단계 S527),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도 15는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한 경우의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판독제어부(302)는 정보체크부(304)에 이 정보체크부(304)가 취득한 제 1 문자정보의 패리티 체크를 실시하는 지시를 행한다(단계 S530).
이 지시에 의해 정보체크부(304)는 제 1 문자정보의 패리티 체크를 실시하고, 패리티가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판독제어부(302)에 통지한다.
판독제어부(302)는 통지된 패리티 체크의 결과로부터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인식하고(단계 S531), 정상이면 이 제 1 문자정보, 즉 정상문자정보의 출력을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단계 S532).
이로 인하여 기록출력부(307)는 정보체크부(304)로부터 수취한 이 제 1 문자정보, 즉 정상문자정보를 단계 S500에서 유무를 판정한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록부(106)에 출력하고(단계 S533),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 1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이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이 판단대상이 된 제 1 문자정보는 이미 정보체크부(304)로부터 정정요구 문자정보로서 정보가공부(305)에 수수되고, 정보가공부(305)에 의해 이 정정요구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 및 패리티 비트의 정정이 이루어져 정정후 문자정보로 된 후, 기록출력부(307)에 출력되어 있으므로 판독제어부(302)는 이 정정후 문자정보의 출력을 기록출력부(307)에 지시한다(단계 S534).
그리고, 기록출력부(307)는 정보체크부(304)로부터 수취한 이 제 1 문자정보를 단계 S500에서 유무를 판정한 펄스의 입력으로부터 15msec가 경과한 시점에서 기록부(106)에 출력하는 단계 S533을 실행하고, 클록생성부(105)로부터의 펄스입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이상의 처리는 제 1 문자정보에만 착안한 경우의 패리티 정상화 처리를 설명한 것이지만, 제 2 문자정보에 대해서도 같은 처리가 되고, 그 경우 제 1 문자정보는 제 2 문자정보에, 또한 제 1 기억영역은 제 2 기억영역에 다시 판독된다.
도 16은 이러한 패리티 정상화 처리를 행하고, 기록부(106)에 기록된 문자정보를 영상과 함께 재생하여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원래 「Good morning」이라고 표시해야 하는 곳을 정보체크부(304)에 의해, 「r」이라고 표시해야 하는 문자 1702를 나타내는 문자정보에 오류가 확인된 경우, 이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의 값을 검은 사각, 즉 솔리드 블록을 나타내는 문자코드로 치환하므로 상기 표시는「Good moning」이라고 표시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영상기록장치(1)를 제품에 적용한 경우의 외관도의 일례이다.
DVD 레코더(1801)는 본 발명의 영상기록장치(1)를 내장하고, 또 TV 방송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DVD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영상 및 문자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갖는다.
안테나(1802)는 NTSC 방식의 TV 방송전파에 동조시킨 안테나이다.
표시부(1803)는 NTSC 방식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TV 수상기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기록장치(1)에 있어서,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가 다중된 영상신호를 기초로 TBC를 개재하여 기록되는 영상정보와 함께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라도 문자정보를 될 수 있는 한 충실하게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정보 추출부(102)의 구성에 있어서 문자정보의 흐름에 착안한 시점에서 보면 메모리(301)는 정보체크부(304), 정보가공부(305) 및 NULL 생성부(306)의 상류에 배치하였지만, 이들의 하류에 배치할 수 있다.
요컨대, 메모리(301)에 문자정보가 저장되기 이전에 상술한 노멀처리,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 헤더 파기처리 및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8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의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에 상당하는문자정보 기록제어부(39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문자정보 기록제어부(390)는 정보체크부(400), 기입부(401), 메모리(402), 기입제어부(403), 정보가공부(404), NULL 생성부(405) 및 판독부(406)로 이루어진다.
정보체크부(400)는 CPU 및 ROM 등의 기록매체로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는 정보체크부(304)와 같은 기능을 하는 기능부이고, 문자정보의 취득처가 판독부 (303)가 아니라 문자정보 추출부(102)이고, 문자정보의 출력처가 기록출력부(307)가 아니라 기입부(401)인 점에서 본 실시예와는 다르다.
기입부(401)는 기본적으로는 기입부(300)와 같은 기능을 하는 기능부이고, 문자정보의 취득처가 문자정보 추출부(102)가 아니라, 문자정보가 정상문자정보라고 된 것을 정보체크부(400)로부터 취득하고, 또 문자정보가 정정후 문자정보라고 된 것을 정보가공부(404)로부터 취득하는 점에서 본 실시예와는 다르다.
메모리(402)는 메모리(301)와 같은 기능을 하는 DRAM 등의 기록매체이다.
정보가공부(404)는 기본적으로는 정보가공부(305)와 같은 기능을 하는 기능부이고, 정정후 문자정보의 출력처가 기록출력부(307)가 아니라, 기입부(401)인 점에서 본 실시예와는 다르다.
NULL 생성부(405)는 기본적으로는 NULL 생성부(306)와 같은 기능을 하는 기능부이고, 생성문자정보의 출력처가 기록출력부(307)가 아니라 기입부(401)인 점에서 본 실시예와는 다르다.
기입제어부(403)는 기본적으로는 판독제어부(302)와 같은 기능을 하는 기능부이고, 이하의 점에서 본 실시예와는 다르다.
즉 기준 데이터량은 N프레임분(N은 2이상의 자연수)의 문자정보의 데이터량이다.
요컨대, 메모리(301)에는 반드시 정상문자정보, 정정후 문자정보 및 생성문자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1프레임 이상의 문자정보가 존재하도록 기입제어부(403)는 노멀처리, 안티 언더플로우 제어, 안티 오버플로우 제어, 헤더파기처리 및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실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기능으로 함으로써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가 다중된 영상신호를 기초로, TBC를 개재하여 기록되는 영상정보와 함께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라도 문자정보를 될 수 있는 한 충실하게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ADC(100)는 A/D 변환기로서, 영상정보, 클로즈드 캡션 등의 문자정보 및 동기신호가 다중되어 있는 TV 방송국 등으로부터 보내진 미국에서 보급되고 있는 NTSC 방식의 아날로그신호를 수신장치로부터 수취한다고 하였지만, 본 발명의 영상기록장치(1)가 구주에서 이용되는 경우, 구주에서 보급되고 있는 PAL(Phase Alternation by Line)방식의 아날로그신호를 수신장치로부터 수취한다고 해도 된다.
그 경우, 1프레임분의 영상정보는 40msec분의 화상정보가 되고, 또한 미국에서 보급되고 있는 클로즈드 캡션 등의 정보대신 구주에서 보급되고 있는 문자방송방식인 텔레텍스트를 문자정보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이 텔레텍스트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문자정보 추출부(102)는 ADC(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화된 영상신호에 다중되어 있는 영상정보와 문자정보 중의 문자정보만을 추출하고,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로 출력한다고 하였지만, ADC(l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화된 영상신호가 아니라, 직접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직접 입력하여 문자정보만을 추출하고, 문자정보 기록제어부(103)로 출력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데이터량은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데이터량으로 하였지만, 1프레임분의 문자정보의 데이터량 이외이더라도 되고, 예컨대 현실적 수치로서 2프레임부터 4프레임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분의 데이터량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패리티 체크의 결과,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패리티 정상화처리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문자정보를 구성하는 문자코드를 검은 사각 즉, 솔리드 블록을 나타내는 문자코드로 치환하고, 패리티가 정상을 나타내도록 기록시키는 패리티 정상화처리를 실시한다고 하였지만, 오류가 있는 문자정보의 전후에 존재하는 문자정보의 문자코드가 나타내는 문자열로부터 오류가 있는 문자부분에 대하여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단어를 추측하여 치환해도 된다.
그 경우, NULL 생성부(306)에 단어사전이 저장된 ROM 등의 기록매체를 내포하고, 각 단어 사이에 존재하는 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코드를 검출하여 스페이스의 사이에 있는 문자열을 1개의 단어로서 인식하고, 패리티 체크의 결과, 오류가 있다고 한 문자를 상기 단어사전에 의해 타당한 문자를 검색하여 치환하게 된다.
또 패리티 정상화처리는 상기에 한하지 않고, 오류가 있는 문자정보의 문자코드를 그대로 하고, 패리티만 정상인 것으로 치환해도 되고, 또 솔리드 블록 대신에 널값의 문자코드로 치환해도 된다.
패리티 정상화처리에 있어서 널값의 문자코드로 치환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래 「Good morning」이라고 표시해야 하는 곳을 정보체크부(304)에 의해 「r」이라고 표시해야 하는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정보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r」에 상당하는 문자코드가 널값을 취함으로써 상기 표시는「Good moning」이라고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부호화 다중화부(800)는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취하고, 부호화하고 다중화하여 DVD에 기록한다고 하였지만, 이들 신호 외에 음성신호도 수취하고,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와 함께 부호화하고 다중화하여 기입부(801)에 출력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의 영상신호의 기록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TBC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신호의 기록이더라도 상관없다.
그 경우, ADC100 및 문자정보 추출부(102)는 불필요하게 되지만, 그 대신 영상정보 중에 다중되는 영상, 영상문자정보 및 동기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다중분리회로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영상기록장치(1)는 기입부(801) 및 기록매체(802)를 내장하고 있지만, 이들을 내장하지 않고 있어도 되고, 부호화 다중화부(800)로부터 외부의 기록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다중화부(800)는 영상신호 내의 라인(2l)의 신호가 문자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DVD 레코딩 규격에 있어서의 문자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즉 라인 21 스위치를 항상 유효로 한 상태에서 DVD 데이터를 출력한다고 하였지만, 문자정보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변경점에서 VOB를 분할하여 DVD 데이터를 생성해도 되고, 또 기록개시시에 영상신호 중에 문자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그 일련의 기록, 즉 대응하는 VOB의 모두에 있어서, 그 후 문자정보가 존재하게 되더라도 라인(2l) 스위치를 무효로 한 채로 해도 된다.
그 경우, 문자정보가 기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영상기록장치 및 영상기록방법은 클로즈드 캡션 등의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가 다중된 영상신호를 TBC을 이용하여 고유의 주파수에 동기시켜 기록하는 장치 및 그 기록방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차례로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군의 일부의 영상정보를 생략 또는 중복하여, 상기 영상정보의 수신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과,
    추출한 문자정보를 상기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문자정보 출력수단과,
    출력된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문자정보를 각각 수신한 순서로 대응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소정 조건하에서 추출된 문자정보의 값이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널값인 경우에는 당해 문자정보를 상기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다음 문자정보를 문자정보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출력의 대상으로 하는 제외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버퍼와,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문자정보를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버퍼 내의 데이터량을 검출하는 데이터량 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조건은 상기 버퍼내의 데이터량이 제 1 임계값 이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버퍼에 저장된 순서로 문자정보를 판독한 후에 상기 출력을 실시하고,
    상기 제외수단은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에 의한 상기 판독이 행해진 문자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외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값이 널값인 널정보를 생성하는 널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버퍼의 데이터량이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널정보를 상기 문자정보 대신 상기 출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DVD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덧붙여서 문자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정보도 차례로 수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는 또한 당해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포함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포함정보의 내용에 관계없이, 기록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이고, 1개의 VOB(Video Object)에 상기 기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라인 21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의 값은 클로즈드 캡션으로서 이용되는 문자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DVD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덧붙여서 문자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영상정보도 차례로 수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는 또한 당해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포함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포함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이고, 또한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무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되는 영상정보에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여하고, 또 상기 플래그가 변화하기 전후에 있어서 상기 기록을 실시하기 위한 VOB(Video Object)를 다른 VOB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라인 21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DVD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에 덧붙여서 문자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영상정보도 차례로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또한 당해 영상정보에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포함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포함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출력을 개시한 시점에서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하는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이고, 또 상기 출력을 개시한 시점에서 상기 포함정보가 문자정보의 무포함을 나타내는 경우, 기록하는 영상정보에 DVD 레코딩 규격상의 상기 문자정보가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붙여 1개의 VOB에 상기 기록을 실시하고, 상기 출력개시 후에서의 상기 포함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의 여하에 관계없이 당해 플래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라인 21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문자정보의 열은 패킷헤더를 갖는 패킷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문자정보의 값이 상기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외수단은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이 제 1 임계값보다도 큰 값인 제 3의 임계값을 넘는 경우, 문자정보 출력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문자정보의 값이 상기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것이면 당해 문자정보를 포함하고, 당해 문자정보로부터 소정주기 후까지 버퍼링된 문자정보의 열을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는 자기데이터의 하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하자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문자정보 출력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문자정보로부터 상기 하자정보를 취득하여 하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자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하자정보를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로 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당해 하자정보를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로 함에 따라, 당해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검은 사각을 나타내는 문자코드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는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자정보는 상기 패리티 비트에 의해 나타내는 정오정보이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판단수단에 의해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패리티 비트를 정상인 패리티 비트로 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상기 하자정보가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하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당해 하자정보를 하자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하자정보로 함으로써, 당해 하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의 값을 널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록장치는, 또한,
    서로 다른 복수의 단어를 기억하고 있는 단어기억수단과,
    상기 하자판단수단에 의해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문자정보의 전후에서 수신된 다른 문자정보의 값으로부터 얻어지는 문자를 기초로, 하나의 단어를 구성한다고 생각되는 문자열을 추출하여, 당해 문자열에 대응하는 단어를 상기 단어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단어로부터 검색하고, 하자가 있는 문자정보의 값이 나타내는 문자부분이 옳다고 생각되는 문자를 취득하여 문자코드의 값으로 변환하는 문자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정보 출력수단은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문자정보의 값을 상기 문자취득수단에 의해 얻어진 값으로 치환하여 상기 출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취득수단은 하자가 있다고 판단된 상기 문자정보의 전후에서 수신된 다른 문자정보의 값으로부터 얻어지는 문자에 있어서, 알파벳 이외의 문자가 나타나기 직전까지를 같은 하나의 단어의 범위로 하여 상기 문자열의 상기 추출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장치.
  19. 문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차례로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군의 일부의 영상정보를 생략 또는 중복하여 상기 영상정보의 수신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와,
    추출한 문자정보를 상기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문자정보 출력단계와,
    출력된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문자정보를 각각 수신한 순서로 대응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와,
    소정조건하에서 추출된 문자정보의 값이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널값인 경우에는 당해 문자정보를 상기 출력의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제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기록방법.
  20. 문자정보와 영상을 차례로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접수된 영상군으로부터 일부의 영상을 생략하고, 남은 각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과,
    소정조건하에서 상기 접수된 문자정보가 널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문자정보 판정수단과,
    상기 접수된 문자정보군 중 상기 문자정보 판정수단에 의해 널값이 아니라고 판정된 문자정보 각각을 상기 영상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각 영상에 대하여 각각 접수된 순서로 1 대 1로 대응하여 일정속도로 출력하는 문자정보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레이트 조정장치.
KR1020017009733A 1999-12-02 2000-12-01 영상기록장치, 영상기록방법 및 영상레이트 조정장치 KR20010101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352899 1999-12-02
JPJP-P-1999-00343528 1999-12-02
PCT/JP2000/008555 WO2001041432A1 (fr) 1999-12-02 2000-12-01 Enregistreur video, procede d'enregistrement video et regulateur de debit vide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29A true KR20010101929A (ko) 2001-11-15

Family

ID=1836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33A KR20010101929A (ko) 1999-12-02 2000-12-01 영상기록장치, 영상기록방법 및 영상레이트 조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29429B1 (ko)
EP (1) EP1158797A4 (ko)
KR (1) KR20010101929A (ko)
CA (1) CA2360371A1 (ko)
WO (1) WO2001041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16960A1 (en) * 2001-11-28 2003-06-0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recording data, and digital recorder
KR100430997B1 (ko) * 2002-01-02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US7106381B2 (en) * 2003-03-24 2006-09-12 Sony Corporation Position and time sensitive closed captioning
JP3974065B2 (ja) * 2003-03-27 2007-09-12 株式会社東芝 プロセッサ
KR100565614B1 (ko) 2003-09-17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 송수신 방법
KR100739680B1 (ko) * 2004-02-2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 서브타이틀을 기록한저장 매체, 재생 장치 및 그 재생 방법
JP4103864B2 (ja) * 2004-07-27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843325B1 (ko) * 2007-02-07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텍스트 표시방법
JP2009163391A (ja) * 2007-12-28 2009-07-23 Noritsu Koki Co Ltd ビューアー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およびビューア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072A (ja) 1986-12-26 1988-07-07 Ricoh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US5153742A (en) * 1991-07-30 1992-10-06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rop-out correction inhibitor for preventing corruption of spatially non-correlated data
JPH06205355A (ja) 1993-01-08 1994-07-22 Fujitsu General Ltd 文字放送データ記録方法
JP2986002B2 (ja) 1993-08-20 1999-12-0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文字放送の記録再生方式
DE69427797T2 (de) * 1993-09-30 2002-05-08 Sony Corp., Tokio/Tokyo Kassetten mit Speichern
JP3500671B2 (ja) * 1993-10-08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JP3651060B2 (ja) 1995-04-29 2005-05-25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記録装置
JP3771954B2 (ja) * 1995-08-04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WO1997039578A1 (en) * 1996-04-12 1997-10-23 Sony Corporation Data decoder and data deco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8797A4 (en) 2005-08-17
US6829429B1 (en) 2004-12-07
CA2360371A1 (en) 2001-06-07
WO2001041432A1 (fr) 2001-06-07
EP1158797A1 (en)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2573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decoding multiplexed data from a record medium with means for controlling data decoding as a fun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US68231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a digital video stream in a digital video system using dummy header insertion
EP06858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 sequence of frames having at least two media components
WO1997039578A1 (en) Data decoder and data decoding method
KR20010101929A (ko) 영상기록장치, 영상기록방법 및 영상레이트 조정장치
KR20040037116A (ko) 텔레텍스트 데이터의 기록 및 재삽입
JP3420210B2 (ja) 映像記録装置、映像記録方法
JP4327796B2 (ja) 字幕等の情報を含むビデオ信号の処理回路
KR100753374B1 (ko) 비디오 신호 멀티플렉서, 비디오 신호 멀티플렉싱 방법, 및화상 재생기
JPH099218A (ja) テレビ多重データ抽出装置
JP4646160B2 (ja) 伝送装置および方法
JP3687094B2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7869696B1 (en) Method for recording recorded digital data stream and for providing presentation managing information for the recorded digital data stream
US8428117B2 (en) Image encoder and image encoding method
JP4642734B2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6245744A (ja) 映像信号記録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映像信号再生装置
US7158538B2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JP3458554B2 (ja) 記録再生処理方法及び記録再生処理装置
EP1148723B1 (en) Special reproduction data generating device, medium, and information aggregate
US20020003942A1 (en) Reproducing device, medium, information aggregate, transmitt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JP2005269655A (ja) データ多重化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983977B2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3348529A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4266390A (ja) 情報記録装置
JPH11136635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