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01814A - 통신 장치 및 외부 액세서리간의 통신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외부 액세서리간의 통신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814A
KR20010101814A KR1020017009970A KR20017009970A KR20010101814A KR 20010101814 A KR20010101814 A KR 20010101814A KR 1020017009970 A KR1020017009970 A KR 1020017009970A KR 20017009970 A KR20017009970 A KR 20017009970A KR 20010101814 A KR20010101814 A KR 20010101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te
bit
bytes
microprocess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충 장
웨이-싱 리
로버트 오팔스키
조지 팬
카씩 친나스와미
한치 데이비드 후앙
스티븐 씨. 덴베스테
Original Assignee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러셀 비. 밀러
Publication of KR2001010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6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using a dott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Transceiv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디바이스(100)(셀룰라 전화기와 같은)와 외부 액세서리(102) (핸즈프리 킷)간에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비트들의 시퀀스를 첫번째 타임 슬롯 및 두번째 타임 슬롯의 반복 시퀀스로 포맷하는 단계, 첫번째 타임 슬롯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두번째 타임 슬롯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번째 타임 슬롯의 각각의 제 1 비트는 보존하는 두번째 타임 슬롯간에 하이 값과 로우 값사이에 변하는 클록 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외부 액세서리간의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XTERNAL ACCESSORY}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싱 분야에서, 오디오 대역 엔코더/디코더(CODEC)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엔코딩된 디지털 신호로, 및 엔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CODEC은 마이크로폰의 아날로그 출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의 부가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에 대해 마이크로폰 생성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펄스 코드 변조(PCM) 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CODEC은 DSP로부터 PCM 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오디오 스피커에 의해 사용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물론, CODEC은 A-law, μ-law와 같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부가 디지털 엔코딩 기술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선형 또는 비선형 엔코딩 기술만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 CODEC을 갖는 일반적인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하나 이상의 외부 액세서리와 인터페이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무선전화 사용자는 운전하는동안 자신의 차안에서 휴대용 무선전화를 사용하고자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핸즈프리 스피커폰, 파워 부스터 및 /또는 음성 동작 전화 또는 음성 인식 시스템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핸즈프리 스피커폰(또는 핸즈프리 "킷")은 사용자가 차를 운전하면서 손을 자유롭게하고 무선전화를 잡지 않고서 외부 확성기 및 마이크로폰을 통해 전화 호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파워 부스터는 자동차 배터리의 동작이 오프될 때 바람직한 더 고도의 전력 송신 및 수신을 위해 RF 신호를 증폭시키는 휴대용 무선전화의 안테나간에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연결시킨다. 음성 전화기는 사용자로부터의 구두 명령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에 따른 미리 프로그램된 전화 번호의 세트로부터 다이얼링하고, 한번에 하나의 개별 디지트를 다이얼링하거나 또는 무선전화의 동작모드를 변경시킨다. 상기 액세서리들은 종종 자동차 어댑터 킷의 일부로서 동시에 사용된다.
휴대용 무선전화와 외부 카 킷사이의 종래 인터페이스 회로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여기서 참조로 통합되는 1996년 1월 31일 출원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및 액세서리 시스템"이란 명칭의 출원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No. 08/593,305에 주어진다. 상기 언급된 출원은 단일 융통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와 외부 액세서리간에 음성 및 제어 명령이 통신되도록 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및 액세서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외부 액세서리로 인터페이스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 파워 부스터와 핸즈프리 킷간에 디지털 음성 데이터 및 디지털 제어 명령을 통과시키기 위해 직렬 통신버스를 형성시킨다. 상기 외부 핸즈프리 킷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엔코딩하고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보조의 CODEC을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외부 액세서리와 인터페이싱하지 않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휴대용 디바이스 자체의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사용하여 내부 CODEC에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통과시키도록 직렬 통신 버스를 형성한다.
그러나, 휴대용 무선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핸즈프리 킷과 같은 외부 액세서리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와 핸즈프리 킷과 같은 외부 액세서리간의 신규하고 개선된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기능적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 디바이스(셀룰라 폰)와 외부 액세서리(핸즈프리 킷)사이의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셀룰라 전화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부가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보코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판독 및 기록 레지스터 및 상기 보코더 및 기록 레지스터 양쪽에 연결된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액세서리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CODEC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 프로토콜로 지칭되는 방법을 수행한다. 상기 방법 또는 프로토콜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 및 외부 액세서리간에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타임 슬롯 및 제 2 타임 슬롯의 반복 시퀀스로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맷하는 단계, 상기 제 2 타임 슬롯에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제 2 타임 슬롯들의 각각의 제 1비트는 연속적인 제 2 타임 슬롯사이에서 하이 값과 로우 값(예를 들어, '1' 또는 '0')사이에 변하는 클록 비트를 포함한다. 이것은 수신단(즉, 통신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외부 액세서리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 하나)이 연속적인 데이터 바이트사이를 구별하도록 한다.
제 2 타임 슬롯의 시퀀스는 N+1 바이트를 포함한다. N+1 바이트의 초기 바이트는 부가로 동기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N+1 바이트 중 두번째 바이트는 N+1 바이트의 나머지(예를 들어, 데이터 비트)의 의미를 정의하는 모드 비트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명령 및 제어 정보가 제어 바이트의 짝수로 표시되도록 N은 홀수인 정수이다. 따라서, 가변 클록 비트 방식으로 연결될때, 초기 바이트는 항상 동일한 클록 비트로 시작하는 것이 보장된다.
N+1 바이트의 최종 바이트의 클록 비트는 N+1 바이트의 초기 바이트의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이다. 이것은 수신단이 음성 데이터를 분산시켜 두개 이상의 제어 바이트를 통해 확산될 수 있는 연속적인 명령들을 구별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N+1 바이트의 제 3 및 그 이상의 바이트의 각각의 두번째 비트를 N+1 바이트의 제 3 및 그 이상의 바이트의 각각의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으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것은 수신단이 동기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는 제어 바이트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바이트를 혼동시키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 발명의 특징, 목적, 이점은 다음의 유사 참조 문자가 있는 도면과 함께 하기에 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기능적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휴대용 셀룰라 전화기, PCS 폰, PDA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100)의 선택된 부분들이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외부 액세서리(102)와 인터페이싱하는 것이 도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버스(101)는 128 Kbps의 전형적인 데이터 속도로 풀 듀플렉스의 동기식 직렬 버스이다. 상기 데이터 버스(101)는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외부 액세서리(102)로, 외부 액세서리(102)로부터 통신 디바이스(100)로 펄스 코드 변조(PCM) 데이터를 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00)의 일부(즉, 마이크로프로세서 (106), 판독 레지스터(104), 기록 레지스터(112), 엔코더(108), 디코더(110) 및 멀티플렉서(MUX)(114))로서 도시되는 기능적 블록 엘리먼트들은 모두 단일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형성된다. 상기 기능적 블록들을 모두 단일 ASIC에 연결하는 것은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크기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 일부 또는 모든 기능 블록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디바이스들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원하는대로 그룹화될 수 있다. 상기 기능 블록들의 실제 형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서 특정 응용에 기초하여 디자인 선택의 문제이다. 유사하게, 외부 액세서리(102)의 일부로서 도시된 기능적 블록 엘리먼트들은 단일 ASIC, 또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서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엘리먼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버스(101)의 바람직한 포맷은 두개의 8 비트, 8 KHz 타임 슬롯들의 반복 시퀀스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128 Kbps 데이터 스트림은 초당 8 킬로 샘플로 8 비트 샘플의 두개의 블록들로서 조망될 수 있다. 두개의 8 비트 블록들의 첫번째 것은 데이터 샘플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샘플들은 컴팬딩된다. 전형적인 음성 응용에서, 데이터 샘플들은 바람직하게는 8 비트 μ-law, 또는 A-law로 컴팬딩된다. 다른 압축 방법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데이터는 단순히 선형(컴팬딩되지 않는)일 수 있다. 상기 두개의 8 비트 블록들의 두번째 것은 제어 명령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명령들은 음성 인식, 음향 에코 삭제, 자동 이득 제어 등등을 포함하는 여러 동작 모드에 대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외부 액세서리(102)에 제어 명령을 유출할 수 있는 두개의 데이터 경로들이 있다. 상기 제 1 경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디코더(110)에 넘겨지는 8 비트 제어 바이트를 생성할 때 시작한다. 그와 함께, 디코더(110) 및 엔코더(108)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여기서 참조로 통합되는 "가변 속도 보코더"란 명칭의 1995년 5월 9일 특허사정된 미국 특허 No. 5,414,796에 기술되는 것과 같은 음성 엔코더/디코더(보코더)를 형성한다. 디코더(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의 상기 8 비트 제어 바이트를 컴팬딩된 음성 데이터의 8 비트 바이트와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8 비트 바이트(총 16 비트)를 데이터 버스(101)를 거쳐 MUX(114)를 통해 외부 액세서리(102)로 송신한다. 상기 제 1 경로를 사용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디코더(110)의 출력을 통과시키도록 MUX(114)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 1 경로는 디코더(110)가 "온"일때(즉, 전력이 가동되고 실제로 음성 샘플들을 프로세싱할때) 음향 에코 삭제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유용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기록 레지스터(112)에 기록되는 8 비트 제어 바이트를 생성할 때 제 2 경로가 시작한다. 기록 레지스터는 바람직하게는 16 비트 폭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8 KHz의 속도로 데이터를 판독하고 기록할 수 없다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단순히 8 비트 제어 바이트를 기록 레지스터(112)의 두번째 바이트로 기록한다. 기록 레지스터(112)는 디코더(110)로서 동일한 보코더에 코로케이팅(co-locating)될 수 있다. 8 비트 제어 바이트는 그후에 데이터 버스(101)상의 PCM 인터럽트에 기초한 데이터 버스(101)를 거쳐 MUX(114)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제 2 경로에서, 디코더(110)는 턴 "온" 될 필요가 없다. 상기 제 2 데이터 경로는 예를 들어, 디코더(110)가 "오프"상태일 때 음성 인식 모드에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유용하다.
다른 경우에, 상기 컴팬딩된 데이터(예를 들어, 첫번째 8 비트 블록의 음성 데이터)가 AUX DSP(116)에 의해 CODEC(120)으로 제공된다. CODEC(120)은 상기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데이터를 스피커(118)를 통한 재생성을 위해 아날로그 오디오 대역 음성 신호로 전환시킨다. 제어 바이트(예를 들어, 두번째 8 비트블록의 제어 명령)는 외부 액세서리(102)의 적절한 구성요소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음향 에코 삭제 명령은 AUX DSP(116)에 제공된다.
역방향에서(즉, 외부 액세서리(102)로부터 통신 디바이스(100)로), 보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AUX DSP)(116)는 엔코더(108) 및 판독 레지스터(104)에 두개의 8 비트, 8 KHz 샘플들을 송신한다. 다시, 두개의 8 비트 블록 중 첫번째 것은 컴팬딩된 데이터(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22)에 의해 감지되고 CODEC(120)에 의해 엔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두번째의 8 비트 블록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판독 레지스터(104)는 16 비트 폭이다. 제 1 및 제 2 타임 슬롯(AUX DSP(116)로부터의 PCM 및 제어 바이트)들은 8 KHz에서 판독 레지스터(104)를 업데이팅 할 것이다(즉, 새로운 샘플이 수신될 때마다 업데이팅).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PCM 샘플(제 1 슬롯)을 충분히 빨리 판독할 수 없다면, 상기 샘플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상기 샘플을 판독할 수 있기 전에 오버라이팅될 수 있다. 일반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판독 레지스터(104)를 그렇게 빨리 판독할 수 없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바이트(제 2 슬롯)는 예를 들어, 판독을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도록 10 ms 또는 80 번 반복된다. 이것은 그후에 PCM 바이트를 무시하더라도 판독 레지스터(104)의 제어 바이트 위치에서 메세지를 판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판독 레지스터(1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판독 레지스터이다. 그러나, 도 1에서, 개시의 명확성을 위해 이것은 분리된 기능 블록으로 도시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106)는 그후에 편의를 위해(즉, 데이터 버스(101)의 데이터 속도에 따라 동기화될 필요없이) 판독 레지스터(104)의 내용을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역 데이터 경로는 예를 들어, 음향 에코 삭제 또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AUX DSP(116)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100)와 외부 액세서리(102)사이의 풀 듀플렉스 통신을 허용하는 포괄적인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풀 듀플렉스 메세지의 사용을 요구하는 통신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액세서리(102)(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106) 또는 AUX DSP(116)의 소프트웨어 루틴)상에 실행되는 어떤 응용은 본 발명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응용 또는 음향 에코 삭제 응용들은 상기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통신 프로토콜은 음성 인식(VR), 음향 에코 삭제(AEC), 볼륨 제어 및 오디오 제어를 갖는 외부 카 킷 어댑터에 휴대용 무선 전화와 인터페이싱하는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응용들을 갖는 다른 실시예들에 동등하게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개시의 간략화 및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외부 액세서리(102)로 통신되는 다른 클래스의 명령들을 제공한다. 상기 클래스들의 명령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1. 포괄적인 명령들;
2.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의 음성 인식 유니트(VRU)로의 명령들;
3.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의 AEC로의 명령들;
4.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로의 볼륨 제어 명령들; 및
5.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로의 오디오 제어 명령들.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의 포괄 명령들은 외부 액세서리(102)의 어떤 동작 상태동안 AUX DSP(116)에 의해 허용되고 동작된다. 상기 포괄 명령들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소프트웨어 버젼 번호(SVN) 질문;
2. 카 킷 상태 질문;
3. 정보를 인식;
4. 휴지 모드로 진행;
5. 프로토콜 변경으로 진행;
6. 지연 세팅을 파워 다운; 및
7. 확장된 소프트웨어 버젼 번호 질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전력이 구동된후에 외부 액세서리(102)의 서프트웨어 버젼 번호를 문의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버젼 번호 질문 명령을 사용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버젼 번호 질문 명령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외부 액세서리(102)의 소프트웨어 버젼 번호가 음성 인식과 같은 어떤 응용들을 지원하기 위한 올바른 정정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카킷(Carkit) 상태 문의 명령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적당한때마다 외부 액세서리(102)의 현재 상태를 투표하도록 한다.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마이크로프로세서(106)와 AUX DSP(116)간의 동작 모드의 지속성을 체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편의에 따라 프라이버시 핸드셋 상태, 오디오 경로 셋업, 스테레오 변환/비변환 상태, 전력 상태 및 볼륨 상태에 대해 자신의 메모리를 리프레시하도록 한다. AUX DSP(116)에 의해 보고된 실제 모드가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예상된 것과 다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 (106)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도록 외부 액세서리(102)를 정렬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외부 액세서리(102)와의 지속성을 재획득하도록 자신의 내부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정보의 그룹이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수신된 후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AUX DSP(116)에 정보 인식 명령을 송신할 것이다. 상기 AUX DSP(116)는 상기 정보 인식 명령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수신될때까지 정보의 다음 그룹을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 인식 명령은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신을 제공한다.
휴지 모드 진행 명령은 AUX DSP(116)에 휴지 모드로 진행하도록(즉, 활동 응용을 나가도록) 명령한다. 상기 명령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어떤 동작 모드로부터 휴지 상태로 AUX DSP(116)를 스위칭하도록 한다. AUX DSP(116)가 휴지 상태로 진행하도록 인도할 수 있는 두가지 조건들이 있다. 먼저,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휴지 모드로의 진행 명령을 송신하는 것과, 둘째로, AUX DSP(116)가 미리 결정된 주기동안 본 발명에 의해(하기에 더 자세히 논의됨)사용된 클록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이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주기는 8.75 ms이다.
프로토콜 변경으로 진행 모드 명령은 AUX DSP(116)가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통신 프로토콜과 다른 변경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을 명령한다. 상기 변경 통신 프로토콜은 이전의 생성 프로토콜 또는 부가의 또는 분리된 특징 및 응용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
전력 저하 지연 세팅 명령은 전화기가 외부 전력 소스(자동차 이그니션 같은)에 연결되고 외부 전력 소스가 턴 오프될 때 외부 액세서리(102)의 전력 저하 동작을 지연시키는데 사용된다.
확장된 소프트웨어 버젼 번호 질문은 AUX DSP(116)로부터 확장된 버젼 스탬프를 문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된 버젼 스탬프는 8개의 ASCII 문자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8개의 ASCII 문자들은 AUX DSP(116) 소프트웨어 구축에 의해 이용되는 파일네임으로 지칭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UX DSP(116)의 음성 인식(VR) 능력을 갖는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또한 AUX DSP(116)의 음성 인식 유니트(VRU)에 명령을 송신한다. VRU의 더 상세한 논의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여기서 참조로 통합되는 어토니 도켓 넘버 990049의 "전화기 핸드셋에 대한 음성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에 주어진다. 상기 언급된 진행중인 출원에서, VR 템플릿 및 대응하는 전화 번호들은 AUX DSP(116)에 저장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AUX DSP(116)에 송신하는 명령들의 전형적인 세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1. VR 초기화
2. VR 인식
3. YES(예스 키)
4. NO(노 키)
5. CANCEL/CLEAR(취소 또는 삭제 키)
6. NEXT/MORE(다음 또는 그이상 키)
7. PREVIOUS(이전 키)
8. 트레인 기본 세트
9. 트레인 디지트 세트
10. Force Program(PROGRAM 키)
11. Force Retrain(RETRAIN 키)
12. Force Train(TRAIN 키)
13. VR 메모리 리셋
14. 클리어 전화북
15. VR 상태 질문
16. 착신 호출
17. 착신 로밍 호출
18. 디지트, 0-9, #(파운드 키), *(스타 키), 포즈
19. 디지트 스트링의 단부
키패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어떤 입력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번역되고 통신 디바이스(100)와 외부 액세서리(102)간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AUX DSP(116)의 VRU에 송신된다. 이것은 VRU가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 입력을 촉구하도록 정정 음성 프롬프트를 재생하는 것과 같은 적절한 동작을 보장한다.
VR 초기화 명령은 휴지 모드(VR 태스크가 수행되는)로부터 VR 스탠바이 모드로 구동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VR 인식 명령은 일반적으로 VR 초기화 명령을 수반하며 VR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음성 인식 태스크를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VR 인식 모드로 AUX DSP(116)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YES, NO, CANCEL/CLEAR, NEXT/MORE, PREVIOUS, 디지트 0-9, 파운드, 스타, 및 포즈 명령은 키패드상의 사용자 압축 연관 키(도시되지 않음)에 응답하여 송신된다. 이것은 VRU로부터 프롬프트와 메뉴 선택에 응답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수단을 제공한다.
트레인 기본 세트, 트레인 디지트 세트, Force 프로그램, Force 리트레인 및 Force 트레인 명령들은 명령, 디지트 및 네임태그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여 개별 구술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VRU를 "트레이닝"하는데 사용된다. VR 메모리 리셋 명령은 네임태그, 연관 전화번호 및 VR 템플릿들을 리셋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명령은 AUX DSP(116)가 프로그램된 모든 메모리들을 삭제하도록 할 것이다.클리어 전화북 명령은 네임태그 및 연관 전화번호들을 포함하여 사용자 자신의 개인 전화북의 모든 엔트리들을 리셋하는데 사용된다. VR 메모리 리셋 명령과 달리 클리어 전화북 명령은 제어 워드들과 연관된 VR 템플릿들을 삭제하지 않는다.
VR 상태 질문 명령은 VRU(예를 들어, 휴지, 스탠바이, 또는 음성 인식 모드)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사용된다. 착신 호출 및 착신 로밍 호출 명령은 VR 모드에 있는 동안 착신 호출이 있는 AUX DSP(116)에 알리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사용된다. 응답에서, VRU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재촉하도록 적절한 음성 프롬프트를 재생할 것이다. 디지트 스트링 단부 명령은 디지트(전화 번호와 같은) 스트링의 단부를 AUX DSP(116)로 운반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사용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또한 AUX DSP(116)에서 음향 에코 취소자(AEC)에 명령을 송신한다. 통신 디바이스(100)가 이중 모드 아날로그/CDMA 무선 전화라면, 상기 AEC 제어 명령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FM AEC On;
2. CDMA AEC On(잡음 억제자 On); 및
3. CDMA AEC On(잡음 억제자 Off).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상기에 설명된 VR 초기화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AEC 모드로부터 VR 모드로 스위칭시키는 AUX DSP(116)를 정렬할 수 있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또한 PCM 볼륨 제어를 위해 AUX DSP(116)에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명령들은 AUX DSP(116)내에서 디지털로 출력 음성 볼륨을 디지털로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PCM 볼륨 레벨 인덱스를 AUX DSP(116)로 송신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또한 오디오 제어 명령을 AUX DSP(116)로 송신한다. 상기 명령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이 VRU에 의해 청취될 수 있는 동일한 전달수단에 위치되는 카 스테레오를 변환 및 비변환시키니 위해 사용된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사용자가 호출된 쪽이 사용자의 음성을 청취하지 않고서 말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폰(122)을 변환시키는 프라이버시 핸드셋 동작 명령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는 또한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 (106)로 통신되는 다른 클래스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클래스의 정보는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1. 소프트웨어 버전 넘버(SVN);
2. VR 모드;
3. 포괄 모드; 및
4. 확장된 소프트웨어 버전 넘버.
SVN은 상기에 기술된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소프트웨어 버젼 질문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SVN의 범위는 0에서 1023의 십진수이다. AUX DSP(116)는 PCM 클록 신호(하기에 더 자세히 기술됨)가 AUX DSP(116)에 의해 먼저 탐지된후에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프라이버시 핸드셋 상태 및 VR 상태와 같은 다른 정보와 함께 SVN을 보고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로의 상기 설명된 VR 모드 명령에 기초하여, AUX DSP(116)의 VRU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어떤 정보를 되돌려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AUX DSP(116)는 음성 다이얼링을 위한 디지트들을 전달하기 위해 디지트 스트링 명령의 단부로 종료된 디지트의 시퀀스를 송신하기 위해 VSN 및 VWN(단어 워드 숫자)을 송신할 수 있다. VR 모드에서 동작하는동안 사용자를 인도하기 위해 적절한 가시적 사용자 피드백(예를 들어, 메뉴 및 메세지)을 제공하도록 통신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를 재촉하고 VR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AUX DSP(116)는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VSN 및 VWN 메세지들에 비교하여 음성 다이얼링 프로세스를 가속시키기 위해 VR 디지트 및 디지트 스트링 단부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어 바이트가 아니라 디지트들에만 제한된다.
포괄 모드 정보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프라이버시 핸드셋 오프훅/온훅;
2. 현재 오디오 경로;
3. PCM 볼륨 제어;
4. 전력 상태;
5. 스테레오 뮤트/언뮤트; 및
6. 카킷 모드.
상기 정보 그룹의 각각은 다양한 동작 파라미터 및 외부 액세서리(102)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대한다. 상기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한 특정 질문에 따라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AUX DSP(116)는 동시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상기의 일부 또는 모든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버시 핸드셋 위치가 변할때, 전력 상태가 변할 때, 데이터 탐지 상태가 변할 때, 또는 VRU가 자신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때이다.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확장된 SVN 정보는 8개의 ASCII 문자들로 구성되는 버전 스탬프로서 AUX DSP(116)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버전 스탬프는 DSP 소프트웨어 소스 파일의 파일네임을 엔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장된 SVN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상기에 기술된 확장된 SVN 질문 명령을 송신할 때만 보고된다.
도 2A 및 2B로 돌아가면, 데이터 버스(101)상에 사용된 시그널링 포맷의 타이밍도가 도시된다. 도 2A는 두개의 8 비트 타임 슬롯 중 첫번째 타임 슬롯에 대한 타이밍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두개의 8 비트 타임 슬롯 중 두번째 타임 슬롯에 대한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간략함과 연속성을 위해, 도 2A와 도 2B간에 소정의 중복이 있다.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도 2A에 도시된 첫번째 타임 슬롯은 음성 데이터와 같은 μ-law 엔코딩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도 2B에 도시된 두번째 타임 슬롯은 상기 기술된 제어 명령 및 정보 그룹과 같은 제어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도 2A 및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PCM 클록은 바람직하게는 128 KHz 클록 신호이다. 분리 신호, PCM SYNC는 바람직하게는 8 KHz 동기화 신호이다. 도 2A에서, PCM SYNC 신호는 첫번째 타임 슬롯에 대해 로우이다. 도 2B에서, PCM SYNC 신호는 두번째 타임 슬롯에 대해 하이이다. 도 2A 및 2B의 신호 PCM DATA OUT 및 PCM DATA IN은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실제 정보 데이터를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도 2A 및 2B에서, PCM DATA OUT 및 PCM DATA IN 신호들은 운반하는 데이터 비트의 값에 따라, 각 데이터 비트에 대해 하이 또는 로우 상태 중 하나로 도시된다.
도 2A에서, PCM DATA OUT은 데이터 비트 D7/, D6/, D5/, D3/, D2/, D1/, D0/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유사하게, 도 2A에서, PCM DATA IN은 데이터 비트 D7, D6, D5, D4, D3, D2, D1, D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데이터 비트들은 통신 디바이스(100)와 외부 액세서리(102)간의 μ-law 엔코딩 음성 데이터를 운반하는 8 비트 첫번째 타임 슬롯을 표시한다. 상기 비트들은 PCM CLOCK 신호에 의해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직렬로 클로킹된다. 신호 PCM DATA OUT은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외부 액세서리(102)로의 방향으로 흐른다. 신호 PCM DATA IN은 외부 액세서리(102)로부터 통신 디바이스(100)로의 역방향에서 흐른다. PCM CLOCK 신호 및 PCM SYNC 신호는 통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외부 액세서리(102)로의 방향으로 흐른다.
첫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의 단부에서, 두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이 시작한다. 두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은 도 2B에 도시된다. 도 2B에서, PCM DATA OUT은 단일 클록 비트, Clock/, 7개 데이터 비트, Data6/, Data5/, Data4/, Data3/, Data2/, Data1/, Data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클록 및 데이터 비트들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로 명령 및 제어 데이터를 운반하는 두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을 표시한다. Clock/ 비트는 타임슬롯을 통해 데이터를 래치하고 조합하는데 사용된다. Data6/-Data0/ 비트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제어 정보를 축적하는데 사용되는 각 타임 슬롯에서 샘플 당 7 비트들이다. 유사하게, 신호 PCM DATA IN은 단일 클록 비트, 클록 및 7개 데이터 비트, Data6, Data5, Data4, Data3, Data2, Data1, Data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 클록 및 데이터 비트들은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정보 및 질문 응답 데이터를 운반하는 두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을 표시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서 AUX DSP(116)로의 방향에서, 상기 두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에 의해 운반된 정보의 포맷은 N+1 바이트 명령에 대해 하기의 표 1에 주어진다.
표 1. N+1 바이트 명령에 대한 비트 구성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의 어떤 명령의 초기바이트(바이트 0)는 0(로우)으로 세팅되는 클록 비트로 시작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하이로 세팅될 수 있다. 그러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바이트의 클록 비트는 AUX DSP(116)가 타임 슬롯을 통해 명령들을 추적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변화한다. 어떤 명령의 초기 바이트의 다음 7개 비트들은 동기화 비트들이다(S6, S5, S4, S3, S2, S1, S0). 이와 함께, 상기 동기화 비트들은 동기화 헤더를 형성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명령 패킷에 대한 동기화 헤더는 비트 패턴 '1111110'(0x7e 16진수)이다. 표 1의 동기화 비트는 분리 신호인 도 2A 및 2B의 PCM SYNC 신호로부터 구별된다.
어떤 명령(바이트 1)의 다음 바이트는 이전의 바이트를 시작하는데 사용된 것처럼 반대 클록 비트로 시작한다. 여기서, 이전의 바이트는 클록 비트 '0'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바이트 1은 클록 비트 '1'로 시작한다. 바이트의 다음 세개 비트들은 모드 비트 M2, M1, M0이다. 상기 모드 비트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송신되는 명령의 클래스 또는 유형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드 비트 구성은 하기의 표 2에 주어진다.
표 2. 모드 비트 구성
다시 표 1을 참조하면, 바이트 1, D3, D2, D1, D0의 나머지 비트들은 그 정의가 이전의 모드 비트들의 값에 따르는 실제 명령을 전달하는데 사용된 데이터 비트들이다. 즉, 모드 비트[M2-M0]들의 각 조합에 대해, 데이터 비트[D3-D0]들은 다른 명령을 표시한다. 상기에 기술된 각 명령은 모드 비트 및 데이터 비트의 다른 조합에 의해 표시된다. 2 바이트 길이 이상의 명령들은 또한 부가적인 수의 데이터 바이트들에 부가함으로써, 표 1에 개요된 포맷으로 제공된다. 상기 부가 데이터 바이트의 각각에 대해, Data6 비트의 값은 예약된 싱크 비트 패턴 '1111110'(0x7e hex)을 복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0'으로 세팅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6) 명령은 짝수 바이트(즉, N+1은 표 1의 짝수이다)로 구성되고, 항상 싱크 바이트 0x7e(hex)로 시작한다. 명령 당 짝수의 총 바이트들은 어떤 명령도 '1'로 세팅된 클록 비트로 끝나도록 보장한다. 이것은 어떤 명령의 최종 바이트가 명령 바이트의 새로운 블록(클록 비트 '0'으로 시작하는)의 시작인지에 대한 혼란을 방지한다.
다양한 예시 모드들의 데이터 비트의 전형적인 구성은 표 3-8에 나타난다.
표 3. 모드 0 명령의 데이터 비트들
표 4. 모드 1 명령의 데이터 비트 정의
표 5. 모드 2 명령의 데이터 비트 정의
표 6. 모드 3 명령의 데이터 비트 정의
표 7. 모드 4 명령의 데이터 비트 정의
표 8. 모드 5 명령의 데이터 비트 정의
하나의 싱크 바이트를 포함하는 각 마이크로프로세서(106) 명령에 대한 명령 바이트의 총수는 짝수라는 것을 주목하라. 이것은 싱크 바이트의 클록 비트가 항상 '0'이 되도록 보장한다. 이것은 AUX DSP(116)의 명령 바이트들의 집적을 용이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로의 인식 명령의 두가지 형태가 있다. 이것들은 ACK_0 및 ACK_1로서 상기의 표 3에 리스트되어 있다. ACK_1은 클록 비트 '1'을 갖는 AUX DSP(116)로부터의 바이트들을 인식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사용되는 반면, ACK_0는 클록 비트 '0'을 갖는 AUX DSP(116)로부터의 바이트들을 인식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사용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주기적으로 ACK 명령을 반복한다. 이것은 데이터 버스(101)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6)와 AUX DSP(116)사이의 통신의 잠재적 데드록을 방지한다.
AUX DSP(116)는 상기 명령들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의 정보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들상에 적절하게 동작한다. 상기 명령 및 정보를 적절하게 디코딩하는 AUX DSP(116)를 위해, 그들의 포맷이 수신된 바이트의 수를 카운팅하여 유효화될 때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의 착신 그룹(예를 들어, 명령)이 8개의 연속 비트들이 수신될 때만 유효할 것이 명백하다. 8개의 연속 비트 이하가 수신되면, 상기 비트들은 버려질 것이며 AUX DSP(116)는 다시 카운팅을 시작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유효 정보 그룹(즉, 모든 8개의 보존 비트들)이 수신되지만, 상기 명령이 상기 프로토콜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유효 정보 그룹은 버려질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정보의 송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이것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106)로부터 AUX DSP(116)로의 송신에 대한 프로토콜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소정의 차이점들이 있다.
하기의 표 9는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N+1 바이트의 메세지에 대한 비트 구성을 도시한다.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의 상기에 개요된 메세지 중 어느것도 표 9의 비트 구성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표 9. (N+1) 바이트 메세지의 비트 구성
표 9와 표 1을 비교해보면,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의 어떤 메세지의 제 1 바이트(바이트 0)도 클록 비트 '0'이 아니라 클록 비트 '1'로 시작한다는 한 가지 차이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의 어떤 메세지의 최종 바이트(바이트 N, N은 홀수)는 클록 비트 '1'이 아니라 클록 비트 '0'으로 시작한다. 상기에 나타난 바와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수신된 메세지를 정확하게 추적하고 여러 바이트들을 통해 다중 바이트메세지들을 축적하도록 하는 것은 메세지의 첫번째 바이트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반대 클록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메세지의 최종 바이트 및 클록 비트들의 변화이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의 동기화 비트[S6-S1]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로의 방향에 대해 상기에 도시된 것들과 다르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AUX DSP(116)로부터의 싱크 비트[S6-S1]들은 '1001100'이다. 이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싱크 비트[S6-S1]들은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두개의 분리 다중 바이트 메세지를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표 9의 모드 비트[M2-M0]들은 상기의 표 1에서와 동일한 목적을 수행한다. 하기의 표 10은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의 메세지들에 대한 모드 비트 구성을 도시한다. 제 1 정보 그룹후의 데이터 비트들은 Data6이 클록과 동일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주목하라. 이것은 모드 비트 플러스 데이터 비트의 시퀀스가 예약된 싱크 비트 패턴, 0xCC(hex)를 모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모드 0(예를 들어, M2, M1, M0모두 제로로 세팅)은 정보 그룹(1)이 0x00 패턴이 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허용되지 않는다. μ-law 데이터는 첫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에 있는 0x00이며, 메세지 데이터가 또한 두번째 8 비트 타임 슬롯에 있는 0x00인 데서 16 비트 프레임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모든 제로 시퀀스는 데이터 버스(101)로부터 연결이 해제되는 외부 액세서리(102)로서 오해될 수 있다.
표 10. 모드 비트 구성
다른 모드들 각각에 대해, 데이터 비트들은 다음의 표에 개요된 바와 같이, 다른 의미를 갖는다. 모드 1에 대해, [M2-M0] = 0x1, 데이터 비트들은 포괄 모드 및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포괄 모드의 메세지의 데이터 포맷은 하기의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4 바이트 메세지이다. 상태에 대한 모드 1 명령은 디스플레이상의 사용자(도시되지 않음)에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상태의 변화에 따라 AUX_DSP(116)에 의해 자연히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그니션 상태가 변하고, 프라이버시 핸드셋 상태가 변하거나, 또는 VRU 상태가 변한다.
표 11. 모드 1 메세지의 데이터 비트 정의
모드 2에 대해, 메세지들은 어휘 세트 번호(VSN) 및 어휘 워드 번호(VWN)를 사용하는 VR 모드 메세지들이다. 상기 어휘 단어들은 어휘 세트들로 분할된다. 각 어휘 단어는 VSN 및 VWN로 표시된다. VSN과 VWN에 대한 어휘 단어들의 매핑은 표 12에 나타난다. 각 VSN 및 VWN 조합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완성시키기 위해 네개의 정보 그룹(바이트)을 필요로 한다. 상기 네개 바이트 메세지에 대한 데이터 비트의 포맷은 [D4-D0]가 VSN(0x0-0x1F)이고, [D15-D5]가 VWN(0x0-0x7FF)인 하기의 표 12에 주어진다.
표 12. VSN+VWN에 대한 어휘 단어의 매핑
모드 3 메세지들은 SVN 메세지들이다. 모드 3 메세지에 대한 데이터 포맷은하기의 표 13에 나타난다. 모드 3 메세지들은 4 바이트 메세지들이다. 모드 3 메세지는 외부 액세서리(102)가 통신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것을 표시하면서 PCM CLOCK 신호(도 2)가 AUX DSP(116)에 의해 먼저 탐지될때, AUX DSP(116)에 의해 자동으로 송신될 수 있다.
표 13. 모드 3 메세지들에 대한 데이터 비트 정의
모드 4 메세지들은 VR 디지트 메세지이다. 모드 4 메세지에 대한 데이터 포맷은 하기의 표 14에 도시된다. 모드 4 메세지는 2 바이트 메세지이다.
표 14. 모드 4 메세지에 대한 데이터 비트 정의
모드 5 메세지는 VR 상태 메세지이다. 모드 5 메세지의 데이터 포맷은 하기의 표 15에 도시된다. 모드 5 메세지는 4 바이트 메세지이다. 하기의 표 15에 나타난래도, 두개의 그룹, 그룹 0, 그룹 1이 있다. VR 상태 질문이 AUX DSP(116)에 의해 수신되면, 그룹 0 메세지는 현재 VR 상태를 반영하도록 보고될 것이다. 그룹 1 메세지는 적절한때마다 AUX DSP(116)에 의해 자동으로 보고된다.
표 15. 모드 5 메세지에 대한 데이터 비트 정의
모드 6 메세지는 확장된 SVN 메세지이다. 모드 6 메세지의 데이터 포맷은 하기의 표 16에 주어진다. 확장된 SVN 메세지는 10 바이트 메세지이다. 52 데이터 비트들은 이전에 나타난 바와 같이 8개 ASCII 문자들로 구성되는 확장된 SVN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0' 캐릭터(0x30 hex)로부터 각 캐릭터의 ASCII 코드의 오프셋은 메세지의 최종 8 바이트들에 엔코딩된다.
표 16. 모드 6 메세지에 대한 데이터 비트 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부터 AUX DSP(116)로의 명령들로, 상기 AUX DSP (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의 모든 메세지들은 짝수 바이트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의 메세지들은 '1'로 세팅된 클록 비트를 갖는 바이트 0xCC로 시작하고, '0'으로 세팅된 클록 비트를 갖는 최종 바이트로 끝난다. 따라서, 각 메세지는 적어도 2 바이트 메세지이다.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송신된 메세지 바이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의해 인식된다. AUX DSP(116)는 대응하는 인식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다음 메세지 바이트를 송신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판독 레지스터 (104)(도 1)의 내용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내용을 판독할 때까지 불변상태이며, 인식 명령을 송신한다.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가 판독 레지스터(104)의 내용을 빠뜨리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AUX DSP(11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16)로의 어떤 메세지 바이트는 모두제로(0x00)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0x00 μ-law 데이터 바이트로 연결되었다면, 상기 바이트는 외부 액세서리(102)가 데이터 버스(101)로 연결되지 않은 잘못된 표시로 인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풀 듀플렉스에서 신뢰성있게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외부 액세서리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전의 기술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조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발명 특허의 사용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에 따른 최광위의 범위에 일치된다.

Claims (21)

  1. 데이터 버스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와 외부 액세서리간의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첫번째 타임 슬롯과 두번째 타임 슬롯의 반복하는 시퀀스로 비트 시퀀스를 포맷하는 단계;
    상기 첫번째 타임 슬롯에 상기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에 상기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들의 각각의 제 1 비트는 보존하는 두번째 타임 슬롯들간에 하이 값과 로우 값사이에 변하는 클록 비트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두번째 타임 슬롯의 상기 시퀀스는 N+1 바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N+1 바이트의 개시 바이트는 동기화 비트 시퀀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들 중 두번째 바이트는 상기 N+1 바이트들 중 나머지의 의미를 정의하는 모드 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홀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의 최종 바이트의 상기 클록 비트는 상기 N+1 바이트의 상기 개시 바이트의 상기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의 제 3 및 그 이상의 각각의 제 2 비트를 상기 N+1 바이트의 상기 각 제 3 및 그 이상의 상기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으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외부 액세서리에 제공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연결된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첫번째 타임 슬롯 및 두번째 타임 슬롯의 반복 시퀀스로 포맷하고, 상기 첫번째 타임 슬롯의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의 상기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의 각각의 제 1 비트는 연속적인 두번째 타임 슬롯들간에 하이 값과 로우 값사이에서 변하는 클록 비트를 포함하는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의 시퀀스는 N+1 바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N+1 바이트의 개시 바이트는 동기화 비트 시퀀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들 중 두번째 바이트는 상기 N+1 바이트들 중 나머지의 의미를 정의하기 위한 모드 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홀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의 최종 바이트의 상기 클록 비트는 상기 N+1 바이트의 상기 개시 바이트의 상기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의 제 3 및 그 이상의 각 바이트의 두번째 비트를 상기 N+1 바이트의 제 3 및 그 이상의 각 바이트의 상기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으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갖는 외부 액세서리; 및
    상기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비트의 시퀀스를 첫번째 타임 슬롯 및 두번째 타임 슬롯들의 반복 시퀀스로 포맷시키고, 상기 첫번째 타임 슬롯의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의 상기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들의 각각의 제 1 비트는 연속하는 두번째 타임 슬롯들간에 하이 값과 로우 값사이에서 변하는 클록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의 상기 시퀀스는 N+1 바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N+1 바이트의 개시 바이트는 동기화 비트 시퀀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들 중 두번째 바이트는 상기 N+1 바이트의 나머지의 의미를 정의하는 모드 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홀수 정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의 최종 바이트의 상기 클록 비트는 상기 N+1 바이트의 개시 바이트의 상기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N+1 바이트의 제 3 및 그 이상의 바이트 각각의 제2 비트를 상기 N+1 바이트의 제 3 및 그 이상의 바이트 각각의 상기 클록 비트와 반대 극성으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음성 및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통신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음성 엔코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음성 디코더;
    상기 엔코더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판독 레지스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기록 레지스터; 및
    상기 디코더 및 상기 기록 레지스터에 연결된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된 데이터 버스; 및
    상기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외부 액세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액세서리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연결된 CODEC을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이 발생된 미리 결정된 수에 대해 동일한 제어 데이터 바이트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두번째 타임 슬롯이 발생된 미리 결정된 수에 대해 동일한 제어 데이터 바이트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9970A 1999-02-08 2000-02-04 통신 장치 및 외부 액세서리간의 통신 프로토콜 KR20010101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48,514 US6330247B1 (en) 1999-02-08 1999-02-08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xternal accessory
US09/248,514 1999-02-08
PCT/US2000/002899 WO2000046932A1 (en) 1999-02-08 2000-02-04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xternal access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814A true KR20010101814A (ko) 2001-11-14

Family

ID=2293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970A KR20010101814A (ko) 1999-02-08 2000-02-04 통신 장치 및 외부 액세서리간의 통신 프로토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30247B1 (ko)
EP (1) EP1151545B1 (ko)
JP (1) JP4563590B2 (ko)
KR (1) KR20010101814A (ko)
CN (1) CN1183688C (ko)
AT (1) ATE360923T1 (ko)
AU (1) AU2869800A (ko)
DE (1) DE60034551T2 (ko)
ES (1) ES2286010T3 (ko)
HK (1) HK1042793B (ko)
WO (1) WO2000046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7197A1 (en) 1997-07-30 2008-08-28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facing devices with communications networks
US7149514B1 (en) 1997-07-30 2006-12-1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Cellular docking station
US6411802B1 (en) 1999-03-15 2002-06-2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rporation Wireless backup telephone device
US7187947B1 (en)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US7162426B1 (en) * 2000-10-02 2007-01-09 Xybernaut Corporation Computer motherboard architecture with integrated DSP for continuous and command and control speech processing
US6832194B1 (en) * 2000-10-26 2004-12-14 Sensory, Incorporated Audio recognition peripheral system
DE10103608A1 (de) * 2001-01-28 2002-08-14 Audioton Kabelwerk Gmbh Freisprecheinrichtung für den Betrieb von Mobiltelefonen in Kraftfahrzeugen
DE10103609A1 (de) * 2001-01-28 2002-08-14 Audioton Kabelwerk Gmbh Freisprecheinrichtung für den Betrieb von Mobiltelefonen in Kraftfahrzeugen
DE10103610A1 (de) * 2001-01-28 2002-08-14 Audioton Kabelwerk Gmbh Freisprecheinrichtung für den Betrieb von Mobiltelefonen in Kraftfahrzeugen
WO2003003235A1 (en) 2001-06-27 2003-01-09 4 Media, Inc. Improved media delivery platform
US7120454B1 (en) 2001-12-26 2006-10-1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es
US7024230B2 (en) * 2002-02-22 2006-04-04 Kyocera-Wireless Corp Accessory interface system
EP1483661A1 (en) * 2002-03-04 2004-1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handling an audio signal
US6742061B1 (en) * 2002-03-08 2004-05-25 Nokia Corporation Accessory control interface
US20030191646A1 (en) * 2002-04-08 2003-10-09 D'avello Robert F. Method of setting voice processing parameters in a communication device
TWI275265B (en) * 2002-05-10 2007-03-01 Interdigital Tech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ation of retransmission of protocol data units to assist radio-link-control retransmission
US8554187B2 (en) 2002-07-15 2013-10-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s between networks and devices
US7200424B2 (en) 2002-07-15 2007-04-03 Bellsouth Inte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the use and movement of telephony devices
US8526466B2 (en) 2002-07-1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000682B2 (en) 2002-07-15 2011-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data
US8543098B2 (en) 2002-07-15 2013-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networks
US8275371B2 (en) 2002-07-15 2012-09-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connection-oriented services to devices
US8416804B2 (en) 2002-07-15 2013-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9143255B2 (en) * 2002-10-18 2015-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rthogonal signaling for CDMA
US20040213140A1 (en) * 2003-01-31 2004-10-28 Taylor John W. Interactive electronic device with optical page identification system
US7751856B2 (en) * 2003-10-28 2010-07-06 Nokia Corporation Coordination of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media processing circuitry
DE102004014793A1 (de) * 2004-03-24 2005-10-20 Bosch Rexroth Ag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GB0506539D0 (en) * 2005-03-31 2005-05-0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a communication system
FR2888445A1 (fr) * 2005-07-11 2007-01-12 St Microelectronics Sa Interface de type pcm
US7616973B2 (en) * 2006-01-30 2009-1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audio device having reduced sensitivity to RF interference and related methods
DE102009026807A1 (de) * 2009-06-08 2010-12-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hlerüberwachung eines mehrere Anlagen aufweisenden Gesamtsystems
CN102568480A (zh) * 2010-12-27 2012-07-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模手机语音传输系统
US8930647B1 (en) 2011-04-06 2015-01-06 P4tents1, LLC Multiple class memory systems
US9176671B1 (en) 2011-04-06 2015-11-03 P4tents1, LLC Fetching data between thread execution in a flash/DRAM/embedded DRAM-equipped system
US9170744B1 (en) 2011-04-06 2015-10-27 P4tents1, LLC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a flash/DRAM/embedded DRAM-equipped system
US9164679B2 (en) 2011-04-06 2015-10-20 Patents1,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ulti-thread operation involving first memory of a first memory class and second memory of a second memory class
US9158546B1 (en) 2011-04-06 2015-10-13 P4tents1, LLC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etching from a first physical memory between an execution of a plurality of threads associated with a second physical memory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692705B2 (en) * 2011-09-21 2014-04-08 Rockwell Colli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ow latency position information from position signals transmitted in a narrow bandwidth channel of a radio frequency
CN106657692A (zh) * 2016-10-13 2017-05-10 合肥拓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通信系统的信息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0702C2 (de) * 1980-03-20 1982-11-04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Digitales Nachrichtenübermittlungssystem
JPS6447200A (en) * 1987-08-18 1989-02-21 Toshiba Corp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DE3737647A1 (de) 1987-11-06 1989-05-18 Philips Patent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zur umschaltung von verbindungen in einem geraet der nachrichtentechnik
US5487066A (en) * 1988-03-21 1996-01-23 First Pacific Networks, Inc. Distributed intelligence network using time and frequency multiplexing
AU671952B2 (en) 1991-06-11 1996-09-19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rate vocoder
US5291479A (en) * 1991-07-16 1994-03-01 Digital Technics, Inc. Modular user programmab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US5333176A (en) 1992-04-30 1994-07-26 Murata Machinery, Ltd. Cellular hand held portable speakerphone system having an interface adapter
US5754589A (en) * 1993-01-08 1998-05-19 Multi-Tech Systems, Inc. Noncompress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over modem for a computer-based multifunctio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US5452289A (en) * 1993-01-08 1995-09-19 Multi-Tech Systems, Inc. Computer-based multifunctio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US5787115A (en) * 1995-12-28 1998-07-28 Northern Telecom Limited Key telephone system without common control
US5801785A (en) * 1996-02-13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two analog composite video signals
US6031826A (en) * 1996-08-27 2000-02-29 Ericsson Inc. Fast associated control channel technique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US6038457A (en) * 1997-12-05 2000-03-1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owering an accessory
US6115689A (en) * 1998-05-27 2000-09-05 Microsoft Corporation Scalable audio coder and deco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30247B1 (en) 2001-12-11
CN1339200A (zh) 2002-03-06
ES2286010T3 (es) 2007-12-01
EP1151545B1 (en) 2007-04-25
CN1183688C (zh) 2005-01-05
JP2002536906A (ja) 2002-10-29
HK1042793B (zh) 2005-07-29
DE60034551D1 (de) 2007-06-06
HK1042793A1 (en) 2002-08-23
ATE360923T1 (de) 2007-05-15
EP1151545A1 (en) 2001-11-07
WO2000046932A1 (en) 2000-08-10
AU2869800A (en) 2000-08-25
DE60034551T2 (de) 2007-12-27
JP4563590B2 (ja)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3590B2 (ja) 通信装置と外部付属機器との間の通信プロトコル
US6081724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system
US6459911B1 (en)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233877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of bursts for voice calls
CN102143257A (zh) 具有插孔插头端口的移动通信设备
JP2001308970A (ja) 携帯電話の音声認識操作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801448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swering an incoming call
EP1094446B1 (en) Voice recording with silence compression and comfort noise generation for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0084456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화통화 기능 및 음성합성을 이용한문자 메시지의 음성 확인 기능을 가진 차량용 음성인식 및음성합성 핸즈프리
KR19990024488A (ko) 차량 전화기의 핸즈 프리 장치
CN211404055U (zh) 在windows系统中实现通话的装置
CN100446519C (zh) 一种在通话过程中播放音乐的手机及其方法
JP2003188948A (ja) 携帯端末装置
KR200335010Y1 (ko) 음성제어 기능이 있는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 마이크
JP3278595B2 (ja) 携帯電話
JP2002171338A (ja) 無線通信端末
JP2002051116A (ja) 移動体通信装置
KR200164205Y1 (ko) 핸즈프리형 이어마이크폰 휴대장치
JPS62125718A (ja) 無線電話機
JPH10200617A (ja) 音声認識機能付き携帯形電話機
KR19990056194A (ko) 휴대 단말기의 음성 메모 저장 및 송출 방법
KR200300728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준어 변환 처리장치
JP2000224336A (ja) 電話機、電話機の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再生方法
KR20020095819A (ko) 음성안내 기능을 가지는 이어폰식 핸즈프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55055A (ko) 휴대폰을 이용한 음성 패킷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