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관계되는 통신제어장치는, 장착된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수수하는 유선통신수단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거쳐서 외부의 통신망과 데이터를 수수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통신망에 관한 정보인 네트워크 설정정보, 상기 통신망 내의 네트워크서버의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격납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네트워크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거쳐서 상기 통신망과의 접속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격납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서버와, 상기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장착된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수수하는 유선통신수단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거쳐서 외부의 통신망과 데이터를 수수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통신망에 관한 정보인 네트워크 설정정보, 상기 통신망 내의 네트워크서버의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격납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네트워크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거쳐서 상기 통신망과의 접속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격납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서버와, 상기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호스트기기로부터의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취득요구에 따라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상기 유선통신을 거쳐서, 상기 호스트기기에 부여하는 제어를 행하는 통신제어장치가 장착되는 호스트기기이며, 상기 통신제어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취득요구를 발행하여, 상기 통신제어장치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적용하는 처리를 행하는 설정처리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통신방법은, 호스트기기에 장착되는 통신제어장치의 내부에 기억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외의 통신망에 관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거친 상기 무선제어장치와 상기 통신망과의 접속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통신제어장치의 내부에 기억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통신제어장치와 상기 통신망 내의 네트워크서버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호스트기기와 상기 통신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 유선데이터의 수수를 행하여, 상기 네트워크서버와 상기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통신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망 외의 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통신제어장치를 거쳐서 상기 통신망과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 통신방법에서는, 상기 통신제어장치와 상기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패킷의 수수를 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포함되는 다른 호스트기기와 공통하여 사용되는 패킷포맷의 패킷을 상기 통신제어장치 및 상기 호스트기기로 생성하여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통신방법은,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호스트기기로 작성하고, 상기 호스트기기에 장착된 무선제어장치 및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거쳐서 근거리 무선통신망외의 통신망에 포함되는 전자메일서버에 전자메일을 송신하는데 있어서, 상기 호스트기기에서 상기 통신제어장치에 RFC(Request For Comments)에서 규정된 데이터를 일괄 또는 분할하여 송신하고, 상기 호스트기기에서 상기 통신제어장치에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제어장치에 송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제어장치 내의 메모리영역 내에서 전자메일서버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구축하고, 메모리영역 내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거쳐서 외부의 통신망 내의 전자메일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1)에 적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중통신망(40)과 접속되는 무선LAN 시스템(1)에 있어서, 게이트웨이가 되는 통신기기(2)(2a∼2e), 무선통신장치(3), 무선통신장치(3)가 장착되는 호스트기기(4)의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불루투스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불루투스방식이란, 일본-구라파 5개사가 1998년5월에 표준화활동을 개시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호칭이다. 이 불루투스방식에서는,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가 1Mbps(실효적으로는 721Kbps), 최대 전송거리가 10m정도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여 데이터통신을 행한다. 이 불루투스방식에서는, 무허가로 이용 가능한 2.4GHz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대역에 대역폭이 1MHZ의 채널을 79개 설정하고, 1초간에 1600회 채널을 전환하는 주파수호핑방식의 스펙트럼 확산기술을 채용하여 호스트기기(4)(4a∼4d)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한다.
이 불루투스방식을 적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포함되는 각 호스트기기(4)는, 슬레이브/마스터방식이 적용되고, 처리내용에 따라서 주파수 호핑패턴을 결정하는 마스터기기와, 마스터기기에 제어되는 통신상대의 슬레이브기기로 갈라진다. 마스터기기에서는, 한 번에 7대의 슬레이브기기와 동시에 데이터통신을 행할 수 있다. 마스터기기와 슬레이브기기를 합한 계 8대의 기기로 구성하는 서브넷은 “piconet(비코넷)”라고 불리운다. 비코넷내, 즉 무선LAN 시스템(1)에 포함되는 슬레이브기기가 된 호스트기기(4)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비코넷의 슬레이브기기가 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무선LAN 시스템(1)은, 예를 들면 인터넷망 등의 공중통신망(40)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기기(2)(2a∼2e)와,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불루투스방식으로 패킷의 송수신을 다른 호스트기기 및 통신기기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패킷의 입출력을 행하는 호스트기기(4a∼4e)로 구성된다.
호스트기기(4)는, 무선통신장치(3)와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디바이스이다. 호스트기기(4)로서는,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4a), 디지털 카메라(4b), 메일처리단말(4c), EMD(Electronic Music Distribution)단말(4d) 등이 있다. 통신기기(2)는,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무선통신장치(3)와 접속되는 동시에 공중통신망(40)에 접속되고, 무선통신장치(3)와 공중통신망(40)을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이다.
이 통신기기(2)로서는, 공중통신망(40)과 접속하기 위한 모뎀 등을 갖춘 퍼스널컴퓨터(2a), 예를 들면 cdma On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나 CDMA(Wide 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을 채용한 휴대전화(2b), TA/모뎀(2c), STB(Set Top Box)(2d), 예를 들면 불루투스방식에 준한 무선통신장치(3)와 공중통신망(40)을 접속하기 위한 기지국 등의 준공중시스템(2e)이 있다.
공중통신망(40)으로서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2a)와 전화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인터넷(Internet)망, 휴대전화(2b)로 접속되는 이동체통신망(Mobile Network), TA/모뎀(2c)와 접속되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B(broadband)-ISDN, STB(2d)와 접속되는 위성통신망(Broadcasting), 준공중시스템(2d)과 접속되는 WLL(wireless local loop) 등이 있다.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인터넷망에는, 또한 정보제공서버(41), 전자메일서버(42), EMD서버(43), 커뮤니티서버(44)가 포함된다. 정보제공서버(42)에서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요구를 무선통신장치(3), 통신기기(2)를 거쳐서 수신하고, 요구에 따라서 정보를 호스트기기(4)에 송신한다. 또, 전자메일서버(42)에서는, 전자메일을 관리하고, 통신기기(2), 무선통신장치(3)를 거쳐서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전자메일을 송수신한다. 또한, EMD서버(43)에서는, 통신기기(2) 및 무선통신장치(3)를 거쳐서 호스트기기(4)의 EMD단말(4d)에 음악정보를 송신하여, 음악제공서비스를 관리한다. 그리고 또, 커뮤니티서버(44)에서는, 예를 들면 호스트기기(4)의 디지털 카메라(4b)에 예를 들면 시각정보, 뉴스정보 다운로드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정보의 업로드 등을 관리한다.
이하의 설명은,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통신망(20)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휴대전화(통신기기)(2)와,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상기 불루투스방식으로 패킷의 송수신을 휴대전화(2)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무선통신장치(3)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패킷의 입출력을 행하는 호스트기기(4)로 이루는 무선LAN 시스템(1)에 대해서 행한다.
휴대전화(2)는, 무선통신장치(3)로부터의 패킷에 의거하여, 이동체통신망(20)을 거쳐서 공중통신망(40)과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휴대전화(2)는, 무선통신장치(3)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이동체통신망(20), 공중통신망(40)과 접속하는 뜻의 명령이 행해진다.
호스트기기(4)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휴대정보단말 등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이 호스트기기(4)는, 무선통신장치(3)와 접속하기 위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의해 무선통신장치(3)가 커넥터를 거쳐서 기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무선LAN 시스템(1)을 구성하는 휴대전화(2),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가 실장하는 프로토콜스택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2)는, 하위의 3개의 레이어로서 불루투스방식의 무선LAN 시스템(1)을 실현하기 위한 물리레이어(PHY), 미디어액세스 제어레이어(MAC), 논리링크 제어레이어(LLC)를 가지는 프로토콜스택(11)을 실장하고 있다. 휴대전화(2)는, 상기 하위의 3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으로 무선통신장치(3)와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휴대전화(2)는, 하위의 3개의 레이어에 대한 상위레이어로서 W-CDMA(Wide 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프로토콜을 실장하고 있다. 이 휴대전화(2)는, W-CDMA(Wide 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프로토콜을 실장하고 있다. 이 휴대전화(2)는, W-CDMA 프로토콜을 실장하고, 무선통신장치(3)에 의해 데이터통신 모드로 되는 것으로, 이동체통신망(20)을 거쳐서 공중통신망(40)에의 접속을 실현한다. 또한, 이 휴대전화(2)는, 상기 W-CDMA 프로토콜과는 다른 프로토콜을 실장하고 있어도 좋다.
무선통신장치(3)는, 무선송수신기능과 프로토콜 제어기능을 갖추고, 상기 휴대전화(2)와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는 동시에, 호스트기기(4)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행해진다. 이 무선통신장치(3)는, 상술한 휴대전화(2)와 동일하게 하위의 3개의 레이어로서 불루투스방식의 물리레이어(PHY), 미디어액세스 제어레이어(MAC), 논리링크 제어레이어(LLC)를 가지는 프로토콜스택(12)을 실장하고 있다. 무선통신장치(3)는, 하위의 3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휴대전화(2)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이 무선통신장치(3)의 더욱 상세한 구성 및 처리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이 무선통신장치(3)는,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구성하기 위한 하위 3개의 레이어에 대한 상위 레이어로서, PPP(Point to Point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을 실장하고 있다. 또한, 이 무선통신장치(3)는, TCP에 대한 상위 레이어의 애플리케이션층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장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장치(3)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전자메일서버와 전자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장한다.
이 무선통신장치(3)에 실장된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은,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전자메일서버의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는, 무선통신장치(3)에서 전자메일서버에 전자메일을 송신하기 위한 메일송신 프로토콜, 전자메일서버에서 전자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메일수신 프로토콜 및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메시지데이터의 기술방법을 정의한 메일기술(記述) 프로토콜을 실장한다.
상기 메일송신 프로토콜로서는, IETF(Internet Enginering Task Force)가 RFC(Request For Comments)821에서 규정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이 사용 가능하다. 또, 메일수신 프로토콜로서는, RFC1939에서 규정한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RFC1730에서 규정된 IMAP4(Internet Message AccessProtocol Version 4)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메일기술 프로토콜로서는, RFC1521/1522에서 규정되어 메시지데이터로서 영상, 음성 및 프로그램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자메일에 포함하기 위한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tion)이 사용 가능하다.
이 무선통신장치(3)는, PPP에 준한 처리를 실행하여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예를 들면 인터넷서비스 프로바이더에 다이얼업 접속하고, IP 및 TPC에 준한 처리를 실행하고,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준한 처리를 실행하여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전자메일서버에 접속 가능하다.
또, 이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WWW(World Wide Web)서버와 접속하기 위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에서 기술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을 상기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실장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장치(3)는, HTTP에 준한 처리를 실행하여 WWW서버 등에 접속 가능하다.
또한, 이 무선통신장치(3)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대한 상위 레이어로서, 호스트기기(4)와 물리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HOSTI/F레이어를 실장하고 있다. 이 HOSTI/F레이어는, 호스트기기(4)와 접속하여 패킷의 입출력을 행하는 레이어이다. 이 HOSTI/F레이어에서는, 예를 들면 USB나 플래시메모리에 격납하는 데이터만을 입출력하기 위한 기존의 인터페이스가 행하는 처리를 행하는 레이어이다. 또한 무선통신장치(3)가 HOSTI/F레이어에서 행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호스트기기(4)는, 상술한 무선통신장치(3)의 최상위 레이어에 실장되어 있는HOSTI/F레이어에 대응한 HOSTI/F레이어와, HOSTI/F레이어에 대한 상위 레이어로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AP)레이어로 이루는 프로토콜스택(12)을 갖춘다. 이 호스트기기(4)는, HOSTI/F레이어를 실장하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AP)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입출력한다. 이 호스트기기(4)에 격납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서는, 퍼스널컴퓨터인 경우에는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상당한다.
또한, 호스트기기(4)는, 무선통신장치(3)가 장착되는 것으로, HOSTI/F레이어를 거쳐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의해 무선통신장치(3)와 패킷의 입출력을 행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가 실장하는 HOSTI/F레이어에서의 처리는, 애플리케이션층에서의 처리를 행할 때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포함되는 다른 호스트기기에 대하여 공통의 처리이다. 즉, 예를 들면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각 호스트기기가 HOSTI/F레이어에서 행하는 처리는, 각 호스트기기 및 무선통신장치(3)에서 입출력하는 패킷의 구성, 데이터 전송방법이 각 호스트기기로 통일되어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패킷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호스트기기(4)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입력기구를 갖추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조작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이 호스트기기(4)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장치(3) 및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휴대전화(2)와 접속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조작입력신호에 따른 제어커맨드를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기기(4)는, 휴대전화(2)가 공중통신망(40)과 접속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망(30) 및 이동체통신망(20)으로 이루는 공중망을 거쳐서 공중통신망(40)과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LAN 시스템(1)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장치(3)는 휴대전화(2), 이동체통신망(20), 공중통신망(40)을 거쳐서 프로바이더(50)와 접속된다.
프로바이더(50)는, 인터넷망(40a)과 호스트기기(4)와의 접속서비스를 행하는 서버이다. 이 프로바이더(50)는, 공중통신망(40)을 거쳐서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51)와, 인증서버(52), 전자메일서버(53)를 갖춘다.
액세스포인트(51)는, 호스트기기(4)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망(30) 및 공중통신망(40)을 거쳐서 PPP접속하기 위한 포인트이다. 이 액세스포인트(51)에서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고, 내부의 인증서버(52) 또는 전자메일서버(53)에 출력한다. 또, 이 액세스포인트(51)에서는, 인증서버(52) 또는 전자메일서버(53)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하여 패킷을 생성하고, 공중통신망(40) 및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호스트기기(4)에 송신한다.
인증서버(52)에서는, 액세스포인트(51)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메일서버(53) 외의 서버에 접속할 때의 인증처리를 행한다. 이 인증서버(52)에서는, 액세스포인트(51)로부터의 사용자ID,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처리를 행하고, TCP/IP를 접속하여 전자메일서버(53) 또는 인터넷망(40a)과의 접속을 허가한다.
전자메일서버(53)에는, 전자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SMTP, POP3, IMAP4 등의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격납된다. 이 전자메일서버(53)에서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기동하는 것으로, 호스트기기(4)와의 접속, 절단, 전자메일의 송수신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제어처리를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또, 이 전자메일서버(53)는, 프로바이더(50)로부터의 전자메일을 수신하여 유지하는 동시에, 액세스포인트(51)를 거쳐서 입력되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전자메일을 유지한다. 이 전자메일서버(53)는, 호스트기기(4)앞의 전자메일이 존재할 때에는, 액세스포인트(51)를 거쳐서 전자메일을 호스트기기(4)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전자메일서버(53)는, 근거리 무선통신망(30)에 포함되는 각 호스트기기마다 호스트기기(4)가 취득 가능한 전자메일의 일람을 나타내는 메일리스트를 유지한다. 이 전자메일서버(53)는, 프로바이더(50)와 호스트기기(4)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메일리스트 취득요구에 의거한 무선통신장치(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메일리스트를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한다.
다음에, 상술한 무선LAN 시스템(1)을 구성하는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의 블록도를 도 8에 나타낸다.
무선통신장치(3)는, 무선LAN 시스템(1)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을 행하는 통신제어부(61)와, 무선LAN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부와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하는 안테나부(62)와, 무선제어부(51)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하는 베이스밴드 제어부(63)와, 호스트기기(4)와 패킷의 작성,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64)를 갖춘다. 안테나부(62)는, 2.4GHz대(2.402GHz∼2.480GHz)의 신호를 출력/검출하기 위한 안테나로 이룬다. 이 안테나부(62)는, 통신제어부(61)로부터의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휴대전화(2)에 송신하는 동시에, 휴대전화(2)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제어부(61)에 출력한다.
이 안테나부(62)에서 송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망(30)에 있어서의 데이터는, 소정의 비트수로 이루고, 데이터, 커맨드 또는 리스폰스 등을 포함하는 패킷을 최소 단위로서 송수신된다.
상기 통신제어부(61)는, 안테나부(62)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수신부(81)와, 안테나부(62)로부터의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송신부(82)와, 송신부(82)로부터의 패킷을 안테나부(62)를 거쳐서 송신하는 것인지 또는 안테나부(62)로부터의 패킷을 수신부(81)에 출력할 것인지를 전환하는 스위치부(83)와, 수신부(81) 및 송신부(82)에 있어서의 패킷에 대하여 주파수호핑에 의한 스펙트럼확산을 행하는 호핑 신세사이저부(84)를 갖춘다.
스위치부(83)는, 후술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고, 안테나부(62)에서 패킷을 수신할 때에는 안테나부(62)로부터의 패킷을 수신부(81)에 출력하도록 동작하고, 안테나부(62)에서 패킷을 송신하는 때에는 송신부(82)에서 패킷을 안테나부(62)에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수신부(81)는, 스위치부(83)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하고, 베이스밴드 제어부(63)에 출력한다. 또, 이 수신부(81)는, 호핑 신세사이저부(84)에 의한 호핑 주파수패턴이 지정되고, 스위치부(83)에서 패킷을 수신할 때에 있어서의 주파수패턴에 따라서 패킷을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제어부(63)에 출력한다. 이때 수신부(81)는, 호핑 신세사이저부(84)에서 패킷단위로 지정된 주파수패턴을 승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베이스밴드 제어부(63)에 출력한다.
송신부(82)는, 안테나부(62)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거쳐서 휴대전화(2)에 출력하는 패킷으로서, 베이스밴드 제어부(63)에서 생성되어 1차 변조된 패킷단위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스위치부(83)에 출력한다. 또, 이 송신부(82)는, 호핑 신세사이저부(84)에 의해 주파수패턴이 지정되고, 당해 주파수패턴에 따라서 패킷을 스위치부(83)에 출력한다. 이때 송신부(82)는, 호핑 신세사이저부(84)에서 지정된 주파수패턴에 의해 주파수변환을 패킷단위로 실시하여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호핑 신세사이저부(84)는, 베이스밴드 제어부(63)로부터의 주파수호핑의 호핑패턴이 지정된다. 이 호핑 신세사이저부(84)는, 안테나부(62)에서 패킷을 수신할 때에는 베이스밴드 제어부(63)에서 지정된 호핑패턴의 주파수패턴을 수신부(81)에 출력한다. 또, 이 호핑 신세사이저부(84)는, 안테나부(62)에서 패킷을 송신하는 때에는 송신부(82)에서 베이스밴드 제어부(63)로부터의 데이터에 주파수변환을 실시하기 위한 주파수패턴을 송신부(82)에 출력한다. 이 호핑 신세사이저부(84)는, 수신부(81) 및 송신부(82)에 같은 주파수패턴을 지정하도록 베이스밴드 제어부(63)에 제어된다.
이 호핑 신세사이저부(84)는, 예를 들면, 1MHz마다 분할된 79채널 상(2.402GHz∼2.480GHz)에 매초 1600회의 주파수호핑을 행하도록 주파수변환을 행한다.
상기 베이스밴드 제어부(63)는, 후술하는 무선통신CPU(7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를 행한다.
이 베이스밴드 제어부(63)는, 수신부(81)에서 패킷단위의 패킷이 입력되고, 주파수호핑에 의해 주파수변조된 패킷을 복조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이 베이스밴드 제어부(63)는, 안테나부(62)에서 패킷을 송신하는 때에는 송신하는 패킷에 대하여 1차변조를 실시하여 송신부(82)에 출력한다.
또한, 이 베이스밴드 제어부(63)는, 호핑 신세사이저부(84)에 호핑패턴을 부여함으로써, 호핑 신세사이저부(84)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밴드 제어부(63)는, 무선통신장치(3)에서 송신하는 패킷의 송신타임을 제어하는 동시에, 수신하는 패킷의 수신타임을 제어한다. 이 베이스밴드 제어부(63)는 호핑패턴으로서, 예를 들면 f(k), f(k+1), f(k+2),…의 주파수패턴을 소정 시간마다 호핑 신세사이저부(84)에 부여한다.
그리고 또, 이 베이스밴드 제어부(63)는, 패킷을 소정의 패킷포맷으로 변환하여 패킷단위로 송신부(82)에 출력하는 동시에, 수신부(81)로부터의 소정의 패킷포맷의 패킷을 분해하는 처리를 행하여 인터페이스부(64) 또는 데이터버스를 거쳐서 무선통신CPU(70)에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64)는, 무선통신CPU(7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으로,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입출력하는 패킷의 작성, 분해 등을 행한다. 이 인터페이스부(64)는, 안테나부(62)에서 수신한 패킷이 통신제어부(61), 베이스밴드 제어부(63)를 거쳐서 입력되고, 당해 패킷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또, 이 인터페이스부(64)는, 안테나부(62)에서 패킷을 송신하는 때에는, 호스트기기(4)를 거쳐서 입력된 패킷을 베이스밴드 제어부(63)에 출력한다.
이 인터페이스부(64)는, 예를 들면, 메모리스틱(등록상표)과 동일한 사양을 가지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다. 이 인터페이스부(64)는, 호스트기기(4)와 접속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시리얼버스의 상태를 버스스테이트, 데이터, 클럭 등이 입출력되는 복수의 단자를 갖추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를 내장하고 인터페이스로서 시리얼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기존의 메모리카드와 동일형태, 동일사양으로 하여도 좋다. 즉, 이 인터페이스부(64)는, 10핀 중, 상기 데이터, 클럭, 버스스테이트의 3핀만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여기서, 클럭 및 버스스테이트는 호스트기기(4)에서 공급되고, 데이터는 쌍방향의 반이중전송을 행한다. 데이터로서 패킷을 인터페이스부(64)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할 때에는, 예를 들면 클럭의 최대 주파수를 20MHz로 하고, 512바이트 단위를 기본으로 한 에러체크코드를 부가하여 전송을 행한다.
또,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를 갖추는 경우에, 플래시메모리와 인터페이스부(64)와의 사이에 메모리제어기가 배치된다. 메모리제어기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처리를 행하고, 플래시메모리의 내용을 제어한다. 이 메모리제어기는,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가 복수의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로 이루는 경우에는 각 플래시메모리의 내용을 제어한다. 또한, 이 메모리제어기는,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가 종류가 다른 복수의 플래시메모리로 이룰 때에는, 각종 플래시메모리의 특성차를 흡수하여 각 플래시메모리를 제어하는 동시에, 각종 플래시메모리의 에러특성에 따른 에러정정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메모리제어기는, 패럴렐을 시리얼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메모리제어기는, 상술한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 준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현재 존재하는, 또는 장래 등장하는 플래시메모리라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 이 메모리제어기는, 플래시메모리의 파일 관리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에 탑재되어 있는 FAT(File Allocation Table)를 채용한다.
또한, 메모리제어기는 정지화, 동화, 음성, 음악 등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플래시메모리에 격납하여, 플래시메모리의 내용을 제어한다. 여기서 메모리제어기는,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플래시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파일포맷 및 디렉토리관리를 미리 규정하여, 플래시메모리에 기억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여기서 메모리제어기는, 정지화포맷으로서 JEIDA(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에서 규격화되어 있는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를 채용하고, 음성포맷으로서 ITU-T(국제전기통신연합)권고 G.726의 ADPCM(Adaptive Differencial Puluse Code Modulation)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 무선통신장치(3)는, 호스트기기(4)가 갖는 기능에 의거하여 단말능력을 나타내는 단말능력정보를 기억하는 단말능력 설정기억부(65)와, 사용자의 이용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기억하는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와, 사용자에 의해 수시변경이 가능한 개인정보를 기억하는 개인정보 기억부(67)와, 호스트기기(4)가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이나 공중통신망(40) 등의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기억하는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가 데이터버스에 접속된다.
단말능력 설정기억부(65)에는, 호스트기기(4)의 기능에 의거한 단말능력에 적합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단말능력정보가 기억된다. 이 단말능력 설정기억부(65)에는, 호스트기기(4)에 갖춰져 있는 단말능력 정보기억부(93)와 같은 정보가 단말능력정보로서 기억된다. 단말능력 설정기억부(65)는, 단말능력에 따른 처리를 행할 때에 무선통신CPU(70)에 의해 읽어 들여진다.
이 단말능력 설정기억부(65)에는, 무선통신장치(3)가 호스트기기(4)에 장착되었을 때에 무선통신CPU(70)에 의해 단말능력정보가 기입된다. 이 단말능력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호스트기기(4)의 문자입력능력이나 표시기구에 관한 정보, 호스트기기(4)가 실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있다.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에는, 무선통신장치(3)의 사용자의 이용권한에 관한 정보로서 개인인증 패스워드가 기억된다. 이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에는, 무선통신장치(3)의 이용권한을 허가/방지하기 위한 정보,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정보제공서버나 전자메일서버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방지하기 위한 정보, 부과금시스템에 대한 개인인증을 행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정보를개인인증 패스워드로서 기억한다. 이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에는, 예를 들면 텍스트형식 외, 지문, 성문(聲紋) 등의 바이오 메트릭스정보를 이용한 형식의 개인인증 패스워드가 기억된다.
개인정보 기억부(67)에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무선통신CPU(70)에서 실행할 때에 가변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정보를 기억한다. 즉, 개인정보 기억부(67)에는, 무선통신CPU(70)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상술의 SMTP나 POP3 등의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문자입력능력이 부족한 호스트기기(4)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정보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정보 기억부(67)에는, 전자메일 송신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정보, 어드레스정보의 일람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일람정보(어드레스장),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메시지데이터의 정형문을 나타내는 정형문정보, 정형문정보의 일람을 나타내는 정형문 일람정보, 송수신한 전자메일의 이력의 일람을 나타내는 송수신이력 일람정보, 전자메일의 아직 읽지 않은 관리를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미 읽은 메일에 부가하는 유니크ID 일람정보, 다이얼업을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의 전화번호의 일람을 나타내는 액세스포인트 일람정보, 작성하여 송신한 전자메일의 메시지데이터의 말미에 부가하는 사용자명, 사용자의 소속처 등을 기술하는 시그니처정보 등이 개인정보로서 기억된다.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무선통신CPU(70)에서 실행할 때에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기억한다. 즉, 무선통신CPU(70)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상술의 SMTP나 POP3 등의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행할 때에 있어서,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정보에만 사용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기억한다. 이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는, 상기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무선통신CPU(70)에서 실행 가능할 때, 사용자의 어드레스, 프로바이더(50)에 포함되는 전자메일서버(53)의 어드레스정보, 전자메일서버(53)에 대한 메일사용자ID, 메일사용자 패스워드 등을 네트워크 설정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다.
또한, 이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기능적으로 부여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3개의 정보를 기억한다. 즉,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는, (1)무선통신CPU(70)가 PPP를 실행할 때에 사용하는 액세스포인트의 전화번호, 사용자ID 및 사용자 패스워드, (2)TCP/IP를 무선통신CPU(70)에서 실행할 때에 사용하는 DNS(Domain Memory System) 서버어드레스, (3)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행할 때에 사용하는 전자메일서버의 어드레스, 메일사용자ID, 메일사용자 패스워드, 반신용 메일어드레스를 기억한다. 여기서, 상기 SIM기능적인 정보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필요하게되는 정보이며,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여 무선통신장치(3)의 내부에서 암호화 처리된 정보이다.
또, 이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HTTP를 무선통신CPU(70)가 실행하여 WWW서버에 접속할 때에는, HTTP에만 사용하는플렉시서버의 어드레스정보 등을 네트워크 설정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다. 무선통신CPU(70)에서는, 플렉시서버의 어드레스정보를 이용하여, HTTP에 따른 처리를 행하고, WWW에 포함되는 서버와 상기 호스트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상기 플렉시서버를 거쳐서 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에서는,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된 URL의 일람을 나타내는 URL 일람정보를 이용하여, URL을 호스트기기(4)에 선택시키고, WWW서버에서 호스트기기(4)에 HTML에서 기술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또, 이 무선통신장치(3)는, 데이터버스에 접속된 RAM(Random Access Memory)(59), ROM(Read Only Memory)(61), 무선통신CPU(70)를 갖춘다. ROM(71)에는, 무선통신CPU(70)가 상술한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도 6에 나타낸 프로토콜스택(12)이 격납되어 있다.
상기 무선통신CPU(70)는, 데이터버스를 거쳐서 무선통신장치(3)를 구성하는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프로그램을 ROM(71)에서 읽어 들이는 것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통신CPU(70)는, RAM(69)을 작업영역으로서 수시데이터를 격납하여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통신CPU(70)는 베이스밴드 제어부(63), 통신제어부(61) 및 인터페이스부(64)를 제어하여 무선LAN 시스템(1)을 구성하는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커맨드를 생성하는 동시에, 인터페이스부(64)를 거쳐서 호스트기기(4)와 패킷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이 무선통신CPU(70)가 제어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행하여 행하는 처리내용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호스트기기(4)는, 무선통신장치(3)의 인터페이스부(64)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91)와, 데이터버스를 거쳐서 인터페이스부(91) 등을 제어하는 호스트CPU(92)와, 호스트CPU(92)의 기능에 관한 단말능력정보가 기억되는 단말능력정보 기억부(93)를 갖춘다. 인터페이스부(91)는, 상술한 무선통신장치(3)의 인터페이스부(64)와 데이터, 커맨드 또는 리스폰스를 포함하는 패킷 등의 작성, 입출력을 행할 수 있고, 쌍방향에서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한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이룬다.
단말능력 정보기억부(93)는, 호스트CPU(92)의 기능에 관한 단말능력정보를 기억하고, 그 내용이 호스트CPU(92)에 의해 제어되는 동시에 읽어 들여진다. 이 단말능력 정보기억부(93)에 기억되는 단말능력정보로서는, 호스트기기(4)의 표시기구에 관한 정보, 버튼이나 키보드 등의 문자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조작입력기구에 관한 정보, 호스트CPU(92)의 내부의 메모리에 격납되는 프로토콜스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이 인터페이스부(91)는, 상술한 도 9 및 도 10a,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무선통신장치(3)의 인터페이스부(64)와의 사이에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되어 있다.
호스트CPU(92)는, 호스트기기(4)에서 생성한 데이터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생성한 조작입력신호 등에 의거한 커맨드 등을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이 호스트CPU(92)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있어서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데이터, 커맨드,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생성한다. 이 호스트CPU(92)는, HOSTI/F레이어에 있어서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패킷을 생성하고, 인터페이스부(91)를 거쳐서 무선통신장치(3)에 패킷을 출력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와는, 마스터/슬레이브의 관계에 있고, 호스트기기(4) 측이 마스터가 되고, 무선통신장치(3)가 슬레이브로 되어 있다. 즉, 무선통신장치(3)는 호스트CPU(92)로부터의 패킷 등에 따라서 동작한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장치(3)에서 호스트기기(4)에 데이터의 출력을 행할 때라도, 무선통신장치(3)는 호스트기기(4)를 접속하는 시리얼 데이터라인의 사용권을 얻은 뜻의 패킷을 호스트CPU(92)에서 입력되었을 때에만, 호스트기기(4) 측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에는, 호스트기기(4)에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무선통신장치(3)의 무선통신CPU(70)에 소정의 패킷포맷의 패킷을 출력함으로써 행한다.
즉, 호스트기기(4)의 호스트CPU(92)는, 무선통신장치(3) 측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때에는 상기 PID데이터로서 “OUT 토큰패킷”을 나타내는 제어데이터를 격납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통신CPU(70)에 출력한다. 또 호스트CPU(92)는, 무선통신장치(3) 측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 가능할 때에는, 상기 PID데이터로서 “IN 토큰패킷”을 나타내는 제어데이터를 격납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통신CPU(70)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쌍방향으로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CPU(92)는, 무선통신장치(3)의 제어내용에 따라서 PID데이터의 내용을 변화시킨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무선통신장치(3)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즉, 호스트CPU(92)는, 패킷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하는 것으로, 무선통신장치(3)를 통신아이들모드, 메모리모드, OUT 트랜잭션모드, IN 트랜잭션모드로 전환한다.
무선통신CPU(70)는, 호스트기기(4)에 장착된 뜻의 신호가 인터페이스부(64)에서 입력된 것에 따라서, 초기화처리를 행한다. 이 무선통신CPU(70)는, 처리나 처리로서 호스트기기(4)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무선통신장치(3)의 이용권한을 확인하도록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의 개인인증처리, 호스트기기(4)에서 단말능력정보를 입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개인인증처리, 단말능력정보를 입력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무선통신CPU(70)는, 단말능력정보의 입력을 행할 때에는, 호스트기기(4)의 단말능력정보 기억부(93)에서 단말능력정보를 입력하도록 커맨드패킷을 호스트기기(4) 측에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는, 커맨드패킷에 따른 리스폰스패킷을 수신하고, 리스폰스패킷에 포함되는 단말능력정보를 단말능력정보 설정기억부(65)에 기억시킨다.
또한, 이 무선통신CPU(70)는 초기화처리,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설정 기억부(68)에 기억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설정처리,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하는 개인정보의 설정처리,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전자메일서버와의 접속 및 절단처리,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메시지데이터의 작성처리, 전자메일의 송신 및 취득처리 등을 행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호스트기기(4)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발행하는 동시에,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해석하는 것으로, 상기의 각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패킷의 패킷구조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a,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를 행할 때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트기기(4)는, 커맨드패킷(100)을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대하여,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커맨드패킷(100)에 대한 리스폰스패킷(110)을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상기 커맨드패킷(100) 및 대한 리스폰스패킷(110)은, 근거리 무선통신망(30) 내에 복수의 호스트기기가 존재할 때에는, 각 호스트기기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패킷구조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호스트기기(4)에서 무선통신장치(3)를 제어할 때에는, 호스트기기(4)에서 커맨드패킷(100)을 무선통신장치(3) 측에 출력한다. 무선통신장치(3)의 무선통신CPU(70)에서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제어처리를 행한 결과를 리스폰스패킷(110)에 포함시켜서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호스트기기(4)의 호스트CPU(92)에서는, 커맨드패킷(100)에 포함되는 무선통신장치(3)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커맨드 파라미터(102)를 발행한다. 그리고, 호스트기기(4)의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호스트CPU(92)에서 발행한 커맨드와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100)을 작성하여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커맨드패킷(100)은,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에서 커맨드형식(101a), 커맨드명(101b), 파라미터(102)의 순으로 배열된 패킷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커맨드형식(101a)이란, 예를 들면 AT커맨드이고, 커맨드명(101b) 및 파라미터(102)를 기술할 때에는, AT커맨드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는 뜻을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한다.
상기 커맨드명(101b)이란, 다음의 표 1에 나타내는 커맨드세트에서 무선통신CPU(70) 또는 호스트CPU(92)가 선택한 커맨드가 격납된다.
커맨드명 |
개요 |
커맨드파라미터 |
리스폰스파라미터 |
SETTC |
무선통신장치에 단말능력정보를 설정한다. |
·정보항목·항목내용 |
없음 |
AUTH |
개인인증패스워드의 인증조작을 행한다. |
·입력패스워드 |
없음 |
SETPWD |
개인인증패스워드의 설정을 행한다. |
·변경전 패스워드·변경 패스워드 |
없음 |
SETSIM |
SIM정보의 설정을 행한다. |
·SIM정보항목·SIM항목내용 |
없음 |
SETNET |
네트워크설정정보를 설정한다. |
·네트워크 정보항목·네트워크 항목내용 |
없음 |
SETPINFO |
개인정보를 설정한다. |
·개인정보항목·정보번호·개인정보내용 |
없음 |
GETPINFO |
개인정보를 취득한다. |
·개인정보항목·정보번호 |
·개인정보내용 |
DELPINFO |
개인정보를 삭제한다. |
·개인정보항목·정보번호 |
없음 |
CNTPINFO |
등록끝이 끝난 개인정보를 카운트한다. |
·개인정보항목 |
·등록수 |
CONSV |
메일서버와 접속한다. |
·서버종별 |
없음 |
DISCSV |
메일서버와 절단한다. |
·서버종별 |
없음 |
CONSTML |
무선통신장치내부에서 메일데이터를 구축한다. |
·데이터종별·데이터내용 |
·남은 데이터종별 |
SNDML |
메일데이터를 송신한다 |
·데이터종별(Date:)·데이터내용 |
없음 |
CNTML |
아직 읽지 않은 메일수를 취득한다. |
없음 |
아직·읽지 않은 메일수 |
GETMLST |
지정한 메일번호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
·메일번호 |
·메일리스트데이터 |
GETMLST |
지정한 메일번호의 메일을 취득한다. |
·메일번호 |
·메일데이터 |
SETOPT |
옵션정보를 설정한다. |
·옵션항목·옵션정보내용 |
없음 |
리스폰스패킷(110)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에서 처리결과(111), 파라미터(112)의 순으로 배열된 패킷구조로 되어 있다.
처리결과(111)는, 커맨드패킷(100)을 처리한 결과이다. 이 처리결과(111)의 영역에는, OK 또는 NG가 기술된다.
상기 커맨드패킷(100) 및 리스폰스패킷(110)에 포함되는 파라미터(102, 112)는, 커맨드 또는 처리결과의 대상이 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종별(102a,112a), 각 파라미터종별(102a, 112a)의 내용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내용(102b, 112b)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에 포함되는 전메일의 송신처의 어드레스정보를 설정할 때에는, 파라미터종별(102a, 112a)에 개인정보가 격납되고, 파라미터내용(102b, 112b)에 전자메일 송신처의 어드레스정보가 격납된다.
도 10a 및 도 10b의 패킷은, 호스트기기(4)의 기종에 의존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처리를 무선통신장치(3)의 인터페이스부(64) 및 호스트기기(4)의 인터페이스부(91)에서 작성된다. 이와 같은 패킷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무선통신장치(3)는 복수의 호스트기기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무선LAN 시스템(1)에서는 호스트기기(4)의 종류를 불문하고, 커맨드/리스폰스방식의 통신을 호스트기기(4)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 무선통신장치(3)를 거친 호스트기기(4) 사이에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LAN 시스템(1)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3)가 호스트기기(4)에 장착되었을 때에 행하는 초기화처리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의하면. 먼저 스텝(ST1)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무선통신장치(3)가 삽입된 것을 인터페이스부(91)에서 검지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는, 무선통신장치(3)가 장착된 뜻의 신호를 호스트CPU(92)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사용자에게 무선통신장치(3)의 이용권한을 나타내는 개인인증 패스워드의 입력을 촉구한다. 호스트CPU(92)는, 예를 들면 탑재하고 있는 표시기구에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뜻의 제시를 행한다.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예를 들면 조작입력기구를 이용하여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입력한 것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개인인증 패스워드의 인증처리를 행하는 뜻의 패스워드 인증요구(AUTH) 커맨드를 발행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무선통신장치(3)의 이용권한을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1)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다음에, 커맨드패킷(C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2)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개인인증 패스워드와,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에 기억된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비교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통신CPU(70)에서는 호스트기기(4)를 조작한 사용자의 이용권한을 인증하고, 처리결과에 OK를 격납한 리스폰스 패킷(R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의 인증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에는, 제조시에 임시의 개인인증 패스워드가 기억되어 있고, 호스트기기(4)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변경하는 경우에는, 미리 기억된 임시의 개인인증 파라미터를 이용한 개인인증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에 새로운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기억한다. 이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처리는, 상술의 표 1에 있어서의 커맨드명으로서 “SETPWD”를 이용하고, 후술의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설정할 때와 같은처리를 행한다. 호스트기기(4)에서는, 개인인증처리가 종료한 후, 무선통신장치(3)에 대하여 호스트기기(4)의 기능에 의거한 단말능력정보를 통지한다. 이때 호스트CPU(92)에서는, 단말능력정보를 무선통신장치(3)에 설정하는 뜻의 커맨드(SETTC)를 발행하고, 단말능력 정보기억부(93)에 격납된 단말능력정보를 커맨드 파라미터로 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102)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2)(1)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다음에, 커맨드패킷(C2)(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3)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단말능력정보를 단말능력 설정기억부(65)의 대응하는 메모리영역에 격납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처리결과에 OK를 격납한 리스폰스패킷(R2)(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여기서, 단말능력을 나타내는 커맨드 파라미터가 복수 존재하고, 호스트기기(4)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복수회 커맨드패킷(C2) 및 리스폰스패킷(R2)을 입출력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스텝(ST4) 이후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커맨드패킷(C2)(1), (C2)(2), …를 순차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하는 것으로 단말능력정보의 설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에서는, 개인인증처리 및 단말능력 설정처리를 종료하여, 초기화처리를 종료하고, 초기화처리 완료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개인인증처리를 행하는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예를 들면부과금에 관한 정보,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 네트워크 설정정보로서 격납된 무선통신장치(3)를 분실 혹은 도난시에 타인이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여기서, 커맨드패킷(C1)에 포함된 개인인증 패스워드가 개인인증 패스워드 기억부(66)에 격납된 개인인증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통신장치(3)는 개인정보 기억부(67) 및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의 액세스를 거부하고, 처리결과(111)에 NG를 포함하는 리스폰스패킷(R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하는 것으로, 타인의 사용을 방지한다.
또, 단말능력 설정처리를 행하는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무선통신장치(3) 측에서 장착된 호스트기기(4)의 단말능력에 적합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3)는, 예를 들면, 호스트기기(4)에서 단말능력정보로서 호스트기기(4)에 실장되는 프로토콜을 취득하는 것으로, 내부에서 기동하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의 콘피규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3)는, 호스트기기(4)의 종류에 따라서 전자메일의 취득방법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LAN 시스템(1)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3)의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처리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호스트기기(4)에 의한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설정처리는, 상술한 초기화 완료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도 12에 의하면, 먼저, 호스트기기(4)의 호스트CPU(92)는,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설정처리를 행하는 뜻의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설정요구(SETNET)를 커맨드로 하고, 설정대상이 되는 파라미터종별 및 파라미터내용을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11)(1)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다음에, 커맨드패킷(C11)(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102)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11)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102)에 격납된 네트워크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종별 및 파라미터내용을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처리결과(111)에 OK를 격납한 리스폰스패킷(R11)(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복수개 설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커맨드 파라미터를 복수 발행하고, 호스트기기(4)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복수회 커맨드패킷(C11)(1) 및 리스폰스패킷(R11)(1)을 입출력한다. 무선통신장치(3)는 스텝(ST12), 스텝(ST13)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커맨드패킷(C11)(1), (C11)(2), …을 순차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설정처리를 행한다. 또, 이미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네트워크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 다시 같은 파라미터 종별의 네트워크 설정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의 같은 영역에 입력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오버라이트한다.
또한, 네트워크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로서는, 메일 사용자ID 등의 금전면에 관계되는 정보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에 관계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할 때, 호스트기기(4)에서 입력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그대로 텍스트데이터로서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하지 않고, 무선통신CPU(70)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암호화하여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는 암호화하여 기억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사용할 때에는, 복호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설정정보가 호스트기기(4)에서 무선통신장치(3)에 입력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설정되는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인터넷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접속할 때에 사용하는 액세스포인트의 전화번호와 같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라도, 사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변경할 가능성이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기억부(67)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설정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액세스포인트의 전화번호의 일람을 나타내는 정보를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하고, 후술의 도 13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호스트기기(4)의 표시기구에 액세스포인트의 일람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격납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을 호스트기기(4)에서 무선통신장치(3)에 입력하여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한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설정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수시 행할 필요가 있는 설정입력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LAN 시스템(1)에 있어서,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되는 개인정보를 호스트기기(4)에서 무선통신장치(3)에 취득, 설정, 삭제하는 처리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기기(4)에서 개인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호스트기기(4)에 의한 개인정보의 취득처리는, 상술한 초기화 완료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도 13에 의하면, 먼저 스텝(ST2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됨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로서 예를 들면,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기기의 어드레스정보의 일람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일람정보(어드레스장)를 표시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를 취득하는 뜻의 개인정보 취득요구(GETPINFO)를 커맨드로서 발행한다. 또 호스트CPU(92)는, 취득처리의 대상이 되는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파라미터종별로서 커맨드 파라미터를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21)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2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22)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파라미터종별이 나타내는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개인정보 기억부(67)의 해당 메모리영역에서 독출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장치(3)의 처리결과로서 OK를 발행하고, 리스폰스 파라미터로서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발행하고,리스폰스 패킷(R21)을 인터페이스부(64)에서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기기(4)에서는, 무선통신장치(3)로부터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취득하고, 표시기구에 어드레스의 일람을 표시한다.
다음에,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되는 개인정보를 설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인정보의 설정처리는, 먼저 스텝(ST23)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로서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기기의 어드레스정보의 일람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설정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를 설정하는 뜻의 개인정보 설정요구(SETPINFO)를 격납한 커맨드를 발행하고, 설정처리의 대상이 되는 어드레스일람, 어드레스번호를 파라미터종별로 하고, 파라미터내용을 설정내용으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22)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22)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24)에 있어서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파라미터종별이 나타내는 어드레스 일람정보가 격납된 메모리영역에, 파라미터내용이 나타내는 정보를 개인정보로서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처리결과로서 OK를 발행하고, 인터페이스부(64)에서 리스폰스 패킷(R22)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여기서, 설정하는 개인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에는, 커맨드 패킷(C5) 및 리스폰스 패킷(R5)을 호스트기기(4)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복수회 입출력한다.
다음에,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되는 개인정보를 변경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인정보의 변경처리는, 먼저 스텝(ST25)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변경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를 설정하는 뜻의 개인정보 설정요구(SETPINFO)를 커맨드로서 발행한다. 또 호스트CPU(92)는, 변경처리의 대상이 되는 어드레스일람, 어드레스번호를 파라미터종별로서, 내용을 파라미터 내용으로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 패킷(C22)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22)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26)에 있어서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102)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파라미터종별이 나타내는 어드레스 일람정보가 격납된 메모리영역에, 설정내용이 나타내는 정보를 개인정보로서 개인정보 기억부(67)에 덮어씀으로서 변경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처리결과로서 OK를 발행하고, 인터페이스부(64)에서 리스폰스 패킷(R22)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여기서, 변경하는 개인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에는,커맨드패킷(C5) 및 리스폰스 패킷(R22)을 호스트기기(4)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복수회 출력한다.
다음에,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되는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인정보의 삭제처리는, 먼저 스텝(ST27)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어드레스 일람정보에 포함되는 일부의 어드레스정보를 삭제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뜻의 개인정보 설정요구(DELPINFO)를 커맨드로서 발행한다. 또 호스트CPU(92)는, 삭제처리의 대상이 되는 어드레스일람, 어드레스번호를 파라미터종별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23)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23)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28)에 있어서,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파라미터종별이 나타내는 어드레스일람, 어드레스번호가 격납된 개인정보를 삭제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처리결과(111)로서 OK를 발행하고, 인터페이스부(64)에서 리스폰스패킷(R23)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여기서, 삭제하는 개인정보가 복수 존재할 때에는, 커맨드패킷(C23) 및 리스폰스패킷(R23)을 호스트기기(4)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복수회 입출력한다.
다음에, 무선통신장치(3)를 거쳐서 호스트기기(4)와 공중통신망(40)에 포함되는 네트워크서버를 접속하는 처리 및 절단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도 14의 설명에서는, 네트워크서버를 전자메일서버(53)로 하였을 때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호스트기기(4)와 전자메일서버(53)를 접속하는 처리는, 상술한 초기화 완료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도 14에 의하면, 먼저 호스트CPU(92)는 전자메일서버(53)와 접속을 요구하는 뜻의 서버접속요구(CONSV)를 격납한 커맨드를 발행하고, 전자메일서버(53)의 종별을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발행한다. 여기서, 전자메일서버(53)의 종별은, SMTP, POP, IMAP 등의 각 서버가 대응 가능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포로토콜이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31)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3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를 입력한다.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31)에 있어서,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격납된 서버종별을 식별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통신CPU(70)는, 전자메일서버(53)가 대응 가능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식별자로서 접속하는 전자메일서버(53)를 해석한다.
다음의 스텝(ST32)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는,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격납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따라서 필요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네트워크설정 기억부(68)에서 독출하는 동시에, ROM(71)에 격납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기동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는, 프로바이더(50)에 대하여 PPP접속, TCP/IP접속을 행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는, 전자메일서버(53)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커넥션 접속요구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S1)을 휴대전화(2), 이동체통신망(20) 및 공중통신망(40)을 거쳐서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통신CPU(70)는, 접속을 요구하는 전자메일서버(53)의 어드레스정보, 지정하는 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독출하고, 커맨드패킷(S1)에 포함하여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접속을 요구한 전자메일서버(53)와의 접속 가능(OK)을 나타내는 리스폰스 패킷(S2)이 프로바이더(50)에서 송신된 것에 따라서, 커넥션을 확립하여 서버접속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의 스텝(ST33)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는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접속한 전자메일서버(53)가 POP 또는 IMAP에 대응하고 있을 때에는,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스텝(ST34)으로 진행하고, POP 또는 IMAP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스텝(ST34)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는 사용자 인증처리로서, 먼저,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된 메일 사용자ID 및 메일 사용자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S3)을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무선통신CPU(70)는, 전자메일서버(53)에서 인증처리되고, 접속허가를 나타내는 리스폰스 패킷(S4)을 수신한 것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종료하고 다음의 처리로 진행한다.
여기서, 전자메일서버(53)가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무선통신CPU(70)는 USER, PASS, 혹은 APOP커맨드에 의해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된 메일 사용자ID 및 메일 사용자패스워드를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무선통신CPU(70)는, 인증서버(52)에서 인증처리되고, 접속허가(+OK)를 나타내는 리스폰스 패킷(S4)을 수신한 것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종료하고 다음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 전자메일서버(53)가 IMAP4(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Version 4)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LOGIN커맨드에 의해 인증서버(52)에서 인증이 행해진다. 이에 대하여, 무선통신CPU(70)는 인증서버(52)에서 인증처리되고, 접속허가를 나타내는 리스폰스 패킷(S4)을 수신한 것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종료하고 다음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서버인증처리를 행한 결과, 전자메일서버(53)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 상태로 된 후, 무선통신CPU(70)는 서버접속요구를 포함하는 커맨드 패킷(C31)에 대한 리스폰스 패킷(R3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기기(4) 및 무선통신장치(3)는 서버접속상태가 되고, 무선통신장치(3)를 거쳐서 호스트기기(4)와 전자메일서버(53)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호스트기기(4)와 전자메일서버(53)와의 접속상태를 해제하는 서버절단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CPU(92)는 전자메일서버(53)와 절단을 요구하는 뜻의 서버절단요구(DISCSV)를 격납한 커맨드를 발행하고, 전자메일서버(53)의 종별을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31)을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ST35)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는, 서버절단처리를 전자메일서버(53)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절단을 요구하는 커맨드(QUIT)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S5)을 송신하고, 이에 대하여 허가하는 리스폰스(221)을 포함하는 리스폰스 패킷(S6)을 수신한다. 이어서 무선통신CPU(70)는, 포트를 지정한 커넥션 절단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패킷(S7)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하는 것으로 서버절단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는 서버절단 처리의 결과를, 커맨드패킷(C32)에 대한 리스폰스 패킷(R32)으로서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또, 이 무선통신CPU(70)는, 상술한 처리로 기동한 PPP, TCP. IP, SMTP 등의 전자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의 종료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무선LAN 시스템(1)에 있어서, 전자메일은 예를 들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시지구성으로서 전자메일서버(53)에 송신된다.
도 15는, RFC822에서 규정된 인터넷망에서 송수신되는 전자메일의 메시지구성 예를 나타낸다. 이 전자메일의 메시지는, 각종의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210)와, 전자메일의 내용을 나타내는 보디부(220)로 이루고, 헤더부(210)와 보디부(220)가 널(NULL)개행을 거쳐서 구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널(NULL)개행이란, 미리 규정된 곤란부분이며, 사용자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불능하게 된 영역이다.
헤더부(210)에는, 전자메일에 부가하는 각종 정보가 기술된다. 이 헤더부(210)에는, 부가된 정보명과 정보명의 내용이 「:(콜론)」에 의해 구분되어서 행할 때마다 정보요소가 기술된다. 정보요소로서는, 하기 From행, Message-ID행, To행, Cc행, Date행, Sender행, Subject행이 있다.
From행에는 전자메일 송신원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어드레스가 기술된다. 이 From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무선통신장치(3)의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무선통신CPU(70)가 취득하여 보디부(220)에 부가한다.
Message-ID행에는 전자메일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유니크ID가 기술된다. 이 Message-ID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무선통신CPU(70)에 의해 임의의 번호로서 결정되어서 보디부(220)에 부가된다.
To행에는 전자메일 송신처의 어드레스정보가 기술된다. 이 To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 의해 보디부(220)에 부가된다.
Cc행에는 카본카피의 어드레스정보가 기술된다. 이 Cc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 의해 보디부(220)에 부가된다.
Date행에는 전자메일의 송신일시가 기술된다. 이 Cc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 의해 규정의 표기형식에 따라서 보디부(220)에 부가된다.
Sender행에는 전자메일을 송신한 사용자의 어드레스가 기술된다. 이 Sender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무선통신CPU(70)에 의해 임의로 보디부(220)에 부가된다.
Subject행에는 전자메일의 제목이 기술된다. 이 Subject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 의해 보디부(220)에 부가된다.
보디부(220)에는, 예를 들면 전자메일의 문장이나, 시그너처정보를 포함하는 메일본문의 텍스트데이터가 기술된다. 이 보디부(220)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는,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 의해 보디부(220)에 부가된다.
도 16은, RFC2046/2045에서 규정된 인터넷망(40a)에서 송수신되는 전자메일의 다른 메시지구성을 나타낸다. 이 전자메일의 메시지는, 각종의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230)와, 전자메일의 내용을 나타내는 보디부(240)로 이루고, 헤더부(230)와 보디부(240)가 널(NULL)개행을 거쳐서 구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헤더부(230)에는, RFC822에서 규정된 헤더부(210)와 동일한 정보가 기술된다.
보디부(240)에는, RFC2046/2045에서 규정된 MIME방식에 의해, 바이너리형식의 파일데이터가 규정된 인코드방식으로 무선통신CPU(70)에 의해 텍스트변환한 정보가 기술된다. 이 보디부(240)에는, 부가된 정보명과 정보명의 내용이 「:(콜론)」에 의해 구분되어서 행할 때마다 기술된다.
Content-Type행에는 메시지데이터에, 예를 들면 텍스트, 영상이나 음성 등의 파일을 첨부하는 경우에 부가되고, 예를 들면 텍스트데이터인 뜻이 기술된다. Content-Type행에 이어서,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따라서 부가되는 전자메일의 본문을 나타내는 정보, 개인정보 기억부(67)에서 취득하여 부가되는 시그너처데이터,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따라서 부가되는 인코드된 파일데이터가 기술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기술되는 전자메일을 나타내는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할 때의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는, 상술한 초기화 완료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도 17에 의하면, 먼저 스텝(ST4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로서 정형문 일람정보를 표시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정형문 일람정보를 취득하는 뜻의 개인정보 취득요구를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개인정보 취득요구(GETPINFO)를 커맨드명으로 하고, 정형문 일람정보를 파라미터종별로 한 커맨드패킷(C21)을 작성하고,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2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42)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정형문 일람정보를 개인정보 기억부(67)의 대응 메모리영역에서 독출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정형문 일람정보를 인터페이스부(64)에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OK를 처리결과로 하고, 정형문번호를 파라미터종별로 하고, 정형문정보를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리스폰스패킷(R2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다음의 스텝(ST43)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에서는, 정형문일람에서 정형문을 선택하는 뜻의 조작입력명령이 호스트기기(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기기(4)는, 메시시데이터 작성요구를 인터페이스부(91)에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는, 메시시데이터 작성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명, 데이터종별(Subject:)를 파라미터종별로 하는 동시에, 이 파라미터종별에 대응하는 내용을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 및 데이터종별(메일본문)을 파라미터종별로 하는 동시에, 이 파라미터종별에 대응하는 본문데이터를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41)을 작성하여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4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44)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여 메시지데이터를 RAM(69) 내에서 구축하는 처리를 행한다. 무선통신CPU(70)는,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데이터종별(Subject:)에 대한 내용 및 본문데이터를 RAM(69)의 소정 메모리영역에 격납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OK를 처리결과로 한 리스폰스 패킷(R4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다음의 스텝(ST45)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어드레스 일람정보(어드레스장)을 표시하는 뜻의 조작입력명령이 호스트CPU(9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개인정보 취득요구를 인터페이스부(91)에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는, 개인정보 취득요구를 커맨드명,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파라미터종별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21)을 작성하여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때하여, 커맨드패킷(C2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91)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46)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개인정보 기억부(67)의 대응 메모리영역에서 독출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어드레스 일람정보를 인터페이스부(64)에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OK를 처리결과로 하고, 어드레스번호를 파라미터종별로 하고, 어드레스정보를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리스폰스 패킷(R2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기기(4)에서는, 어드레스 일람정보에 따른 표시를 행행하여 어드레스일람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다음의 스텝(ST46)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어드레스(To)를 선택하는 뜻의 조작입력명령이 호스트CPU(9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를 인터페이스부(91)에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는,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를 커맨드명, 데이터종별(To:)을 파라미터종별로 하는 동시에, 이 파라미터종별에 대응하는 내용을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41)을 작성하여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4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48)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여 메시지데이터를 RAM(69) 내에서 구축하는 처리를 행한다. 무선통신CPU(70)는,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데이터종별(To)에 대한 내용을 RAM(69)의 소정 메모리영역에 격납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OK를 처리결과로 한 리스폰스 패킷(R4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다음의 스텝(ST49)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어드레스(Cc)를 선택하는 뜻의 조작입력명령이 호스트CPU(9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메시시데이터 작성요구를 인터페이스부(91)에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는, 메시시데이터 작성요구를 커맨드명, 데이터종별(Cc:)을 파라미터종별로 하는 동시에, 이 파라미터종별에 대응하는 내용을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41)을 작성하여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4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파라미터를 입력한다.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50)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여 메시지데이터를 RAM(69) 내에서 구축하는 처리를 행한다. 무선통신CPU(70)는 커맨드파라미터에 격납된 데이터종별(Cc)에 대한 내용을 RAM(69)의 소정 메모리영역에 격납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OK를 처리결과로 한 리스폰스패킷(R4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통신CPU(70)에서는, Subject행, To행, Cc행을 포함한 헤더부를 작성한다.
다음의 스텝(ST51)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메시지데이터에 파일데이터를 첨부하는 뜻의 조작입력명령이 호스트CPU(9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를 인터페이스부(91)에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는,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를 커맨드명, 파일명을 파라미터종별로 하는 동시에 이 파라미터종별에 대응하는 파일데이터를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한 커맨드패킷(C41)을 작성하여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4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52)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파일데이터에 MIME형식에 따른 인코드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파일데이터를 예를 들면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한다.
다음의 스텝(ST53)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는 인코드처리하여 얻은 텍스트데이터를 RAM(69)의 소정 메모리영역에 격납하는 것으로, 텍스트데이터가 첨부된 메시지데이터를 RAM(69) 내에서 구축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OK를 처리결과로 한 리스폰스패킷(R4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여기서, 호스트기기(4)는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C41)를 커맨드명으로 하여단일 내지 복수의 정보요소를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무선통신장치(3)에 입력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요소가 기술된 메시지데이터를 RAM(69) 내에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CPU(70)은 커맨드 파라미터로서 지정된 정보요소를 대응하는 헤더부, 보디부에 부가하는 동시에, 커맨드 파라미터에서 지정되어 있지 않은 From행, Sender행 등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를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취득하여 부가하는 처리,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된 시그너처정보를 메일본문의 말미에 부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무선통신CPU(70)는 메시지데이터에 첨부파일을 포함시킬 때에는, 인코드되어 있지 않은 바이너리형식의 데이터가 호스트기기(4)에서 입력된 것에 따라, 인코드한 텍스트데이터 또는 인코드 완료한 데이터에 MIME형식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영상이나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즉, 무선통신CPU((7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부(240)에 있어서 텍스트데이터에서 기술된 파트나 각 파일의 파일데이터를 기술한 파트의 경계를 명시하기 위한 Content-Type:, boundary의 지정이나, 각 파트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Content-Type행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는 처리를 행하고, 텍스트데이터나 인코드된 파일데이터를 배치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무선통신CPU(70)는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에 의해서는 헤더부(210, 230)에 기술하는 Date행을 기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Data행 이외의 메시지데이터의 구축이 완료한 후이며, 메일송신요구(SNDML)를 입력한 후에 부가한다.
상술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무선통신CPU(70)에서는, 파일데이터를 보디부로서 작성하고, 헤더부와 보디부로 이루는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를 갖춘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인터넷 메일형식의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할 때, 호스트기기(4)의 문자입력기구가 결핍한 경우라도,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기억된 정형문정보, 어드레스 일람정보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텍스트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또, 이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무선통신CPU(70)에서 MIME형식에 따른 인코드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호스트기기(4)로 촬상한 화상과 같은 바이너리형식의 파일데이터를 첨부한 메시지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축된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프로바이더(50)의 전자메일서버(53)에 송신하는 때의 호스트기기(4), 무선통신장치(3) 및 프로바이더(50)의 처리수순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메일을 프로바이더(50)의 전자메일서버(53)에 송신하는 때에는, 상술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호스트기기(4)와 전자메일서버(53)를 접속하는 처리가 완료하고, 호스트기기(4), 무선통신장치(3) 및 프로바이더(50)가 서버 접속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또한, 전자메일서버(53)에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때에는, 상술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가 행해지고, RAM(69) 내에 메시지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도 18에 의하면, 먼저, 스텝(ST6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메일송신처리를 개시하고,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뜻의 메일송신요구를 발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91)에서는, 메일송신요구(SNDML)를 커맨드명으로 하고, 데이터종별(Date:)을 파라미터종별로 하고, 데이터종별의 내용을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커맨드패킷(C51)을 작성하고,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커맨드패킷(C61)이 입력된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인터페이스부(64)에서 무선통신CPU(70)에 커맨드 및 커맨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62)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하고, RAM(69) 내에 기억된 메시지데이터에 Date행을 부가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호스트CPU(92)는 메시지데이터 작성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명, 데이터종별(Date:)을 파라미터종별로 하는 동시에, 이 파라미터종별에 대응하는 내용을 파라미터내용으로 한 커맨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41)을 작성하여 무선통신장치(3)에 출력하는 것으로, RAM(69) 내에 Date행이 추가된 메시지데이터를 구축시킨다.
다음의 스텝(ST63)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는 RAM(69)에 기억된 메시지데이터를 이용하여, SMTP에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정의 헤더정보 등을 메시지데이터에 부가하여 이루고, 전자메일을 나타내는 인터넷 메일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장치(3)는 근거리 무선통신망(30), 이동체통신망(20), 공중통신망(40)을 거처서 프로바이더(50)의 액세스포인트(51)에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스텝(ST64)의 프로바이더(50)와의 메일송신처리로 이행한다.
스텝(ST64)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3)는 SMTP에 따른 처리를 프로바이더(50) 및 전자메일서버(53)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여기서, SMTP에서는 무선통신장치(3)로부터의 커맨드(Command)와 프로바이더(50)측의 응답(Reply)과의 주고 받음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무선통신(CPU(70)은 베이스밴드 제어부(63), 무선제어부(51)를 제어하는 것으로, 커맨드패킷을 안테나부(62)에서 송신하는 동시에 커맨드패킷에 대한 리스폰스 패킷을 수신한다.
즉, 먼저, 무선통신CPU(70)는, 프로바이더(50)와 접속하는 통신로의 사용개시선언을 나타내는 HELO 커맨드패킷(S11)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도메인명을 localhost로 한 HELO 커맨드패킷(S11)을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프로바이더(50)에서는, HELO 커맨드패킷(S11)을 접수하여 SMTP에 따른 통신이 가능한 뜻을 나타내는 처리결과(코드 250:SUCCESS)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패킷(S12)을 무선통신장치(3)에 반신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는 송신자명(From:)을 프로바이더(50)측에 통지하기 위한 MAILFROM 커맨드패킷(S13)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네트워크 설정정보 기억부(68)에 격납된 FROM행의 메일어드레스를 포함한 MAILFROM 커맨드패킷(S13)을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프로바이더(50)에서는, MAILFROM 커맨드패킷(S13)을 접수한 뜻을 나타내는 처리결과(코드250:SUCCESS)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패킷(S14)을 무선통신장치(3)에 반신한다. 여기서, 무선통신CPU(70)는 사용자명, 서브도메인명, 도메인명, 조직ID, 나라ID를 메일어드레스로서 포함하는 MAILFROM 커맨드패킷(S13)을 송신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는, RCPT 커맨드패킷(S13)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호스트기기(4)의 메일어드레스를 포함한 MAILFROM 커맨드패킷(S13)을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프로바이더(50)에서는, MAILFROM 커맨드패킷(S13)을 접수한 뜻을 나타내는 처리결과(코드250:SUCCESS)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패킷(S14)을 무선통신장치(3)에 반신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은, 예를 들면 인터넷망(40a)에 포함되는 수신처(To:)를 통지하기 위한 RCPT TO 커맨드패킷(S15)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수신처의 기기의 메일어드레스를 포함한 RCPT TO 커맨드패킷(S15)을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프로바이더(50)에서는, RCPT TO 커맨드패킷(S15)을 접수한 뜻을 나타내는 처리결과(코드250:SUCCESS)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패킷(S16)을 무선통신장치(3)에 반신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는, 메시지데이터(DATA)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DATA 커맨드패킷(S17)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프로바이더(50)에서는, DATA 커맨드패킷(S17)을 접수한 뜻을 나타내는 처리결과(코드250:SUCCESS)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패킷(S18)을 무선통신장치(3)에 반신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는, 리스폰스 패킷(S18)을 수신한 것에 따라서,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메일데이터를 RAM(69)에서 읽어 들여서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무선통신CPU(70)는, 1행 단위로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S19)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무선통신CPU(70)는 복수회에 걸쳐서 패킷(S19)을 송신하는 것으로, 메시지데이터에 포함되는 모든 데이터를 송신하면, 전자메일에 포함되는 메일 본문의 송신이 종료한 것에 따라서, CR/LF.CR/LF(CR:복귀, LF:개행)을 송신하고, 이것에 따른 프로바이더(50)로부터의 처리결과(코드250:SUCCESS)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패킷(S21)을 수신한다.
다음의 스텝(ST65)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은 리스폰스 패킷(S21)을 수신한 것에 따라서, RAM(69)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는 전자메일을 전자메일서버(53)에 송신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메일송신응답을 나타내는 리스폰스패킷(R5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를 갖춘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전자메일을 전자메일서버(53)에 송신할 때, 무선통신장치(3)에 격납되어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SMTP를 기동하여, 무선통신장치(3)와 전자메일서버(53)와의 사이에서 메일송신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자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POP, IMAP 등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장한 전자메일서버(53)에서 호스트기기(4)로 수신 가능한 전자메일의 일람을 나타내는 메일리스트를 취득할 때의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메일을 취득하는 처리는 상술한 초기화 완료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도 19에 의하면, 먼저, 스텝(ST71)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호스트CPU(92)는, 메일리스트를 취득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CPU(92)는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버접속요구를 커맨드명으로서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31)을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하여, 스텝(ST72)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3)와 프로바이더(50)와의 사이에서 서버접속처리, 필요한 경우는 사용자 인증처리를 스텝(ST72)에서 행하게 한다.
스텝(ST72)에서 서버접속처리, 사용자 인증처리가 종료한 것에 따라서, 무선통신장치(3)의 무선통신CPU(70)는, 서버접속요구에 대한 서버접속응답을 포함하는 리스폰스패킷(R3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다음에 호스트기기(4)는, 리스폰스패킷(R31)을 입력한 것에 따라서, 메일리스트 취득요구를 커맨드명으로서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61)을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하고, 스텝(ST73)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3)와 프로바이더(50)와의 사이에서 메일리스트 취득처리를 개시시킨다.
스텝(ST73)에 있어서, 먼저 무선통신CPU(70)은, 유니크ID(UID)로 이루는 메일리스트를 요구하는 UID 리스트요구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S31)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통신CPU(70)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POP3를 기동하여 메일리스트를 취득할 때에는 UID커맨드를 송신하고, IMAP4를 기동하여 메일리스트를 취득할 때에는 uid undeletede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프로바이더(50)에서는, 전자메일서버(53)에 격납되어 있는 유니크ID로 이루는 메일리스트를 취득하고, 리스폰스패킷(S32)으로서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한다. 이때, 프로바이더(50)에서는, 전자메일서버(53)의메일박스에서 유니크ID의 열로 이루는 메일리스트를 취득한다.
다음의 스텝(ST73a)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리스폰스패킷(S32)에 포함되는 메일리스트를 취득하는 동시에, 개인정보 기억부(67)에 격납되어 있는 유니크ID를 독출한다. 무선통신CPU(70)에서는, 전자메일서버(53)로부터의 메일리스트에 포함되는 유니크ID와 개인정보 기억부(67)에 포함되는 유니크ID를 비교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는, 메일리스트에 포함되는 유니크ID가 개인정보 기억부(67)에 존재한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당해 유니크ID의 전자메일을 이미 읽은 메일로 판단하고, 메일리스트에 포함되는 유니크ID가 개인정보 기억부(67)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당해 유니크ID의 전자메일을 아직 읽지 않은 메일로 판단한다.
또, 이 스텝(ST73a)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호스트기기(4)의 단말능력정보 기억부(93)에 기억된 단말능력정보가 단말능력설정 기억부(65)에 격납되어 있을 때에는, 단말능력정보를 독출하고, 호스트기기(4)마다 메일리스트에 포함되는 유니크ID를 분류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무선통신CPU(70)에서는, 호스트기기(4)가 취득한 전자메일의 유니크ID와 메일리스트에 포함되는 유니크ID를 비교하여 이미 읽은 메일,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판단을 행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는, 스텝(ST73a)에서 아직 읽지 않은 메일로 판정한 유니크ID의 전자메일의 헤더부에 포함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아직 읽지 않은 메일헤더 취득요구를 커맨드명으로 하고, 유니크ID에 대응한 메일번호를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커맨드패킷(S33)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여기서,무선통신CPU(70)는, POP3에 의해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헤더부에 포함되는 정보를 취득할 때에는 TOP커맨드를 송신하고, IMAP4를 기동하여 메일리스트를 취득할 때에는 FETCH커맨드를 송신한다.
커맨드패킷(S33)에 대하여 프로바이더(50)는, 커맨드명에 포함되는 아직 읽지 않은 메일헤더 취득요구 및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유니크ID에 대한 메일번호를 취득한다. 프로바이더(50)는, 취득한 메일번호의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헤더부를 전자메일서버(53)에서 취득하고,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헤더부를 포함하는 리스폰스패킷(S34)을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한다.
그후, 무선통신CPU(70)은,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메일번호를 변경한 커맨드패킷(S33)을 송신하여 리스폰스패킷(S34)을 취득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것으로, 모든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헤더부를 취득한다.
다음의 스텝(ST73b)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은 상술한 처리로 취득한 복수의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헤더부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아직 읽지 않은 메일리스트를 작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먼저, 무선통신CPU(70)는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헤더부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고, FROM:, Subject:, Cc:, Date: 등의 헤더부에 포함되는 정보요소와, 각 정보요소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는, 각 아직 읽지 않은 메일에 메일번호를 부가하고,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메일번호 및 이 아직 읽지 않은 메일의 헤더부에 포함되는 내용을 파라미터로 한 리스폰스패킷(R61)을 작성하고,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다음의 스텝(ST74)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는 리스폰스패킷(R61)에서 아직읽지 않은 메일리스트를 취출하고, 표시기구에 메일번호, 유니크ID, 헤더부에 포함되는 정보를 갖는 아직 읽지 않은 메일리스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를 갖춘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호스트기기(4)에서 메일리스트를 취득할 때, 무선통신장치(3)에 격납되어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POP 또는 IMAP를 기동하여, 무선통신장치(3)와 프로바이더(5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메일리스트 취득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개인정보로서 기억한 이미 읽은 전자메일의 유니크ID를 이용하여, 취득한 메일리스트에 포함되어 호스트기기(4)에서 취득 가능한 전자메일이 아직 읽지 않은 것인지 이미 읽은 것인지를 판단하고, 호스트기기(4)에 따른 아직 읽지 않은 메일리스트를 작성하여 호스트기기(4)에 출력할 수 있다.
또, 이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호스트기기(4)에서 미리 단말능력 설정기억부(65)에 단말능력정보를 기억하여 둠으로써, 예를 들면 호스트기기(4)의 기종이나, 종류, 호스트기기(4)에 격납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아직 읽지 않은 메일리스트를 분류하여 작성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를 행하여 취득한 메일리스트에서 선택한 전자메일을 취득할 때의 호스트기기(4), 무선통신장치(3) 및 프로바이더(50)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일리스트에서 선택한 전자메일을 취득할 때에는, 상술한 도 14를 참조하여설명한 호스트기기(4)와 전자메일서버(53)를 접속하는 처리가 완료하고, 호스트기기(4), 무선통신장치(3) 및 프로바이더(50)가 서버 접속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도 20에 의하면, 먼저, 스텝(ST81)에 있어서, 호스트기기(4)의 호스트CPU(92)는,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상술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취득한 메일리스트를 표시하는 뜻의 조작입력신호가 입력되어, 표시기구에 표시한다.
다음의 스텝(ST82)에 있어서, 호스트CPU(92)는 호스트기기(4)의 조작입력기구가 사용자에게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표시되어 있는 메일리스트에서 수신하는 전자메일을 선택한 뜻의 조작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호스트CPU(92)는 메일취득요구를 커맨드명으로 하고, 메일번호를 파마미터로서 포함하는 커맨드패킷(C71)을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한다.
커맨드패킷(C71)에 따라서, 무선통신장치(3)의 무선통신CPU(70)는, 스텝(ST83)의 메일취득처리를 개시한다. 무선통신CPU(70)는 메일취득처리에 있어서, 먼저, 전자메일서버(53)에 격납된 전자메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요구하는 메일취득요구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S41)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통신CPU(70)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POP3를 기동하여 전자메일을 취득할 때에는 메일번호를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RETR커맨드를 송신하고, IMAP4를 기동하여 메일리스트를 취득할 때에는 메일번호를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FETCH커맨드를 송신한다.
커맨드패킷(S41)에 따라서, 프로바이더(50)에서는, 파라미터로서 포함된 메일번호의 전자메일을 전자메일서버(53)에서 취득하여 인터넷 메일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폰스패킷(S42)을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한다. 여기서, 프로바이더(50)에서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되는 인터넷 메일데이터는 통상 텍스트형식으로 기술되어 있고, 전자메일의 기술형식이 상기 도 15 및 도 1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인터넷 메일형식이다.
리스폰스패킷(S42)에 따라서, 무선통신장치(3)의 무선통신CPU(70)는, 리스폰스패킷(S42)을 헤더부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와, 보디부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로 분할한다. 무선통신CPU(70)는, 분할하여 얻은 헤더부를 기술하기 위한 각 정보, 보디부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마다 파라미터를 작성하여 리스폰스패킷(R71)을 작성하여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메일번호, FROM:, Subject:, Cc:, Date:, 메일 본문을 파라미터종별로 하고, 각 파라미터종별의 내용을 파라미터내용으로 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리스폰스패킷(R7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다음의 스텝(ST84)에 있어서, 호스트CPU(92)는 리스폰스패킷(R71)을 입력한 것에 따라서, 도 15 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부 및 보디부가 기술된 메일화면을 표시기구에 표시한다.
다음의 스텝(ST85)에 있어서, 호스트CPU(92)에서는, 상술한 스텝(ST82)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커맨드패킷(C71)을 무선통신장치(3)에 송신한다.
커맨드패킷(C71)에 따라서, 무선통신CPU(70)에서는 스텝(ST86)에 있어서, 프로바이더(50)와의 사이에서 메일 취득요구를 포함하는 커맨드패킷(S51)을 프로바이더(50)에 송신하고, 커맨드패킷(S51)에 따른 메시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폰스패킷(S52)을 수신한다. 여기서, 리스폰스패킷(S52)에 포함되는 메시지데이터가 MIME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을 때, 무선통신CPU(70)는 스텝(ST86a)으로 이행한다.
스텝(ST86a)에 있어서, 무선통신CPU(70)는 예를 들면, 호스트기기(4)로부터의 데이터를 MIME방식으로 인코드하여 송신하는 처리와는 역으로, MIME방식에 의해 기술된 데이터를 호스트기기(4)에서 표시 가능한 신호형식으로 하도록 변환한다.
다음에, 무선통신CPU(70)에서는, 리스폰스패킷(S42)을 헤더부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와 보디부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로 분할하고, 헤더부를 기술하기 위한 각 정보, 보디부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 변환 후의 데이터마다 파라미터를 작성하여 리스폰스패킷(R71)을 작성하여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이때, 무선통신CPU(70)는 메일번호, From:, Subject:, Date:, 메일 본문, 파일명을 파라미터종별로 하고, 각 파라미터종별의 내용을 파라미터 내용으로 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리스폰스패킷(R71)을 호스트기기(4)에 출력한다.
다음의 스텝(ST87)에 있어서, 호스트CPU(92)는 리스폰스패킷(R71)을 입력한 것에 따라서, 도 15 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부 및 보디부가 기술된 메일화면을 표시기구에 표시한다. 이때, 호스트CPU(92)는 첨부파일을 데이터 이외를 문자로서 표시하는 동시에,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무선통신장치(3) 및 호스트기기(4)를 갖춘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호스트기기(4)로 전자메일을 취득할 때, 무선통신장치(3)에 격납되어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POP 또는 IMAP를 기동하고, 무선통신장치(3)와 프로바이더(5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메일취득처리를 행할 수 있다.
무선LAN 시스템(1)은 상술한 전자메일을 전자메일서버(53)와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처리뿐만 아니라, WWW서버에 격납된 정보를 호스트기기(4)에서 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ROM(71)에 HTTP를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서 격납하고, 개인정보로서 URL의 이력을 나타내는 북마크를 기억하고, 네트워크 설정정보로서 플럭시서버의 어드레스정보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또, 호스트기기(4) 및 무선통신장치(3)에서는, WWW서버에 격납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커맨드 및 리스폰스를 발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춘다. 호스트기기(4)는 WWW서버에 격납된 정보를 취득할 때의 커맨드패킷의 파라미터로서, WWW서버에 격납된 정보를 지정하는 URL을 지정한다. 또, 무선통신장치(3)는, 리스폰스로서 호스트기기(4) 측에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파라미터종별과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무선통신장치(3)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장하고 있으므로, 공중통신망(40)과 호스트기기(4)와의 통신을 행할 때에 호스트기기(4) 내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장할 필요가 없다. 또, 이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장하고 있지 않는 호스트기기(4)와 공중통신망(40)과의 접속관계를 무선통신장치(3)에서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이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무선통신장치(3) 내에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관한 설정정보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정보가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고정적으로 기억되고, 무선통신장치(3)내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므로, 호스트기기(4)마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관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무선LAN시스템(1)에서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관한 설정을 행하는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잇다.
그라고 또, 이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a,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식의 패킷구성으로 커맨드패킷 및 리스폰스패킷을 호스트기기(4)와 무선통신장치(3)와의 사이에서 입출력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기종의 호스트기기(4)라도 무선통신장치(3)를 장착하는 것으로, 호스트기기(4)와 공중통신망(40)과의 접속관계를 확립하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실행할 때에 사용하는 개인전보를 무선통신장치(3)의 내부에서 일원 관리하고 있으므로, 다른 기종의 호스트기기(4)에서 개인정보가 설정되어도 통합한 개인정보를 작성할 수 있고, 통합한 개인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각 호스트기기(4) 사이에서 통일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무선LAN 시스템(1)에 의하면, 통합한 개인정보와는 다른 설정의호스트기기(4)에 무선통신장치(3)를 장착한 경우라도, 통합한 개인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타인의 개인정보를 기억한 호스트기기(4)라도, 무선통신장치(3)에 기억한 개인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바로 자신의 호스트기기(4)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또, 상술한 도 9 및 도 10a,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킷구성의 패킷을 입출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수단을 가정용 전화제품에 갖추는 것으로, 당해 가정용 전화제품에 무선통신장치(3)를 장착함으로써, 가정용 전화제품과 공중통신망(40)과의 접속관계를 확립하고, 전자메일이나 HTML에 기술된 데이터 등을 전자메일서버(53)나 WWW서버에서 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불루투스 프로토콜, TCP/IP, PPP 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SMTP, POP/IMAP, HTTP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가지며, 프로토콜스택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프로토콜을 가지며, 호스트기기(4)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다른 서비스 액세스포인트에 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호스트기기(4)의 능력에 따라서, 기동하는 프로토콜을 적응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액세스포인트(4)가 이용되는 경우, 불루투스 하위프로토콜을 구성하는 baseband1011, HCI(Host Control Interface) 1021 및 LMP(Link Magagement Protocol) 1031이 기동된다. 또, 서비스 액세스포인트(3)가 이용되는 경우, 상술한 불루투스 하위프로토콜에 더하여, 불루투스 상위프로토콜을 구성하는 L2CAP(LogicalLink Control & Adaptation Protocol) 1041, RFCOMM1051 및 SDP1061이 기동된다. 또, 서비스 액세스포인트(2)가 이용되는 경우, 상술한 불루투스 하위프로토콜 및 불루투스 하위프로토콜에 가하고, 네트워크 통신프로토콜 1071이 기동된다. 또, 서비스 액세스포인트(1)가 이용되는 경우, 상술한 불루투스 하위프로토콜, 불루투스 상위프로토콜 및 네트워크통신 프로토콜1071에 가하고,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1081이 기동된다.
여기서, 무선통신장치(3)의 ROM(71)에 격납되는 프로토콜로 구성되는 프로토콜스택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로토콜스택의 최하위층에는 물리층으로서 베이스밴드(baseband) 1011 및 레디오(Radio)가 존재한다. 물리층에서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데이터로 변환하고, 안테나부(62)로부터의 송출 또는 안테나부(62)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이 물리층에서는, 디지털데이터의 0,1의 시퀀스에 따라서, 1차변조를 행하고, 그것을 다시 2.4GHz대의 반송파에 실어서 송출한다. 반송파는 1개의 데이터의 송신(슬롯)마다 주파수를 변경하고, 주파수호핑에 의해 끊김 없이 교체되어간다.
데이터의 송신, 수신은 매슬롯마다 교대로 행해진다. 수신슬롯에서는,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에서 2.4GHz대의 반송파를 제거한 후, 다시 복조를 행하여 0,1의 시퀀스의 디지털데이터를 취출한다. 제거해야 할 반송파의 주파수는 주파수호핑에 의해 끊김 없이 변하고 있으나, 통신상대에 따라서, 그 호핑시퀀스는 미리 알고 있다.
물리층 상에는, LMP(Link Magagement Protocol)1031, HCI(Host Control Interface)1041, RFCOMM1051로 이루는 링크층의 프로토콜이 실장된다. 링크층에서의 주된 역할은, 불루투스방식을 적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30)을 구축하기 위한 처리를 제어하는 것이다.
링크층에 있어서의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원래의 데이터에 각종의 통신정보를 부가하고, 상대측에 송신하도록 한다.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그것이 바르게 수취되었는지 어떤지의 응답을 되돌린다. 바르게 수치되지 않았을 때는, 재송(再送)을 요구한다. 몇 번 데이터를 보내도 상대가 수취하지 못할 경우는, 어느 회수를 한도로 포기한다. 수신버퍼가 과잉할 때는, 송신의 일시정지를 상대에게 요구한다. 데이터에는, 이들 통신제어에 관한 정보 외에, 통신로에서 생기는 오류에 강하게 하기 위해, 오류검출·정정을 위한 부호를 부가한다.
HCI1021에서는, 불루투스방식에서 규정되는 호스트기기(4)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 이 HCI1021에서는, 호스트기기(4)가 퍼스널컴퓨터인 경우의 접속형식에 있어서의 논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LMP1031에서는, 불루투스방식에 의한 통신의 접속처와의 사이의 링크상태를 제어하는 것이고, 접속상태의 확립·개방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유무, 통신빈도 등에 따른 모드제어
통신로의 상태에 따른 패킷의 종류의 교체
데이터통신을 허락하는지 어떤지의 인증
데이터통신시의 암호화 등을 행한다.
L2CPA1041에서는, 논리적인 채널이 정의된다. 2개의 불루투스방식에 대응한 통신기기간의 접속은, 물리적으로는 1개의 통신로에서 연결되는, 논리적인 채널은 거기에 복수 정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여러 가지 종류의 상위프로토콜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위 프로토콜에서 걸처지는 데이터사이즈가 큰 경우에, 그것을 베이스밴드(Baseband)1011에서 정의된 패킷의 크기로 세분화한다. 송신측에서 세분화하여 보내고, 수신측에서는 그것을 원래의 큰 덩어리로 재구축한다.
데이터의 전송속도나,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의 속도에 대해서, 통신처의 불루투스방식에 대응하는 호스트기기(4)와의 사이에서 정보교환도 행하는 것도 L2CAP(1041)에서의 처리이다.
RFCOMM(1051)에서는, 불루투스방식에 대응한 링크층에 있어서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확장 AT커맨드를 제공한다. 이 RFC0MM(1051)에서는, 시리얼포트의 에뮤레이션기능을 제공한다.
링크층 상에는, 트랜스포트층으로서 네트워크 통신프로토콜(1071)을 실장한다. 네트워크 통신프로토콜(1071)에서는, 인터넷 상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네트워크 통신프로토콜(1071)로서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PPP(Point to Point Protocol) 및 DMS(Domain Memory System)리졸버로 이룬다.
트랜스포트층 상의 애플리케이션층에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프로토콜(1081)이 실장된다. 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1081)에서는, 인터넷 메일프로토콜(Internet Mail Protocol)이 실장되는 것에서, 메일서버 사이에서의 메일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1081)로서는, 예를 들면 메일서버에서 전자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나 IMAP4(Internet Message Acess Protocol Version 4), 메일서버에 전자메일을 송신하기 위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이 있다.
또, 무선통신장치(3)는 상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 내부에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를 갖추고,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한다. 이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된 네트워크 설정정보는, 무선통신장치(3)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위해 내부적으로 사용된다. 네트워크 설정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PPP의 프로토콜을 위한 사용자ID, 사용자 패스워드, 액세스포인트 전화번호, 메일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메일서버 어드레스, 메일 사용자ID, 메일사용자 패스워드 등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3)는, 호스트기기(4)가 갖지 않은 프로토콜을 서포트하는 것이 상정(想定)되어 있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 기억된 네트워크 설정정보는, 무선통신장치(3)의 내부처리를 위해서만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호스트기기(4)가 이미 무선통신장치(3) 내부의 ROM(71)에 기억된 프로토콜 중의 몇 개의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고, 그 프로토콜에 무선통신장치(3)내부의 네트워크 설정정보가 필요한 경우는, 호스트기기(4) 측에서 그 정보를 설정하여 호스트기기(4)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혹은, 호스트기기(4) 측의 프로토콜의 사용을 살펴서 무선통신장치(3) 내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밖에 없다. 그 때,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설정한 동작을 구하게 되고, 또, 후자의 경우에는, 호스트기기(4)가 구비하고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없고 쓸모없이 되게 된다. 특히 호스트기기(4)의 처리능력이 높은 경우, 혹은 프로토콜이 고기능인 경우에는, 무선통신장치(3)와 호스트기기(4)의 처리능력에 낙차를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호스트기기(4)가 구비하는 프로토콜에 필요한 네트워크의 설정정보를 무선통신장치(3)가 갖는 경우에, 호스트기기(4)가 무선장치(3)에서 그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을 준비하여 둠으로써, 호스트기기(4)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거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프로토콜동작에 적용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기기(4)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면서, 무선통신장치(3)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트기기(4)로서 퍼스널컴퓨터(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을 상정하고, 무선통신장치(3)를 적용한 PC가 휴대전화(2)를 거쳐서 프로바이더(50)와 다이얼업 접속하고, 프로바이더의 메일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 및 그 동작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이 PPP, TCP/IP의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POP, SMIT 등의 애플리케이션(메일) 프로토콜을 갖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한다.
PC는, 일반적으로는 무선통신장치(3)가 가진 프로세서에 비해서 처리능력이 높으므로, 쌍방이 함께 동일한 프로토콜을 갖는 경우에는, PC측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편이 소망스럽다. 그렇지만, 그 경우에는, 그 프로토콜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을 PC측에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이 구비하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무선통신장치(3)의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취득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이 수단은,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스트기기 인터페이스기능을 확장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에서 무선통신장치(3)에 발행되는 커맨드와, 그것에 대한 무선통신장치(3)로부터의 리스폰스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면, AT커맨드의 체계에 의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취득시퀀스를 기술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은, 스텝(ST91)에 있어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ATGETNETn〈CR〉〈LF〉)를 무선통신장치(3)에 발생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장치(3)는, 다음의 스텝(ST92)에 있어서, 메일처리단말(4c)에서 수취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ATGETNETn〈CR〉〈LF〉)를 해석하고,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독출하고, 다음의 스텝(ST93)에서, 그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리스폰스(+OK[네트워크 설정정보]〈CR〉〈LF〉)를 메일처리단말(4c)에 되돌린다.
메일처리단말(4c)은, 무선통신장치(3)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리스폰스(+OK[네트워크 설정정보]〈CR〉〈LF〉)를 수취한다.
이와 같이하여,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은, 특정명칭의 AT커맨드 (GETNET)에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종별을 부여하는 번호 n을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네트워크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 설정정보에는, 개인정보를 식별하는 ID,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이 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그래서,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인인증 시퀀스를 이용하여,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인인증이 성공한 경우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정상으로 취득 가능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취득할 수 없도록 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동작예에서는,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은, 먼저, 스텝(ST101)에 있어서, 개인인증 커맨드(AUTH = [패스워드]〈CR〉〈LF〉)를 무선통신장치(3)에 발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장치(3)는 다음의 스텝(S102)에 있어서, 메일처리단말(4c)에서 수취한 개인인증 커맨드(AUTH=[개인인증 패스워드]〈CR〉〈LF〉)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개인인증 패스워드와, 개인인증 패스워드기억부(66)에 기억된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비교하고, 이 동작예에서는 개인인증 패스워드가 일치하므로, 다음의 스텝(ST103)에서, 개인인증이 정상으로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개인인증 리스폰스(+OK〈CR〉〈LF〉)를 메일처리단말(4c)에 되돌린다.
다음에,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은, 다음의 스텝(ST104)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3)에서 수취한 개인인증 리스폰스(+OK〈CR〉〈LF〉)에 의해 인증처리에 성공한 것을 확인하고, 다음의 스텝(ST105)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ATGETNTn〈CR〉〈LF〉)를 무선통신장치(3)에 발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장치(3)는, 다음의 스텝(ST106)에 있어서, 메일처리단말(4c)에서 수취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ATGETNTn〈CR〉〈LF〉)를 해석하고,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독출하고, 다음의 스텝(ST107)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OK [네트워크 설정정보]〈CR〉〈LF〉)를 메일처리단말(4c)에 되돌린다.
이 도 24에 나타내는 동작예와 같이, 인증처리에 성공한 메일처리단말(4c)은, 무선통신장치(3)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수취할 수 있다.
또,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예에서는,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은, 먼저, 스텝(ST111)에 있어서, 개인인증 커맨드(AUTH=[패스워드] 〈CR〉〈LF〉)를 무선통신장치(3)에 발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장치(3)는, 다음의 스텝(ST112)에 있어서, 메일처리단말(4c)에서 수취한 개인인증커맨드(AUTH=[개인정보 패스워드] 〈CR〉〈LF〉)를 해석하고, 커맨드 파라미터에 격납된 개인인증 패스워드와, 개인인증 패스워드기억부(66)에 기억된 개인인증 패스워드를 비교하고, 이 동작예에서는 개인인증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다음의 스텝(ST113)에서, 개인인증이정상으로 행해지지 않았던 것을 나타내는 개인인증 리스폰스(-NG〈CR〉〈LF〉)를 메일처리단말(4c)에 되돌린다.
다음에,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은, 다음의 스텝(ST114)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3)에서 수취한 개인인증 리스폰스(-NG〈CR〉〈LF〉)에 의해 인증처리에 실패한 것을 확인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메일단말(4c)은,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의 발행을 정지하고,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취득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또, 인증처리에 실패하여도, 스텝(ST1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ATGETNETn〈CR〉〈LF〉)를 무선통신장치(3)가 발행된 경우, 무선통신장치(3)는 다음의 스텝(ST116)에 있어서, 메일처리단말(4c)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커맨드(ATGETNETn〈CR〉〈LF〉)를 수취하여도,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독출하지 않고, 다음의 스텝(ST117)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 취득리스폰스(-NG〈CR〉〈LF〉)를 메일처리단말(4c)에 되돌린다. 이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예와 같이, 인증처리에 성공하지 않은 메일처리단말(4c)은, 무선통신장치(3)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수취할 수 없다.
다음에, 메일처리단말(4c)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구체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메일처리단말(4c)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S)를 거쳐서, 상기 네트워크 설정정보의 취득조작을 행한다. 또한,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이 구비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무선통신장치(3)에서 취득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적용한다.
이 도 2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은 이미 상술한네트워크 통신프로토콜(1071)에 상당하는 PPP, TCP/IP의 네트워크 프로토콜(A)과, 상술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1081)에 상당하는 POP, SMIT 등의 메일프로토콜(B)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무선통신장치(3)에 대해서 불루투스의 프로토콜만을 요구한다. 즉, 도 21에 있어서의 서비스 액세스포인트(3) 또는 서비스 액세스포인트(4)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PPP의 시퀀스에 대해서 필요한 사용자 ID, 사용자 패스워드 및 메일프로토콜에 대해서 필요한 메일 ID, 메일 패스워드, 메일서버명 등의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무선통신장치(3)의 네트워크 설정기억부(68)에서 취득하여 대응하는 프로토콜에 적용한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프로그램처리를 무선통신장치(3) 측에서 행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이 구비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면서, 동등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메일처리단말(4c)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다른 구체예로서, Microsoft Coporation의 다이얼업 네트워크(PPP), MicrosoftOutlook, Microsoft Internet Explorer, QUALCOM Incorporated의 Eudora나, Netscape Communications Coporation의 Netscape 등과 같이, 이미 시판되고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설정을 행하도록 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고려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S1)는, 무선통신장치(3)를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에 적용(삽입)하였을 때에, 무선통신장치(3)에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취득하고, 기존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S2)의 설정윈도우(메일설정부(a)나 네트워크 설정부(b))에 대해서 대응하는 항목을 입력하고, 다시, 무선통신장치(3)를 제외(발출)하였을 때에, 설정윈도우에서 그 네트워크 설정정보 항목을 삭제하는 상주 프로그램이다.
이것에 의해 기존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무선통신장치(3)가 갖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이용하는 것에서, PC에 의한 메일처리단말(4c)에 대하여 설정이 불필요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