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99835A -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부착된 윈드스크린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와 이 로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위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부착된 윈드스크린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와 이 로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위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835A
KR20010099835A KR1020017007733A KR20017007733A KR20010099835A KR 20010099835 A KR20010099835 A KR 20010099835A KR 1020017007733 A KR1020017007733 A KR 1020017007733A KR 20017007733 A KR20017007733 A KR 20017007733A KR 20010099835 A KR20010099835 A KR 20010099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art
shaft
rod assembly
wiper rod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찜머요아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9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83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4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rotary cr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어셈블리는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부착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의 연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 부품에는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위치가 제공된다.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환 링크는 상기 위치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품은 축의 횡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에서는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이 제공되는 연결 부품(1)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부품들의 각각에는 결합 위치(13, 17)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부착된 윈드스크린 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와 이 로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Rod assembly of windscreen wipers, said assembly pertaining to a windscreen wiper system for vehicl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me}
상술한 종류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는 와이퍼 부품을 가지며 차량의 윈도우에 밀착될 수 있는 와이퍼 아암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일체로 구성된 삼각형 모양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연결 부품은 구동 장치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구동축에 힘과 모멘트를 전달 혹은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짧은 레버나 시퀀스 드라이버를 갖는 와이퍼 구동 장치에서 사용되거나 역회전 와이퍼 장치에서 안내 기기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연결 부품은, 예를 들어 조인트 로드, 모터 크랭크, 로커 아암 등을 구동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 위치를 갖는다. 회전 운동이 가능한상태를 얻기 위하여, 상기 연결 부품은 구동 샤프트와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다. 결합 위치는 고정 상태에서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하여 배치된다. 공지된 연결 부품은 굴곡부를 갖기 때문에, 연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 연결 부품의 형태에서만 사용될 수는 고가의 공구가 필요하다. 구동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한 결합 위치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크고 작은 연결 부품을 제조할 때, 다른 특별한 공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매우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와, 청구항 제 11 항에 따른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복수 부품으로 구성된 연결 부품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축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된 연결 부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연결 부품과 축의 결합 영역에서 연결 부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연결 부품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중 짧은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a 및 1b에 도시한 연결 부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는 간편하게 제조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 부품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공구들이 복수회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공구의 비용과 이로 인한 연결 부품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는 연결 부품이 복수 부품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제 1 연결 부품과 제 2 연결 부품을 가지며, 이 연결 부품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조 후에 상호 결합되는 상기 연결 부품은 비교적 넓은 범위의 오차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양 연결 부품을 상호 연결시킬 때 상기 결합 위치들이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서로를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 부품의 방향을 대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운동은 변화할 수 있으며, 이때 확실한 운동을 위하여 연결 부품들 사이의 결합 위치에서 작은 거리 오차가 가능하다.또한, 이로 인하여 운동 전달성이 매우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연결 부품은 각각 회전 가능한 축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갖는다. 관통구를 관통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와 맞물리며 다른 관통구에 삽입되는 상기 축은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강제 끼워 맞춤, 재료 끼워 맞춤 및 형상 끼워 맞춤 형태로 제 1 및 제 2 연결 부품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축에는, 예를 들어 회전 모멘트가 가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 축은 어느 정도 구동 샤프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연결 부품과 제 1 축을 회전 불가하게 연결하는 힘과 모멘트가 연결 부품의 결합 위치에 설치된 전달 부품에 전달된다. 물론, 반대의 경우에, 다시 말해서 전달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품에 의해서 회전 모멘트가 축에 전달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은 단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연결 부품에서 회전 운동 상태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것은 관통구의 직경이 축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축과 관통구 사이의 반경 반향 간극은 연결 부품이 축의 종방향 중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주로 자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은 각 관통구내에 삽입된 케이스와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축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부품은 케이스에 의해서 제 1 단계에서 조립 가능한 부품뿐만 아니라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조립 동안 연결 부품의 방향 설정과 결합 위치가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된 연결부품들은 케이스를 축에 삽입함으로써 이 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축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모멘트는 축으로부터 연결 부품 상에 전달되거나 연결 부품으로부터 축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는, 예를 들어 축에 압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는 재료 끼워 맞춤의 형태, 예를 들어 용접이나 납땜에 의해서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회전 불가한 결합은 예를 들어 샤프트-허브-결합시 형상 끼워 맞춤에 의해서 가능하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경은 케이스에 삽입되거나 케이스를 관통하는 축의 종단면보다 더 큰 외경을 갖기 때문에, 상기 연결 부품은, 예를 들어 고정된 축의 종방향 중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종속항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연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1 항의 특징을 갖는다. 이 연결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위치를 가지며 이 결합 위치에서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 부재, 예를 들어 조인트 로드, 로커 아암 등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상기 연결 부품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제공되며, 이 관통구에는 구동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내용 중 "삽입 가능한"이란 연결 부품을 조립한 후에 구동 샤프트를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 샤프트는 관통구내에 삽입되거나 이 관통구를 통과한다. 상기 구동 샤프트는 먼저 연결 부품의 관통구 내에 설치된다.이것은 연결 부품을 구동 샤프트의 종방향 중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연결 부품을 정확하게 방향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 결과 연결 부품에 제공된 결합 위치는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 부품과 구동 샤프트는 회전 불가하게, 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품의 결합 위치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연결 부품은,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구성된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운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부품을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함으로써 연결 부품의 제조 비용은 복수 부품으로 구성된 부품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이로써 연결 부품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나머지 종속항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며,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결 부품(1)은 공통적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 철도 차량 또는 선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윈드스크린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와 관련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순수하게 예를 들어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을 다룬다.
먼저, 도 1a는 도 1에서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여기서 상기 연결 부품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기본 몸체를 포함하는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을 갖는다. 연결 부품(3, 5)들은 각각 연결 부품의 대략 중간쯤에서 굴곡부(6)를 가지며, 이때 도 1a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 1 연결 부품(3)의 굴곡부(6)만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 부품(3, 5)들의 일단부는 각각 도 1a에서는 볼 수 없는 것으로서 축(7)이 맞물리거나 통과하는 관통구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 부품(3, 5)들은 적절한 방식을 통하여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축(7)에 회전 모멘트(7)를 가하게 되면 연결 부품(3, 5)들은 축(7)의 중심축(9)을 중심으로 이중 화살표(11)로 표시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결 부품(3, 5)들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관통구를 갖는 단부 영역에서 서로 접한다. 연결 부품(3,5)들은 이 연결 부품(5)들이 서로 V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연결 부품(3, 5)들 사이의 상대 운동은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또한 경우에 따라서 연결 부품을 추가로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억제된다.
제 1 연결 부품(3)은 관통구와 대향 배치된 단부에서 제 1 결합 위치(13)를가지며, 이 결합 위치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조인트 로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전달 부품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결합 위치(13)에는 이 제 1 연결 부품(13)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형 헤드(15)가 제공되며, 이 구형 헤드에 의해서 제 1 연결 부품(3)과 이 제 1 연결 부품과 상응하게 형성된 전달 부품 사이에서 힌지 형태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연결 부품(5)에는 관통구와 대향 배치된 쪽의 단부에서 제 2 결합 위치(17)가 제공되며, 이 위치에서, 예를 들면 로커 아암이나 모터 크랭크 등과 같은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추가 전달 부품(도시 안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 위치(17)는 연결 부품(1)과 전달 부품을 힌지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구형 헤드(19)를 가지며, 이때 상기 구형 헤드(19)는 제 2 연결 부품(5)의 표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형 헤드(15, 19)들은 구형 부품(3, 5)들로부터 이격된 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결합 위치(13, 17)가 종방향 중간축(11)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연결 부품(1)이 회전할 때에도 일정한 상태로 남아 있다.
제 1 결합 위치(13)와 제 2 결합 위치(17)에 의해서 형성된 거리에 기초하여,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에는 소정의 운동이 발생한다.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운동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른쪽 연결 부품이 필연적으로 사용될 필요는 없는데,이것은 연결 부품(3, 5)들이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기 전에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 사이의 연결 각도 α가 소정의 값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제 1 결합 위치(13)와 제 2 결합 위치(17)의 위치를 상호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연결 부품(1)을 도시하며, 여기서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은 나란하게 위치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 부품(3, 5)들 사이의 연결 각도 α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보다 더 커진다. 이로 인하여, 결합 위치(13, 17) 사이의 거리도, 예를 들면 회전 불가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 2 연결 부품(5)이 제 1 연결 부품(5)에 대항하여 이중 화살표(21)로 표기한 바와 같이 종방향 중간축(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확장된다. 여기서, 제 1 연결 부품(3)은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결합 위치(13, 17)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종방향 중간축(9)을 중심으로 제 2 연결 부품(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는데, 이로 인하여 경우에 따라서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된다.
복수 부품으로 구성된 연결 부품(1)의 형태에 기초하여, 양 연결 부품(3, 5)들 사이의 연결 각도 α는 변화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부품(1)이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해서 제 1 연결 부품(3)이나 제 2 연결 부품(5)을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연결 부품(1)의 실시예에 대해서 동일한 연결 부품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각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운동은 거의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은 공지된 연결 부품(23)을 도시하며, 이 연결 부품은 일체로 구성된 삼각형 모양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품(23)도 또한 제 1 결합 위치(13)와 제 2 결합 위치(17)를 가지며, 구동 샤프트로서 역할하는 축(7)과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다. 결합 위치(13, 17)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공지된 연결 부품(23)은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운동을 변화시킬 수 없다. 또한, 상기 연결 부품(23)은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부품(23)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특별한 공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여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것이다.
도 3은 연결 부품(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이 연결 부품은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한다. 상기 제 1 연결 부품(3)은 제 1 관통구(25)를 가지며, 제 2 연결 부품(5)은 축(7)이 삽입되는 제 2 관통구(27)를 갖는다.
상기 관통구(25, 27) 내에 배치된 축(7)의 종방향 구역(29)에는 밀링 에지(31)가 제공된다. 상기 밀링 에지(31)의 영역에서 축(7)의 직경은 관통구(25, 27)의 직경보다 큰데, 다시 말하면 연결 부품(3, 5)은 축(7)에 압착되기 때문에, 연결 부품(3, 5)과 축(7) 사이에서 강제 끼워 맞춤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부품(3, 5)과 축(7) 사이에서 회전 불가한 결합은, 주로 연결 부품(3, 5) 사이의 결합 각도α가 조절된 후(도 1b 참조)에 이루어진다. 또한, 강제 끼워 맞춤 이후에 연결 부품(3, 5)들 사이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연결 각도 α를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연결 부품(3, 5)들 중 적어도 하나에 큰 힘이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 축(7)에 대하여 연결 부품(3, 5)이 축방향(이중 화살표(33))으로 상대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연결 부품(3)의 상부면(35)에는 관통구(25)를 둘러싸는 환형 코크(37)가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연결 부품(3)의 재료는 축(7)에 형성된 제 1 환형 그루브(39) 내에서 변화된다. 이로 인하여, 제 1 연결 부품(3)의 축방향 변위를 고정시킬 수 있는 후방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연결 부품(5)의 하부면(41)에는 관통구(27)를 둘러싸는 추가의 환형 코킹(43)이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제 2 연결 부품(5)의 재료는 축(7)의 외부 덮개면에 배치된 제 2 환형 그루브(45)내로 밀쳐지게 되어 제 2 연결 부품(5)도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환형 코킹(37, 43)의 변형예로서, 상기 연결 부품(3, 5)에는 연결 부품의 재료가 각 환형 그루브와 후방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응하는 위치에서 축(7)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작은 코킹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가해지는 한, 상기 연결 부품(3, 5)의 축방향 고정은 클램핑에 의해서, 다시 말하면 밀링 에지(31)와 관통구(25, 27)들 사이의 강제 끼워 맞춤에 의해서 보상되기 때문에 연결 부품에는 클램핑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도 4는 복수 부품들로 구성되며 축(7)과 회전 불가하게 연결된 연결 부품(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축(7)은 큰 직경의 횡단면(47)으로 형성된 환형 숄더(49)와 이 숄더에 연결된 복수 에지(51)를 갖는다. 상기 복수 에지(51)의 영역에서 축(7)의 외경은 이 복수 에지(51)에 연결된 종방향 구역(53)의 영역에해당하는 축(7)의 직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여기에는 환형 밴드(55)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품(3, 5)에 배치된 관통구(25, 27)는 형상 끼워 맞춤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절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복수 에지나 수직 에지는, 관통구(25, 27)가 주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품(3, 5)들 사이의 연결 각도 α의 변화 가능성은 낮다.
상기 연결 부품(1)은 제 2 연결 부품(5)의 하부면(41)이 환형 숄더(49)와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한편 제 2 연결 부품(5)의 상부면에는 하부면이 접하고 환형 밴드(55)의 영역에 배치된 각인부(57)가 설치됨으로써, 축의 재료는 복수 에지(51)의 영역에서 관통구(25)의 가장자리를 거쳐서 연장된다.
복수 에지(51)를 이용하여 연결 부품(3, 5)과 축(7) 사이에서 회전 불가한 결합을 도시한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축에 관통구를 삽입하는 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연결 부품(3, 5)들 사이에서 실현 가능한 연결 각도 α의 개수를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각도 α가 매우 작은 범위에서만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25, 27)들은 미세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 각도의 조절은 톱니의 개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품(3, 5)의 배치는 비교적 큰 폭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5는 연결 부품(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여기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 강제 끼워 맞춤에 의해서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된다. 양 연결 부품(3, 5)들은 여기서 상당량 굽혀지며 이들의 하부면에서 형상 마개(59)를갖는데, 이 마개에 의해서 연결 부품(1)과 도시하지 않은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전달 부품 사이에서 힌지 결합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짧은 레버(61)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레버는 두 개의 연결 부품(3, 5)으로 구성된 연결 부품(1)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연결 부품은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된다. 제 1 연결 부품(3)은 축(7)의 종방향 중간축(9)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레버(63)에 의해서 형성된 전달 부재(65)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결합 위치(13)를 갖는다. 상기 제 1 결합 위치(13)는 여기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부시(67)가 배치되며, 주로 사출 성형되는 관통구를 가지며, 이 관통구에는 전달 부재(65)와 제 2 연결 부품(3)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마개(69)가 삽입된다. 또한, 제 2 연결 부품(5)은 플라스틱 부시(67)가 제공된 관통구를 구비한 결합 위치(17)를 갖는다. 상기 결합 위치(17)에는 레버에 의해서 형성된 전달 부재(71)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연결 부품(1)에 관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 사이의 연결 각도 α는 변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운동은 소정의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7은 연결 부품(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연결 부품은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제 1 연결 부품(3) 및 제 2 연결 부품(5)이, 예를 들어 연결 부품(3, 5)의 관통구에 압입되는 형태로 케이스(73)와 회전 불가하게 결합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73)는 재료 끼워 맞춤 형태, 예를 들어 용접, 납땜 또는 접착으로 결합되거나 연결 부품(3, 5)과 형상 끼워 맞춤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와 연결 부품 사이의 결합 방식과 무관하게, 예를 들어 강제 끼워 맞춤, 마찰 끼워 맞춤에 의해서 케이스(73)와 연결 부품이 결합할 때 또는 결합 전에 연결 부품(3, 5)들 사이의 연결 각도 α는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73)는 이 케이스에 고정된 연결 부품(3, 5)을 통하여 구동 또는 제동 모멘트가 가해진 구동 샤프트(도시 안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케이스(73)의 내측면과 구동 샤프트의 외측면은 협동시 양 부품들 사이에서 회전 불가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상호 조절된다. 물론, 또한 케이스(73)와 구동 샤프트는 강제 끼워 맞춤 및 형상 끼워 맞춤 형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부품(1)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73)는 도 7에 도시하지 않는, 예를 들어 고정된 축에 설치되며, 이 축은 케이스(73) 혹은 연결 부품(1)의 회전 운동 상태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73)는 이 케이스(73) 내에 삽입된 축의 종방향 구역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이 결합 형태에 있어서, 구동 모멘트는 축으로부터 연결 부품으로, 또는 연결 부품으로부터 축에 전달될 수 없다.
연결 부품(1)에 관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개별 부품들은 주로 조절 가능한 공통 공구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조 공구에 따라서 연결 부품(1)의 상이한 실시예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상기 연결 부품(3, 5)들은 예를 들어 밴드 재료로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 부품으로 구성된 연결 부품(1)의 실시예는 복잡한 구조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연결 부품(3, 5)의 제조 오차를 비교적 넓은 범위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연결 부품(1)의 연결 각도 α가 연결 부품(3, 5)을 조립할 때 먼저 조절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짧은 레버용으로서 사용되는 연결 부품(1)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품(3, 5)은 축(7)과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며, 경우에 따라서 큰 오차를 허용하는데, 이것은 각 결합 위치(13, 17)에서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시(67)에 의해서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의 운동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오차를 낮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12)

  1. 상호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둘 이상의 결합 위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품을 가지며, 상기 결합 위치에서 각각 하나 이상의 와이퍼 로드 전달 부재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부품은 축의 종방향 중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1)은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을 구비하고, 이 연결 부품들의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위치(13, 1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은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구(25, 27)를 가지며, 이 관통구에는 축(7)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3, 5)들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며 부분적으로 나란하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품(3)과 제 2 연결 부품(5) 및 축(7)은 강제 끼워 맞춤, 재료 끼워 맞춤 및 형상 끼워 맞춤 형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7)에는 회전 모멘트가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3, 5)들의 관통구(25, 27)에 배치된 축(7)의 종방향 부분(29)에는 밀링 에지(31)가 제공되며, 상기 관통구(25, 27)의 직경은 밀링 에지(31)의 영역에서 축(7)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3, 5)들은 하나 이상의 코킹에 의해서, 주로 각 관통구를 둘러싸는 환형 코킹(37, 43)에 의해서 축방향 변위에 대하여 상기 축(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7)에는 복수 에지(51)가 제공되며, 이 복수 에지는 형상 끼워 맞춤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응하게 조절된 관통구(25, 27)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7)은 연결 부품(3, 5)을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환형 숄더(49)를 가지며, 이 숄더에는 제 1 연결 부품(3)이 접하고, 상기 제 1 연결 부품(3)에 접하는 제 2 연결 부품(5) 중 제 1 연결 부품(3)으로부터 이격된 쪽에는 코킹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은 이 연결 부품 내의 각 관통구에 삽입된 케이스(73)와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73)는 축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
  11.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로드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 부품은 각각 하나 이상의 결합 위치를 갖는 둘 이상의 연결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 위치에서 각각 하나 이상의 와이퍼 로드 전달 부재를 유지할 수 있고 구동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를 갖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를 연결 부품의 관통구 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 위치를 대향시키기 위하여 구동 샤프트의 종방향 중간축을 중심으로 연결 부품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 부품과 구동 샤프트를 회전 불가하게 상호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과 구동 샤프트를 강제 끼워 맞춤, 재료 끼워 맞춤 및 형상 끼워 맞춤의 형태로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17007733A 1999-10-20 2000-10-12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부착된 윈드스크린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와 이 로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위한 제조 방법 Withdrawn KR200100998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0488A DE19950488A1 (de) 1999-10-20 1999-10-20 Wischergestänge einer Scheibenwischanlage für Fahrzeuge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ppelelements eines Wischergestänges
DE19950488.1 1999-10-20
PCT/DE2000/003584 WO2001028825A1 (de) 1999-10-20 2000-10-12 Wischergestänge einer scheibenwischanlage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835A true KR20010099835A (ko) 2001-11-09

Family

ID=792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733A Withdrawn KR20010099835A (ko) 1999-10-20 2000-10-12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부착된 윈드스크린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와 이 로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위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47038B1 (ko)
JP (1) JP2003512235A (ko)
KR (1) KR20010099835A (ko)
BR (1) BR0007228A (ko)
CZ (1) CZ296933B6 (ko)
DE (2) DE19950488A1 (ko)
ES (1) ES2251409T3 (ko)
WO (1) WO2001028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2409B4 (de) * 2002-09-12 2014-10-23 Robert Bosch Gmbh Wischanlage für Fahrzeugscheiben
DE10359968A1 (de) * 2003-12-18 2005-07-21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anlage
DE102015215956A1 (de) * 2015-08-20 2017-02-23 Robert Bosch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 Scheibenwisch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8924A1 (de) * 1987-11-17 1989-06-01 Swf Auto Electric Gmbh Getriebeteil fuer eine wischanlage von kraftfahrzeug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en
DE4444066B4 (de) * 1994-12-10 2007-07-19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für 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51409T3 (es) 2006-05-01
DE50011565D1 (de) 2005-12-15
EP1147038B1 (de) 2005-11-09
DE19950488A1 (de) 2001-05-10
JP2003512235A (ja) 2003-04-02
EP1147038A1 (de) 2001-10-24
CZ296933B6 (cs) 2006-07-12
CZ20012235A3 (cs) 2002-02-13
BR0007228A (pt) 2001-10-09
WO2001028825A1 (de) 200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457B1 (ko) 윈드실드 와이퍼 드라이브
US20040149070A1 (en) Accelerator pedal module
JPH02502622A (ja) 自動車のワイパーシステムの駆動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705660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CN112292307B (zh) 主动式空气动力学应用扭矩驱动连杆
KR100579430B1 (ko) 자동차 윈드실드 와이퍼 설비용 구동장치
KR100767979B1 (ko) 4 바아-조인트식 와이퍼 아암 및 그 세팅 방법
KR100729549B1 (ko) 윈드실드 와이퍼 구동장치
JPH08282315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結合構造
KR20010099835A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부착된 윈드스크린와이퍼의 로드 어셈블리와 이 로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위한 제조 방법
KR20040023487A (ko) 미러 구동 장치
KR20010024229A (ko)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
US4636180A (en) Universal joint with stationary seats
US5774928A (en) Screen wiper apparatu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having means, for indexing the screen wiper with respect to a drive spindle
US6112613A (en) Actuating device for automatic actuation of a transmission
KR100582434B1 (ko) 와이퍼 시스템 및 와이퍼 시스템의 조립 방법
US7610649B2 (en) Wiper device
JP2005516833A (ja)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ウインドゥワイパ装置
FR2562616A1 (fr) Dispositif d'accouplement elastique, notamment pour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2004513837A (ja) 特に自動車のためのウィンドガラスワイパ装置および該ウィンドガラスワイパ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FR2926526A1 (fr) Traverse de vehicule automobile, planche de bord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s
JP4541565B2 (ja) 3つのレバーの結合のための接ぎ手
JP2645311B2 (ja) 往復ワイパー装置
JPH0118295B2 (ko)
JPS62168750A (ja) ウインドシ−ルド・ワイパ・ボ−ル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