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96434A - 차륜하중 피로시험기 - Google Patents

차륜하중 피로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34A
KR20010096434A KR1020000034698A KR20000034698A KR20010096434A KR 20010096434 A KR20010096434 A KR 20010096434A KR 1020000034698 A KR1020000034698 A KR 1020000034698A KR 20000034698 A KR20000034698 A KR 20000034698A KR 20010096434 A KR20010096434 A KR 20010096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roller
reaction force
shaft
wheel lo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893B1 (ko
Inventor
이따니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2001009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89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반력 롤러와 반력 롤러 전동면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력 롤러와 반력 라이너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주행유니트 (4) 의 하부 프레임에 설치한 차륜을 통해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를 행함으로써 시험체의 피로시험을 행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로서, 시험체에 가해지는 재하력의 반력을, 주행유니트 (4) 의 상부 프레임 (4a) 에 설치한 반력 롤러 (10a, 10b) 를 통해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을 갖는 장치 프레임 (7) 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반력 지지기구를 갖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반력 롤러축 (14) 을 상부 프레임 (4a) 에 주행유니트 이동방향 (화살표 (D) 방향) 을 따른 지지축 (15) 주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또한 이 반력 롤러축 (14) 의 양단부에 반력 롤러 (10a, 10b) 를 지지축 (15) 에서 등거리로 또한 자동조심형 베어링을 통해 설치한다.

Description

차륜하중 피로시험기{WHEEL RUNNING MACHINE}
본 발명은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도로교의 철근 콘크리트 상판 (床版) 등에 대하여 차륜하중 피로시험을 행할 경우에 적용하여 유용한 것이다.
도 4 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의 전체 구성도, 도 5 는 도 4 의 A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 은 상기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구비된 종래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의 E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장치 프레임은 도시생략)), 도 7 은 도 6 의 B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 은 도 7 의 C 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도로교의 철근 콘크리트 상판 등의 내구성 및 보수 ·보강공사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교량의 사용상황과 동일하게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 (載荷) 를 실시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이동체로서의 주행유니트 (4), 주행유니트 (4) 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의 장치 프레임 (7), 및 주행유니트 (4) 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니트 (1) 를 갖는다.
구동유니트 (1) 는, 전동기 혹은 유압모터인 구동원 (1a) 과, 이 구동원 (1a) 의 회전을 플라이휠 (2) 에 전달하는 커플링 (1b) 및 감속기 (1c)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라이휠 (2) 은 커넥팅 로드 (3) 를 통해 주행유니트 (4) 에 연결되어 있다. 커넥팅 로드 (3) 의 한 끝은 플라이휠 (2)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지지축 (21) 주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커넥팅 로드 (3) 의 다른 끝은 주행유니트 (4) 의 상부 프레임 (4a) 의 측부에 지지축 (22) 주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주행유니트 (4) 는 도 4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 (7) 에 안내되어 도 4 중 좌우방향 (화살표 (D) 방향) 으로 직선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플라이휠 (2) 의 회전은, 커넥팅 로드 (3) 를 통해 주행유니트 (4) 에 전달되고, 여기서 직선적인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주행유니트 (4) 는 차륜 (5) 을 장비한 유니트이고, 상부 프레임 (4a)과 하부 프레임 (4b) 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부 프레임 (4a) 의 내부에는 차륜 (5) 에 재하력을 가하는 유압식의 재하 실린더 (9) 가 장비되어 있고, 이 재하 실린더 (9) 의 피스톤 로드 (9a) 의 선단부 (하단부) 에 하부 프레임 (4b) 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 (4b) 에는 가이드축 (8) 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축 (8) 은 상부 프레임 (4a) 에 설치된 가이드부 (23) 에 상하방향으로 접동 (摺動) 이 자유롭게 삽입관통 되어있다. 따라서, 재하 실린더 (9) 의 피스톤 로드 (9a) 가 상하방향으로 스트로크하면, 하부 프레임 (4b) 은 가이드축 (8) 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차륜 (5) 은 하부 프레임 (4b) 에 지지축 (24)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 (4b) 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며, 또한 도로교의 철근 콘크리트 상판 등의 시험체 (6) 상을 전동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이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서는, 구동유니트 (1) 에서 플라이휠 (2) 을 회전시키면, 이 플라이휠 (2) 의 회전이 주행유니트 (4) 에 전달되어 주행유니트 (4) 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차륜 (5) 이 시험체 (6) 상을 동방향으로 전동한다. 그리고 이때 유압으로 재하 실린더 (9) 를 스트로크 (피스톤 로드 (9a) 를 하방으로 신장) 시키면, 그 재하력이 차륜 (5) 을 통해 시험체 (6) 로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시험체 (6) 에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가 이루어져, 시험체 (6) 의 피로시험이 실시된다.
한편, 상기 시험시에 시험체 (6) 에 가해진 재하력의 반력은, 상부 프레임 (4a) 의 상부에 장비된 반력 롤러 (10) 를 통해 장치 프레임 (7) 으로 전달되도록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프레임 (7) 에는 반력 라이너 (11) 가 교환이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고, 이 반력 라이너 (11) 의 표면 (하면) (11a) 이 반력 롤러 (10) 의 전동면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시험시에는, 반력 롤러 (10) 가 상기 재하력의 반력에 의하여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으로 밀린 상태에서 동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상을 전동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재하력의 반력이, 반력 롤러 (10) 를 통해 장치 프레임 (7) 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 반력 지지기구에서의 종래의 반력 롤러 기구부의 구성은 도 6 ∼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있다. 즉,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력 롤러 (10) 는 상부 프레임 (4a) 의 이동방향 (화살표 (D) 방향) 의 양측에 각각 2 륜씩 합계 4 륜 장비되어 있고, 또한 모두 상부 프레임 (4a) 에 고정된 반력 롤러축 (14) 에 베어링 (25) 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 (4a) 의 상부에는 지지 롤러 (12) 와 가이드 롤러 (13) 도 설치되어 있다. 지지 롤러 (12) 는 수평인 지지축 (26)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장치 프레임 (7) 의 상면 (7a) 에 걸어 멈추어, 이 상면 (7a) 상을 전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 (13) 는 수직인 지지축 (27)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장치 프레임 (7) 의 측면 (7b) 에 맞닿아, 이 측면 (7b) 상을 전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시험체 (6) 에 재하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행유니트 (4) 는 장치 프레임 (7) 에 지지 롤러 (12) 를 통하여 매달린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주행 유니트 (4) 가 왕복이동할 때에는, 가이드 롤러 (13) 에 의하여 주행유니트 (4) 의 가로이동이 규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반력 지지기구에서는, 반력 롤러 (10) 가 상부 프레임 (4a) 에 고정된 반력 롤러축 (14) 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프레임 (4a) 에 부착된 4 륜 고정식 구조이기 때문에, 각각의 반력 롤러 (10) 에는 자유도가 없다. 따라서 각각의 반력 롤러 (10) 에 대한 미는 힘의 불균형 및 반력 롤러 (10) 의 편접촉 현상에 의하여, 반력 롤러 (10) 의 반력 라이너 (11) (반력 롤러 전동면 (11a)) 로의 접촉이 불균일해진다.
이 때문에, 반력 라이너 (10) 및 반력 라이너 (11)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생기고, 이것이 반력 롤러 (10) 및 반력 라이너 (11) 의 수명을 제약하여 이들의 조기교환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반력 롤러 및 반력 롤러 전동면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력 롤러 및 반력 라이너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서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의 G-G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F-F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H 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의 전체 구성도,
도 5 는 도 4 의 A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 은 상기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구비한 종래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B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 은 도 7 의 C 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동유니트
1a: 구동원 (전동기(電動機) 혹은 유압모터)
1b: 커플링 1c: 감속기
2: 플라이휠 3: 커넥팅 로드
4: 주행유니트 4a: 상부 프레임
4b: 하부 프레임 5: 차륜
6: 시험체 7: 장치 프레임
7a: 장치 프레임의 상면 7b: 장치 프레임의 측면
8: 가이드축 9: 재하 (載荷) 실린더
9a: 피스톤 로드 10: 반력 롤러
11: 반력 라이너 11a: 반력 롤러 전동 (轉動) 면
12: 지지 롤러 13: 가이드 롤러
14: 반력 롤러축 15: 지지축 (요동축)
16: 자동 조심 (調心) 용 베어링
21, 22, 24, 26, 27: 지지축 23: 가이드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이동체에 설치한 차륜을 통해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를 행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피로시험을 행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로서, 상기 시험체에 가해지는 재하력의 반력을, 상기 이동체에 설치한 반력 롤러를 통해, 동 반력 롤러의 전동면을 갖는 지지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있어서,
반력 롤러축을 상기 이동체에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지지축 주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또한 이 반력 롤러축의 양단부에 상기 반력 롤러를 상기 지지축에서 등거리로 또한 자동조심형 베어링을 통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서의 반력 지지기구에 대하여 상술하고,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의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의 G-G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F-F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H 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유니트 (4) 의 상부 프레임 (4a) 에는, 2 개의 지지축 (요동축) (15), 이들 지지축 (15) 에 각각 설치된 2 개의 반력 롤러축 (14), 및 이들 반력 롤러축 (14) 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반력 롤러 (10) (각각 2 륜씩 합계 4 륜) 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축 (15) 은 그 축방향이 주행유니트 이동방향 (화살표 (D) 방향) 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동 방향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반력 롤러축(14) 은 화살표 (I) 와 같이 지지축 (15) 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자유로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반력 롤러축 (14) 의 양단부에 설치된 2 륜의 반력 롤러 (10) 는 지지축 (15) 에서 등거리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력 롤러 (10) 는 모두 자동조심형 베어링 (16) 을 통해 반력 롤러축 (14) 의 양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 이로 인해 각각의 반력 롤러 (10) 의 기울기의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란 및 도 4, 5 를 참조), 유압에 의해 재하 실린더 (9) 를 스트로크시킴으로써 그 재하력을 차륜 (5) 을 통해 시험체 (6) 로 전달하여 시험체 (6) 에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를 행하면, 이 때의 재하력의 반력에 의해 반력 롤러 (10) 가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으로 밀린다. 도 2 에는 이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때에 반력 롤러축 (14) 의 양단부의 반력 롤러 (10) 에 반력하중의 불균형이 생긴 경우에는, 반력 롤러축 (14) 이 지지축 (15) 주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축 (15) 주위의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도록 반력 롤러축 (14) 이 요동 (경사) 한다. 그 결과, 반력 롤러축 (14) 의 양단부의 반력 롤러 (10) 는 모두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으로 밀려서 반력하중이 분담된다. 또한, 반력 롤러축 (14) 의 양단부의 반력 롤러 (10) 는 지지축 (15) 에서 등거리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들 반력 롤러 (10) 의 하중이 같아지고, 이들 반력 롤러 (10) 의 분담하중이 평균화되게 된다.
또한, 이 때의 반력 롤러축 (14) 의 경사에 의해 반력 롤러 (10) 도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대로는 반력 롤러 (19) 가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에 편접촉되지만, 반력 롤러 (10) 는 자동조심형 베어링 (16) 을 통해 반력 롤러축 (14) 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자동조심형 베어링 (16) 의 작용에 의해 반력 롤러축 (14) 의 기울기에 수반하는 반력 롤러 (10) 의 기울기가 조정되어, 반력 롤러 (10) 의 외주면이 확실하게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으로 밀린다. 이렇게 해서, 반력 롤러축 (14) 의 기울기에 의한 반력 롤러 (10) 의 반력 롤러 전동면 (11a) 으로의 편접촉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반력 롤러 (10) 및 반력 라이너 (11) 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어, 이들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발명의 실시형태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이동체에 설치된 차륜을 통해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를 행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피로시험을 행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로서, 상기 시험체에 가해지는 재하력의 반력을, 상기 이동체에 설치한 반력 롤러를 통해 동 반력 롤러의 전동면을 갖는 지지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반력 롤러축을 상기 이동체에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지지축 주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또한 이 반력 롤러축의 양단부에 상기 반력 롤러를 상기 지지축에서 등거리로 또한 자동조심형 베어링을 통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의하면, 차륜을 통하여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를 행하면, 이 때의 재하력의 반력에 의해 반력 롤러가 반력 롤러 전동면으로 밀린다. 그리고, 이 때에 반력 롤러축의 양단부의 반력 롤러에 반력하중의 불균형이 발생하도록 한 경우에는, 반력 롤러축이 지지축 주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축 주위의 모멘트가 균형이 잡히도록 반력 롤러축이 요동 (경사) 한다. 그 결과, 반력 롤러축의 양단부의 반력 롤러는, 모두 반력 롤러 전동면으로 밀려져, 반력하중이 분담된다. 또한 반력 롤러축의 양단부의 반력 롤러는 지지축에서 등거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들 반력 롤러의 하중이 같아져, 이들 반력 롤러의 하중분담이 평균화되게 된다.
또한, 이 때의 반력 롤러축의 기울기에 의해 반력 롤러도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대로는 반력 롤러가 반력 롤러 전동면에 편접촉되지만, 반력 롤러는 자동조심형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반력 롤러축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자동조심형 베어링의 작용에 의해, 반력 롤러축의 기울기에 수반하는 반력 롤러의 기울기가 조정되어 반력 롤러의 외주면 전체가 반력 롤러 전동면에 접한다. 이렇게 해서, 반력 롤러축의 기울기에 의한 반력 롤러의 반력 롤러 전동면으로의 편접촉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력 롤러 및 반력 롤러 전동면 (반력 라이너 등) 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어, 이들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

  1. 이동체에 설치한 차륜을 통해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재하를 행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피로시험을 실시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로서, 상기 시험체에 가해지는 재하력의 반력을, 상기 이동체에 설치한 반력 롤러를 통해 동 반력 롤러의 전동면을 갖는 지지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반력 롤러축을 상기 이동체에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른 지지축 주위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또한 이 반력 롤러축의 양단부에 상기 반력 롤러를 상기 지지축에서 등거리로 또한 자동조심형 베어링을 통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
KR10-2000-0034698A 2000-04-05 2000-06-23 차륜하중 피로시험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73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3222 2000-04-05
JP2000103222A JP2001289761A (ja) 2000-04-05 2000-04-05 輪荷重疲労試験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34A true KR20010096434A (ko) 2001-11-07
KR100373893B1 KR100373893B1 (ko) 2003-02-26

Family

ID=1861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6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3893B1 (ko) 2000-04-05 2000-06-23 차륜하중 피로시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89761A (ko)
KR (1) KR100373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8576B (zh) * 2011-05-26 2015-08-05 燕山大学 一种连铸坯铸轧工作辊表面热疲劳寿命的模拟检测方法
CN103837419B (zh) * 2014-02-26 2016-01-13 沈阳工业大学 铁路弹条疲劳试验机
CN104075893B (zh) * 2014-06-11 2017-01-04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转向功能的电动轮综合性能试验台
CN104034615B (zh) * 2014-06-20 2016-04-06 中国科学院国家天文台 用于小变形零件的变载荷疲劳试验机
CN104568616B (zh) * 2015-01-15 2018-01-12 中交公路长大桥建设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桥面结构轮式滚动疲劳加载试验平台
CN106525619B (zh) * 2016-12-01 2023-07-25 辽宁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轮式载荷桥梁与路面疲劳试验系统
CN111982724B (zh) * 2020-09-04 2024-05-03 哈尔滨三迪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飞机地板疲劳可靠性测试装置
CN112345357A (zh) * 2020-11-15 2021-02-09 桂林理工大学 一种用于多工况路面结构加载模拟试验仪
CN114754949B (zh) * 2022-03-25 2024-01-30 山东交通学院 上悬驱动式桥梁耐久性轮荷实验装置
CN114754951A (zh) * 2022-03-25 2022-07-15 山东交通学院 贯通式桥梁耐久性轮荷实验装置
CN115290281B (zh) * 2022-09-05 2023-10-27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超导磁体的测试方法、系统及处理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3893B1 (ko) 2003-02-26
JP2001289761A (ja) 200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893B1 (ko) 차륜하중 피로시험기
CN103291683A (zh) 滚动摩擦扶正活塞杆往复运动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滚动摩擦扶正活塞杆往复运动驱动装置
CN101563163B (zh) 滚压机
SU1083903A3 (ru) Гомокинетическа шарнирна передача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3641150U (zh) 滚动摩擦扶正活塞杆往复运动驱动装置
CN101180452A (zh) 用于活塞滚轮的间隙调整
CN104831611B (zh) 一种可实现升降转向的轮式铣刨机摇臂机构
CN109556889A (zh) 一种立式承载轮试验台
KR100378416B1 (ko) 차륜하중 피로시험기
CN108892093A (zh) 一种翻转平台的直线式气动驱动装置
CN104894951B (zh) 带马达的双振捣机构、熨平板及摊铺机
CN208778470U (zh) 一种组装曲轴
US5613782A (en) Supporting roller bearing
US9115712B2 (en) Swing barrel type positive displacement pump using cross shaft joint bearing
US7513691B2 (en) Piston engine, shaft and rolling bearing for a piston engine
JPH0626766A (ja) 傾斜可能な支持ローラベアリング
CA2573252A1 (en) Measuring apparatus in connection with a gear
CN204780543U (zh) 带马达的双振捣机构、熨平板及摊铺机
ITMI940617A1 (it) Unita' di supporto per un tamburo mescolatore, in particolare di una betoniera per calcestruzzo presonfezionato
CN103912483A (zh) 一种抽油机活塞滚动摩擦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活塞滚动摩擦抽油机
CN210288384U (zh) 导杆式摆缸液压打桩锤
CN208101604U (zh) 一种悬挂装置及跨运车
CN221274977U (zh) 一种耐磨型自动平衡悬挂装置的中板
RU2223431C1 (ru) Механизм с качающейся шайбой для привода поршневых машин
CN104276394A (zh) 曲柄连杆式钢坯取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2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2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